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218B1 -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1218B1 KR101111218B1 KR1020080080779A KR20080080779A KR101111218B1 KR 101111218 B1 KR101111218 B1 KR 101111218B1 KR 1020080080779 A KR1020080080779 A KR 1020080080779A KR 20080080779 A KR20080080779 A KR 20080080779A KR 101111218 B1 KR101111218 B1 KR 1011112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ity
- period
- representative
- section
- us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18 data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실시간적으로 활동 프로그램의 피드백이 가능한 생활습관 교정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제1활동패턴 결정주기마다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을 분석하여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제1결정주기와 다른 제2결정주기로 결정주기를 설정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설정된 제2결정주기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참조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피드백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제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에서 결정주기를 다른 정적활동구간에 비하여 짧게 설정함으로써 활동패턴에 보다 적응적인 피드백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생활 습관을 교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를 보다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8-0011270호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선출하였다.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는 것은 필연적인 현상이다. 지금까지 의료 기술의 발달이 인간의 평균 수명 증가를 견인했다면, 이제는 운동이나 식습관 개선을 통해서 건강수명을 연장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사회구조로 인해 현대인들은 충분한 운동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착안하여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기존의 건강관리 시스템은 개인의 신상정보, 문진결과, 음식물 섭취상태, 섭취 칼로리, 체력 측정, 생체 신호, 일일 운동량 및 칼로리 소모량의 측정 등 많은 정보를 입력받거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 법은 너무나 많은 데이터를 요구함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데 거부감이 클 뿐만 아니라 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입력정보가 없으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장비의 가격에 따라 시스템 구현 단가도 높아져 대중화가 어려웠고 시스템의 크기가 커져 높은 휴대성을 가지지 못했다는 것도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결국 분석 시스템이 훌륭해도 필요한 데이터가 제대로 혹은 지속적으로 입력되지 않아 근본적으로 정확한 건강관리가 불가능했으며, 사용자 편의성이 낮았으며 시스템 구현 장치가 커지고 가격이 증대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한국 특허 등록 0431923호는 신체 정보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발명에 대해 "이용자의 신체 정보와 생활패턴을 종합평가하여 각 이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복수의 다이어트 정보를 제공"한다고 언급하고 있으나, 발명의 내용에 있어 생활패턴의 정의를 내리고 있지 않을 뿐더러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특성만을 근거로 운동 처방 등을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토대로 다이어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정보 제공이 용이하지 않다.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한 건강관리 방법 및 장치(한국 특허 등록 0682900호)가 등록된 바 있으나, 상기 건강관리 방법 및 장치는 생활패턴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불편함이 있고, 건강관리 피드백 정보의 제공 주기가 명확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건강관리 피드백을 일일별로 제공한 것에 불과하여 사용자가 활동을 할 수 있는 시점에 피드백이 제공되어 활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생활 패턴을 고려한 건강관리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결국 지금까지 제시되어 온 건강관리 방법 및 장치는 지나친 건강관련 데이터들의 입력요구로 사용상 불편하고, 이를 자동입력수단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센서부품과 관련 소프트웨어의 추가로 인하여 제품 가격이 상승하여 대중화가 곤란하였으며 그나마 실시간적으로 피드백 되지 못하고 사후 확인하는 방식이므로 실제 교정 프로그램대로 사용자가 따라하는 순응도가 떨어져서 교정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센싱주기를 고정하여 놓고 그때의 동작센서의 신호강도를 판단하여, 활동적, 매우 활동적, 정적으로 구분하거나, 고정된 주기동안의 패턴을 나름대로의 알고리즘을 가지고 패턴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옴론의 만보계 및 이에 연동되는 PC용 SW는 시간대별로 행동패턴을 구분하여 사용자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여 주는 데, 사용자들은 정작 그 데이타를 보고 큰 의미를 찾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들어 아침출근. 점심 이동시간, 저녁 이동 시간 정도만이 활동레벨이 올라가 있을 뿐이다. 본인이 보면 다 아는 생활패턴을 대충 보여주는 수준이고, 원격으로 이런 데이터들을 받아서 데이터 마이닝을 하거나, 직접 건강관리자가 보더라도 사용자들이 실감나게 생활습관을 변화시켜 줄만한 피드백을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이 사실이다.
