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563B1 -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563B1
KR101113563B1 KR1020100077932A KR20100077932A KR101113563B1 KR 101113563 B1 KR101113563 B1 KR 101113563B1 KR 1020100077932 A KR1020100077932 A KR 1020100077932A KR 20100077932 A KR20100077932 A KR 20100077932A KR 101113563 B1 KR101113563 B1 KR 10111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ble
contacts
connector
insul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덕
박건철
이익균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및 상부층과 하부층의 이중층 구조가 되도록 접혀진 도체 핀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컨택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FPC(Flexible Printed Cable)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플랫 타입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절연체 하우징 및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컨택트는 도체 핀으로 구성되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통상적으로 벨로즈(bellows)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사용되는 복수의 컨택트(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하나의 컨택트(1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서 컨택트(10)의 후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특히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컨택트(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도체 핀으로 구성되어 절연체 하우징(미도시)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컨택트(10)는 절연체 하우징으로 삽입되고 케이블과 접속되기 위해 일정 부위에서 굴곡된 형태를 가지며, 절연체 하우징과 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한 쐐기부(11)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컨택트(10)는 길게 연장된 단일층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력이 높지 않다. 따라서, 케이블을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한 경우, 컨택트(10)와 케이블의 접촉력이 좋지 않다. 특히, 오랜 기간 사용된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컨택트(10)는 굴곡 부위 등의 형태가 변형되어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컨택트(10)와 케이블의 접촉력이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택트(10)는 쐐기부(11)가 일정 높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컨택트(10)를 절연체 하우징에 높이를 맞추어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경우, 쐐기부(11)와 쐐기부(11)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아진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택트(10)가 절연체 하우징(20)에서 일정 간격(A)으로 배열된다. 이때, 컨택트(10)에는 절연체 하우징(20)과 체결 고정되기 위한 쐐기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쐐기부(11)는 컨택트(10)의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컨택트(10)를 절연체 하우징(20)에서 일정하게 배열하는 경우, B 부분과 같이 쐐기부(11)와 쐐기부(11)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다. 따라서, 쐐기부(11) 사이의 폭이 얇은 부분으로 인해 절연체 하우징(20)의 제조(성형)가 어렵고, 쉽게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쐐기부(11)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컨택트(10)와 컨택트(10) 사이의 거리(A)가 어느 정도 이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컨택트(10)에 의하면 컨택트(10) 사이의 간격(A)을 더 줄일 수 없어, 커넥터의 크기 및 실장 면적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컨택트의 탄성력을 높여 케이블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고 컨택트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및 상부층과 하부층의 이중층 구조가 되도록 접혀진 도체 핀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컨택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택트의 상부층 또는 하부층에 상기 절연체 하우징과 체결되기 위한 쐐기부가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층에 쐐기부가 형성된 컨택트와 하부층에 쐐기부가 형성된 컨택트가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의 탄성력을 높여, 케이블과 컨택트의 접촉시 접촉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오랜 기간 반복적으로 사용된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컨택트라 하더라도, 그 탄성력이 쉽게 약해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절연체 하우징에서 인접 컨택트와 쐐기부의 형성 높이가 달라 종래와 같은 간격으로 컨택트를 배열하더라도 컨택트와 컨택트 사이의 폭은 더욱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연체 하우징의 제조가 더욱 용이하게 되고,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의 배열 간격을 더욱 좁힐 수 있으므로 커넥터 자체의 크기를 감소시켜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사용되는 복수의 컨택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하나의 컨택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컨택트의 후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층에 쐐기부가 형성된 컨택트와 하부층에 쐐기부가 형성된 컨택트가 교호적으로 배열된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커넥터에 대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절연체 하우징(200) 및 컨택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체 하우징(200)은,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FPC나 FFC와 같은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으로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케이블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은 실질적으로 케이블의 폭에 대응되도록 절연체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절연체 하우징(200)에는 컨택트(100)의 삽입 고정을 위한 홈(groove) 또는 홀(hole) 형태의 체결구가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체결구는 절연체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100)는, 케이블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요소로서, 절연체 하우징(200)의 체결구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컨택트(100)는 절연체 하우징(200)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케이블의 시그널 전달용 배선층과 대향하도록, 절연체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101)의 우측 사시도이고, (b)는 우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7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컨택트(101)는 도체 핀으로 구성되어, 그 일부, 이를테면 중간 정도의 부분이 접혀져 상부층(110)과 하부층(120)의 이중층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컨택트(101)는 이중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접혀져 있기 때문에, 종래의 컨택트(10)에 비해 스프링 상수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케이블이 컨택트(101)의 상부층(110)과 접촉되는 경우, 컨택트(101)의 접힘 부분과 컨택트(101)의 하부층(120)으로 인해 컨택트(101) 전체의 탄성력이 커질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과 컨택트(101)의 접촉시 접촉력이 향상된다.
또한, 도 7에서 컨택트(101)의 상부층(110)에는 쐐기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쐐기부(130)는 절연체 하우징(200)과 체결 고정되기 위한 것이므로, 톱니 등의 모양을 가져 컨택트(101)의 다른 부위보다 넓은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컨택트(101)의 상부층(11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110)이 두꺼운 배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10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102)의 우측 사시도이고, (b)는 우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도 7과 마찬가지로 일부가 접혀져 컨택트(102)가 상부층(110)과 하부층(120)의 이중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 7과 달리 컨택트(102)의 하부층(120)에 쐐기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120)이 두꺼운 배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택트(100)가 절연체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연체 하우징(200)에 설치될 때, 쐐기부(130)가 상부층(110)에 형성된 컨택트(101)와 쐐기부(130)가 하부층(120)에 형성된 컨택트(102)가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층(11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1)와 하부층(12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2)가 교호적으로 배열된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커넥터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컨택트(100)가 절연체 하우징(20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컨택트(100)는 상부층(110)과 하부층(120)의 이중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층(11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1)와 하부층(12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2)가 교대로, 즉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상부층(11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1)와 하부층(12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2)가 교호적으로 배열되면, 인접하는 컨택트(100) 간 쐐기부(130) 사이의 간격은 종래보다 넓어지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층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0)만이 서로 인접하며, 동일층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0)는 서로 인접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층(11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1)에 대해서는 하부층(12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2)가 인접하며, 상부층(110)에 쐐기부(130)가 형성된 컨택트(101)가 인접하지는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 10과 종래 기술에 따른 도 4를 비교하여 보면, 도 10의 컨택트(100) 사이의 거리(A')와 도 4의 컨택트(10) 사이의 거리(A)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도 10의 쐐기부(130) 사이의 간격이 도 4의 쐐기부(11) 사이의 간격보다 넓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0의 B' 부분과 도 4의 B 부분을 살펴보면, 도 4에서는 쐐기부(11)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쐐기부(11) 사이의 간격이 좁은 반면, 도 10에서는 인접하는 컨택트(100) 간 쐐기부(130)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쐐기부(13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할 경우, 종래 기술에 비해 쐐기부(1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절연체 하우징(200)의 제조가 더욱 용이해지고, 강도가 향상되어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컨택트(100)의 배열 간격을 더욱 좁힐 수 있으므로, 커넥터 자체의 크기를 감소시켜 커넥터의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컨택트
101: 상부층에 쐐기부가 형성된 컨택트
102: 하부층에 쐐기부가 형성된 컨택트
200: 절연체 하우징

