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73Y1 -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73Y1
KR200308173Y1 KR20-2002-0033543U KR20020033543U KR200308173Y1 KR 200308173 Y1 KR200308173 Y1 KR 200308173Y1 KR 20020033543 U KR20020033543 U KR 20020033543U KR 200308173 Y1 KR200308173 Y1 KR 200308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flexible wire
typ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경모
Original Assignee
성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모 filed Critical 성경모
Priority to KR20-2002-0033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판에 플렉시블 와이어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를 하우징에 결합시킨 커넥터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커넥터를 하나의 하우징으로 조립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플렉시블 와이어용 커넥터를 만들기 위한 금형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의 접속부 형상도 모두 통일함으로서 항상 안정된 접속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하우징의 정면부에 절곡된 단자를 지지할 수 있는 분리홈을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고, 하우징의 양단에는 "ㄷ"자형 후크를 결합할 수 있는 "ㄷ"자형 홈을 형성하여 SMD타입으로 수평 커넥터를 고정할 때만 "ㄷ"자형 후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정면부와 저면부에 돌출지지면을 갖는 측판의 상측에는 정면부와 배면부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Housing for flexible wire connector}
본 고안은 기판에 고정시켜 플렉시블 와이어를 간편하게 접속단자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에 플렉시블 와이어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를 하우징에 결합시킨 커넥터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커넥터를 하나의 하우징으로 조립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에 고정되어 기판상의 단자와 접속케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통전시켜 주도록 하는 커넥터는 알려져 있으며, 그 커넥터의 구성은 기판과 수평으로 플렉시블 와이어를 연결하는 수평형 커넥터와 기판에 수직으로 플렉시블 와이어를 연결하는 수직형 커넥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판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플렉시블 와이어를 연결하는 커넥터는 플립이 구비된 플립형 커넥터와 플립이 구비되지 않은 오픈형 커넥터로 다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립형과 오픈형의 커넥터는 각각 수평형과 수직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플립형 커넥터와 오픈형 커넥터는 사용되는 상태에 따라 플립형과 오픈형 각각 약 5종의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여러 종류의 커넥터는 커넥터에 플렉시블 와이어를 결합하는 상태에 따라 커넥터를 기판에 고정하는 상태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커넥터에 결합되는 단자의 형상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단자에 맞도록 각각의 커넥터 하우징을 별도로 설계하고 단자와 조립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플렉시블 와이어용 커넥터는 플립형과 오픈형에 상관없이 각각 사용되는 약 5종의 커넥터를 만들 때 각각의 커넥터 사용특성에 맞도록 커넥터 하우징의 형상을 설계하여 만들게 되므로 플립형과 오픈형의 커넥터마다 각각 5가지 하우징을 만들기 위한 금형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커넥터의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립형 커넥터의 경우는 플립의 열리는 방향이 플렉시블 와이어의 연결 작업에 많은 영향을 주게되므로 플립형 커넥터의 경우는 커넥터를 기판에 고정하는 상태와 플렉시블 와이어를 연결하는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하우징을 형성할수밖에 없는 것이 현재까지의 불가피한 현실이라 할지라도, 플립이 구비되지 않는 오픈형 커넥터의 경우는 단자의 형상과 하우징의 형상을 각각 다르게 구성함으로서 많은 금형 제작비용이 소요되어 결국은 커넥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딥타입의 경우에 수평형과 수직형 각각의 하우징은 단자의 리드부를 기판의 홀에 관통 삽입한 후 납땜할 때 납땜하는 열에 의한 하우징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과 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주기 위한 구조물이 수평형은 측면에 형성되고, 수직형은 저면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하우징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수평형 딥타입의 하우징은 단자의 형상이 하우징의 측면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므로 그 단자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구성이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수평형과 수직형의 하우징을 통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SMD타입의 경우에 기판 위의 밀크 납을 이용하여 단자의 리드부를 융착시켜야 하지만, SMD타입의 수직형은 단자의 리드부를 하우징의 저면쪽에서 양측으로 벌어진 단자의 리드부를 기판에 납땜해야 하므로 하우징의 저면에 단자를 양측으로 벌려주기 위한 공간을 구비해야 하고, 수평형 SMD타입은 하우징을 눕히는 방향에 따라 단자의 리드부 대향측에 보조 납땜부를 구비해야 하므로 각각 다른 형상의 하우징을 제작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넥터의 