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437B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437B1
KR101111437B1 KR1020110093916A KR20110093916A KR101111437B1 KR 101111437 B1 KR101111437 B1 KR 101111437B1 KR 1020110093916 A KR1020110093916 A KR 1020110093916A KR 20110093916 A KR20110093916 A KR 20110093916A KR 101111437 B1 KR101111437 B1 KR 10111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yoke
attached
paper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유현
이도영
Original Assignee
범진아이엔디(주)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아이엔디(주),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진아이엔디(주)
Priority to KR102011009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크가 결합되는 프레임의 하면에서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제반 부품을 조립하며 더스트캡과 콘페이퍼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및 제작이 간편해지면서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피커는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게 폐쇄된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요크와; 상기 요크가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관통공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되는 요크 결합부와; 상기 요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면에 외측단이 부착되는 댐퍼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넷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댐퍼의 내측단에 부착되는 보이스코일과; 상기 단턱을 따라 부착되는 엣지와;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엣지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보이스코일의 상단에 대응하여 중앙에 더스트캡이 일체로 형성되는 콘페이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크가 결합되는 프레임의 하면에서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제반 부품을 조립하며 더스트캡과 콘페이퍼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및 제작이 간편해지면서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speaker)는 전기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시켜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음파를 방출하는 음향 장치이다.
근래에 들어 LCD TV, PDP TV, LCD 모니터 등의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및 슬림화에 따라 두께가 얇으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좁은 저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가 요구되고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량 생산에 발맞춰 대량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스피커의 생산 시간 단축과 조립성 및 생산성의 향상이 본 기술분야에서 향상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피커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스피커의 제조 과정은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프레임(100)의 하단에 요크(200)를 장착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200)의 내부에 마그넷(300)과 플레이트(400)를 접착제로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요크(200)와 마그넷(300) 및 플레이트(400)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한 상태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400)에 관형의 조립 지그(1000)를 끼워 넣는다.
그 다음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 지그(1000)의 외주면에 보이스코일(500)을 끼워 넣고, 상기 보이스코일(500)의 외주면과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면 사이에 댐퍼(600)를 접착제로 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 내측에 엣지(700)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엣지(700)의 내측단과 상기 보이스코일(500)의 상단 둘레에 콘페이퍼(800)를 접착제로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 지그(1000)가 설치된 상태로 접착 부위에 도포된 접착제가 건조되도록 1차적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1차 건조가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 지그(1000)를 분리하고 상기 콘페이퍼(800)의 상면 중앙에 더스트캡(900)을 접착제로 부착하게 되고, 접착제가 건조되도록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2차 건조를 수행하여 스피커를 완성한다.
즉, 종래의 스피커 제조 과정은 상기 프레임(100)에 요크(200)와 마그넷(300) 및 플레이트(4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립 지그(1000)를 설치하고, 이와 같이 상기 조립 지그(100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보이스코일(500)과 댐퍼(600) 및 엣지(700)와 콘페이퍼(800)를 설치한 후에 1차 건조를 시키게 되고, 1차 건조가 마무리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 지그(1000)를 분리하고 상기 콘페이퍼(800)에 상기 더스트캡(900)을 부착한 다음에 2차 건조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스피커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상기 조립 지그가 제조 시에 사용됨으로써, 상기 엣지에 상기 콘페이퍼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조립 지그를 제거하고 상기 콘페이퍼의 통공에 상기 더스트캡을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요크가 결합되는 프레임의 하면에서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제반 부품을 조립하며 더스트캡과 콘페이퍼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및 제작이 간편해지면서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콘페이퍼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보이스코일에 대한 콘페이퍼의 조립과 접착이 원활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요크 결합부를 형성하여 요크와 조립 지그가 프레임의 하면에 원활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페이퍼의 삽입홈의 둘레로 절곡부를 형성하여 콘페이퍼의 내측단과 더스트캡이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여 콘페이퍼로 보이스코일에 의한 진동력의 전달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에 고정링을 부착하여 프레임에 대한 엣지의 고정력과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게 폐쇄된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요크와; 상기 요크가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관통공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되는 요크 결합부와; 상기 요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면에 외측단이 부착되는 댐퍼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넷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댐퍼의 내측단에 부착되는 보이스코일과; 상기 단턱을 따라 부착되는 엣지와;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엣지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보이스코일의 상단에 대응하여 중앙에 더스트캡이 일체로 형성되는 콘페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콘페이퍼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더스트캡의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상기 요크 결합부는, 상기 관통공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크의 상단이 밀착되는 밀착면과, 상기 요크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면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상기 콘페이퍼는, 상기 더스트캡과 상기 콘페이퍼의 내측단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외측 둘레로 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엣지의 외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단턱을 따라 상기 엣지의 외측단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요크가 결합되는 프레임의 하면에서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제반 부품을 조립하며 더스트캡과 콘페이퍼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피커의 조립 및 제작이 간편해지고, 스피커의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며, 