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968B1 -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968B1
KR101117968B1 KR1020090106235A KR20090106235A KR101117968B1 KR 101117968 B1 KR101117968 B1 KR 101117968B1 KR 1020090106235 A KR1020090106235 A KR 1020090106235A KR 20090106235 A KR20090106235 A KR 20090106235A KR 101117968 B1 KR101117968 B1 KR 10111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housing
locking device
housing
support rib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286A (ko
Inventor
성법모
한승조
김자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09010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968B1/ko
Priority to US12/764,585 priority patent/US8011945B2/en
Publication of KR2011004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Abstract

본 발명은 로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피메일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연통되게 둘레면에 형성된 장착홀부, 이 장착홀부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는 거치부재, 이 거치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피메일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는 구속부재, 및 이 메일하우징에 형성되어 구속부재를 구속함으로써 피메일하우징에 결합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된 상태에서 자연적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접속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106235
고전압, 실드, 커넥터, 메일하우징, 피메일하우징, 로킹

Description

로킹장치{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로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된 상태에서 자연적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접속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로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전장화로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가 사용된다.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신호들은 다수의 신호선들을 통해 제어장치나 구동장치에 전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한 전자파가 불규칙하게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자파가 신호선 또는 전자장치에 직/간접적으로 전달될 경우, 전자장치가 이상작동하여 운전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하네스에는 일반적으로 실드케이블을 사용하 는데, 상기 실드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지는 중심선, 상기 중심선을 감싸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를 편조선으로 감싸 형성되는 실드층, 및 상기 실드층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실드층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중심선까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드케이블을 별도의 차폐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기기 또는 종류가 다른 케이블에 접속할 경우,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가 접속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실드케이블을 전기기기 또는 종류가 다른 케이블과 접속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가 접속점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구조의 실드커넥터 사용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실드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을 후크결합 방식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잦은 분리 및 결합 작업으로 인해 느슨해짐으로써 결합불량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메일하우징에 법선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속부재를 구비하고, 메일하우징에 로커를 구비하여 로커로써 구속부재를 구속함에 따라 잦은 분해 및 조립에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로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메일하우징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피메일하우징 사이에 코일 형상의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축방향 외력 발생시 완충력을 향상시키고자 한 로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는: 고정체의 내외측으로 연통 형성된 장착홀부, 상기 장착홀부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체의 내부로 돌출되는 구속부재, 및 상기 구속부재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로커를 포함한다.
상기 로커는, 상기 고정체의 테두리에 접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재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하측지지리브, 및 상기 구속부재의 두께만큼 상기 하측지지리브로부터 유격되도록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재의 상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거치부재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측지지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지지리브에는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지지리브 방향으로 하측걸림돌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지지리브에는 상기 거치부재에 걸려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측걸림돌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홀부는 상기 거치부재의 상기 장착홀부 외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체의 둘레면에 슬라이드 안내되는 커버에 의해 개폐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지지리브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쿠션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하측지지리브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체에는 가이드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수용되는 가이드돌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에는 끼움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장착홀부를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상기 끼움돌부를 수용하도록 끼움홀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실드 커넥터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의 일부를 전측으로 축 삽입되게 형성되는 피메일하우징,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후측으로 일부 축 삽입되며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결속 지지하는 고정부재, 상기 피메일하우 징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결속하는 로킹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접하게 형성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축 삽입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판부재에 양측이 지지되는 코일 형상의 상기 완충부재를 둘레면에 형성하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연통되게 둘레면에 형성된 장착홀부, 상기 장착홀부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는 구속부재, 및 상기 메일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구속부재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결합되는 로커를 포함한다.
