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354B1 -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354B1
KR101117354B1 KR1020090059630A KR20090059630A KR101117354B1 KR 101117354 B1 KR101117354 B1 KR 101117354B1 KR 1020090059630 A KR1020090059630 A KR 1020090059630A KR 20090059630 A KR20090059630 A KR 20090059630A KR 101117354 B1 KR101117354 B1 KR 10111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weight material
light
construction
fi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175A (ko
Inventor
김태효
김수용
Original Assignee
동서에코소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에코소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서에코소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3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76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6Fo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00Chemistry: fertilizers
    • Y10S71/903Soil conditio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하수 수위 보다 낮은 지점에는 경량 기포 혼합토와 같은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를 먼저 시공한 후 그 위에 EPS 블럭을 성토하는 시공 방법 및 성토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에 따르면, 연약지반에 EPS 블록을 이용하여 성토 시공을 함에 있어 EPS 블록에 가해지는 부력에 따른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경량 재료, EPS 블록, 연약지반, 부력, 응력

Description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Lightweight material moun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성토 공사를 함에 있어 경량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성토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연약지반 성토 공사에 있어 부력에 대한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성토 구조 및 성토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 지반이 매우 연약한 곳의 성토 공사 시 통상 탈수 공법 및 다짐 공법 등의 지반 개량 공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공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약 지반에 인접한 인접 지반이 연약 지반과 함께 침하하는 동반 침하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량 재료를 이용한 성토 공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경량 재료로는 스티로폼이나 EPS(Expanded Polystyrene)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EPS 블록의 경우 시공의 편리성과 우수한 재료적 특성으로 인해 연약지반 성토 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량 재료를 이용한 성토 공법은 지반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대한 경감하기 위해 먼저 성토하고자 하는 연약 지반의 지표면을 일정 깊이만큼 굴착한 후 굴착된 부분을 EPS 블록으로 치환 한 후 성토 공사를 하는 방식으로 실시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지반개량을 실시하지 않고 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경량 재료 성토 구조(1)는 연약 지반(2)의 일부분을 굴착하고, 굴착된 부분에 EPS 블록(3)이 성토된 구조를 가진다. EPS 블록(3)의 일 부분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약 지반(2)의 지하수(5) 수위(H)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EPS 블록(3) 상부에는 일반적인 토사로 이루어지는 복토층(4)이 형성되어 있다. EPS 블록(3)의 일 부분이 연약 지반(2)의 지하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EPS 블록(3)에는 지하수(5)에 의한 부력(B)이 인가된다. 한편, EPS 블록(3) 상부에는 토사로 형성된 복토층(4)이 성토되어 있는 바, 복토층(4)의 하중(P1) 역시 EPS 블록(3)에 인가된다. 이러한 부력(B) 및 복토층(4)에 의한 상부 하중(P1)은 EPS 블록(3)에 응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연약 지반(2)의 지표면 일부를 굴착한 후 바로 EPS 블록(3)을 시공할 경우 EPS 블록(3)에 부력에 의한 추가 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시공된 EPS 블록(3)의 허용 응력을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경우, EPS 블록(3)에 부력이 인가됨에 따라 EPS 블록(3)이 소정의 높이로 부상하는 현상에 따라 성토 구조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EPS 블록(3) 상부에 성토되는 토사의 고정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EPS 블록(3)에 성토되는 토사의 고정 하중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EPS 블록(3)에 장기 크리프(creep)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a 및 2b는 EPS 블록의 사양별 경과일수에 따른 변형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EPS D-25 블록의 변형율이고, 도 2b는 EPS D-30 블록의 변형율이다. 여기서 D는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EPS 블록은 이러한 밀도를 기준으로 규격이 정해진다. 