경우는 플렉시블 와이어에 연결해야 할 단자의 수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크기로 하우징을 구비해야 하는 것이므로 금형 제작에 대한 비용은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SMD타입의 수평형 커넥터는 기판에 수평한 상태로 누워지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에서만 단자의 리드부가 기판에 납땜되는 것이므로 그 대향측의 하우징 양측에 보조 고정판을 구비하여 하우징이 기판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종래에는 SMD타입의 2종의 수평형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그 하우징에 고정되는 보조 고정판 역시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이므로 커넥터의 또다른 원가상승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판에 플렉시블 와이어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를 하우징에 결합시킨 커넥터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커넥터를 하나의 하우징으로 조립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플렉시블 와이어용 커넥터를 만들기 위한 금형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의 접속부 형상도 모두 통일함으로서 항상 안정된 접속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의 정면부에 절곡된 단자를 지지할 수 있는 분리홈을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고, 하우징의 양단에는 "ㄷ"자형 후크를 결합할 수 있는 "ㄷ"자형 홈을 형성하여 SMD타입으로 수평 커넥터를 고정할 때만 "ㄷ"자형 후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정면부와 저면부에 돌출지지면을 갖는 측판의 상측에는 정면부와 배면부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하우징을 딥타입으로 사용하는 일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평형 딥타입의 사용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형 딥타입의 사용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하우징을 SMD타입으로 사용하는 일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수평형 SMD타입의 사용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수평형 SMD타입의 일 사용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수평형 SMD타입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형 SMD타입의 사용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9a 내지 9d는 본 고안에 적용된 리드부 형상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정면부
12 : 배면부 13, 14 : 측판
15 : 절개홈 16 : "ㄷ"자형 홈
20 : 단자 21 : 접속부
23 : 리드부 30 : "ㄷ"자형 후크
40 : 기판 111, 151 : 격벽
112 : 분리홈 131, 132 : 돌출지지면
133 : 단턱 152 : 접속부홈
231 : 원판부 232 : 도금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단자(20)의 접속부(21)를 하우징(10)에 삽입하고, 그 하우징(10)에 삽입된 단자(20)들의 리드부(23)를 기판(40)에 납땜 고정한 후, 하우징(10)의 절개홈(15)으로 플렉시블 와이어를 삽입하여 플렉시블 와이어를 기판(40)의 회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정면부(11)에 절곡된 단자를 지지할 수 있는 분리홈(112)을 격벽(111)으로 분리하여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고, 그 하우징(10)의 양단에는 "ㄷ"자형 후크(30)를 결합할 수 있는 "ㄷ"자형 홈(16)을 형성하여 "ㄷ"자형 후크(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정면부(11)와 저면부에 돌출지지면(131)(132)을 갖는 측판(13)(14)의 상측에는 정면부(11)측과 배면부(12)측에 단턱(13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ㄷ"자형 홈(16)에는 SMD타입의 수평형 커넥터를 사용할 때만 "ㄷ"자형 후크(30)를 삽입하여 "ㄷ"자형 후크(30)를 보조 고정부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측판(13)(14)에서 정면부(11)측과 저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돌출지지면(131)(132)은 딥타입 수평 또는 수직으로 하우징(10)을 사용할 때 납땜 열에 의해 하우징(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나의 하우징(10)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딥타입의 수평형과 수직형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SMD타입의 수평형과 수직형 커넥터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하우징(10)으로 딥타입 커넥터로 사용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딥타입의 수평형 커넥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0)의 접속부(21)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리드부(23)는 절곡부(22)에서 절곡시켜 그 하측부분을 리드부(23)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수평형 딥타입의 커넥터는 단자(20)의 절곡부(22)를 하우징(10)의 정면부(11)에 형성된 분리홈(112)에 끼워서 근접한 2개의 리드부(23)가 격벽(111)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단자(20)의 리드부(23)를 기판(40)에 형성된 홀에 삽입하여 그 대향측에서 리드부(23)를 기판(40)에 납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의 정면부(11)가 기판(40)을 향하도록 한 수평형 딥타입의 커넥터를 고정하면 하우징(10)의 양 측판(13)(14)에 형성된 정면부(11)측의 돌출지지면(131)이 기판(40)과 하우징(10)의 정면부(11)를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므로 