상기 로커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테두리에 접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재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하측지지리브, 및 상기 구속부재의 두께만큼 상기 하측지지리브로부터 유격되도록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재의 상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거치부재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측지지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홀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둘레면에 슬라이드 안내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상기 장착홀부 외측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커버는 하측에 쿠션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하측지지리브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일하우징에는 축방향을 따라 둘레면에서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리브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마주하는 내측에 로킹홈부를 함몰 형성하며, 상기 하측지지리브에는 대응되는 상기 로킹홈부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로킹돌부를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에는 위치고정홈을 함몰 형성하고, 상기 메일하우징에는 상기 위치고정홈에 수용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고정돌기를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에 법선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속부재를 구비하고, 메일하우징에 로커를 구비하여 로커로써 구속부재를 구속함에 따라 잦은 분해 및 조립에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메일하우징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피메일하우징 사이에 코일 형상의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축방향 외력 발생시 완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 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요부 단면도이며,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메일하우징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메일하우징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로킹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실드 커넥터는 메일하우징(10), 피메일하우징(20) 및 로킹장치(100)를 포함한다.
메일하우징(10)은 내부에 메일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메일하우징(10)은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메일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피메일하우징(20)은 내부에 피메일단자(22)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피메일하우징(20)은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피메일하우징(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피메일하우징(20)은 메일하우징(10)을 전측으로 일부 축 삽입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피메일하우징(20)에 연결되는 메일하우징(10)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피메일단자(22)와 메일단자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하나의 피메일하우징(20)이 하나의 메일하우징(10)을 접속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피메일하우징(20)이 복수 개의 메일하우징(10)을 접속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피메일하우징(20)은 메일하우징(10)을 접속한 채 차체프레임과 같은 외부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피메일하우징(20)은 외부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재(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고정부재(30)는 외부체에 고정된 채 피메일하우징(20)을 최대한 결속함으로써 피메일하우징(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부재(30)는 판부재(32)와 슬리브부재(34)를 포함한다.
판부재(32)는 외부체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피메일하우징(20)의 후측 테두리와 접함으로써 피메일하우징(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판부재(3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슬리브부재(34)는 판부재(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피메일하우징(20) 내부로 축 삽입된다.
즉, 슬리브부재(34)는 피메일하우징(20)의 내측과 접함으로써 피메일하우징(2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슬리브부재(34)는 판부재(3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판부재(32)와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슬리브부재(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피메일단자(22)는 슬리브부재(34) 내측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피메일단자(22)는 슬리브부재(34) 내측에 삽입되고, 슬리브부재(34)는 피메일하우징(20)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피메일단자(22)는 메일단자와 접촉된다.
특히, 피메일하우징(20)은 고정부재(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나, 외력 작용시 고정부재(30) 방향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피메일하우징(20)과 고정부재(30)는 사이에 완충부재(4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피메일하우징(20)의 후측 테두리와 판부재(32) 사이에는 완충부재(40)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로써, 완충부재(40)는 코일스프링으로 하여 슬리브부재(34)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피메일하우징(20)의 후측 테두리와 판부재(32)에 양측이 각각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완충부재(40)가 코일스프링이기 때문에 슬리브부재(34) 둘레 전체에 걸쳐 판부재(32)와 피메일하우징(20) 간의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40)는 슬리브부재(34)의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슬리브부재(34)는 둘레면에 걸림턱(36)을 돌출 형성한다.
즉, 완충부재(40)는 일측을 판부재(32) 전측에 지지하고, 타측을 걸림턱(36)에 지지한다.
특히, 완충부재(40)의 타측이 피메일하우징(20)의 후측 테두리에 최대한 많이 탄성적으로 접하기 위해 걸림턱(36)은 최소의 크기로 형성된다.
물론, 걸림턱(3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걸림턱(36)은 슬리브부재(34)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일하우징(10)과 피메일하우징(20)은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22)의 접촉에 따른 통전을 위해 서로 견고하게 로킹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일하우징(10)이 피메일하우징(20)에 로킹시에도, 피메일하우징(20)은 완충부재(40)에 의해 완충됨에 따라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특히, 메일하우징(10)과 피메일하우징(20)은 로킹장치(1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견고하게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일례로써, 로킹장치(100)는 장착홀부(110), 거치부재(120), 구속부재(130), 로커(140) 및 커버(15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장착홀부(110)는 고정체 특히, 피메일하우징(20)의 내외측으로 연통 형성된다.
