KR101119520B1 - 디지털 액자 - Google Patents

디지털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520B1
KR101119520B1 KR1020100057234A KR20100057234A KR101119520B1 KR 101119520 B1 KR101119520 B1 KR 101119520B1 KR 1020100057234 A KR1020100057234 A KR 1020100057234A KR 20100057234 A KR20100057234 A KR 20100057234A KR 101119520 B1 KR101119520 B1 KR 10111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nit
light
display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170A (ko
Inventor
서성길
Original Assignee
(주)한국킹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킹유전자 filed Critical (주)한국킹유전자
Priority to KR102010005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52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rotatably hanging or 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9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mprising a decorative sheet and a core formed by one or more resin impregnated sheets of paper
    • B44C5/048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mprising a decorative sheet and a core formed by one or more resin impregnated sheets of paper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by artificial light sources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sign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무빙라이트부를 포함하고, 무빙라이트부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고정링크와; 일단부가 고정링크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링크와; 일단부가 고정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링크와; 일단부가 회동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전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및 회동링크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무빙발광부를 포함하며, 회동링크는 회전링크의 회전운동을 연결링크를 통해 전달받아 왕복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빙라이트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 상에 다양한 빛의 형상을 연출할 수 있으므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액자{DIGITAL FRAME}
본 발명은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다양한 빛의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가족사진 등을 액자에 넣어 책상, 거실장 또는 장식장에 놓아 사용하고 있고, 커피숍 등의 업소에서도 장식을 위하여 사진을 액자에 넣어 장식물로 활용하고 있다.
근래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급속한 보급과 발맞추어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인화하지 않고 메모리카드, CD, 하드디스크 등의 디지털 저장매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려 보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저장매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로부터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곧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액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액자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컴퓨터에 저장된 이미지를 수신받아 한 장의 이미지를 계속 디스플레이하거나, 여러 장의 이미지를 번갈아가면서 연속하여 액자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디지털 액자는 사진을 별도로 인화할 필요가 없고, 여러 장의 사진을 수시로 번갈아 가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디지털 액자의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여러 장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나, 표시되는 이미지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다양한 빛의 형상을 연출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지털 액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무빙라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라이트부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고정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크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회동링크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무빙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링크는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결링크를 통해 전달받아 왕복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무빙라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라이트부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무빙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발광부는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결링크를 통해 전달받아 왕복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빙발광부는 빛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은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은 제어부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 상에 다양한 빛의 형상을 연출할 수 있으므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에 의하면, 외부 장치 없이도 디스플레이부에 다양한 빛의 형상을 연출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높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제1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제2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제3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제4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무빙라이트부가 제1작동을 이룰 때의 디지털 액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무빙라이트부가 제2작동을 이룰 때의 디지털 액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무빙라이트부가 제3작동을 이룰 때의 디지털 액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무빙라이트부가 제4작동을 이룰 때의 디지털 액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제1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제2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제3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제4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무빙라이트부가 제1작동을 이룰 때의 디지털 액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무빙라이트부가 제2작동을 이룰 때의 디지털 액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무빙라이트부가 제3작동을 이룰 때의 디지털 액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무빙라이트부가 제4작동을 이룰 때의 디지털 액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1)는 디스플레이부(100), 프레임부(200), 무빙라이트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전면에 이미지가 출력되며, 인쇄부(11), 확산부(12), 광유도부(13), 고정부(14), 반사부(15), 회로기판(16), 불투명부(17) 및 발광부(30)를 포함한다.
인쇄부(11)는 전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인쇄된다. 인쇄부(11)는 발광부(30)에서 방출되는 빛이 인쇄부(11)에 형성된 투광부를 통해 방출될 경우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확산부(12)는 인쇄부(11)의 후방에 배치되고, 발광부(3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킨다. 확산부(12)의 재질은 광학산유백아크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부(12)에는 빛의 확산을 돕는 확산제가 도포될 수 있다.
광유도부(13)는 확산부(12)의 후방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발광부(3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이 공간은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발광부(30)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확산부(12)로 유도되도록 한다. 또한, 광유도부(13)는 인접한 광유도부(13)와 이루는 공간에 발광부(30)가 배치되도록 하여 발광부(3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다.
