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490B1 -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490B1
KR101112490B1 KR1020090077414A KR20090077414A KR101112490B1 KR 101112490 B1 KR101112490 B1 KR 101112490B1 KR 1020090077414 A KR1020090077414 A KR 1020090077414A KR 20090077414 A KR20090077414 A KR 20090077414A KR 101112490 B1 KR101112490 B1 KR 10111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ain body
lock
unlock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833A (ko
Inventor
민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고
Priority to KR102009007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4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2003/005Supports or hold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bike re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와 연결되며 외부시설물의 플러그와 락킹을 위한 잠금헤드와, 본체와 잠금헤드를 연결하는 잠금줄을 포함하며, 잠금헤드의 언락이 본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플러그 구조가 간단해져 시설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는 잠금헤드에 마련되는 걸림해제부재 및 본체에 마련되는 당김부재와, 걸림해제부재와 당김부재를 연결하도록 잠금줄 내부에 마련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본체에서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잠금헤드의 걸림해제부재를 동작시켜 잠금헤드와 외부시설물의 플러그 간 락킹을 해제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electronic bicycl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자전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으로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는 자전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와 모터사이클과 같은 이륜차는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타인의 접근이 쉽고, 도로변에 일시적으로 주차할 경우 도난사고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륜차를 운행할 때 도난 방지를 위한 잠금장치를 일반적으로 휴대한다.
자전거 잠금장치는 보통 자물쇠 몸통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바퀴를 간이 거치대, 가로등, 가로수 등 주변 시설물에 묶어서 보관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자전거를 타려고 하면 열쇠를 이용하여 잠긴 상태의 와이어를 풀어서 사용한다.
기존 자전거 잠금장치는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을 처리하기 때문에, 열쇠를 분실할 우려가 있고 항시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등 파손에 취약하고 열쇠 파손 시 새로운 열쇠를 구입해야 한다. 이를 개선한 것으로 최근 열쇠가 필요없는 전자식 잠금장치가 개발 시판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여가 활동의 일환으로 자전거 타기가 생활 스포츠의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운행의 증가로 인한 만성적인 교통체증과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도심지에서 친환경적이고 교통상황에 따른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은 자전거 타기가 장려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정부나 지역 관할 관공서는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킬 목적으로 자전거 도로망의 정비 및 확대 작업과 병행하여 버스 터미널, 기차역, 백화점, 공공시설, 대규모 주택단지 등 대중이 이용하는 시설물 주변에 자전거를 대여 및 보관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전거 이용을 증대하는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스테이션에는 자전거 잠금장치의 잠금헤드(숫놈)와 결합하는 플러그(암놈)가 설치된다. 그런데, 현재의 잠금장치는 잠금헤드와 플러그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측에서 조작을 해야하며, 이는 결국 스테이션에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설비부품이 요구되며, 나아가 이것은 스테이션을 설치하는 지자체 등에 설치 비용이 증가되고, 또한 후속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시설물과 락킹되는 잠금장치의 잠금헤드 언락이 잠금장치의 본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와 연결되며 외부시설물과의 잠금을 위한 잠금헤드와, 본체와 잠금헤드를 연결하는 잠금줄을 포함하고, 잠금헤드의 언락은 본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상기 외부시설물은 탄성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헤드는 경사부와, 경사부에 연속해서 마련되는 단턱부와, 요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헤드와 외부시설물의 락킹은 상기 플러그의 걸림부재가 요홈부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상기 잠금헤드는 상기 경사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역경사부를 포함하는 걸림해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잠금헤드와 외부시설물의 언락 시 상기 걸림해제부재의 