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794B1 -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794B1
KR101115794B1 KR1020090025788A KR20090025788A KR101115794B1 KR 101115794 B1 KR101115794 B1 KR 101115794B1 KR 1020090025788 A KR1020090025788 A KR 1020090025788A KR 20090025788 A KR20090025788 A KR 20090025788A KR 101115794 B1 KR101115794 B1 KR 10111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hain
unit
tension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628A (ko
Inventor
김시백
박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2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79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6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transport or conveyor rolls for furnaces; roller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42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roller tr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2005/0081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는 일 단부에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되고, 양 단부가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부와; 상기 복수의 롤러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각 롤러부에 구비된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복수의 롤러부로 전달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이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체인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체인의 장력을 가변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가열로 본체와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상호간의 작용력(부하)의 변동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간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에도 체인에 발생하는 장력 변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간의 위치변화로 인한 부품의 손상 또는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25788
열간 프레스 성형, 가열로, 온도변화, 팽창, 수축, 장력

Description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OF FURNACE FOR HOT PRESS FORMING}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라 구성부품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프레스 공법은 냉간 상태를 성형 대상물을 오스테나이트 변태가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여 성형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오븐, 챔버, 유도 가열 등과 같은 가열로를 이용하여 성형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고, 다시 이를 공기 중에서 금형으로 이송하여 금형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제품을 금형내에서 냉각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에는 성형 대상물(A)의 가열을 위하여 가열로(1)가 구비되며, 가열로(1)는 실질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는 가열부(10)의 유입측에 성형 대상물(A)을 유입시키는 투입부(20)가 배치되고, 배출측에는 성형영역(장소)로 이송하기 위하여 배출부(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열부(10)는 실제 가열이 이루어지는 이송부(12)가 구비되고, 이송부(12)로 성형 대상물(A)을 공급하는 로딩 대기부(11) 및 이송부(12)로부터 성 형 대상물(A)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대기부(13)가 구비된다. 이 경우, 각 구간에는 감지부(14)가 구비되어 성형 대상물(A)의 이송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열로(1)는 가열부 본체(10a)의 내부가 통상적으로 900 내지 950℃의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가열부 본체(10a) 자체의 팽창 및 수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가열부(10)에 배치되는 각 롤러의 위치가 가변된다.
그리고, 가열부 본체(10a)에는 롤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배치하기 위하여 가이드 롤러 등과 같은 부품이 구비되는데, 가열부 본체(10a)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가이드 롤러 등과 같이 체인을 배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부품의 위치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체인의 장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롤러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의 장력이 증가하는 경우, 롤러의 회전을 위한 구동 중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설비의 고장 또는 부품 등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체인의 장력이 감소하는 경우, 체인이 헐거워지게 되어 롤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인과 롤러에 구비되는 동력전단부재(예를 들어, 기어, 스프로킷 또는 휠 등)의 마모 또는 손상 등으로 인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고 설비의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가열부 본체(10a)의 내부는 온도 변화로 인하여 롤러 자체가 길이 방향의 신축이 발생하게 된다. 즉, 롤러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경우, 롤러 자체는 휘어짐이 발생하게 되고, 회전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성형 대상물(A)의 이송방향이 틀어지거나 또는 성형 대상물(A)의 배치 방향이 틀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 생한다.