고정부(14)는 확산부(12)의 후방에 설치되어 발광부(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전원과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각종 전선(미도시)이 배치된다. 고정부(14)의 재질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한 합선 등을 방지하도록 우드락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부(15)는 고정부(14)의 후방에 배치되어 빛을 전면으로 반사시킨다. 반사부(15)는 백색 유광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기판(16)은 반사부(15)의 후방에 배치되고, 발광부(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 회로가 인쇄된다.
불투명부(17)는 회로기판(16)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측으로 방출되는 빛을 흡수한다. 불투명부(17)는 불투명한 검정색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0)는 발광부(30)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발광부(30)를 전체적으로 점멸시키거나, 발광부(30) 중 일부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애니메이션 효과를 연출한다. 제어부(20)는 무빙라이트부(3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발광부(30)는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되어 빛을 방출한다. 발광부(30)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30)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광유도부(13)의 공간을 통해 확산부(12), 인쇄부(11)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이때, 인쇄부(11)에 인쇄된 이미지를 투광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00)를 보호한다.
무빙라이트부(300)는 프레임부(200)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빙라이트부(300)는 프레임부(200)에 설치된다고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위치라면 프레임부(200)가 아닌 별도의 장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라이트부(300)는 고정링크(310), 회동링크(320), 회전링크(330), 연결링크(340), 무빙발광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링크(310)는 폭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이 긴 판재로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프레임부(200)에 고정된다. 고정링크(310)는 프레임부(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b)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되며, 이러한 브라켓(b)은 고정링크(31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어떠한 구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고정링크(310)는 4개의 링크(310, 320, 330, 340) 중 그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된다.
회동링크(320)는 일단부(상단부, 이하 도 4 기준)가 고정링크(310)의 일단부(좌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폭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이 긴 판재로 형성된다. 회동링크(320)와 고정링크(310)에는 힌지홀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이러한 힌지홀부에 힌지축(미도시)이 결합되며, 회동링크(320)는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 회동된다. 회동링크(320)의 타단부(하단부)는 연결링크(340)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회전링크(330)는 일단부(상단부)가 고정링크(310)의 타단부(우단부)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며, 폭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이 긴 판재로 형성된다. 회전링크(330)와 고정링크(310)에는 힌지홀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이러한 힌지홀부에 힌지축(미도시)이 결합되며, 회전링크(330)는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된다. 따라서, 고정링크(310)의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브라켓(b)은 회전링크(330)의 회전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회전링크(330)의 타단부(하단부)는 연결링크(340)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한편, 회전링크(330)는 4개의 링크(310, 320, 330, 340) 중 그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된다.
연결링크(340)는 일단부(좌단부)가 회동링크(320)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우단부)가 회전링크(330)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폭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이 긴 판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링크의 힌지 결합을 위해 각 링크에는 힌지홀부(미도시)가 형성되고, 힌지축(미도시)이 힌지홀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회전링크(330)는 구동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통해 360도 회전이 이루어진다. 제어부(20)는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이러한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은 회전링크(330)를 회전시킨다.
회전링크(330)의 360도 회전운동은 연결링크(340)를 통해 회동링크(320)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회동링크(320)는 회동링크(3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 왕복운동한다.
즉,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회전링크(330)의 타단부가 6시 방향에 위치할 때 회동링크(320)의 타단부는 왕복운동 경로의 중앙에 위치하고(도 4 참조), 회전링크(33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회전링크(330)와 연결링크(340)가 중첩될 때 회동링크(320)의 타단부는 왕복운동 경로의 최우측에 위치한다(도 5 참조). 또한, 회전링크(33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면 회동링크(320)의 타단부는 다시 왕복운동 경로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도 6 참조), 회전링크(330)와 연결링크(340)가 일직선을 이룰 때 회동링크(320)의 타단부는 왕복운동 경로의 최좌측에 위치한다(도 7 참조).
무빙발광부(350)는 회동링크(320)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한다. 무빙발광부(350)는 회동링크(320), 특히 타단부에 설치되므로, 회동링크(320)에 연동되어 회전링크(330)의 회전에 따라 좌우 왕복운동을 이루게 된다.