역경사부가 요홈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플러그의 걸림부재를 요홈부 밖으로 밀어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상기 본체는 상기 잠금헤드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한 언락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언락유닛은 상기 잠금헤드 또 는 상기 걸림해제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에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언락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언락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당기기 위해 승강하는 언락스위치와, 당김방향 변위를 높이방향 변위로 변환하는 제1,2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상기 본체는 상기 언락스위치의 승강을 제한하기 위한 락해제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상기 본체는 잠금헤드를 본체에 락킹하기 위한 플러그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는 잠금헤드와 외부시설물에 마련되는 스테이션의 플러그 간 락킹 해제를 본체의 언락유닛을 통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션의 플러그 구조가 간단해져 시설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는 언락유닛으로 잠금헤드에 마련되는 걸림해제부재 및 본체에 마련되는 당김부재와, 걸림해제부재와 당김부재를 연결하도록 잠금줄 내부에 마련되는 와이어를 구비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는 본체에도 잠금헤드와 체결될 수 있는 플러그유닛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도 락킹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본체 내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전거 잠금장치는 본체(10)와, 잠금헤드(20)와, 본체와 잠금헤드를 연결하는 잠금줄(3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자전거에 설치되며, 잠금장치가 전자식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각종 전장 부품이 실장된 회로기판(11)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함한다. 또한, 본체(10)는 잠금헤드(20)를 연결하는 잠금줄(30)을 외측에 포함하며, 내측에는 외부시설물과 락킹되어 있는 잠금헤드(20)를 본체(10)에서 언락하기 위한 언락유닛(40)과, 잠금헤드(20)를 본체(10)에 락킹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플러그유닛(50)을 포함한다. 언락유닛(40)과 플러그유닛(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잠금헤드(20)는 외부시설물과 체결됨으로써 잠금 동작이 행해지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시설물이란 종래기술에 기재한 스테이션을 일례로 들 수 있으며, 스테이션(도 1의 1)에는 잠금헤드(20)가 삽입됨으로써 락킹이 이루어지는 플러그(도 1의 2)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에는 탄성적으로 돌출 가능한 걸림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잠금헤드(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의 플러그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단에 마련되는 경사부(21)와, 경사부(21)에 연속해서 마련되는 단턱부(22)와, 플러그의 걸림부재가 걸리는 요홈부(23)를 포함한다. 따라서, 잠금헤 드(20)와 외부시설물의 플러그 간 락킹은 플러그의 걸림부재가 경사부(21)로부터 단턱부(22)를 지나 요홈부(23)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잠금헤드(20)에는 본체(10)의 언락유닛(40)과 연동되는 걸림해제부재(41)가 마련된다. 걸림해제부재(41)는 경사부(21)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역경사부(41a)를 포함한다. 걸림해제부재(41)는 언락유닛(40)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단턱부(22) 사이의 홈(24)에 위치하며, 언락유닛(40)이 동작하면 요홈부(23)로 돌출되면서 플러그의 걸림부재를 요홈부(23) 밖으로 밀어낸다. 단턱부(22)의 홈(24)에 위치하는 걸림해제부재(41)의 역경사부(41a)는 단턱부(22)의 직각 모서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걸림해제부재(41)는 잠금줄(30) 내부의 와이어(42)를 통해 본체(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요홈부(23)로의 돌출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부재(43)를 개재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마련되는 언락유닛(40)은 잠금헤드(20)의 걸림해제부재(41)를 동작시킨다. 이를 위해, 언락유닛(40)은 걸림해제부재(41)와 잠금줄(30)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와이어(42)와, 와이어(42)를 당기기 위한 당김부재를 포함한다. 당김부재로는 와인더 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당김부재는 제1롤러(44) 및 제2롤러(45)와 푸시스위치(46)를 포함한다. 와이어(42)의 당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제1롤러(44)와 제2롤러(45)는 와이어(42)의 당김방향 변위를 높이방향 변위로 전환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푸시스위치(46)의 누름(승강) 동작에 의해 와이어(42)의 당김이 이루 어지게 된다.
또한, 본체(10)는 잠금헤드(20)가 외부시설물의 플러그뿐만 아니라 본체(10)와도 락킹될 수 있도록 플러그유닛(50)을 포함한다. 플러그유닛(50)은 잠금헤드(20)가 결합되는 독킹박스(51)와, 독킹박스(51)에 결합된 잠금헤드(20)를 언락하기 위한 언락스위치(52)를 포함한다.