도 2a 및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EPS 블록들은 재하압 값이 증가할수록 경과일수에 따른 변형율의 값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성토되는 토사의 고정 하중을 증가시킬 경우 시공 후 1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EPS 블록(3)에 상당한 수준의 변형이 발생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이러한 EPS 블록(3)의 부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차수벽을 설치한 후 시공을 하는 등의 공법도 제안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공법의 경우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어 공기가 지연되며, 불필요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하수를 일정 수준 배수한 이후에 성토 작업을 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처럼 지하수를 배수하는 공법의 경우, 인접 농경지의 지하수 수위가 저하되어 민원이 발생하고, 인접 구조물이 침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수에 의해 인가되는 부력에 의해 EPS 블록에 가해지는 응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하수 수위의 변동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 민원 발생 및 인접 구조물의 침하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지하수나 우수 등의 침투에 대해 안정적인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는, 일부가 지하수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기반층 및 상기 기반층 위에 성토되는 경량 재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량 재료층 상부에는 이를 둘러싸도록 복토층이 형성될 수도 있고, 경량 재료층과 복토층 사이에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중간 복토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 복토층과 기반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동일한 재료일 수도 있고, 다른 재료가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반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시공 후 투수성이 1×10-4cm/sec 이하이고, 비중이 1.1~2.0 tf/㎥이고, 시공 후 일축압축강도가 1~10 kgf/㎠이며, 유동성이 100~3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간 복토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시공 후 투수성이 1×10-4cm/sec 이하이고, 비중이 0.5~1.5 tf/㎥이고, 시공 후 일축압축강도가 1~10 kgf/㎠이며, 유동성이 100~3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반층과 중간 복토층은 경량 기포 혼합토, 경량 기포 콘크리트, 기포 몰탈, 유동화 처리토, 및 쏘일 시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량 재료층은 복수의 EPS 블록으로 형성되는 EPS 블록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EPS 블록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EPS 블록들 사이의 이음새 부분에는 EPS 블록층 상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용 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 시공 방법은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 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된 기반층을 지하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반층이 고화된 후 상기 기반층 위에 경량 재료층을 성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 시공 방법은 경량 재료층 상부에 복토층을 성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복토층을 성토하는 단계 이전에,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중간 복토층을 상기 경량 재료층을 둘러싸도록 성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복토층을 성토하는 단계 이전에, 경량 재료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EPS 블록들의 이음새 부분에 방수용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경량 재료로 사용되는 EPS 블록에 인가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허용 응력이 낮은 EPS 블록을 사용해서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지하수나 우수 침투를 차단하여 안정적인 성토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지하수의 불필요한 배수 없이 성토 구조를 시공할 수 있어 지하수 수위 변동에 따른 민원 발생이나 인접 지반의 침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는 연약 지반(20)의 일부를 굴착한 후, 지하수(60) 수위(H) 보다 낮은 수위에 해당하는 부분에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기반층(3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반층(30)은 경량 기포 혼합토, 경량 기포 콘크리트, 기포 몰탈, 유동화 처리토, 또는 쏘일 시멘트 등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재료들은 모두 비중은 물보다 크며, 투수성이 매우 낮거나 불투수성을 가지는 재료들이다. 또한, 이러한 재료들은 모두 일반적인 토사보다는 가벼운 재료이므로, 연약 지반에 성토하기에 적합한 재료들이다. 이처럼 투수성이 매우 낮은 재료로 기반층(30)을 형성함에 따라 기반층(30) 위에 성토될 경량 재료층(40)으로 지하수(60)가 스며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에서는, 지하수(60)에 의한 부력(U)이 상술한 바와 같은 투수성이 매우 낮거나 불투수성인 재료로 형성되는 기반층(30)에 가해짐으로써, 기반층(30) 위에 성토되는 경량 재료층(40)에는 부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기반층(30)은 경량 재료층(40)에 부력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성토된다. 소정의 두께로 기반층(30)이 성토될 경우, 기반층(30)의 일부가 지하수 수위(H) 하부에 시공되는데, 부력(U)은 이와 같이 지하수 수위(H)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체적에 비례한다. 