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712B1 -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712B1
KR101113712B1 KR1020100131355A KR20100131355A KR101113712B1 KR 101113712 B1 KR101113712 B1 KR 101113712B1 KR 1020100131355 A KR1020100131355 A KR 1020100131355A KR 20100131355 A KR20100131355 A KR 20100131355A KR 101113712 B1 KR101113712 B1 KR 10111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
shaft
cam surfa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10013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단말기를 개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에 장착되고, 일단의 내주면에 캠면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해 회전시키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캠면에 접하는 캠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캠부재를 상기 캠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캠면과 캠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2바디가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 FREE-STOP HINGE MODULE FOR PORTABLE DEVICE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단말기를 개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노트북, 휴대폰, 전자사전 등 다양한 휴대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노트북은 컴퓨터 사용의 증가와 제조기술의 발전에 따라 성능 및 휴대성이 향상되었으며 보급이 확산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노트북은 휴대의 편리성을 위하여 메인보드, CPU, 각종 칩셋,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와, 키보드와 터치패드 등의 데이터 입력수단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온라인 기능을 위한 랜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조작 및 작동에 의해 각종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패널을 포함하는 제2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제2바디의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상호 접히거나 벌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노트북뿐만 아니라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등록특허공보 제10-0595022호에 나타나 있는 구성으로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고정캠 및 회동캠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30), 베이스바(12), 고정캠(50), 회동캠(60), 판스프링(70) 및 너트(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30)은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에 고정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30)은 제1브래킷(32)과 제2브래킷(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브래킷(32)에는 통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래킷(38)은 상기 제1브래킷(32)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바디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바(12)는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에 장착되고 일단에 샤프트(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통공(34)을 관통한다.
상기 고정캠(50)은 상기 제1브래킷(32)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2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캠(50)에는 캠면(51)이 형성되고, 상기 캠면(51)에 오목하게 함몰된 캠홈(56a,56b)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캠(60)은 상기 고정캠(5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0)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2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캠(60)에는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1)과 마주보는 캠면(61)이 형성되고, 상기 캠면(61)에 상기 캠홈(56a,56b)에 삽입되는 캠(64a,64b)이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70)은 상기 회동캠(60)의 측면 즉, 상기 캠면(61)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캠(60)을 상기 고정캠(5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1)과 상기 회동캠(60)의 캠면(61)이 상호 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70)은 상기 샤프트(20)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20)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너트(90)는 상기 샤프트(2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캠(60)과 판스프링(70)을 상기 샤프트(20)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켜 휴대단말기를 개방할 때, 상기 판스프링(70)에 의해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1)과 상기 회동캠(60)의 캠면(61)이 상호 밀착되게 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캠(60)이 회전하며 상기 고정캠(50)과 회동캠(6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켜 상기 캠(64a,64b)이 상기 캠홈(56a,56b)에 삽입되면 상기 제2바디를 회전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캠(64a,64b)이 상기 캠홈(56a,56b)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회동캠(60)의 캠면(61)과 접할 때는 상기 고정캠(50)과 회동캠(6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상기 제2바디를 경사지게 유지하기 부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상기 제2바디를 유지하기 어려워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바디에 대해 회전하는 제2바디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하여 휴대단말기를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에 장착되고, 일단의 내주면에 캠면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해 회전시키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캠면에 접하는 캠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캠부재를 상기 캠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캠면과 캠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2바디가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캠부재와 제1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부재를 상기 캠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캠면의 내경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의 외경은 상기 캠면이 배치된 방향인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되되, 상기 캠부재의 일단의 외경은 상기 캠면의 일단의 내경보다 크고 타단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캠면과 캠부재는 상호 면접촉 한다.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접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이 삽입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바디에 대해 회전하는 제2바디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캠부재가 캠면을 가압함으로써, 제2하우징의 회전시 제2하우징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는 제2결합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스프링의 축방향 탄성력에 의해 제1하우징 방향으로 탄성지지됨으로써, 제2하우징의 회전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 및 이탈하면서 휴대단말기의 개폐시 클릭감을 부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고정캠 및 회동캠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일방향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일방향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00), 제2하우징(200), 샤프트(300), 제1스프링(400) 및 제2스프링(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00)은 키패드가 장착되는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미도시)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하우징(100)은 고정부재(110)와 제1결합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30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원형의 제1삽입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에 고정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에는 사각형 형상의 장착편(10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200) 방향으로 걸림홈(1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홈(1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0)이 배치된 방향인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112)은 다수개가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홈(112)에는 후술할 걸림돌기(212)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0) 즉,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캠면(213)이 형성된다.