무빙발광부(35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51), 하우징(351)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352) 및 반사판(353)을 포함한다.
하우징(351)은 외부의 먼지 등으로부터 광원(352)을 보호하고, 광원(352)에서 발광되는 빛이 디스플레이부(100)를 향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방부가 구비된다.
광원(352)은 빛을 발광하며, 빛의 밝기 대비 저전력을 소모하는 LED가 사용된다. 제어부(20)는 광원(352)에 전원을 인가하여 광원(352)에서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광원(352)으로의 전원 인가를 구동부로의 전원 인가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광원(352)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51)에는 광원(352)의 지속적인 발광에 의한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냉각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반사판(353)은 광원(35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반사판(353)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원(352)에서 발광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발광 효율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반사판(353)은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면 반구 형상이 아닌 다른 대체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회동링크(320)의 타단부가 왕복운동 경로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회동링크(320)에 설치되는 무빙발광부(350) 역시 왕복운동 경로의 중앙에 위치한다(도 4 참조). 이때, 제어부(20)에 의해 광원(352)이 점등되면 디스플레이부(100)는 광원(352)에 의해 중앙부만이 밝혀지고, 다른 부분은 어두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8 참조).
이후 제어부(20)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되면 회전링크(3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회전링크(330)가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함에 따라, 연결링크(340)에 의해 회전링크(330)와 연결되는 회동링크(320) 및 회동링크(320)와 연동되는 무빙발광부(350)는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는 처음의 중앙부(도 8 참조)를 시작으로, 이후 우측부(도 9 참조), 중앙부(도 10 참조), 좌측부(도 11 참조)가 밝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 왕복운동을 행하는 무빙발광부(35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는 일측이 순차적으로 밝혀지게 되므로, 다양한 빛의 형상 연출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제어부(20)에 의해 광원(352)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게 되면 이러한 효과는 더욱 부각된다. 즉, 무빙발광부(350)에 의해 디지털 액자(1)에 TV 쇼 등에서 펼쳐지는 스포트라이트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서술한 작동예 외이도 다양한 빛의 형상 연출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라이트부를 설명하기로 하며, 일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라이트부(300)는 회전링크(360), 연결링크(370), 무빙발광부(380)를 포함하고, 무빙발광부(380)는 하우징(381), 광원(382), 반사판(383)을 포함한다.
회전링크(360)는 일단부(하단부, 도 12 기준)가 프레임부(200)에 힌지 결합되며, 폭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이 긴 판재로 형성된다. 회전링크(360)는 일단부에 위치하는 힌지축(미도시)을 회전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된다. 회전링크(360)의 회전은 구동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구동부의 작동은 제어부(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결링크(370)는 일단부(좌단부)가 회전링크(360)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우단부)가 무빙발광부(380)와 결합되며, 폭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이 긴 판재로 형성된다.
무빙발광부(380)는 프레임부(200)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연결링크(370)를 통해 회전링크(360)와 연결되어 회전링크(360)의 회전운동 시 좌우 왕복운동을 이루게 된다.
프레임부(200)에는 무빙발광부(380)의 좌우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무빙발광부(380), 구체적으로 하우징(381)에는 이러한 안내레일에 안착되는 안내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링크(360)의 360도 회전운동은 연결링크(370)를 통해 무빙발광부(380)에 전달되며, 이에 의해 무빙발광부(380)는 프레임부(200) 내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된다.
즉,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회전링크(360)의 타단부가 12시 방향에 위치할 때 무빙발광부(380)는 왕복운동 경로의 중앙에 위치하고(도 12 참조), 회전링크(360)의 타단부가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3시 방향에 위치할 때 무빙발광부(380)는 왕복운동 경로의 최우측에 위치한다(도 13 참조). 또한, 회전링크(360)의 타단부가 6시 방향, 그리고 9시 방향에 위치할 때 무빙발광부(380)는 왕복운동 경로의 중앙부, 그리고 최좌측에 위치한다(도 14 및 도 15 참조).