Claims (3)

  1.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및
    상부층과 하부층의 이중층 구조가 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중 어느 하나에만 상기 절연체 하우징과 체결되기 위한 쐐기부가 형성된 도체 핀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상부층에 쐐기부가 형성된 컨택트와 하부층에 쐐기부가 형성된 컨택트가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컨택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100077932A 2010-08-12 2010-08-12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1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32A KR101113563B1 (ko) 2010-08-12 2010-08-12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32A KR101113563B1 (ko) 2010-08-12 2010-08-12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563B1 true KR101113563B1 (ko) 2012-05-30

Family

ID=4627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932A KR101113563B1 (ko) 2010-08-12 2010-08-12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5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144A (ko) * 1987-12-08 1989-08-12 루이스 에이.헥트 고밀도 ffc 콘넥터
KR200308173Y1 (ko) * 2002-11-09 2003-03-19 성경모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KR20070047725A (ko) * 2005-11-02 2007-05-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점 사이의 상호 간격이 그 단자부에서 조절되는 커넥터
KR20080103537A (ko) * 2006-02-14 2008-11-27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144A (ko) * 1987-12-08 1989-08-12 루이스 에이.헥트 고밀도 ffc 콘넥터
KR200308173Y1 (ko) * 2002-11-09 2003-03-19 성경모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KR20070047725A (ko) * 2005-11-02 2007-05-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점 사이의 상호 간격이 그 단자부에서 조절되는 커넥터
KR20080103537A (ko) * 2006-02-14 2008-11-27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829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grounding function
US87213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7277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I795194B (zh) 連接器組件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KR20130124353A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KR102064260B1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EP1885028A1 (en) Low profile connector
JPH11111402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1146210A (ja) 電気コネクタ
EP2741373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7287380A (ja) 両面fpc/ffc用コネクタ
US6461194B2 (en) Connector having a shield for signal contacts
EP2677605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combination
KR101113563B1 (ko)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88891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US9431736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US6854998B2 (en) Wiring block and cover shell arrangement for electric connector
KR101737958B1 (ko) 조인트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조인트커넥터
JP2008077916A (ja) コネクタ
JP4070988B2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6331711A (ja) コネクタ
KR10148008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US20240079802A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