상기 캠면(2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즉,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1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30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2삽입공(211)이 형성되며, LCD패널이 장착되는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미도시)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하우징(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제2바디에 고정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제2삽입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해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부재(210)에는 상기 고정부재(110)와 같이 외주면에 사각형 형상의 장착편(201)이 도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제2삽입공(211)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공(211)의 타단은 양측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300)는 상기 제2삽입공(21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210)의 타단의 내주면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300)가 상기 회전부재(210)의 타단의 내주면에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제2결합부재(220) 및 샤프트(300)에 대해 상기 샤프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10)가 회전하면 상기 제2결합부재(220) 및 샤프트(300)가 상기 회전부재(21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210)는 후술할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112)을 이탈하기 위해서 상기 제2결합부재(220)에 대해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212)가 돌출된 길이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제2하우징(200) 즉, 상기 회전부재(20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상기 걸림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210)에 상기 걸림돌기(212)를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10)에 상기 걸림돌기(212)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210)에 상기 걸림홈(11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2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제2결합부재(220)와 상기 샤프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210)에 형성된 상기 제2삽입홈(211)의 일단과 같은 형상으로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00)는 원기둥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100) 즉, 상기 제1삽입공(1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하우징(200) 즉, 상기 제2삽입공(211)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200)과 함께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삽입공(211)에 삽입되는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 양측은 상기 제2삽입공(211)의 타단과 같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공(211)에 삽입되며, 상기 제2삽입공(211)에 삽입된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부재(210)의 일단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어 상기 제2하우징(20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300)에는 양단에 고정링(310,32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링(310,32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타단 방향과 상기 제2하우징(200)의 일단 방향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고정링(310,3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20) 및 제2결합부재(220)가 상기 고정링(310,3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120)와 제2결합부재(220)가 상기 샤프트(3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하는 캠부재(301)가 결합된다.
상기 캠부재(301)의 외경은 상기 캠면(213)이 배치된 방향인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부재(301)의 일단의 외경은 상기 캠면의 일단의 내경보다 크고 타단의 내경보다 작다.
경우에 따라 상기 캠부재(301)는 상기 샤프트(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에는 원형 형상의 지지돌기(30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302)는 상기 캠부재(301)와 제1스프링(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부재(301)를 상기 캠면(213)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캠면(213)과 캠부재(301)는 상호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캠면(213)과 캠부재(301)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스프링(400)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제1스프링(400)은 상기 제1삽입홈(111)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302)가 상기 캠부재(301)를 가압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캠부재(301)가 상기 캠면(213)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캠부재(301)와 캠면(30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증가하여, 상기 제2하우징(200)의 회전시 상기 제2하우징(200)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스프링(500)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 즉, 상기 제2삽입홈(211)에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스프링(500)은 상기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재(210)를 상기 제1하우징(100)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결합 및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301)와 고정부재(110)를 차례로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 즉,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한다.
상기 제1스프링(400)을 상기 캠부재(301)가 삽입된 반대 방향인 상기 샤프트(300)의 타단으로 삽입한 후, 상기 제1결합부재(120)를 상기 샤프트(300)의 타단으로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에 고정 장착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00)의 타단에 상기 고정링(310)을 결합시켜 상기 제1결합부재(120)가 상기 고정링(310)이 결합된 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120)가 상기 샤프트(3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하우징(100)을 상기 샤프트(300)에 결합시킨다.