한편, 기반층(30)의 경우 경량 재료층(40) 보다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실제 생성되는 부력(U)의 크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경량 재료 성토 구조(1)의 경우 보다 클 수는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의 경우 종래의 경량 재료 성토 구조(1)와 달리 부력(U)이 직접 경량 재료층(40)에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기반층(30)에 가해지므로, 부력(U)에 따라 인가되는 응력은 기반층(30)에 의해 대부분 해소되고, 경량 재료층(40)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게 된다. 기반층(30)을 성토 두께는 시공 장소에 따라 적절히 정해지는데, 시공 장소의 특성, 즉 지하수 수위 등의 변수들을 고려하여 경량 재료층(40)에 부력에 의한 응력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기반층(30)의 두께를 정하여 시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반층(30)은 최소한 지하수 수위(H) 보다 낮은 부분에서 경량 재료층(40)을 완전히 둘러싸는 형태로 성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반층(30)이 경량 재료층(40)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성토할 경우 지하수가 경량 재료층(4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기반층(30)의 경우 비 중이 경량 재료층(40) 보다는 크다는 점에서 연약 지반(20)에 작용하는 하중은 경량 재료층(40) 보다 크게 되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연약 지반(20)에 작용하는 하중의 증가를 최소화시키면서 지하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로 기반층(30)을 성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기반층(30)을 이루는 재료들은 시공 후 투수성이 1×10-4cm/sec 이하이고, 비중이 1.1~2.0 tf/㎥이고, 시공 후 일축압축강도가 1~10 kgf/㎠이며, 유동성이 100~3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반층(30)이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들은 경량 기포 혼합토, 경량 기포 콘크리트, 기포 몰탈, 유동화 처리토, 또는 쏘일 시멘트를 제조 과정에서의 소정의 제어 과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 특성의 조정과 관련한 내용은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반층(30) 상부에는 경량 재료층(40)이 성토되는데, 경량 재료층(40)은 다수의 스티로폼 블록이나 EPS 블록으로 시공될 수 있다. EPS 블록은 시공되는 장소의 요구 조건에 따라 적절한 규격의 EPS 블록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에 따르면, 경량 재료층(40)을 형성하는 EPS 블록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보다 저렴한 규격의 EPS 블록을 사용하여 경량 재료 성토 구조를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경량 재료 성토 구조(1)에서는 EPS 블록에 가해지는 부력에 의한 응력 등에 의해 EPS 블록에 작용하 는 허용 압축 응력값과 반복 하중값이 커지게 된다. 아래의 표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EPS 블록은 허용 압축 응력과 반복 하중값에 따라 규격이 정해지는데, 허용 압축 응력값과 반복 하중값이 커짐에 따라 EPS 블록의 규격값도 커진다.
[표 1]
EPS 종류 단위중량(tf/m3) 허용압축응력(tf/m2)
허용압축응력 1% 허용압축응력5% 반복하중
D-20 0.020 5 10 4.0
D-25 0.025 7 14 5.6
D-30 0.030 9 18 7.2
종래 경량 재료 성토 구조(1)의 경우, 부력 등에 의한 추가적 응력 발생 요인이 존재함에 따라 허용 압축 응력과 반복 하중값이 큰 D-25나 D-30 등을 사용하여 경량 재료 성토 구조를 시공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의 경우, 부력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없으므로, 종래의 경우 보다 허용 압축 응력 및 반복 하중값이 낮은 EPS 블록, 예를 들어 D-20 규격의 EPS 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EPS 블록의 재료비는 EPS 규격값이 커질수록 커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의 경우 종래 경우와 비교해 전체 시공 비용을 상당한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한편, 경량 재료층(40) 상부에는 최종적으로 토사로 형성된 복토층(50)이 성토된다. 복토층(50)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의 최상부층으로, 연약 지반이 도로로 시공되는 경우에는 복토층(50) 상부는 도로로 포장된다. 복토층(5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량 재료층(40)을 둘러싸도록 성토된다. 경량 재료층(40) 상부에 복토층(50)을 형성하기 전에, 경량 재료층(40)을 형성하는 복수의 EPS 블록들 사이의 이음새 부분에 EPS 블록층 상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용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방수용 부재로는 통상적으로 틈새를 메워 방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부재이면 어느 것이 사용 가능한데,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방수 테이프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일 변형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일 변형예(100)는 경량 재료층(400)과 복토층(500) 사이에 중간 복토층(60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중간 복토층(600)이 더 형성되어 있다는 점 이외의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와 동일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일 변형예(100)는, 일부분이 지하수(700) 수위(H) 보다 낮은 위치에 성토되는 기반층(300), 기반층(300) 위에 성토되는 경량 재료층(400), 경량 재료층(400) 상부에서 경량 재료층(400)을 둘러싸도록 성토되는 중간 복토층(600), 및 중간 복토층(600) 상부에 성토되는 복토층(500)으로 구성된다. 기반층(300), 경량 재료층(400), 및 복토층(500)은 도 3에 도시된 경량 성토 구조의 일 실시예(10)에 형성되는 것들과 동일한 것인 바, 이하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복토층(600)은 기반층(300)과 유사하게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거나 불투수성인 재료로 형성된다. 