이하,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무빙라이트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링크(370)의 타단부가 왕복운동 경로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무빙발광부(380) 역시 왕복운동 경로의 중앙에 위치한다(도 12 참조). 이때, 제어부(20)에 의해 광원(382)이 점등되면 디스플레이부(100)는 광원(382)에 의해 중앙부만이 밝혀지고, 다른 부분은 어두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6 참조).
이후 제어부(20)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되면 회전링크(3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회전링크(360)가 시계 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함에 따라, 연결링크(370)에 의해 무빙발광부(380)는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는 처음의 중앙부(도 16 참조)를 시작으로, 이후 우측부(도 17 참조), 중앙부(도 18 참조), 좌측부(도 19 참조)가 순차적으로 밝혀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부 200 : 프레임부
300 : 무빙라이트부 310 : 고정링크
320 : 회동링크 330 : 회전링크
340 : 연결링크 350 : 무빙발광부

Claims (5)

  1.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무빙라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라이트부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고정링크;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크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링크;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링크;
    일단부가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회동링크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무빙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링크는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결링크를 통해 전달받아 왕복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2.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무빙라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라이트부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링크;
    일단부가 상기 회전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무빙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발광부는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결링크를 통해 전달받아 왕복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발광부는 빛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제어부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KR1020100057234A 2010-06-16 2010-06-16 디지털 액자 KR10111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234A KR101119520B1 (ko) 2010-06-16 2010-06-16 디지털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234A KR101119520B1 (ko) 2010-06-16 2010-06-16 디지털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70A KR20110137170A (ko) 2011-12-22
KR101119520B1 true KR101119520B1 (ko) 2012-02-28

Family

ID=4550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234A KR101119520B1 (ko) 2010-06-16 2010-06-16 디지털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68B1 (ko) 2020-12-31 2021-05-28 이창우 인테리어 경량칸막이 벽체용 후매립 아웃렛박스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25B1 (ko) * 2012-10-04 2020-03-19 한범주 조명장치 겸용 스탠드형 에어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620A (en) 1976-05-20 1979-05-22 Xerox Corporation Rotating mirror optical scanner with flat scan and linear scan rate
JPH0548761U (ja) * 1991-12-13 1993-06-29 株式会社タカラ 額 縁
KR200293876Y1 (ko) 2002-06-18 2002-11-04 안영국 전시용 액자
KR100659360B1 (ko) 2005-12-16 2006-12-19 전병근 야광그림용 발광 액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620A (en) 1976-05-20 1979-05-22 Xerox Corporation Rotating mirror optical scanner with flat scan and linear scan rate
JPH0548761U (ja) * 1991-12-13 1993-06-29 株式会社タカラ 額 縁
KR200293876Y1 (ko) 2002-06-18 2002-11-04 안영국 전시용 액자
KR100659360B1 (ko) 2005-12-16 2006-12-19 전병근 야광그림용 발광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68B1 (ko) 2020-12-31 2021-05-28 이창우 인테리어 경량칸막이 벽체용 후매립 아웃렛박스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70A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82236B (zh) 具有间接照明结构的显示器
CN102393597A (zh) 照明光学系统、光源装置、以及投影仪
KR101119520B1 (ko) 디지털 액자
US10041652B2 (en) Laser spot light with twinkling function
CN101004624A (zh) 信息处理设备
JP2004146090A (ja) 多機能操作装置
CN107895133A (zh) 一种桌上型成像式条码扫描设备
CN209591476U (zh) 一种动态广告投影灯
JP2000280585A (ja) 記録装置
JP2009128763A (ja) プロジェクタ
KR102032469B1 (ko) 블라인드를 이용한 전광판 시스템
JP2017058474A (ja) 投影装置
CN213279947U (zh) 投影设备
CN110892471B (zh) 图像显示装置
JP7369939B2 (ja) 画像表示装置
JP6738951B2 (ja) 発光玩具
KR20210047178A (ko) 광소자 기반의 입체영상 발광 야광봉
JP2007102256A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CN215298724U (zh) 一种曲面led显示屏封装模组
JP4603957B2 (ja) 無線装置
JP2010231937A (ja) 携帯電子機器
CN215256908U (zh) 一种视频风扇
JP2014149369A (ja) 投写型表示装置
CN219125689U (zh) 一种ar投影照明学习桌
JP6792597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