또한 바디 미디어의 경우에는 24시간을 분 단위로 나누어 생활패턴을 단순히 보여주고 있어, 이를 응용하여 올바른 효과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방법론은 개진되어 있지 않으며, 데이타를 분석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동작패턴(이벤트)을 저장할 수도 있으나, 이는 그 데이터가 너무 방대하여 측정장치 혼자서는 분석하기가 어렵고 단말 디바이스가 고가의 장비가 되게 되어있으며,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통신 정보량이 커져서 대중화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고, 이러한 모든 데이타를 취합하여 트렌드를 분석하는 서버에서도 이들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 관리하는 데 무리가 따르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에서 해당 활동구간의 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함에 있어서 보다 적응적인 피드백이 요구되는 동적활동구간에서는 다른 정적활동구간에 대비하여 활동패턴 결정주기를 보다 짧게 가져감으로서 교정 효과가 뛰어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사용자의 일일 생활패턴에 적응된 습관 교정 프로그램의 제시가 가능하므로 매우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 내의 활동감지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을 분석하여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설정된 결정주기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참조하여 활동프로그램 생성부에서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의 설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동적활동구간에서의 결정주기가 정정활동구간에서의 결정주기보다 더 짧게 설정되므로 보다 많은 대표활동패턴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발생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에서 결정주기로 발생된 대표활동패턴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부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부에서 서버로부터 동적활동 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에 활동 프로그램정보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동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정적활동ㄷ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방법은 서버의 송수신부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일정 결정주기마다 수신하는 단계와, 서버의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수신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적 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서버의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와, 서버의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서버의 송수신부에서 시작시점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대표활동패턴을 일정 결정주기마다 발생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대표활동패턴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부에서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의 송수신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수신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당일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서버의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와, 서버의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생성된 당일 시작시점과 동일한 익일 시간이 되면 생성된 활동 프로그램 정보와 결정주기 설정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활동 감지부와, 활동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을 분석하여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의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시작시점 검출부와,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설정된 결정주기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참조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와, 활동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작시점 검출부는 활동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모듈과, 발생된 이벤트를 기초하여 주어진 결정주기마다 대표 활동패턴을 결정하는 결정모듈과,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결정주기를 설정하여 결정모듈에 제공하는 결정주기 선택모듈과, 대표 활동패턴이 결정될 때마다 대응하는 소모 칼로리를 누산하는 누산모듈과, 누산모듈의 누산치와 목표치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산출모듈과,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에 기초한 평가구간별 활동량 평균치와 비교하여 평균치 보다 크게 활동량이 변동하는 평가구간을 시작시점으로 검출하는 검출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활동패턴을 발생하는 가속도센서와, 대표활동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저장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동적 생활 활동 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활동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활동메시지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검출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송수신부를 통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에 활동 프로그램정보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동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서버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생성된 시작시점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부와, 수신된 대표활동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시작시점 검출부와,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저장하고,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된 대표활동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당일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생성된 당일 시작시점과 동일한 익일 시간이 되면 생성된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의 설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동적활동구간에서의 결정주기가 정정활동구간에서의 결정주기보다 더 짧게 설정되므로 보다 많은 대표활동패턴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발생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에서 결정주기로 발생된 대표활동패턴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부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부에서 서버로부터 동적활동 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에 활동 프로그램정보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동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정적활동ㄷ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방법은 서버의 송수신부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일정 