이때, 장착홀부(110)는 메일하우징(10)을 축 삽입한 부분에 해당되는 피메일 하우징(20)의 둘레면에 통공된다. 이에 따라, 메일하우징(10)은 장착홀부(110)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 장착홀부(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거치부재(120)는 장착홀부(110)의 가장자리에 거치되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피메일하우징(20)은 장착홀부(110)의 반대되는 양측 가장자리에 거치홈(122)을 함몰 형성하고, 거치부재(120)는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거치홈(122)에 수용된다.
따라서, 거치부재(120)는 각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거치홈(122)에 수용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20) 둘레면에 고정 지지된다.
물론, 거치부재(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구속부재(130)는 거치부재(120)의 하측 즉, 거치부재(120)에서 피메일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된 메일하우징(10)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래서, 구속부재(130)는 고정체 특히, 피메일하우징(20)의 내부로 돌출된다.
이때. 구속부재(130)는 거치부재(1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거치부재(120)와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속부재(130)는 거치부재(120)보다 표면적을 더 넓게 형성한다. 그래서, 구속부재(130)는 평면상 거치부재(1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물론, 구속부재(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피메일하우징(20)의 장착홀부(110)는 구속부재(130)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로커(140)는 메일하우징(10)에 형성된다. 즉, 메일하우징(10)이 피메일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로커(140)는 구속부재(130)와 결속 가능하도록 메일하우징(1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로커(140)가 구속부재(130)를 구속함에 따라 메일하우징(10)과 피메일하우징(20)은 결합된다.
실시예로써, 도 6 및 도 7에서처럼, 로커(140)는 바디(141), 하측지지리브(143) 및 상측지지리브(145)를 포함한다.
바디(141)는 메일하우징(10)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체 특히, 피메일하우징(20)의 테두리에 접한다.
그래서, 바디(141)는 메일하우징(10)이 피메일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측지지리브(143)는 바디(141)에서 연장되어 구속부재(13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측지지리브(145)는 바디(141)에서 연장되어 구속부재(130)의 상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바디(141)는 하측지지리브(143)와 상측지지리브(145)를 동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이때, 바디(141)는 높이방향에 대해 하측지지리브(143)와 상측지지리브(145)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특히, 하측지지리브(143)와 상측지지리브(145)는 구속부재(130)의 두께와 동일하게 유격된다.
그래서, 구속부재(130)는 하측지지리브(143)와 상측지지리브(145) 사이에 고정되에 따라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측지지리브(145)는 거치부재(120)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거치부재(120)와 구속부재(130)는 로커(140)에 의해 피메일하우징(20)의 장착홀부(110) 내부에서 위치 고정된다.
물론, 하측지지리브(143)와 상측지지리브(145)는 바디(14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로커(140)는 구속부재(130)에 의해 피메일하우징(20) 내측에서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하측지지리브(143)에는 고정체 즉, 피메일하우징(20)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지지리브(145) 방향으로 하측걸림돌부(144)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하측걸림돌부(144)는 하측지지리브(143)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측걸림돌부(144)가 구속부재(130)의 전측 하부 가장자리에 접함에 따라 로커(140)는 구속부재(130)에 걸려 피메일하우징(20)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하측지지리브(143)가 피메일하우징(20) 내부로 삽입시, 하측걸림돌부(144)는 구속부재(130)와 거치부재(120)를 장착홀부(110) 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구속부재(130)와 거치부재(120)는 장착홀부(110)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하측걸림돌부(144)가 구속부재(130)를 지나게 되면, 구속부재(13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며 하측지지리브(143)에 접하게 된다.
한편, 구속부재(130)가 하측지지리브(143)를 구속함과 동시에 상측지지리브(145)가 로커(140)를 구속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로커(140)를 피메일하우징(20) 내측에서 복합적으로 결속함으로써 메일하우징(10)을 피메일하우징(20)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즉, 상측지지리브(145)에는 거치부재(120)에 걸려 고정체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측걸림돌부(146)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측지지리브(145)는 거치부재(120)의 양측에 접하도록 바디(141)에서 나란하게 한 쌍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측걸림돌부(146)는 상측지지리브(145)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측걸림돌부(146)는 상측지지리브(145)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걸림돌부(146)가 거치부재(120)의 전측 양쪽 가장자리에 접함에 따라 로커(140)는 거치부재(120)에 걸려 피메일하우징(20)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상측지지리브(145)가 거치부재(120)를 내부로 수용하면서, 마주하는 상측지지리브(145)는 각각의 상측걸림돌부(146) 돌출 높이만큼 서로 반대되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상측걸림돌부(146)가 거치부재(120)의 전측에 접하게 되면, 상측지지리브(145)는 탄성 복원되며 거치부재(120)의 측면에 접하게 된다.
