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581B1 - 배터리 자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581B1
KR101117581B1 KR1020100097277A KR20100097277A KR101117581B1 KR 101117581 B1 KR101117581 B1 KR 101117581B1 KR 1020100097277 A KR1020100097277 A KR 1020100097277A KR 20100097277 A KR20100097277 A KR 20100097277A KR 101117581 B1 KR101117581 B1 KR 10111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nding machine
user
database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형
Original Assignee
최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형 filed Critical 최민형
Priority to KR102010009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G07F15/003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 G07F15/006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dispensed for the electrical charging of other devices than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배터리를 다수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를 교환해주는 배터리 자판기를 제공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여유가 없는 휴대폰 등의 사용자에게 신속한 배터리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내부에 배터리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를 교환해주는 배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자판기에 저장(stock)된 배터리 타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save)하는 배터리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교환할 배터리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사용자가 교환할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검출하여 등급별로 구분하는 배터리수명검출부 및 배터리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배터리 정보와 동일한 배터리의 재고 유무와 배터리수명검출부에서 검출된 잔존수명 등급을 만족하는 배터리의 재고 유무를 파악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명령하고, 이에 해당하는 배터리가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교환을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자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자판기{battery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배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배터리를 다수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를 교환해주는 배터리 자판기를 제공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여유가 없는 휴대폰 등의 사용자에게 신속한 배터리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고정된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 AC 전원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사용할 수도 있도록 AC 전원 어댑터 입력단자가 제공되지만, 이동 중에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 이동 중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전원으로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전원이 사용된다.
상기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전원은 배터리가 채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소모하는 전력과 배터리 자체의 용량에 따라 1회 충전으로 충전된 전원 용량이 사용되는 시간이 한정된다.
그러므로 휴대성이 특징인 휴대폰에는 필수적으로 배터리가 채용되어 시간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이 감소되어 궁극적으로는 배터리가 방전되어 휴대폰의 전원도 꺼지게 된다. 이를 위해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거나 지속적인 배터리 충전으로 배터리의 잔량을 유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시중에는 유상으로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 유행하는 스마트폰의 경우는 액정의 사이즈가 커지고 기능이 많아지면서 자체적인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여 종래 일반적인 핸드폰보다 배터리 소모가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해주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바쁜 현대인의 생활에서는 휴대폰을 충전하면서 기다릴 여유가 없기 때문에 신속한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방전될 위기에 처한 유사시에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 기다릴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구매하거나, 다른 배터리로 교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터리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배터리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를 교환해주는 배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자판기에 저장(stock)된 배터리 타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save)하는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교환할 배터리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20);와, 사용자가 교환할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검출하여 등급별로 구분하는 배터리수명검출부(30); 및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배터리 정보와 동일한 배터리의 재고 유무와 배터리수명검출부(30)에서 검출된 잔존수명 등급을 만족하는 배터리의 재고 유무를 파악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명령하고, 이에 해당하는 배터리가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교환을 명령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배터리 자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에서,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배터리 정보와 동일한 배터리의 재고는 있으나 배터리수명검출부(30)에서 검출된 잔존수명 등급과 동일한 배터리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 타입의 배터리 중 잔존수명 등급이 상이한 배터리의 제공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에서, 동일 타입의 배터리 중 잔존수명 등급이 상이한 배터리의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에는, 상대 등급을 비교하여 교환 제공될 배터리가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차등가치비용을 지불하도록 하고, 교환 제공될 배터리가 하위 등급인 경우에는 차등가치비용을 반납한 후 배터리를 교환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판기에 투입되는 사용자의 배터리는 충전수단(50)에 의해 충전된 후 자판기에 저장되고, 추가로 저장된 배터리의 타입 정보는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시된 사용자의 배터리를 충전 후 다시 공급하는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구매할 배터리 타입정보를 입력부(20)로 입력하고, 해당 배터리가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에 있는 경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배터리를 제외한 부대물품(충전기, 악세사리 등)를 자판기에 추가로 저장하고, 저장된 부대물품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save)하는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60)를 추가로 구비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대물품 정보를 입력부(20)로 입력하고, 해당 부대물품이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60)에 있는 경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부대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자판기에 저장(stock)된 배터리 또는 부대물품의 수가 일정 개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지정된 자판기 관리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모니터로 지속적으로 광고문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특정 광고를 열람하는 경우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핸드폰 관련 어플리케이션 검색, 온라인 쇼핑 등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다양한 장점이 있다.