결정주기마다 수신하는 단계와, 서버의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수신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적 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서버의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와, 서버의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서버의 송수신부에서 시작시점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대표활동패턴을 일정 결정주기마다 발생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대표활동패턴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부에서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의 송수신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수신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당일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서버의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와, 서버의 시작시점 검출부에서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생성된 당일 시작시점과 동일한 익일 시간이 되면 생성된 활동 프로그램 정보와 결정주기 설정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활동 감지부와, 활동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을 분석하여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의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시작시점 검출부와,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설정된 결정주기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참조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와, 활동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작시점 검출부는 활동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모듈과, 발생된 이벤트를 기초하여 주어진 결정주기마다 대표 활동패턴을 결정하는 결정모듈과,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결정주기를 설정하여 결정모듈에 제공하는 결정주기 선택모듈과, 대표 활동패턴이 결정될 때마다 대응하는 소모 칼로리를 누산하는 누산모듈과, 누산모듈의 누산치와 목표치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산출모듈과,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에 기초한 평가구간별 활동량 평균치와 비교하여 평균치 보다 크게 활동량이 변동하는 평가구간을 시작시점으로 검출하는 검출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활동패턴을 발생하는 가속도센서와, 대표활동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저장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동적 생활 활동 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활동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활동메시지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검출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송수신부를 통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에 활동 프로그램정보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동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서버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생성된 시작시점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부와, 수신된 대표활동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시작시점 검출부와,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저장하고,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된 대표활동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당일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생성된 당일 시작시점과 동일한 익일 시간이 되면 생성된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개선된 생활 습관 교정 장치는 사용자들의 활동패턴의 변화가 다양한 시간대나 사용자 또는 건강관리자가 집중적으로 분석할 시간대에만 활동패턴 결정주기를 짧게 가져가서 사용자들의 활동패턴을 구체적으로 받고, 그렇지 않은 시간대에는 활동패턴 결정주기를 길게 가져가서 불필요한 데이터 량을 줄임으로서 장치 및 시스템의 사이즈를 작게 가져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실시예1(스탠드 얼론 타입)
본 발명의 스탠드 얼론 타입은 휴대용 사이즈로 예를들면 전자 만보기, 휴대용 전자 혈압계, MP3 플레이어, PMP, DMB 수신기, 휴대용 라디오, 또는 휴대폰 등과 결합되거나 독립적인 휴대용 전자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얼론 타입 생활습관 교정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1의 장치(100)는 활동 감지부(110), 시작시점 검출부(120),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한다.
활동 감지부(110)는 기울기 센서, 2축 또는 3축 가속도계 센서로 구성된다. 활동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활동패턴정보로 출력한다. 보다 더 정확한 활동패턴을 감지하기 위하여 지자계 센서나 각속도 센서등과 결합될 수 있다.
시작시점 검출부(120)는 감지된 활동패턴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130)는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검출된 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시작시점 검출부(120)와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130)는 ASIC 칩 상에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생성된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액정 표시부), 청각(스피커) 또는 촉각(진동발생기) 등으로 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 뿐만 아니라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시작시점 검출부(12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상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작시점 검출부(120)는 이벤트 발생모듈(122), 결정모듈(124), 결정주기 선택모듈(125), 누산모듈(126), 산출모듈(128), 검출모듈(129) 을 포함한다.
이벤트 발생모듈(122)은 활동 감지부(110)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를 가속도 신호의 중력방향성분과 수평방향성분에 의해 활동패턴, 즉 천천히 걷기(slow walk), 걷기(walk), 빨리 걷기(fast walk), 달리기(run), 계단 오르기(step up), 계단 내려오기(step down) 등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활동패턴이 판단될 때마다 대응하는 이벤트를 발생한다. 도 3은 가속도 신호의 중력방향 성분의 강도 대 주파수 관계에 의한 활동패턴을 나타내고, 도 4는 가속도 신호의 수평방향 성분의 강도 대 주파수 관계에 의한 활동패턴을 나타낸다. 가속도 신호를 분석하여 활동패턴을 판단하는 기술은 본 발명자가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601981호에 개시된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결정모듈(124)은 발생된 이벤트를 기초하여 주어진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한다. 예컨대 결정주기 동안 발생된 이벤트들을 각 활동패턴 이벤트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이벤트들의 결정주기 동안 총 시간의 합을 구하여 서로 비교하여 가장 큰 이벤트를 해당 결정주기의 대표활동패턴으로 결정한다. 가장 크면서 동일한 이벤트가 존재할 경우에는 소모 칼로리가 큰 활동패턴을 대표활동패턴으로 결정한다. 예컨대 걷기 활동패턴에 대응하는 이벤트 합산값이 뛰기 활동패턴에 대응하는 이벤트 합산값과 동일한 경우에는 소모 칼로리가 더 많은 뛰기 활동패턴이 대표활동패턴으로 결정된다.