납땜 할 때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하우징(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하우징(10)에 수직형 딥타입 커넥터용 단자(20)를 삽입하면 도 3과 같이 단자(20)의 접속부(21)에서 이어지는 절곡부(22)와 리드부(23)에 의해 기판(40)에 커넥터를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우징(10)의 저면측으로 돌출된 리드부(23)를 기판(40)의 홀에 삽입하여 납땜을 하면 플렉시블 와이어를 하우징(10) 윗면의 절개홈(15)을 통해 삽입하여 단자(20)의 접속부(21)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형 딥타입의 커넥터로 사용할 때도 본 고안에 의한 하우징(10)은 양 측판(13)(14)에서 저면으로 돌출 구성된 돌출지지면(132)이 하우징(10)과 기판(40)의 간격을 일정하게 떨어뜨려 유지하게 되므로 리드부(23)의 납땜 열에 의한 하우징(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2종류의 딥타입 커넥터를 하나의 하우징(10)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딥타입에 사용된 하우징(10)을 그대로 SMD타입의 커넥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하우징(10)의 저면에서 단자(20)들을 삽입하여 리드부(23)가 돌출되도록 하면 하우징(10)의 다른 변형 없이 SMD타입의 하우징(10)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먼저 SMD타입의 수직형 커넥터 중에서 하우징(10)에 결합된 단자(20)의 리드부(23)가 모두 일측으로 구비되어 하우징(10)의 정면부(11)가 기판(40)에 근접하도록 구성되는 도 6에 도시된 SMD타입의 수평형 커넥터 경우를 살펴보면,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각각의 단자(20)는 하우징(10)의 격벽(151)에 의해 구획된 접속부홈(152)에 각각 삽입되어 분리될 뿐만 아니라, 단자(20)의 접속부(21)와 리드부(23) 사이의 절곡부(22)는 하우징(10) 저면의 격벽(111)에 의해 분리된 구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수평형으로 구비되는 SMD타입의 커넥터는 단자(20)의 리드부(23)를 기판(40)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모두 하우징(10)의 정면부(11)측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기판(40)에 리드부(23)를 납땜하였을 때 플렉시블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홈(15)쪽 하우징(10)이 기판(40)에 고정되지 못하게 되므로 하우징(10)의 양측에 "ㄷ"자형 후크(30)를 구비하여 고정한다.
상기 "ㄷ"자형 후크(30)는 하우징(10)의 양측에서 기판(40)에 접촉되고, 그 "ㄷ"자형 후크(30)의 선단부분인 양 측판(13)(14)의 단턱(133) 부분을 기판(40)에 납땜함으로서 하우징(10)을 기판(40)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MD타입의 수평형 커넥터 중 하우징(10)의 배면부(12)을 기판(40)에 근접되게 고정하는 도 7에 도시된 커넥터의 경우에도 상기 하우징(10)의 정면부(11)를 기판(40)에 근접하여 고정시킬 때와 같이 하우징(10)의 배면부(12)를 기판(40)에 근접시킨 상태로 단자(20)의 리드부(23)를 납땜하고 하우징(10) 양측의 "ㄷ"자형 후크(30)를 기판(40)에 납땜시키면 안정되게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하우징(10)으로 SMD타입의 수평형 커넥터들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딥타입의 수평형과 수직형은 물론 SMD타입의 수평형 커넥터에 사용된 하우징(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D타입의 수직형 커넥터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SMD타입의 수직형 커넥터로 사용할 때는 하우징(10)의 저면측에서 단자(20)를 삽입하면서 단자(20)의 리드부(23)를 하나씩 교차되도록 양측으로 벌리면 커넥터를 수직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SMD타입의 수직형 커넥터는 단자(20)의 리드부(23)가 하나씩 교차되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기판(40)에 납땜되는 것이므로 하우징(10)의 양측에 별도로 "ㄷ"자형 후크(30)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ㄷ"자형 후크(30)가 사용되지 않아도 하우징(1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하우징(10)은 하나의 하우징(10)으로 딥타입의 수평형과 수직형 커넥터의 하우징(10)은 물론 SMD타입의 수평형과 수직형 커넥터의 하우징(10)에도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SMD타입의 수평형 커넥터로 하우징(10)을 사용할 때도 "ㄷ"자형 후크(30) 하나로 2종류의 SMD타입 수평형 커넥터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와이어를 기판(40)에 연결하기 위하여 기판(40)에 고정하는 커넥터의 구성에 소요되는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판(40)의 윗면에 단자(20)의 리드부(23)를 납땜 고정하는 SMD타입의 커넥터를 구성할 때 단자(20)의 리드부(23)를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프레스 하여 크림 납으로 납땜되는 SMD타입의 단자(20)를 안정되게 납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단자(20)의 리드부(23)는 윗면과 저면만이 도금층(232)이 구비된 상태이고, 양측면과 끝면은 절단되어 단자(20)의 소재인 원판부(231)가 노출된 상태이므로 리드부(23)의 저면을 반구형이나 원뿔형으로 프레스 작업함으로서 크림 납으로 리드부(23)를 납땜할 때 리드부(23)와 크림 납의 납땜 면적을 넓이고 결속력을 향상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리드부(23) 가공 형상은 상기 리드부(23) 저면만을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 외에도 리드부(23)를 원형으로 프레스 가공할 수도 있고, 리드부(23)를 원뿔형이나 "V"형상과 같이 프레스 가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판에 플렉시블 와이어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를 하우징에 결합시킨 커넥터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커넥터를 