첫째, 유사시에 배터리의 충전시간 동안 대기하지 않고 바로 충전 완료된 배터리로 교환이 가능하므로 시간 낭비 및 휴대폰 활용 불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배터리를 등급별로 구분하여 동일 성능의 것으로 교환되거나, 등급에 따라 차등되는 비용지불 또는 비용반납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합리적인 교환이 가능하다.
셋째, 배터리 개수가 소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므로 자판기의 관리가 용이하다.
넷째, 새로운 배터리 구매도 가능하므로 대리점을 방문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다섯째, 시간이 여유로운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 기능도 제공하므로 이용이 가능하며 이용하는 동안 자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검색, 온라인 쇼핑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자판기 일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자판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교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자판기 일예의 구성도이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내부에 배터리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를 교환해주는 배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 입력부(20), 배터리수명검출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배터리 충전수단(50),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60) 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술한다.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는 자판기에 저장(stock)된 배터리 타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save)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물론, 배터리 자판기(100)에서 해당 배터리가 저장되는 위치도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다. 배터리 자판기(100)에는 다양한 타입의 배터리가 다수 저장되는 공간이 별도로 구비되고 저장된 배터리의 타입 및 개수가 저장되게 되며 저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여 놓고 사용자가 검색하는 경우 검색 데이터로 활용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사용자의 교환 대상물로 활용되게 된다.
여기서 배터리의 타입은 배터리의 종류(제조회사, 사용되는 휴대폰 등) 뿐 아니라 배터리의 잔존수명 별로 구분하여 저장되게 된다. 배터리의 잔존수명은 활용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미리 구분하여 두어야 하며 등급 구분에는 제한이 없다. 가령 1~5등급, A~E 등급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물론, 잔존수명과는 무관하게 모든 배터리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교환하거나 판매하는 경우 충전을 거치는 등의 지연시간 없이 바로 소비자에게 제공이 가능하며 소비자가 바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입력부(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교환할 배터리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물론, 자판기 관리자가 시스템을 정비하는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자판기 사용자는 자판기의 활용을 위해 배터리의 타입을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정보에는 사용되는 휴대폰 종류, 배터리 용량 등 배터리와 관련된 정보가 있다.
배터리수명검출부(30)는 사용자가 교환할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검출하여 등급별로 구분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휴대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방전 또는 방전에 가까워지는 경우에 배터리의 충전 대기 시간 없이 충전 완료된 배터리로 교환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즉, 충전된 배터리를 미리 자판기에 구비해 놓고 방전된 배터리와 교환하는 방식으로 충전된 배터리를 손쉽게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배터리는 소모품으로 사용에 의해 잔존가치가 변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일대일 교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잔존가치가 정량적으로 환산되어 상호 동일한 조건으로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가령, 동일한 잔존가치를 가지는 배터리를 일대일로 교환하거나, 새롭게 받는 배터리의 잔존가치가 더 많다면 추가비용을 지불하고, 새롭게 받는 배터리의 잔존가치가 더 적다면 비용을 반남해주는 방식 등으로 가치의 보충을 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 자판기(100) 자체적으로 방전된 배터리의 잔존가치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의 잔존가치를 1~5등급, A~E 등급 등 잔존수명 등급으로 구분하여 활용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다만, 배터리의 잔존가치는 배터리의 잔량과는 다른 의미로 배터리의 수명을 배터리의 남은 가치로 환산한 것이다.