도 5a는 결정주기 1분을 설정한 경우에 결정수단(124)에 의해 결정된 일일 시간대별 대표활동패턴의 일예를 나타내고 도 5b는 결정주기 10분을 설정한 경우에 결정모듈(124)에 의해 결정된 일일 시간대별 대표활동패턴의 일예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결정주기가 짧으면 보다 세분화된 대표활동패턴들이 얻어지게 되므로 활동량 측정이 보다 정확해진다. 그러나 얻어진 대표활동패턴의 데이터량이 증가되므로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부담이 증가되고 이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반대로 결정주기가 길어지면 처리하여야 할 데이터 량이 감소되므로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부담은 경감되지만 활동량 측정의 오차가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시스템 설계자는 설계 사양에 따라 양자들 사이에서 절충할 수밖에 없다.
결정주기 선택모듈(125)은 선택제어신호(SC)에 응답하여 선택된 결정주기를 결정모듈(124)에 전달한다. 결정주기 선택모듈(125)에서는 피드백을 위하여 활동량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 동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를 짧게 선택하고 큰 변화가 없는 정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를 길게 선택한다. 그러므로 적정한 시스템의 설계 사양 내에서 최적의 활동량 판단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선택제어신호(SC)는 사용자나 건강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제어신호(SC)는 시작시점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 즉 시작시점 검출신호가 발생되었다는 것은 동적활동구간이므로 피드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구간이므로 결정주기가 짧게 선택되도록 제어되며, 동적활동기간이 아닌 정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가 길게 선택되도록 제어된다.
결정주기 선택모듈(125)은 선택제어신호(SC)에 응답하여 선택된 결정주기를 결정모듈(124)에 전달한다. 결정주기 선택모듈(125)에서는 피드백을 위하여 활동량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 동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를 짧게 선택하고 큰 변화가 없는 정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를 길게 선택한다. 그러므로 적정한 시스템의 설계 사양 내에서 최적의 활동량 판단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선택제어신호(SC)는 사용자나 건강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제어신호(SC)는 시작시점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 즉 시작시점 검출신호가 발생되었다는 것은 동적활동구간이므로 피드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구간이므로 결정주기가 짧게 선택되도록 제어되며, 동적활동기간이 아닌 정적활동구간에서는 결정주기가 길게 선택되도록 제어된다.
삭제
누산모듈(126)은 대표 활동패턴에 대응하는 소모 칼로리, 예컨대 휴식은 10칼로리, 천천히 걷기는 50칼로리, 걷기는 70칼로리, 빨리 걷기는 100칼로리, 뛰기는 200칼로리 등으로 작성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실시간으로 소모 칼로리를 누산하여 누산치를 발생한다.
도 6은 일일 시간대별 활동패턴에 대응하는 각 소모 칼로리(가는 실선)와 목표치(가는 점선), 누산치(굵은 실선)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산출모듈(128)에서는 누산치와 목표치를 비교하여 도 6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표준 운동 지표는 사용자의 표준 체중 및 사용자의 일일 목표 권장 소모 칼로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40세의 남성으로 키가 172cm, 체중이 70Kg이라고 하면, 표준체중은 66.24Kg이고 비만도는 10.57%로서 과체중에 해당한다. 따라서 경도의 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기초대사량의 70% 정도를 더한 2856Kcal가 일일 권장 활동 소모 칼로리가 된다. 일일 시간대별 소모 칼로리량에 의할 때 하루 운동 소모 칼로리가 565Kcal로 측정되었으므로 기초대사량 1680Kcal를 제하고 611Kcal가 일일 목표 권장 소모 칼로리라고 개인 표준 운동 지표가 생성된다.
검출모듈(129)은 결정된 대표 활동패턴들에 기초한 평가구간별 활동량, 예컨대 휴식은 1, 천천히 걷기는 2, 걷기는 3, 빨리 걷기는 4, 뛰기는 5 등의 가중치를 합산하여 평균하여 각 평가구간별 평균치를 구하고 구해진 이전 평가구간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평균치 보다 크게 활동량이 변동하는 평가구간을 시작시점 또는 종료시점으로 검출한다. 급격하게 변하면서 증가하면 시작시점이고 급격하게 변하면서 감소하면 종료시점으로 검출한다.