콘페이퍼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보이스코일에 대한 콘페이퍼의 조립과 접착이 원활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요크 결합부를 형성하여 요크 결합부의 제작이 간편하고, 요크와 조립 지그가 프레임의 하면에 원활히 결합될 수 있어 조립 및 설치상의 간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콘페이퍼의 삽입홈의 둘레로 절곡부를 형성하여 콘페이퍼의 내측단과 더스트캡이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여 콘페이퍼로 보이스코일에 의한 진동력의 전달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음향의 출력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고정링을 부착하여 프레임에 대한 엣지의 고정력과 지지력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콘페이퍼의 진동에 의해 프레임에서 엣지가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불량의 발생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요부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제조 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종래의 스피커의 제조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요크(20)와,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요크 결합부(30)와, 상기 요크(20)에 설치되는 마그넷(40)과, 상기 마그넷(40)에 부착되는 플레이트(50)와,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댐퍼(60)와, 상기 댐퍼(60)의 내측에 부착되는 보이스코일(7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부착되는 엣지(80)와, 상기 엣지(80)와 보이스코일(70)에 부착되는 콘페이퍼(9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장방형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게 폐쇄된 하부에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상단 내측 둘레에 단턱(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제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11)은 상기 요크(20)에 대응하여 상기 보이스코일(70)이 관통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고, 상기 단턱(12)은 상기 엣지(80)가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정밀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 공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단턱(12)을 따라 상기 엣지(80)의 외측단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링(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링(13)은 상기 엣지(80)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엣지(80)의 고정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요크(2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11)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넷(40)과 플레이트(5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요크 결합부(30)는 상기 관통공(11)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요크(20) 또는 조립 지그가 상기 관통공(11)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요크 결합부(30)는 상기 관통공(11)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크(20)의 상단이 밀착되는 밀착면(31)과, 상기 요크(20)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면(31)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32)을 포함한다.
상기 밀착면(31)은 상기 요크(20) 또는 조립 지그의 상면이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턱(32)은 상기 요크(20)의 상단 또는 조립 지그의 상단이 상기 밀착면(31)으로 정확하게 유도되도록 하면서 상기 요크(20)의 상단 또는 조립 지그의 상단이 상기 밀착면(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그넷(40)은 상기 요크(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이스코일(70)에 발생된 자기장에 대응하여 인력 및 척력과 같은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보이스코일(70)이 상하로 진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50)는 상기 마그넷(4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넷(40)의 자력을 수직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댐퍼(60)는 상기 관통공(11)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하면에 외측단이 부착되고 내측단이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대응하여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이스코일(70)은 상기 플레이트(50)와 상기 마그넷(4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댐퍼(60)의 내측단에 부착되고 원통형의 보빈에 코일이 감겨진 것으로, +/-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전자석이 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상기 마그넷(40)과 상호 작용으로 상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엣지(80)는 상기 단턱(12)을 따라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대응하여 상기 콘페이퍼(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페이퍼(90)는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엣지(80)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상단에 대응하여 중앙에 더스트캡(9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상하 진동에 따라 진동되면서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더스트캡(91)은 상기 콘페이퍼(90)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콘페이퍼(90)에 별도로 상기 더스트캡(91)을 부착하는 공정이 제거되어 본 스피커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콘페이퍼(90)는 상기 더스트캡(91)의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홈(9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92)은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콘페이퍼(90)에 대한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조립 및 부착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콘페이퍼(90)는 상기 삽입홈(92)의 외측 둘레로 형성되는 절곡부(9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93)는 상기 더스트캡(91)과 상기 콘페이퍼(90)의 내측단이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에 의해 상기 콘페이퍼(90)로 상기 보이스코일(70)에 의한 진동력의 전달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음향의 출력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스피커는 상기 요크(20)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서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제반 부품을 조립하며 상기 더스트캡(91)과 콘페이퍼(9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및 제작이 간편해지면서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제조 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면(31)과 지지턱(32)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요크 결합부(30)는 상기 관통공(11)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32)은 상기 요크(2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요크(2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 결합부(30)는 본 스피커의 조립 시에 조립 지그(A)가 결합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조립 지그(A)가 상기 관통공(11)에 관통되게 상기 요크 결합부(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 지그(A)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조립 지그(A)에 상기 보이스코일(70)이 끼워지고,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외주면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면 사이에 상기 댐퍼(6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상기 엣지(80)가 부착되고, 상기 엣지(80)의 내측단과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상단에 상기 더스트캡(91)이 일체로 형성된 상기 콘페이퍼(90)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제반 부품이 조립 및 부착된 상태로 상기 조립 지그(A)를 상기 프레임(10)에서 분리한 후에 상기 마그넷(40)과 플레이트(50)가 설치된 상기 요크(20)를 상기 요크 결합부(30)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스피커의 조립이 완료된다(도 3 및 도 4 참조).