한편, 거치부재(120)와 구속부재(130)는 장착홀부(110)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래서, 고정체 특히, 피메일하우징(20)은 커버(150)를 구비한다. 이 커버(150)는 장착홀부(1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일례로써, 고정체 즉, 피메일하우징(20)에는 가이드홈부(151)를 형성하고, 커버(150)에는 가이드돌부(153)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이드돌부(153)가 가이드홈부(151) 내측을 따라 이동 안내됨에 따라 커버(150)는 장착홀부(110)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커버(15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부(151)는 피메일하우징(20)의 둘레면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돌부(153)는 커버(15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가이드홈부(151)는 홈 형상으로 도시하나, 홀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구속부재(130)는 상측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하측지지리브(143)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커버(150)가 항상 거치부재(120)의 상측에 접하게 함으로써, 구속부재(130)가 하측지지리브(143)의 상측과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부재(120)와 구속부재(130)는 하측걸림돌부(144)의 상부 방향 미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들려지지 않기 때문에 구속부재(130)나 하측지지리브(143)가 휘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재(120)와 커버(150) 사이에는 거치부재(120)의 승하강을 위한 유격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커버(150)는 하측에 쿠션부재(16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쿠션부재(160)는 외력에 의해 눌려지고, 외력 제거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하측걸림돌부(144)가 구속부재(130)를 상부방향으로 밀게 되면, 거치부재(120)가 쿠션부재(160)를 상부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 쿠션부재(160)는 커버(150)의 하측면에 지지된 채 압축된다.
반대로, 하측걸림돌부(144)가 구속부재(130)를 지나가게 되면, 쿠션부재(160)는 미는 힘의 제거로 인해 원상 복귀되고, 구속부재(130)는 하측지지리브(143)에 접하게 된다.
이때, 쿠션부재(160)는 구속부재(130)를 하측지지리브(143)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게 된다.
또한, 커버(150)는 가이드홈부(151)에 슬라이드 삽입된 채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커버(150)에는 끼움돌부(152)를 형성하고, 고정체 즉, 피메일하우징(20)에는 끼움돌부(152)를 수용하는 끼움홀부(154)를 형성한다.
따라서, 커버(150)가 장착홀부(110)를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끼움돌부(152)는 끼움홀부(154)에 수용됨에 따라, 커버(150)는 임의적으로 열리지 않게 된다.
이때, 끼움돌부(1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커버(150)에 형성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편의상, 끼움홀부(154)는 홀 형상으로 도시하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로커(140)는 메일하우징(10)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메일하우징(10)에는 축방향을 따라 둘레면에서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리브(172)를 돌출 형성하고, 이 가이드리브(172)에는 마주하는 내측에 로킹홈부(174)를 함몰 형성하며, 하측지지리브(143)에는 대응되는 로킹홈부(174)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로킹돌부(176)를 돌출 형성한다.
즉, 하측지지리브(143)는 바디(141)에서 연장되어 탄성적으로 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외측에 로킹돌부(176)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메일하우징(10)은 로킹홈부(174)를 형성한 가이드리브(172)를 구비한다.
그래서, 로킹돌부(176)가 로킹홈부(174)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에 따라 로커(140)는 메일하우징(10)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편의상, 로킹홈부(174)는 홈 형상으로 도시하나,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로커(140)가 메일하우징(10)에 결합시 정확한 조립 위치가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바디(141)에는 위치고정홈(182)을 함몰 형성하고, 메일하우징(10)에는 위치고정홈(182)에 수용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고정돌기(184)를 돌출 형성한다.