도 7은 검출모듈(129)의 검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현재 t4 평가구간에서 활동량 평균치 A(t4)를 이전 t3 평가구간에서의 활동량 평균치 A(t3)와 비교하여 150% 이상(문턱값)으로 급격하게 변동할 경우에는 동적활동구간, 예컨대 이동구간이나 운동구간의 시작점으로 인식하여 t4 구간을 시작시점으로 검출한다. 또는 현재 시점에서 일주일, 이주일, 한달 등의 일정한 기간동안의 시간대별 활동량 평균치와 현재 평가구간(t4)에서의 활동량 평균치를 비교하여 시작 시점을 검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검출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 또는 건강관리자가 활동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결정주기 값을 입력한 경우이다.
전원이 투입되면 결정주기 선택모듈(125)에서는 현재시간을 측정하고(S102) 현재 시간을 선택제어신호(SC)로 입력하여 결정주기(P1)를 선택한다(S104). 현재 시간이 피드백이 요구되는 동적활동구간이면 짧은 결정주기가 선택되고 수업시간, 근무시간 또는 취침시간과 같이 정적 활동구간이면 긴 결정주기가 선택된다.
이벤트 발생모듈(122)에서는 파라미터 T값을 초기값으로 하고(S106) 활동감지부(110)의 감지신호를 획득하고(S108) 활동패턴을 판별하여 이벤트를 발생한다(S110). 결정모듈(124)에서는 파라미터 T의 값이 결정주기(P1)보다 큰지를 체크하고(S112) 크지 않으면 판별된 활동패턴을 패턴종류별로 저장하고(S114). 106단계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결정주기 동안 파라미터 T 값을 증가시키면서 활동패턴을 판별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112단계에서 파라미터 T의 값이 결정주기(P1)보다 크면 결정주기(P1) 내의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한다(S116). 결정주기(P1)의 대표활동패턴이 결정되면 이를 저장하고(S118) 그 동안 결정주기 동안 저장된 활동패턴 데이터들은 삭제한다(S120).
누산모듈(126)에서는 110단계에서 활동패턴별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고(S122) 기존의 칼로리 소모량에 합산한다(S124). 산출모듈(128)에서는 결정주기를 체크하고(S126) 결정주기가 지나면 결정 주기별 총 소모 칼로리량을 결정하고(S128) 결정주기별 소모 칼로리량을 저장한다(S130).
그러므로 결정주기마다 대표활동패턴과 총소모 칼로리량이 저장된다.
도 9는 자동으로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흐름도이다. 검출모듈(129)에서는 초기에 긴 결정주기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결정주기 선택모듈(125)에 제공하고(S132)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이 검출되면(S134) 짧은 결정주기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결정주기 선택모듈(125)에 제공한다(S136). 136단계에서 검출모듈(129)은 동적 활동구간의 종료시점이 검출되면(S138) 132단계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동적활동구간의 검출에 응답하여 동적 활동구간에서는 짧은 결정주기가 선택되고, 그 외의 정적활동구간에서는 긴 결정주기가 선택된다.
도 10은 결정주기를 10분의 경우와 결정주기 1분의 경우에 대하여 6시 01분부터 6시 20분까지 20분동안 대표활동패턴의 변화를 비교한 도면이다. 즉, 결정주기 10분의 경우에는 20분동안 단 2개의 대표 활동패턴만이 데이터로 얻어지고 결정주기 1분의 경우 20개의 대표 활동패턴이 얻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결정주기가 긴 경우에는 데이터 량은 줄어들지만 정확한 활동을 분석할 수 없으나 결정주기가 짧은 경우에는 보통으로 걷다가 약 3분간 느리게 걷는 활동상태까지 분석가능하다. 그러나 저장되는 데이터는 20개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짧은 결정주기를 동적활동구간에 적용함으로써 피드백시 현재 활동상태에 적합한 피드백을 줄 수 있으므로 습관 교정에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보다 짧은 결정주기를 동적활동구간에 적용함으로써 피드백시 현재 활동상태에 적합한 피드백을 줄 수 있으므로 습관 교정에 더욱 효과적이다.