상기 제1하우징(100)이 결합된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210)와 상기 제2스프링(500)을 차례로 삽입하여 상기 제2스프링(500)을 상기 제2삽입홈(211)에 삽입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으로 상기 제2결합부재(210)를 삽입하고,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에 상기 고정링(320)을 결합시켜 상기 제2결합부재(2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을 상기 샤프트(300)에 결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0) 즉, 상기 회전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는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제2결합부재(220) 및 샤프트(300)에 대해 상기 샤프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힌지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100)을 상기 제1바디에 고정 장착시키고, 상기 제2하우징(200)을 상기 제2바디에 고정 장착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켜 휴대단말기를 개방하면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하우징(200)이 회전하면 상기 샤프트(3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302)가 상기 캠부재(301)를 상기 캡면(113) 방향으로 밀어 상기 캠부재(301)와 캠면(113)이 면접촉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캠면(113)과 캠부재(301)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2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걸림홈(112)을 이탈하여 다음 걸림홈(112)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112)을 이탈하기 위해서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2결합부재(220) 및 샤프트(300)에 대해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 방향 즉, 도 6에서 좌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212)의 돌출 길이만큼 이동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이 더 회전하면 상기 제2스프링(500)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샤프트(30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112)에 다시 삽입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키는 동안에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걸림홈(112)에 대해 이탈과 삽입을 반복하며 휴대단말기의 개폐시 클릭감을 부가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바디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상기 캠면(113)과 캠부재(301)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2바디가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기 제2바디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제1하우징, 101 : 장착편, 110 : 고정부재, 111 : 제1삽입홈, 112 : 걸림홈, 113 : 캠면, 120 : 제1결합부재, 200 : 제2하우징, 201 : 장착편, 210 : 회전부재, 211 : 제2삽입홈, 212 : 걸림돌기, 220 : 제2결합부재, 221 : 관통공, 300 : 샤프트, 301 : 캠부재, 302 : 지지돌기, 310,320 : 고정링, 400 : 제1스프링, 500 : 제2스프링,

Claims (5)

  1.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에 장착되고, 일단의 내주면에 캠면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해 회전시키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캠면에 접하는 캠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캠부재를 상기 캠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캠면과 캠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2바디가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캠부재와 제1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부재를 상기 캠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의 내경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의 외경은 상기 캠면이 배치된 방향인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되되,
    상기 캠부재의 일단의 외경은 상기 캠면의 일단의 내경보다 크고 타단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캠면과 캠부재는 상호 면접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접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KR1020100131355A 2010-12-21 2010-12-21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KR10111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55A KR101113712B1 (ko) 2010-12-21 2010-12-21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55A KR101113712B1 (ko) 2010-12-21 2010-12-21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712B1 true KR101113712B1 (ko) 2012-02-27

Family

ID=4584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355A KR101113712B1 (ko) 2010-12-21 2010-12-21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9286B2 (en) * 2017-10-12 2022-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ree stop based hinge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563A (ko) * 2003-09-30 2005-04-06 캠아이티(주)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90058623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폴더형 원터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폴더형휴대 단말기
KR20100016877A (ko) * 2008-08-05 2010-02-16 (주)엘티엠에이피 감쇄 힌지
KR20100024242A (ko) * 2008-08-25 2010-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563A (ko) * 2003-09-30 2005-04-06 캠아이티(주)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90058623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폴더형 원터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폴더형휴대 단말기
KR20100016877A (ko) * 2008-08-05 2010-02-16 (주)엘티엠에이피 감쇄 힌지
KR20100024242A (ko) * 2008-08-25 2010-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9286B2 (en) * 2017-10-12 2022-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ree stop based hing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207B2 (en) Two-axis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EP215003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4192024B2 (ja) 携帯端末用取付装置
US8412280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624477B2 (en) Rotation hinge
US8136206B2 (en) Biaxial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8091180B2 (en) Hinge assembly
JP5610325B2 (ja) 回転機構、及び当該回転機構を利用した電子装置
JP2014192398A (ja) 電子機器
US799791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473976B2 (ja) タッチペン
JP2009187059A (ja) 電子機器
KR101113711B1 (ko)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KR101113712B1 (ko)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CN101321199B (zh) 便携式设备的铰链装置及便携式设备
TW201526757A (zh) 具有固持裝置的電子裝置
US8078236B2 (en) Rotary cover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124414B1 (ko)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US8190218B2 (en) Foldable handheld device
TW201338287A (zh) 晶片卡保護蓋組件及應用其的電子裝置
TWI462405B (zh) 連接器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
TWI432652B (zh) 軸承機構及其掀蓋式裝置
JP4660892B2 (ja) 開閉装置
CN111526230B (zh) 柔性机壳组件与电子设备
JP5334191B2 (ja) ヒンジ構造、及び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