즉, 중간 복토층(600)은, 도 3의 기반층(30)과 유사하게, 경량 기포 혼합토, 경량 기포 콘크리트, 기포 몰탈, 유동화 처리토, 또는 쏘일 시멘트 등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는데, 기반층(300)과 동일한 재 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특성이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투수성, 시공후 일축 강도, 및 유동성 등의 특성은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기반층(30)에 대한 설명에 기재된 값들의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가지지만, 비중의 경우 이와는 다소 다른 0.5~1.5tf/㎥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중간 복토층(600)의 경우 경량 재료층(400) 상부에 성토되는 재료인 바, 비중이 작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전체 상부 하중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간 복토층(600)은 시공 후 우수 등이 경량 재료층(4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0)에서는 중간 복토층(600)이 더 시공되어, 기반층(300)과 함께 경량 재료층(400)을 완전히 둘러싸게 되므로, 경량 재료층(400)으로 지하수나 우수 등이 유입될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중간 복토층(600)을 시공할 경우, 일반적인 토사를 이용하여 복토층(50)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상부 하중을 다소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중간 복토층(600)의 경우 경량 기포 혼합토, 경량 기포 콘크리트, 기포 몰탈, 유동화 처리토, 또는 쏘일 시멘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재료들은 일반적인 토사보다는 하중이 적은 재료들인 바, 전체 복토층을 모두 토사로 구성하는 경우보다는 상부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10, 100)는 지하수에 의해 인가되는 부력이 경량 재료층(40, 400) 직접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량 재료층(40, 400)에 인가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 a 및 2b는 EPS 블록의 사양별 경과일수에 따른 변형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경량 재료 성토 구조의 단면도이다.

Claims (19)

  1. 일부가 지하수 수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기반층; 및
    상기 기반층 위에 성토되는 경량 재료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반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시공 후 투수성이 1×10-4cm/sec 이하이고, 비중이 1.1~2.0 tf/㎥이고, 시공 후 일축압축강도가 1~10 kgf/㎠이며, 유동성이 100~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2. 삭제
  3. 일부가 지하수 수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기반층; 및
    상기 기반층 위에 성토되는 경량 재료층;을 포함하며,
    상기 경량 재료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복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량 재료층과 상기 복토층 사이에서 상기 경량 재료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중간 복토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복토층은 상기 기반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층은 상기 지하수 수위 이하의 위치에 있는 상기 경량 재료층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경량 재료 성토 구조.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복토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시공 후 투수성이 1×10-4cm/sec 이하이고, 비중이 0.5~1.5tf/㎥이고, 시공 후 일축압축강도가 1~10kgf/㎠이며, 유동성이 100~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층은 경량기포혼합토, 경량기포콘크리트, 기포 몰탈, 유동화 처리토, 및 쏘일 시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복토층은 경량기포혼합토, 경량기포콘크리트, 기포 몰탈, 유동화처리토, 및 쏘일시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재료층은 복수의 EPS 블록으로 형성되는 EPS 블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PS 블록층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EPS 블록들 사이의 이음새 부분에는 상기 EPS 블록층 상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용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12.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된 기반층을 지하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반층이 고화된 후 상기 기반층 위에 경량 재료층을 성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반층은, 시공 후 투수성이 1×10-4cm/sec 이하이고, 비중이 1.1~2.0 tf/㎥이고, 시공 후 일축압축강도가 1~10kgf/㎠이며, 유동성이 100~300mm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시공 방법.
  13. 삭제
  14.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된 기반층을 지하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반층이 고화된 후 상기 기반층 위에 경량 재료층을 성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량 재료층 상부에 복토층을 성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토층을 성토하는 단계 이전에, 물보다 비중이 크고 투수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중간 복토층이 상기 경량 재료층을 둘러싸도록 성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시공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재료층은 다수의 EPS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층을 성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다수의 EPS 블 록들의 이음새 부분에 방수용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시공 방법.