또한, 롤러를 통해 열이 전달되어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부품의 손상 또는 수명의 단축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부품간의 고착현상이 발생되어 회전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성형 대상물(A)로부터 발생하는 칩이 가열된 롤러의 표면에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성형 대상물(A)을 손상시키거나 사행을 유도 하게 되어 이송(또는 배출)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제품의 불량 또는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 대상물(A)의 배출이 지연되는 경우, 설정된 온도 이하로 성형 대상물(A)이 성형을 위한 금형에 투입되어 기계적인 성질이 요구되는 조건으로 성형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설비의 고장 또는 롤러 등과 같은 부품 등의 손상 내지 수명의 단축으로 인해 교체시기가 짧아지게 되는 경우, 부품 등의 교체를 위하여 가열로(1)의 온도를 낮추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 대기 시간이 증가되는 것은 물론, 열적 손실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가열로 본체와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상호간의 작용력(부하)의 변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간의 위치변화로 인해 체인의 장력이 가변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간의 위치변화로 인한 부품의 손상 또는 수명의 단축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가열로 내부에 위치하는 롤러의 신축으로 인해 롤러 자체의 휘어짐 또는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성형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가열로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성형 대상물의 이송상태 및 이송방향의 변형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가열로 내부의 온도가 롤러를 통해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롤러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열로 본체와 롤러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품 및 이들의 위치가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가변되는 경우에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품 상호간의 작용력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는
일 단부에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되고, 양 단부가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부와; 복수의 롤러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각 롤러부에 구비된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복수의 롤러부로 전달하는 체인과; 체인이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체인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와; 체인의 장력을 가변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고, 롤러부는 성형 대상물의 이송을 위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와; 롤러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롤러와 회전축 사이에는 배치되어 롤러와 회전축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부와;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장력 조절부는 체인의 일측을 밀거나 당겨 장력이 가변되도록 작동하는 가압부와; 가압부가 이동하여 체인의 일 측을 밀거나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장력 조절부는 가압부에 의해 가변되는 체인의 장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가압부가 체인을 가압하는 정도 또는 동력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압부에는 체인과 직접 접하게 되는 아이들 롤러가 더 구비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롤러부는 로딩 대기부, 이송부 또는 배출 대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이 경우, 그룹 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부가 하나의 체인에 의해 동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롤러부는 성형 대상물의 이송을 위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와; 롤러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롤러와 회전축 사이에는 배치되어 롤러와 회전축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부와;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를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삭제
이 경우, 홀더와 롤러의 단부 사이에는 단열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롤러는 외부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거나, 롤러 전체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로 본체와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상호간의 작용력(부하)의 변동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간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에도 체인에 발생하는 장력 변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 간의 위치변화로 인한 부품의 손상 또는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로 내부에 위치하는 롤러의 신축으로 인한 롤러 자체의 휘어짐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롤러의 신축에 의해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가열로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의 변형을 최소화 하므로 성형 대상물의 이송상태 및 이송방향의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로 내부의 온도가 롤러를 통해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비 및 부품의 손상 또는 수명의 단축을 최대한 방지하게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가열로 본체와 롤러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품 및 이들의 위치가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가변되는 경우에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품 상호간의 작용력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100)는 가열부 본체(10a)의 내부에 성형 대상물(A)의 이송을 위하여 복수의 롤러부(140)가 배치되고, 상기 각 롤러부(140)로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동력 제공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롤러부(140)는 단일 이송동력 제공부(150)에 의해 동시에 회전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롤러부(140)는 실제 성형 대상물(A)이 이송되는 롤러(141)가 지지부(1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롤러(141)의 일 단부에는 기어, 스프로킷 또는 휠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14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동력 제공부(150)는 실질적인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51)와 복수의 동력전달부재(143)는 체인(152)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151)로부터 회전력이 동력전달부재(143)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100)에는 상기 체인(152)이 감기게 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53)가 구비되어 체인(152)으로부터 복수의 롤러부(140)를 구성하는 각 동력전달부재(143)로 동력의 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100)의 온도로 인하여 가이드 롤러(153)의 위치변화로 인하여 체인(152)의 장력이 가변되거나, 또는 체인(152) 자체의 길이변화로 인하여 장력이 가변되는 경우, 체인(152)의 장력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장력 조절부(1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장력 