배터리의 잔량 측정은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는 기술에는, 배터리 게이지 직접회로(Integrated Cirucit; 이하 "IC"라 함) 칩을 이용하는 방법과,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배터리 게이지 IC 칩을 이용하는 방법은 배터리 내부의 화학적 특성의 변화, 부피, 전류 및 전압 등의 제반조건을 감안하여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을 측정한다. 이 배터리 게이지 IC 칩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잔류 전하량 측정의 정확도 및 신뢰성이 보장되기는 하나, 측정 및 표시와 같은 단순한 기능을 위하여 고가의 게이징 IC 칩이 사용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게이지 IC 칩을 이용하는 방법은 지나친 비용이 소모된다.
이와는 달리,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측정 방식의 구조적 특징과 배터리의 방전시 전압 특성으로 인하여 잔량 측정의 정확도 및 신뢰도는 보장할 수는 없지만 휴대용 전자기기 제조자의 비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수명검출부(30)는 배터리의 잔존가치를 측정하는 구성에 해당하며 이의 측정방법으로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배터리의 제조일자를 기준으로 감가상각을 고려하여 잔존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즉, 배터리의 수명을 소정 기간으로 특정하고 시간에 비례하여 혹은 소정 감가상각 곡선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을 감소시키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의 제조일자를 입력부(20)를 통해 입력하거나, 배터리수명검출부(30)에서 배터리에 구비된 바코드 등의 정보를 리딩하여 자동으로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둘째, 소정시간 배터리를 충전한 후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여 충전되는 양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잔존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배터리의 잔존가치에 대해 미리 통계적 데이터 등을 확보하여 충전 시간 대비 충전량과 잔존가치의 관계를 파악해 두어야 한다.
셋째, 배터리의 충전시간 및 사용시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누적산정시간을 측정하는 게이지를 장착한 후 누적충전시간 혹은 사용시간으로 배터리의 잔존가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도 미리 배터리의 충전수명(배터리 수명을 충전시간으로 환산한 것) 또는 사용시간수명(배터리 수명을 사용시간으로 환산한 것)으로 환산된 데이터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 입력부(20), 배터리수명검출부(30) 등과 연결되어 배터리 자판기(10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40)는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배터리 정보와 동일한 배터리의 재고 유무와 배터리수명검출부(30)에서 검출된 잔존수명 등급을 만족하는 배터리의 재고 유무를 파악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명령하고, 이에 해당하는 배터리가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교환을 명령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40)는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배터리 정보와 동일한 배터리의 재고는 있으나 배터리수명검출부(30)에서 검출된 잔존수명 등급과 동일한 배터리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 타입의 배터리 중 잔존수명 등급이 상이한 배터리의 제공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동일 타입의 배터리 중 잔존수명 등급이 상이한 배터리의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에는, 상대 등급을 비교하여 교환 제공될 배터리가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차등가치비용을 지불하도록 하고, 교환 제공될 배터리가 하위 등급인 경우에는 차등가치비용을 반납한 후 배터리를 교환하도록 명령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어부(40)는 이하 설명할 충전수단(50), 배터리의 단순제공(교환이 아닌 경우), 부대물품 제공, 관리자에게 경고메세지 전달, 광고문구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검색 및 전송, 온라인 쇼핑 등 모든 기능의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40)는 자판기에 투입되는 사용자의 배터리는 충전수단(50)에 의해 충전된 후 자판기에 저장되는데, 이 과정에서 추가로 저장되는 배터리의 타입 정보를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는 것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교환이 아닌 단순 충전만을 원하는 경우에는 충전수단(50)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한 후 다시 사용자에 제공하는 것도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구매할 배터리 타입정보를 입력부(20)로 입력하고, 해당 배터리가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에 있는 경우 배터리의 제공을 명령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충전수단(50)은 상기 자판기에 투입되는 사용자의 노후(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한 후 자판기에 저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서 배터리 자판기(100)에 저장되는 배터리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해 모두 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60)는 배터리를 제외한 부대물품(충전기, 악세사리 등)을 자판기에 추가로 저장하고, 저장된 부대물품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save)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인 배터리 자판기는 배터리를 제외한 부대물품(충전기, 악세사리 등)를 자판기에 추가로 저장하고, 저장된 부대물품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save)하는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60)를 추가로 구비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대물품 정보를 입력부(20)로 입력하고, 해당 부대물품이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60)에 있는 경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부대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자판기에 저장(stock)된 배터리 또는 부대물품의 수가 일정 개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지정된 자판기 관리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한다. 경고 메세지의 전달은 핸드폰, 이메일, 유선전화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 또는 음성전화메세지 등 다양한 방식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모니터로 지속적으로 광문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특정 광고를 열람하는 경우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핸드폰 관련 어플리케이션 검색, 온라인 쇼핑 등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활용예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자판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교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자판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교환, 구입, 충전 등을 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터리를 교환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표현한 것이다.