독킹박스(5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외부시설물의 플러그와 마찬가지로 걸림부재(53)를 포함하고 있다. 걸림부재(53)는 독킹박스(51)의 바닥면으로부터 탄성부재(54)를 개재하여 탄성 돌출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재(53)가 독킹박스(51)로 삽입되는 잠금헤드(20)의 요홈부(23)에 끼워지면서 잠금 동작이 이루어진다.
언락스위치(52)는 독킹박스(51)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동작 시 걸림부재(53)를 하강시켜 잠금헤드(20)의 요홈부(23)와 걸림부재(53)의 결합을 언락한다. 또한, 언락스위치(52)는 하부에 와이어(42)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어서, 동작 시 와이어(42)를 당기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언락스위치(52)가 언락유닛(40)의 푸시스위치(46)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에는 언락스위치(52)의 동작이 패스워드 입력 시에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락해제부재(55)가 마련된다. 락해제부제(55)는 모터(56)와 락바(57)로 이루어져, 모터(56)에 전원이 인가되면 락바(57)가 회동하면서 언락스위치(52)가 승강하는 것을 방해한다.
패스워드의 인식 및 모터(56)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은 본체(10) 내에 마련 되는 배터리(미도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식 또는 1회용 건전지가 모두 채용가능하다. 도 5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42a는 와이어(42)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장치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헤드(20)가 본체(10)의 플러그유닛(50)에 락킹 및 언락되는 동작을 일례로 예시하지만, 외부시설물의 플러그와 이루어지는 락킹 및 언락 동작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잠금헤드(20)가 플러그유닛(50)에 락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독킹박스(51)에 결합된 잠금헤드(20)의 요홈부(23)에는 독킹유닛(50)의 걸림부재(53)가 끼워져 있다.
또한, 락킹 상태에서는 락해제부재(55)의 락바(57)가 언락스위치(52)의 승강을 방지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잠금헤드(20)의 락킹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면, 먼저 락해제부재(55)가 모터(56)에 의해 회동하면서 락바(57)를 언락스위치(52)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언락스위치(52)를 누르면, 와이어(42)가 당겨지면서 잠금헤드(20)의 걸림해제부재(41)가 단턱부홈(24)로부터 요홈부(23)로 돌출되고, 그 결과 걸림부재(53)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면서 플러그유닛(5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잠금헤드(20)가 본체(10)의 플러그유닛(50)에 락킹된 경우에는 언락스위치(52)의 동작 시 걸림부재(53)도 같이 누르게 되므로, 잠금헤드(20)와 플러그유닛(50) 간의 언락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잠금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본체 20..잠금헤드
23..요홈부 30..잠금줄
40..언락유닛 41..걸림해제부재
41a..역경사부 42..와이어
46..푸시스위치 50..플러그유닛
51..독킹박스 52..언락스위치
53..걸림부재 55..락해제부제

Claims (7)

  1. 자전거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외부시설물과의 잠금을 위한 잠금헤드와,
    상기 본체와 잠금헤드를 연결하는 잠금줄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외부시설물에 락킹된 상기 잠금헤드를 언락시키기 위한 언락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헤드의 언락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언락유닛을 작동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시설물은 탄성적으로 돌출 가능한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헤드는 경사부와, 경사부에 연속해서 마련되는 단턱부와, 요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헤드와 외부시설물의 락킹은 상기 플러그의 걸림부재가 요홈부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헤드는 상기 경사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역경사부를 포함하는 걸림해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잠금헤드와 외부시설물의 언락 시 상기 걸림해제부재의 역경사부가 요홈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플러그의 걸림부재를 요홈부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언락유닛은 상기 잠금헤드 또는 상기 걸림해제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에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언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언락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당기기 위해 승강하는 언락스위치와, 당김방향 변위를 높이방향 변위로 변환하는 제1,2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언락스위치의 승강을 제한하기 위한 락해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잠금헤드를 본체에 락킹하기 위한 플러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KR1020090077414A 2009-08-21 2009-08-21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KR101112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14A KR101112490B1 (ko) 2009-08-21 2009-08-21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14A KR101112490B1 (ko) 2009-08-21 2009-08-21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33A KR20110019833A (ko) 2011-03-02