따라서, 상기 요크 결합부(30)는 상기 요크(20)가 끼워져 상기 프레임(10)에 요크(20)가 결합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본 스피커의 조립 및 제조 시에 상기 조립 지그(A)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요크 결합부(30)에 의해 상기 조립 지그(A)가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조립 지그(A)가 상기 콘페이퍼(90)를 관통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 지그(A)가 상기 콘페이퍼(90)를 관통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콘페이퍼(90)의 중앙이 밀폐되게, 즉 상기 콘페이퍼(90)의 중앙에 상기 더스트캡(9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관통공 12 : 단턱
13 : 고정링
20 : 요크
30 : 요크 결합부
31 : 밀착면 32 : 지지턱
40 : 마그넷
50 : 플레이트
60 : 댐퍼
70 : 보이스코일
80 : 엣지
90 : 콘페이퍼
91 : 더스트캡 92 : 삽입홈
93 : 절곡부
A : 조립 지그

Claims (5)

  1.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게 폐쇄된 하부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 둘레에 단턱(12)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10)과;
    상기 관통공(11)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요크(20)와;
    상기 요크(20)가 상기 관통공(11)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관통공(11)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요크 결합부(30)와;
    상기 요크(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넷(40)과;
    상기 마그넷(40)의 상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50)와;
    상기 관통공(11)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하면에 외측단이 부착되는 댐퍼(60)와;
    상기 플레이트(50)와 상기 마그넷(4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댐퍼(60)의 내측단에 부착되는 보이스코일(70)과;
    상기 단턱(12)을 따라 부착되는 엣지(80)와;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엣지(80)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상단에 대응하여 중앙에 더스트캡(91)이 일체로 형성되는 콘페이퍼(90)를; 포함하며,
    상기 콘페이퍼(90)는,
    상기 보이스코일(7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더스트캡(91)의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홈(9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결합부(30)는,
    상기 관통공(11)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크(20)의 상단이 밀착되는 밀착면(31)과,
    상기 요크(20)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면(31)의 둘레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페이퍼(90)는,
    상기 더스트캡(91)과 상기 콘페이퍼(90)의 내측단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92)의 외측 둘레로 형성되는 절곡부(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엣지(80)의 외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단턱(12)을 따라 상기 엣지(80)의 외측단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링(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110093916A 2011-09-19 2011-09-19 스피커 KR10111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916A KR101111437B1 (ko) 2011-09-19 2011-09-19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916A KR101111437B1 (ko) 2011-09-19 2011-09-19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437B1 true KR101111437B1 (ko) 2012-02-15

Family

ID=4584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916A KR101111437B1 (ko) 2011-09-19 2011-09-19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4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2198A (ja) * 1982-03-19 1983-09-26 Sanyo Electric Co Ltd スピ−カの組立方法
KR930001947Y1 (ko) * 1988-03-31 1993-04-17 삼성전기 주식회사 일체로된 진동판과 더스트캡(dust cap)을 갖춘 스피커
KR19990038186A (ko) * 1997-11-04 1999-06-05 전주범 평면진동판을 갖는 스피커
JP2008035055A (ja) * 2006-07-27 2008-02-1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導電型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2198A (ja) * 1982-03-19 1983-09-26 Sanyo Electric Co Ltd スピ−カの組立方法
KR930001947Y1 (ko) * 1988-03-31 1993-04-17 삼성전기 주식회사 일체로된 진동판과 더스트캡(dust cap)을 갖춘 스피커
KR19990038186A (ko) * 1997-11-04 1999-06-05 전주범 평면진동판을 갖는 스피커
JP2008035055A (ja) * 2006-07-27 2008-02-1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導電型スピー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235B1 (ko) 슬림형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187510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KR101000757B1 (ko) 선형 진동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JP6142410B2 (ja) 低音特性と音圧を向上させた超薄型スピーカー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ーユニットが組み立てられたボード
US8041070B2 (en) Speaker
KR101586766B1 (ko) 스피커
US7899202B2 (en) Loudspeaker with cone-coupled damper
CN105120409A (zh) 扬声器
KR101600790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1169381B1 (ko) 스피커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조립 지그
KR101111437B1 (ko) 스피커
KR101834304B1 (ko) 고성능 초슬림 스피커 구조 및 스피커 제조 방법
KR101808585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2228315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KR101197917B1 (ko) 저음특성과 음압을 향상시킨 초박형 스피커유니트
KR101238567B1 (ko) 조립구조와 기능이 개선된 초박형 스피커 유닛.
JP2012044575A (ja) 動電型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治具、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179893B1 (ko) 스피커
CN209057360U (zh) 一种振动组件、扬声器和音箱
KR101870608B1 (ko) 슬림형 스피커
KR20170124708A (ko) 소형 스피커 유닛
CN110351640A (zh) 一种防尘帽组件及超薄喇叭
KR101870609B1 (ko) 슬림형 스피커용 진동부 어셈블리
KR101100256B1 (ko) 스피커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조립 지그
KR101759181B1 (ko) 스피커용 진동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