즉, 바디(141)의 위치고정홈(182)이 메일하우징(10)의 위치고정돌기(184)를 따라 안내되며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정위치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위치고정홈(18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위치고정돌기(184)는 메일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메일하우징(10)을 피메일하우징(20)에 삽입하면서 로킹장치(100)에 의해 로킹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즉, 메일하우징(10)이 피메일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로커(140)의 하측지지리브(143)에 형성된 하측걸림돌부(144)는 구속부재(130)를 들어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구속부재(130)와 거치부재(120)는 쿠션부재(160)를 압축하며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걸림돌부(144)가 구속부재(130)의 하측을 지남과 연이어 상측지지리브(145)가 거치부재(120)에 접하는 상측걸림돌부(146)에 의해 소정 벌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쿠션부재(160)가 탄성 복원되면서, 구속부재(130)는 하측지지리브(143)의 상측에 탄성적으로 접하게 된다.
이 후, 상측걸림돌부(146)가 거치부재(120)를 지나면서, 상측지지리브(145)는 탄성 복원되며 거치부재(120)의 측부위 및 구속부재(130)의 상측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거치부재(120)와 구속부재(130)는 하측지지리브(143)와 상측지지리브(145)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장착홀부(110) 내측에 고정된다.
물론, 하측지지리브(143)의 하측걸림돌부(144)가 구속부재(130)에 걸림과 아울러 상측지지리브(145)의 상측걸림돌부(146)가 거치부재(120)에 걸림으로써 로커(140)는 견고하게 걸리게 된다.
그래서, 메일하우징(10)은 피메일하우징(20)에 결속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메일하우징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메일하우징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의 로킹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일하우징 20 : 피메일하우징
30 : 고정부재 40 : 완충부재
100 : 로킹장치 110 : 장착홀부
120 : 거치부재 130 : 구속부재
140 : 로커 141 : 바디
143 : 하측지지리브 144 : 하측걸림돌부
145 : 상측지지리브 146 : 상측걸림돌부
150 : 커버 160: 쿠션부재

Claims (15)

  1. 삭제
  2. 고정체의 내외측으로 연통 형성된 장착홀부(110);
    상기 장착홀부(110)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는 거치부재(120);
    상기 거치부재(12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체의 내부로 돌출되는 구속부재(130); 및
    상기 구속부재(130)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로커(140);
    를 포함하며,
    상기 로커(140)는,
    상기 고정체의 테두리에 접하는 바디(141);
    상기 바디(141)에서 연장되어 구속부재(13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하측지지리브(143); 및
    상기 구속부재(130)의 두께만큼 하측지지리브(143)로부터 유격되도록 상기 바디(141)에서 연장되어 구속부재(130)의 상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거치부재(120)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측지지리브(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리브(143)에는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측지지리브(145) 방향으로 하측걸림돌부(1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측지지리브(145)에는 거치부재(120)에 걸려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측걸림돌부(1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장착홀부(110)는 거치부재(120)의 장착홀부(110) 외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체의 둘레면에 슬라이드 안내되는 커버(15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하측지지리브(143)와 상기 커버(150) 사이에는 쿠션부재(160)가 개재되어 구속부재(130)가 상기 하측지지리브(143)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가이드홈부(151)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150)에는 상기 가이드홈부(151)에 수용되는 가이드돌부(15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0)에는 끼움돌부(15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에는 장착홀부(110)를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상기 끼움돌부(152)를 수용하도록 끼움홀부(15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106235A 2009-11-05 2009-11-05 로킹장치 KR10111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235A KR101117968B1 (ko) 2009-11-05 2009-11-05 로킹장치
US12/764,585 US8011945B2 (en) 2009-11-05 2010-04-21 Locking device and high voltage shield connec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235A KR101117968B1 (ko) 2009-11-05 2009-11-05 로킹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553A Division KR101144104B1 (ko) 2011-05-30 2011-05-30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86A KR20110049286A (ko) 2011-05-12
KR101117968B1 true KR101117968B1 (ko) 2012-02-16

Family

ID=4392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235A KR101117968B1 (ko) 2009-11-05 2009-11-05 로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11945B2 (ko)
KR (1) KR101117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2651B1 (en) * 2011-06-09 2012-10-23 Bae Systems Land & Armaments, L.P. High voltage connector with a ring assembly to force a plug axially into a header assembly
CN103078211B (zh) * 2013-02-17 2014-12-10 安费诺-泰姆斯(常州)通讯设备有限公司 直角式电连接器