KR101112490B1 true KR101112490B1 (ko) 2012-02-24

Family

ID=4392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414A KR101112490B1 (ko) 2009-08-21 2009-08-21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4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801B1 (ko) 2015-02-25 2015-10-15 정태원 지문인식 자전거 잠금장치
CN107100448A (zh) * 2017-06-19 2017-08-29 舟山安特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遥控车锁及遥控锁车方法
WO2021074044A1 (de) * 2019-10-13 2021-04-22 WATERMAN Charging System GmbH Verbind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kleinfahrzeugs mit einer basis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949B1 (ko) * 2015-05-22 2017-03-29 변종섭 이동수단의 주차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035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자동차의 스노우 체인 후크
US5836002A (en) 1995-06-01 1998-11-10 Morstein; Jason Anti-theft device
JP2006035911A (ja) * 2004-07-22 2006-02-09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充電ケーブル装置、電動車両及び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KR100859925B1 (ko) 2007-03-27 2008-09-23 권혁숙 인도보호대를 이용한 자전거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002A (en) 1995-06-01 1998-11-10 Morstein; Jason Anti-theft device
KR970034035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자동차의 스노우 체인 후크
JP2006035911A (ja) * 2004-07-22 2006-02-09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充電ケーブル装置、電動車両及び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KR100859925B1 (ko) 2007-03-27 2008-09-23 권혁숙 인도보호대를 이용한 자전거 보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801B1 (ko) 2015-02-25 2015-10-15 정태원 지문인식 자전거 잠금장치
CN107100448A (zh) * 2017-06-19 2017-08-29 舟山安特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遥控车锁及遥控锁车方法
CN107100448B (zh) * 2017-06-19 2020-04-03 舟山安特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遥控车锁及遥控锁车方法
WO2021074044A1 (de) * 2019-10-13 2021-04-22 WATERMAN Charging System GmbH Verbind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kleinfahrzeugs mit einer basis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33A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490B1 (ko)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US9514588B2 (en) Modular vehicle system, electric vehicle and module for connecting to an electric vehicle
US9840855B2 (en) Bicycle parking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203601450U (zh) 自行车驻车锁
CN203391901U (zh) 一种锁具
CN201513006U (zh) 车辆引擎锁钥匙之钥匙防松脱装置
IT202000007990A1 (it) Stazione di posteggio con funzione di ricarica, per monopattini e biciclette elettrici e non elettrici
CN207790940U (zh) 一种车辆
US202304061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vehicles, a charging module for vehicles thereof and method for storing vehicles
CN203402313U (zh) 加强型电池盒防盗器
KR20120026281A (ko) 자전거 잠금용 거치대
KR100949577B1 (ko) 도난방지용 자전거 안전 주차장치
CN205530368U (zh) 一种电缆防盗井盖
WO2020233728A2 (zh) 隐藏式锁具
KR101383213B1 (ko)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CN104563675B (zh) 自行车驻车锁
CN201872821U (zh) 一种电动车后尾箱
KR101361169B1 (ko) 자전거 거치장치
CN205769729U (zh) 一种电动车电池防盗装置以及电动车座桶
CN202754064U (zh) 电动车遥控密码锁
CN201291935Y (zh) 电动自行车电池防盗装置
CN201235870Y (zh) 电动车电池盒防盗左侧锁板
CN201102523Y (zh) 电动车蓄电池外置式防盗装置
CN201329923Y (zh) 一种摩托车坐垫锁机构
CN211107787U (zh) 一种半棚车型锁紧把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