조절부(160)는 상기 체인(152)의 어느 일 영역을 밀거나 당기는 정도를 조절하여 체인(152)의 장력이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 예로, 상기 장력 조절부(160)는 상기 체인(152)의 일 영역을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압부(162)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162)가 체인(152)의 일 영역을 밀거나 당기도록 이동할 수 있는 작동시키는 동력 제공부(1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력 제공부(161)는 유체의 압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162)는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에 종동되어 직선 운동을 하는 로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 제공부(161)에는 작동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압력 공급 및 배출관(161a)이 연결되어 가압부(162)가 상기 체인(152)을 밀거나 또는 당기는 힘을 조절하여 장력이 조절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162)의 단부에는 아이들 롤러(162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들 롤러(162a)가 체인(152)과 직접 접하도록 구성하여 회전하는 체인(152)에 대한 장력 조절이 보다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장력 조절부(160)는 동력 제공부(161)가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162)는 랙기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구동모터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장력 조절부(160)는 온도에 따라 설정된 힘 또는 이동거리로 가압부(162)가 체인(152)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장력 조절부(160)는 체인(152)의 장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가압부(162)가 체인(152)을 밀거나 당기는 세기를 검출하거나, 또는 동력제공부(161)로부터 제공되는 힘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부(16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163)를 통해 가압부(162)가 체인(152)을 밀거나 당기는 세기 또는 동력 제공부(161)로부터 제공되는 힘의 세기를 확인하여 체인(152)에 발생하는 장력을 검출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검출된 장력의 값을 통해 체인(152)의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장력이 유지되게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140)는 복수의 롤러부(140)가 그룹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 본체(10a)의 내부에서 실질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는 구간인 이송부(120)를 구성하도록 복수의 롤러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부 본체(10a)의 내부로 유입된 성형 대상물(A)이 상기 이송부(120)로 제공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구간인 로딩 대기부(110)를 구성하도록 복수의 롤러부(14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성형을 위한 공정으로 성형 대상물(A)을 이송을 위해 배출되기 전 열의 손신을 최소화 하기 위한 대기 구간인 배출 대기부(130)를 구성하도록 복수의 롤러부(14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복수의 구간으로 그룹화되는 경우, 상기 각 구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부(140)에 대한 동력은 각 구간에 배치되는 각각의 이송동력 제공부(15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각 이송동력 제공부(150)에는 각각의 장력 조절부(1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가열부 본체(10a)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롤러부(140)의 경우, 가열부 본체(10a)의 내부 온도에 의해 롤러(141)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141)의 신축으로 인한 롤러(141) 자체의 휨 또는 다른 부품들에 대한 손상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부(140)는 롤러(141)의 신축에 대한 변형이 자유롭고 다른 부품에 대한 간섭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140)의 구성에 관한 일 예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제 성형 대상물(A)이 이송되는 영역인 롤러(141)의 양 단부에는 회전축(145)이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145)은 상기 롤러(141)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의 일 예로, 상기 롤러(141)의 양 단부에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회전축(145)이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과 삽입홈에 끼워지는 회전축(145)의 영역이 서로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평면부를 형성하여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홈과 삽입홈에 끼워지는 회전축(145)의 영역은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 유동이 발생하면서 회전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45)은 지지부(1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42)는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브라켓을 가열로 본체(10a)에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42)는 가열로 본체(10a)의 일부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45)이 지지부(14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베어링(146)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145)이 지지부(142)에 회 전 가능하면서 장착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롤러(141)와 상기 회전축(145) 사이에는 탄성부재(147)가 배치되어 상기 롤러(141)와 회전축(145)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47)에 의해 롤러(141)와 상기 회전축(145) 사이에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145)에 플랜지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147)의 일 단부가 플랜지 구조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147)의 다른 일 단부가 롤러(141)의 일 단부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47)의 일 단부는 베이링(146) 또는 지지부(142)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47)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롤러(141)는 양 단부가 탄성부재(147)에 의해 가압되어 이송을 위한 위치가 유지되면서 구동(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열로 본체(10a)의 내부 온도에 의해 상기 롤러(141)가 길이방향(축방향)으로 신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147)가 롤러(141)의 양 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송을 위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롤러(141)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에도 탄성부재(147)에 의해 롤러(141)의 단부를 가압하는 정도가 보다 유연하게 작용하게 되어 롤러(141)가 구불어지지 않거나 또는 구불어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141)의 양 단부에는 홀더(14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홀더(144)는 상기 롤러(141)의 양 단부에 축결합(144)이 이루어져 롤러(141)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44)는 회전축(145) 이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면서 회전축(145)이 축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144)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의 일 예는 상기 롤러(141)와 회전축(145) 간의 결합에 관한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홀더(144)가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147)는 홀더(144)와 회전축(145) 사이에 