먼저, 입력부(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배터리를 입력하여 교환할 배터리가 자판기에 저장(stock)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1). 검색 결과 배터리 타입 및 잔존수명 등급이 동일한 배터리의 재고가 있는 경우(Y)에는 제어부(40) 배터리 교환 명령을 하고(S2), 배터리를 교환한 후 절차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동일 배터리의 재고가 없는 경우(N)에는 두 가지 절차로 구분된다. 배터리 타입이 상이한 경우에는(S4) 바로 절차를 종료하고, 배터리 타입은 동일하나 잔존수명 등급이 상이한 경우에는(S3) 잔존수명 등급이 상이한 배터리를 제공 받겠는지의 여부를 문의하여(S5) 받지 않는다고 하면(N) 바로 절차를 종료하고, 받겠다고 하면(Y) 잔존수명 등급이 상위인지 하위인지를 구분한다(S6). 잔존가치 수명이 상위등급인 경우에는 차등가치 비용을 지불하고(S7), 잔존가치수명이 하위등급인 경우에는 차등가치 비용을 반납한 후(S8), 제어부(40)는 배터리 교환 명령을 내리고(S9) 배터리를 교환한 후 절차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터리데이터베이스
20 : 입력부
30 : 배터리수명검출부
40 : 제어부
50 : 충전수단
60 :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
100 : 배터리자판기

Claims (10)

  1. 내부에 배터리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를 교환해주는 배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자판기에 저장(stock)된 배터리 타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save)하는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교환할 배터리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20);
    사용자가 교환할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검출하여 등급별로 구분하는 배터리수명검출부(30); 및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배터리 정보와 동일한 배터리의 재고 유무와 배터리수명검출부(30)에서 검출된 잔존수명 등급을 만족하는 배터리의 재고 유무를 파악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명령하고, 이에 해당하는 배터리가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교환을 명령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40)에서,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배터리 정보와 동일한 배터리의 재고는 있으나 배터리수명검출부(30)에서 검출된 잔존수명 등급과 동일한 배터리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 타입의 배터리 중 잔존수명 등급이 상이한 배터리의 제공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자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에서,
    동일 타입의 배터리 중 잔존수명 등급이 상이한 배터리의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에는, 상대 등급을 비교하여 교환 제공될 배터리가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차등가치비용을 지불하도록 하고, 교환 제공될 배터리가 하위 등급인 경우에는 차등가치비용을 반납한 후 배터리를 교환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자판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자판기에 투입되는 사용자의 배터리는 충전수단(50)에 의해 충전된 후 자판기에 저장되고, 추가로 저장된 배터리의 타입 정보는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자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시된 사용자의 배터리를 충전 후 다시 공급하는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자판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구매할 배터리 타입정보를 입력부(20)로 입력하고, 해당 배터리가 배터리데이터베이스(10)에 있는 경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자판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배터리를 제외한 부대물품을 자판기에 추가로 저장하고, 저장된 부대물품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save)하는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60)를 추가로 구비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대물품 정보를 입력부(20)로 입력하고, 해당 부대물품이 부대물품데이터베이스(60)에 있는 경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부대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자판기.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자판기에 저장(stock)된 배터리 또는 부대물품의 수가 일정 개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따라 지정된 자판기 관리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자판기.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자판기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핸드폰 관련 어플리케이션 검색, 온라인 쇼핑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자판기.