삭제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일일 활동 스케줄을 참작하여 상기 검출된 시작시점이 스케줄 상의 활동구간의 시작시각과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대응하는 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오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규칙적인 생활패턴에서 벗어났음을 경고한다.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130)는 검출된 시작시점에 응답하여 도 11에 작성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모 칼로리 차이값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교정 메시지를 음성, 문자, 이미지 또는 진동 등으로 생성한다. 예컨대, "현재 시각 오후 6시 퇴근 이동구간에서 목표치에 비해 200칼로리가 부족하므로 지하철을 이용하여 퇴근하시기 바랍니다."라는 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도 5b의 일일 시간대별 대표활동패턴들 중 04시 31분부터 12시31분까지 활동구간과 일일 스케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활동구간은 활동상태의 지속시간이나 소모 칼로리량의 누적치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어, 5분 이상 천천히 걷기 이상의 활동상태가 지속되거나 연이은 칼로리 소모량의 합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를 동적활동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지속시간과 소모 칼로리량의 누적치의 기준은 달리 정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총 7개의 동적활동구간(203, 205, 207, 209, 211, 213, 215)과 8개의 정적활동구간(202, 204, 206, 208, 210, 212, 214, 216)을 가진다. 사용자가 복수의 활동개소로 집, 직장 및 헬스클럽을 입력하였다고 한다면, 활동구간의 지속시간, 제 1 활동구간의 종료시간과 제 2 활동구간의 시작시간의 차이 및 활동구간의 시간을 토대로 활동개소들에서의 활동구간인지, 활동개소들 사이를 이동하는 활동구간인지를 결정한다. 활동이 시작되기 전 아침(202)에는 집(220), 빨리 걷기의 활동상태가 오래 지속된 구간(207)은 헬스클럽(224), 오랫동안 정적 활동구간이 지속된 구간(212)은 직장(228, 232)이라고 유추하여 결정한다. 그 이외의 구간은 우선 활동개소들 사이를 이동하는 활동구간(222, 226, 230)이라고 한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활동개소 뿐만 아니라 복수의 활동개소에서의 체류시간을 비롯하여 활동개소들 사이의 이동수단을 입력받을 수 있다. 활동개소에서의 체류시간을 입력받음으로써 활동상태로 유추하여 결정한 것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활동구간을 구분할 수도 있고 활동개소들 사이의 이동수단을 입력받게 되면 생활습관 교정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206과 208구간은 사용자로부터 활동개소에서의 체류시간입력이 없었던 경우에는 활동개소들 사이를 이동하는 정적활동구간라고 결정되었으나, 사용자가 헬스클럽에서의 체류시간을 206구간부터 208구간까지라고 입력하였다면, 활동개소들에서의 정적활동구간라고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이동과정을 알 수 있어 활동개소들 사이를 이동하는 정적 활동구간를 이용하여 생활습관 교정을 할 수 있어 효과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활동개소들 사이의 이동수단 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활동개소들 사이를 이동하는 정적활동구간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이동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도 12에 의할 때 사용자의 활동구간는 4시 31분부터 12시 31분까지의 8시간이 관찰된 바, 일일 목표 권장 칼로리인 611Kcal의 1/3인 약 203Kcal가 소모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 사용자의 동적활동구간 지속시간은 120분으로 시간에 따라 배분하게 되면 헬스클럽에서의 동적활동구간(207)의 지속시간은 80분이므로 약 136Kcal의 소모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대로 헬스클럽에서는 보다 많은 활동을 하도록 요구하여 소모 칼로리를 높게 잡아 활동개소의 특성에 따라 생활습관 교정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집에서 헬스클럽으로 이동하지만 운동을 하지 않는 구간(204)- 활동은 가능한 시간이지만 활동하지 않는 시간- 에서 칼로리를 소모하도록 생활습관 교정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3은 활동구간에 대응하는 4단계 일일 스케줄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레벨1은 활동개소만을 입력하는 경우이고 보다 더 활동적 생활습관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주기 위하여 레벨2 내지 레벨4의 사용자 입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활동개소의 입력은 GPS 또는 RFID와 같은 부품의 추가 없이 적당하게 효과적인 방법이다.
레벨2는 사용자의 현거주지인 제1 장소, 다음으로 생활이 많은 제2 장소(예컨대 회사원이면 직장이고 학생의 경우에는 학교임), 기타 제3의 장소(예컨대 헬스클럽 또는 학원 등) 등 활동개소의 체류시간의 시작점과 종료점 정보를 입력하여 보다 정확한 활동구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레벨3은 장소들 사이의 이동수단의 종류, 예컨대 자가용, 대중교통수단(지하철, 버스), 도보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활동량을 산출하는 데 활용하도록 한다.