  17.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층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반층이 상기 지하수 수위 이하의 위치에 있는 상기 경량 재료층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시공 방법.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복토층은, 시공 후 투수성이 1×10-4cm/sec 이하이고, 비중이 0.5~1.5 tf/㎥이고, 시공 후 일축압축강도가 1~10 kgf/㎠이며, 유동성이 100~300mm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재료 성토 구조 시공 방법.
KR1020090059630A 2009-07-01 2009-07-01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11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630A KR101117354B1 (ko) 2009-07-01 2009-07-01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630A KR101117354B1 (ko) 2009-07-01 2009-07-01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75A KR20110002175A (ko) 2011-01-07
KR101117354B1 true KR101117354B1 (ko) 2012-03-07

Family

ID=4361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630A KR101117354B1 (ko) 2009-07-01 2009-07-01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27B1 (ko) * 2012-12-03 2013-06-24 주식회사 이강건설산업 부상토 재활용을 통한 표층고화 심층혼합처리공법
CN107237301A (zh) * 2017-07-18 2017-10-10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高海拔地区砂砾石坝连续铺设的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563B1 (ko) * 2012-11-02 2014-11-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경량혼합토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675A (ja) 1998-04-13 1999-10-26 Dow Kakoh Kk 軽量盛土工法、軽量盛土構造、及び軽量盛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1146748A (ja) 1999-11-19 2001-05-29 Achilles Corp 軽量盛土の構築方法
JP2002256559A (ja) 2001-03-05 2002-09-11 Bunkai Yu 組み立て方式軽量盛土工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675A (ja) 1998-04-13 1999-10-26 Dow Kakoh Kk 軽量盛土工法、軽量盛土構造、及び軽量盛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1146748A (ja) 1999-11-19 2001-05-29 Achilles Corp 軽量盛土の構築方法
JP2002256559A (ja) 2001-03-05 2002-09-11 Bunkai Yu 組み立て方式軽量盛土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27B1 (ko) * 2012-12-03 2013-06-24 주식회사 이강건설산업 부상토 재활용을 통한 표층고화 심층혼합처리공법
CN107237301A (zh) * 2017-07-18 2017-10-10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高海拔地区砂砾石坝连续铺设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75A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0579B (zh) 深基坑向浅基坑的扩展施工的基坑围护方法
CN102444143B (zh) 一种取消地下室外立面操作通道的施工方法
CN112343106A (zh) 一种高层建筑沉降加固抬升纠偏的施工方法
CN106759133A (zh) 一种均质土石坝与面板堆石坝的混合坝型结构及施工方法
CN112942455A (zh) 一种岩溶地基高层建筑物的加固抬升方法
KR101117354B1 (ko) 경량 재료 성토 구조 및 시공 방법
CN108193648A (zh) 塑性面板均质坝
CN113565144B (zh) 一种弃渣场地表水入渗导排及整体加固结构及施工方法
CN107059904A (zh) 一种地下管廊积水井开挖方法
CN212837843U (zh) Ⅳ类、ⅴ类围岩隧洞混凝土衬砌抗裂结构
CN201486104U (zh) 下沉式卫生间的沉降池结构
KR20160025670A (ko) 저수지의 보수 보강 공법
KR20220091026A (ko) 하드필 재료에 시멘트 그라우트액을 혼합하여 보호·차수 콘크리트, 보호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댐
CN112726638A (zh) 一种膨胀土路堑边坡的防护结构及施工方法
CN102066669A (zh) 用于弹性建筑地基的方法
CN207211176U (zh) 一种超高大沉井
CN110144871A (zh) 一种暗浜处理施工方法
JPH09100524A (ja) フィルダムの造成方法
Grigson et al. Second Avenue Subway Project: deep excavation support of a cut-and-cover station
CN103981880A (zh) 一种扩顶扩底cfg桩复合地基处理方法
KR20140114711A (ko) 경량혼합토를 이용한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방법 및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성토층
CN209384261U (zh) 一种防变形开裂挡土墙结构
CN206529745U (zh) 一种均质土石坝与面板堆石坝的混合坝型结构
CN102392460B (zh) 一种地下室外部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677216B (zh) 深水下交通廊道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