배치되어 홀더(144)와 회전축(145)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47)가 배치되는 구성은 상기 롤러(141)와 상기 회전축(145) 사이에 탄성부재(147)가 배치되는 구성에 관한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홀더(144)와 롤러(141) 사이에는 단열부재(148)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열부재(148)가 구비되는 경우, 가열로 본체(10a)의 내부 온도가 롤러(141)를 통해 다른 구동을 위한 부재들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최소화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열전달의 차단 또는 감소로 인하여 다른 구동을 위한 부재(부품)들의 손상 또는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롤러(141)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롤러(141) 자체가 가열로 본체(10a)의 내부 온도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141)의 외부 영역을 세라믹 재질로 구성하거나, 또는 롤러(141) 전체를 세라믹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위하여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 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가 일정 구간으로 그룹화되어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에 구비되는 롤러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러부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가열로 10 ... 가열부
10a ... 가열부 본체 20 ... 투입부
30 ... 배출부 10,110 ... 로딩 대기부
20,120 ... 이송부 30,130 ... 배출 대기부
100 ... 이송장치 140 ... 롤러부
141 ... 롤러 142 ... 지지부
143 ... 동력 전달부재 144 ... 홀더
145 ... 회전축 146 ... 베어링
147 ... 탄성 지지부 148 ... 단열부재
150 ... 이송동력 제공부 151 ... 구동모터
152 ... 체인 153 ... 가이드 롤러
160 ... 장력 조절부 161 ... 동력 제공부
161a ... 압력 공급 및 배출관 162 ... 가압부
162a ... 아이들 롤러 163 ... 감지부

Claims (9)

  1. 일 단부에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되고, 양 단부가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부와;
    상기 복수의 롤러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각 롤러부에 구비된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복수의 롤러부로 전달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이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체인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체인의 장력을 가변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성형 대상물의 이송을 위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롤러와 회전축 사이에는 배치되어 롤러와 회전축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체인의 일측을 밀거나 당겨 장력이 가변되도록 작동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이동하여 체인의 일 측을 밀거나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가압부에 의해 가변되는 체인의 장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가압부가 체인을 가압하는 정도 또는 동력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간 프레스 성 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체인과 직접 접하게 되는 아이들 롤러가 더 구비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부는 로딩 대기부, 이송부 또는 배출 대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배열되어 그룹 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부가 하나의 체인에 의해 동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롤러의 양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롤러의 단부 사이에는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외부 또는 전체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KR1020090025788A 2009-03-26 2009-03-26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KR10111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88A KR101115794B1 (ko) 2009-03-26 2009-03-26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88A KR101115794B1 (ko) 2009-03-26 2009-03-26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28A KR20100107628A (ko) 2010-10-06
KR101115794B1 true KR101115794B1 (ko) 2012-03-09

Family

ID=4312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788A KR101115794B1 (ko) 2009-03-26 2009-03-26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933B1 (ko) * 2021-07-26 2022-04-28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세라믹 전자부품용 소성로에서의 롤러컨베이어 상태 감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459B1 (ko) 2018-10-22 2020-04-07 (주)오토젠 접촉식 가열로
KR102563755B1 (ko) * 2021-07-26 2023-08-07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세라믹 전자부품용 소성로에서 안전운행 및 비상운행이 가능한 롤러컨베이어 장치
KR102504036B1 (ko) * 2022-11-01 2023-02-2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적층 코어 연속 가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828B1 (ko) 2008-07-23 2008-11-27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석영관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828B1 (ko) 2008-07-23 2008-11-27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석영관 회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933B1 (ko) * 2021-07-26 2022-04-28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세라믹 전자부품용 소성로에서의 롤러컨베이어 상태 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28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446B2 (en) Shape forming system and shape forming method
KR101115794B1 (ko)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KR20150029687A (ko) 측면으로 오프셋될 수 있는 이송기 벨트를 가지는 오븐 전달 장치
TWI552859B (zh) 連續冲壓裝置
CZ281133B6 (cs) Pec pro ohřev skleněných tabulí
JP5944601B1 (ja) セラミックパイプ材の連続乾燥装置
CZ419290A3 (cs) Zařízení k tlakovému ohýbání skleněných tabulí
KR101581088B1 (ko) 판유리의 곡면 성형 장치 및 곡면 성형 방법
KR101289105B1 (ko) 소재 가열로 및 이를 이용한 소재 가열 방법
US8142712B2 (en) Heating furnace for press hardening process
JP2012038473A (ja) 誘導加熱装置及び誘導加熱方法
CN106628431A (zh) 一种用于六面条包包装机的熨烫装置
CN109312417B (zh) 棒状工件的热处理方法
CN114179280A (zh) 一种用于将pvc或橡胶颗粒压制成卷材板的平压机
JP2011121235A (ja) ベニヤ単板の乾燥方法及びベニヤ単板の乾燥装置
EP2141132B1 (en) Furnace
KR20190106428A (ko) 금속제품 열처리 장치
US5014772A (en) Method of circulating a heat transfer medium through a caterpillar and a plate treating apparatus using the caterpillar
CN210591017U (zh) 一种全自动印刷烘烤线
CN100444707C (zh) 加热装置
CN210591018U (zh) 一种多层隧道炉
WO2002061154A1 (en) Furnace for heat treatment of metal bars
KR100851210B1 (ko) 가열로의 슬라브 이송 장치
CN110948755A (zh) 一种v带硫化机
CN216334929U (zh) 一种基于节能液压步进炉用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