레벨4는 각 활동구간에 대해 세부적인 서브 활동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여 보다 세밀하게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생활습관 교정을 위해서는 동적활동구간 뿐만 아니라 활동개소들 사이를 이동하는 정적 활동구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활동개소들 사이를 이동하는 정적활동구간의 시작점에서 사용자에게 활동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활동개소들 사이를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정적활동구간과 동적활동구간에 관계없이 생활습관 교정정보를 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학생들의 수업시간의 활동 상태를 감지하여 수업시간의 집중도를 측정하고 이를 피드백하여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 실시예2(온라인 서버지원타입-휴대폰 적용타입)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탠드 얼론 타입과 다른 온라인 서버지원타입으로 일일 생활습관 교정뿐만 아니라 주간, 월간, 년간 또는 평생 생활습관을 관리하고 교정하며 건강관리 전문가의 자문 등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지원 타입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서버지원 타입의 생활습관 교정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크게 휴대용 단말기(300)와 서버(400)로 구축된 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구조가 적합하며 동작 센서(310), 송수신부(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 메모리부(340),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320)는 동작 센서(310)를 통해 감지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400)에 전송하고, 서버(400)로부터 동적 활동구간의 시작시점 정보와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350)는 송수신부(320)을 통해 수신된 활동 구간의 시작시점에 활동 프로그램정보에 대응하는 활동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단말기(300)는 시작시점 검출 및 활동 프로그램 생성과 같은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지 않고 서버(400)로부터 관련 정보를 받아서 출력하므로 단말기의 고도의 시스템 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시작시점 검출부(420),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430), 데이터 베이스(440)을 포함한다. 송수신부(410)는 휴대용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생성된 시작시점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와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시작시점 검출부(420)는 수신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적 생활 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생활 활동구간에 대해서는 다른 생활 활동구간과는 달리 활동패턴 결정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430)는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검출된 활동구간에서의 데이터 베이스(440)를 참조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데이터 베이스(440)는 개인정보 DB, 신체정보DB, 장소정보DB, 활동량 DB, 생활습관 교정 DB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소정보DB는 장소명칭, 장소에 있어서의 활동레벨정도(상,중,하), 장소의 체류 시간, 장소로의 이동시간, 이동방법, 이동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3. 실시예3(온라인 서버지원타입 - 단문 메시지 이용타입)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는 달리 휴대기기가 휴대폰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생활습관 교정용 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응용타입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서버지원 타입의 생활습관 교정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휴대기기(500), 서버(600), 휴대폰(700)이 유무선으로 서로 결합된다.
휴대기기(500)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동작 센서(510), 송수신부(5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30), 메모리부(540), 제어부(550)를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 송수신부(520)는 데스크 탑 컴퓨터와 연결되는 유선 랜, USB, 1394 등과 같은 유선접속방식이거나 무선랜, 불루투스,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억세스 포인터나 데스크 탑 컴퓨터 등에 연결되는 무선접속방식으로 구현되는 점이 모바일 무선접속방식의 다른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는 기존의 만보계 등과 같은 휴대기기와 결합하여 매우 용이하게 상용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기(500)는 동작센서(510)을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대표활동패턴을 주어진 결정주기로 실시간적으로 발생하고, 실시간적으로 발생되는 대표활동패턴을 메모리부(540)에 저장하고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송수신부(520)을 통하여 서버(600)에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한다. 유선접속방식의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자신의 데스크 탑 컴퓨터에 연결한 다음에 데이터를 업로딩 시키고 업로딩 된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600)에 업로딩 된다. 무선접속방식의 경우에는 휴대기기(500)가 억세스 포인터와 같은 무선망의 무선교신범위에 들어가면 자동적으로 서버(600)에 업로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하루 대표활동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저녁에 집으로 들어가 인터넷과 연결된 컴퓨터를 통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업로딩 함으로써 서버(600)에 전송된다.