하나의 하우징으로 조립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플렉시블 와이어용 커넥터를 만들기 위한 금형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의 접속부 형상도 모두 통일함으로서 항상 안정된 접속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단자(20)의 접속부(21)를 하우징(10)에 삽입하고, 그 하우징(10)에 삽입된 단자(20)들의 리드부(23)를 기판(40)에 납땜 고정한 후, 하우징(10)의 절개홈(15)으로 플렉시블 와이어를 삽입하여 플렉시블 와이어를 기판(40)의 회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정면부(11)에 절곡된 단자를 지지할 수 있는 분리홈(112)을 격벽(111)으로 분리하여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고, 그 하우징(10)의 양단에는 "ㄷ"자형 후크(30)를 결합할 수 있는 "ㄷ"자형 홈(16)을 형성하여 "ㄷ"자형 후크(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정면부(11)와 저면부에 돌출지지면(131)(132)을 갖는 측판(13)(14)의 상측에는 정면부(11)측과 배면부(12)측에 단턱(133)을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ㄷ"자형 홈(16)에는 SMD타입의 수평형 커넥터를 사용할 때만 "ㄷ"자형 후크(30)를 삽입하여 "ㄷ"자형 후크(30)를 보조 고정부재로 사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측판(13)(14)에서 정면부(11)측과 저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돌출지지면(131)(132)은 딥타입 수평 또는 수직으로 하우징(10)을 사용할 때 납땜 열에 의해 하우징(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KR20-2002-0033543U 2002-11-09 2002-11-09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KR200308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543U KR200308173Y1 (ko) 2002-11-09 2002-11-09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543U KR200308173Y1 (ko) 2002-11-09 2002-11-09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73Y1 true KR200308173Y1 (ko) 2003-03-19

Family

ID=4933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543U KR200308173Y1 (ko) 2002-11-09 2002-11-09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63B1 (ko) * 2010-08-12 2012-05-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0464846Y1 (ko) 2010-04-02 2013-01-22 홍 위 차이 전기 커넥터
WO2019216553A1 (ko) * 2018-05-08 2019-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846Y1 (ko) 2010-04-02 2013-01-22 홍 위 차이 전기 커넥터
KR101113563B1 (ko) * 2010-08-12 2012-05-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WO2019216553A1 (ko) * 2018-05-08 2019-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KR20190128446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US11056809B2 (en) 2018-05-08 2021-07-06 Lg Chem, Ltd. Vertical-type direct PCB connector
KR102345677B1 (ko) * 2018-05-08 2021-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8266B2 (en) Mini DIN connector having a reduced height above a printed circuit board
US6093048A (en) Solderless mount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EP0899819B1 (en) Solderless mount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JP2589135B2 (ja) 電気コネクタ
US4655518A (en) Backplane connector
JP5571246B2 (ja) 電気コネクタ
US5588851A (en) Connector for a cable for high frequency signals
JP2626868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5535513A (en)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able connectors
US6319046B1 (en) Electrical connection unit which can be used with both insulated and stripped leads
JP3296731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2032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888088A (en) Electrical connection construction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US6171134B1 (en) Multiple conductor cable connector
US20060141831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2075544A (ja) 多極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JPH08213120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の基板支持装置
US5902146A (en) Modular plug guide plate
KR200308173Y1 (ko) 플렉시블 와이어 커넥터용 하우징
US6083045A (en) Electrical connector
JPH01304673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270107A (ja) 多極同軸コネクタ
JP2003272736A (ja) 電気コネクタ
US628020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rows of terminals
KR900007721Y1 (ko) 프린트 기판 연결용 코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