JP2015079710A (ja) * 2013-10-18 2015-04-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509962B1 (ko) * 2013-11-05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록킹장치
JP5674906B1 (ja) * 2013-12-11 2015-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搭載機器
US10050382B2 (en) 2014-04-14 2018-08-14 Fci Usa Llc Crimp-to-wir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6025643A (zh) * 2016-06-30 2016-10-12 瑞安市超声电器厂 高压接插件
JP7139212B2 (ja) * 2018-10-12 2022-09-20 株式会社マキタ コネクタ
CN114937884B (zh) * 2022-05-25 2023-04-07 南京康尼新能源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高压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835A (ja) 2007-08-01 2009-02-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90047167A (ko) * 2007-11-07 2009-05-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 및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의 고정부재
JP2009140675A (ja) 2007-12-05 2009-06-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90092276A (ko) * 2006-12-06 2009-08-31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 및 상기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를 합체한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084U (ja) * 1983-10-24 1985-05-20 星電器製造株式会社 ロツク機構付コネクタ
US4832615A (en) 1986-07-07 1989-05-23 Amp Incorporated Sealed connector having unitary molded housing
JPH0195083U (ko) * 1987-12-15 1989-06-22
JPH0737256Y2 (ja) * 1987-12-15 1995-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KR890011148A (ko) * 1987-12-15 1989-08-12 구메 다다시 불완전한 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콘넥터
JP2598574Y2 (ja) 1993-08-25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シールド電線接続構造
JP3036419B2 (ja) * 1995-11-17 2000-04-24 住友電装株式会社 半嵌合検知コネクタ
TW404537U (en) * 1998-06-29 2000-09-01 Darfon Electronics Corp High voltage connection device for a retrieval transformer
JP3425541B2 (ja) 1999-08-23 2003-07-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DE10013823C1 (de) * 2000-03-21 2002-01-03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2002270310A (ja) 2001-03-13 2002-09-20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US6609931B2 (en) 2001-10-25 2003-08-26 Tyco Electronics Corp.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USD564968S1 (en) 2006-05-31 2008-03-25 Tyco Electronics Amp K.K. Male-type tube connector housing
KR100882047B1 (ko) 2006-10-24 2009-02-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US7601019B2 (en) * 2007-06-22 2009-10-1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7666023B2 (en) * 2008-05-22 2010-02-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coupled to a pull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276A (ko) * 2006-12-06 2009-08-31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 및 상기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를 합체한 커넥터 조립체
JP2009037835A (ja) 2007-08-01 2009-02-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90047167A (ko) * 2007-11-07 2009-05-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 및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의 고정부재
JP2009140675A (ja) 2007-12-05 2009-06-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11945B2 (en) 2011-09-06
US20110104930A1 (en) 2011-05-05
KR20110049286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968B1 (ko) 로킹장치
KR101063212B1 (ko)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CN110383591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CN102934291B (zh) 用于插入式电连接器的连接器组件、插入式电连接器及制造的电缆
CN103493306B (zh) 电连接器和连接器系统
CN111628325B (zh) 外导体端子及屏蔽连接器
US8895881B2 (en) Power window switch
JP4427564B2 (ja) コネクタプラグ
CN110383592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JP2006202619A (ja) コネクタ用電線カバー
KR101566687B1 (ko) 전기 커넥터
WO2012133240A1 (ja) 収納箱および電気接続箱
CN104852203A (zh) 用于车辆的防水连接器
CN112470348A (zh) 连接器及连接器装置
CN101877469B (zh) 具有铰链式关闭结构的电气设备
US20040248467A1 (en) Plug connector
KR101144104B1 (ko)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
JP6150053B2 (ja) コネクタ
CN112038815B (zh) 连接器
US20060009067A1 (en) Connector with wire cover and wire cover therefor
CN111064144B (zh) 颤动防止结构、电子部件模块、电气接线盒和线束
US9780486B2 (en) Connector
CN111129838B (zh) 端子盖
EP2112715A2 (en) Lock structure and cover lock structure of terminal cap
KR100619857B1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