KR1020100097277A 2010-10-06 2010-10-06 배터리 자판기 KR10111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277A KR101117581B1 (ko) 2010-10-06 2010-10-06 배터리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277A KR101117581B1 (ko) 2010-10-06 2010-10-06 배터리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581B1 true KR101117581B1 (ko) 2012-02-24

Family

ID=4584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277A KR101117581B1 (ko) 2010-10-06 2010-10-06 배터리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8248A (en) * 2013-09-13 2015-03-18 Tanktwo Oy Battery transaction enablement
US9230390B2 (en) 2012-10-30 2016-01-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battery point of sale system and method
KR20170108664A (ko) * 2016-03-18 2017-09-27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시스템 관리방법
KR20170140189A (ko) * 2015-04-30 2017-12-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동식 흡연 장치의 고장 진단 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037A (ja) 1999-07-05 2001-01-26 Akira Otsuka バッテリ交換販売装置
JP2009237761A (ja) 2008-03-26 2009-10-15 Fujitsu Ltd 保管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00080356A (ko) * 2008-12-29 2010-07-08 지윤희 축전지 교체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2010191636A (ja) 2009-02-17 2010-09-02 Doken:Kk 電動装置の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037A (ja) 1999-07-05 2001-01-26 Akira Otsuka バッテリ交換販売装置
JP2009237761A (ja) 2008-03-26 2009-10-15 Fujitsu Ltd 保管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00080356A (ko) * 2008-12-29 2010-07-08 지윤희 축전지 교체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2010191636A (ja) 2009-02-17 2010-09-02 Doken:Kk 電動装置の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0390B2 (en) 2012-10-30 2016-01-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battery point of sale system and method
GB2518248A (en) * 2013-09-13 2015-03-18 Tanktwo Oy Battery transaction enablement
KR20170140189A (ko) * 2015-04-30 2017-12-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동식 흡연 장치의 고장 진단 장비
KR102584909B1 (ko) 2015-04-30 2023-10-05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동식 흡연 장치의 고장 진단 장비
KR20170108664A (ko) * 2016-03-18 2017-09-27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시스템 관리방법
KR101948867B1 (ko) * 2016-03-18 2019-05-10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시스템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6151B2 (en) Battery charger rental kiosk system
US5635813A (en) Electronic apparatus,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JP4954304B2 (ja) 電動車両用給電システム
TW201931174A (zh) 基於使用狀態維護儲能裝置的系統和方法
EP3018789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n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packs
JP2018160073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7116799A (ja) 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
KR101117581B1 (ko) 배터리 자판기
JP4083757B2 (ja) 劣化判定装置及び方法
US20180217210A1 (en) Battery check device and battery check system
CN111463842A (zh) 一种电子设备及其通信方法
US11279251B2 (en) Charging system
CN103988146A (zh) 驱动控制装置、驱动控制方法以及驱动控制程序
JP2001306961A (ja) サーバコンピュータ、レンタル制御システム、レンタル制御方法および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
CN107527224A (zh) 能源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N206975770U (zh) 共享电源设备及共享充电系统
US20240051427A1 (en) Comparison system, comparison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W201605145A (zh) 用於回收再利用的電動車電池交換系統
KR20150033503A (ko) 입출력부 일체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5147675B2 (ja) 電動車両用バッテリ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10291697A1 (en) Power trading system for electrically driven vehicl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CN116057809A (zh) 供电管理方法、供电管理装置以及供电管理程序
JP7334278B2 (ja) 充放電器、充放電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57454B1 (ja) ガス供給管理システム、ガス供給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72050B2 (ja) 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蓄電池検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