서버(600)는 인터넷 연결부(610), 시작시점 검출부(620),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630), 데이터베이스(640), 이동통신망 연결부(650)를 포함한다. 서버(600)는 인터넷 연결부(610)을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당일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동적 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시작시점 검출부(620)를 통하여 검출하고 시작시점이 검출된 활동구간에 대해서는 다른 활동구간과는 달리 활동패턴 결정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630)에서는 검출된 시작시점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생성된 시작시점과 활동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640)에 저장하고 익일 시간을 카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당일 시작시점과 동일한 익일 시간이 체크되면 관련된 활동 프로그램과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이동통신 연결부(650)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로 사용자 휴대폰(7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제와 동일한 시간대에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에서 자신의 휴대폰으로 활동 프로그램을 단문 메시지로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제 오늘의 생활습관 트렌드가 급격히 변하지 않는 한 동적활동구간의 유사한 시작시점에서 단문 메시지로 활동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지시한 대로 동적이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입력의 수고와 번거로움을 최대로 줄이고 사용자들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입력의 수고를 없애주어 데이터 입력을 원활하게 하여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저렴하게 구성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구매하여 이용할 수 있음으로 널리 보급되어 국민 건강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의 학습습관 분석 및 집중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움직이는 시간에 현재 움직임을 활동량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직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습관교정에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얼론 타입 생활습관 교정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시작시점 검출부(12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상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은 가속도 신호의 중력방향 성분의 강도 대 주파수 관계에 의한 활동패턴을 나타낸다.
도 4는 가속도 신호의 수평방향 성분의 강도 대 주파수 관계에 의한 활동패턴을 나타낸다.
도 5a는 결정주기 1분을 설정한 경우에 결정수단(124)에 의해 결정된 일일 시간대별 대표활동패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b는 결정주기 10분을 설정한 경우에 결정수단(124)에 의해 결정된 일일 시간대별 대표활동패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b는 결정주기 10분을 설정한 경우에 결정수단(124)에 의해 결정된 일일 시간대별 대표활동패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일일 시간대별 단위 활동패턴에 대응하는 각 소모 칼로리(가는 실선)와 목표치(가는 점선), 누산치(굵은 실선)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검출모듈(129)의 검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검출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자동으로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결정주기를 10분의 경우와 결정주기 1분의 경우에 대하여 6시 01분부터 6시 20분까지 20분동안 대표활동패턴의 변화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검출모듈(129)의 검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검출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자동으로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결정주기를 10분의 경우와 결정주기 1분의 경우에 대하여 6시 01분부터 6시 20분까지 20분동안 대표활동패턴의 변화를 비교한 도면이다.
삭제
도 11은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의 활동 프로그램 룩업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5b의 일일 시간대별 대표활동패턴들 중 04시 31분부터 12시31분까지 활동구간과 일일 스케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활동구간에 대응하는 4단계 일일 스케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서버지원 타입의 생활습관 교정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서버지원 타입의 생활습관 교정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6)
- 휴대용 단말기 내의 활동감지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시작시점 검출부(12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을 분석하여 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상기 시작시점 검출부(120)에서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된 활동구간이 동적활동구간이면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의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상기 설정된 결정주기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참조하여 활동프로그램 생성부(130)에서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주기의 설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부(35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발생하는 단계;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상기 결정주기로 발생된 대표활동패턴을 메모리부(340)에 저장하는 단계;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송수신부(320)에서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4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송수신부(320)에서 상기 서버(400)로부터 동적 활동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부(350)에서 상기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활동 프로그램정보를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동적활동구간에서는 상기 결정주기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서버(400)의 송수신부(41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상기 서버(400)의 시작시점 검출부(420)에서 상기 수신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상기 서버(400)의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430)에서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상기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서버(400)의 시작시점 검출부(420)에서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상기 서버(400)의 송수신부(410)에서 상기 시작시점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방법.
- 휴대용 단말기(300)의 가속도 센서(3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일정 결정주기로 발생하는 단계;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부(350)에서 상기 발생되는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메모리부(340)에 저장하는 단계;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송수신부(320)에서 상기 저장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400)에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하는 단계;상기 서버(400)의 송수신부(4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시작시점 검출부(420)에서 수신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당일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상기 서버(400)의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430)에서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상기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서버(400)의 시작시점 검출부(420)에서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상기 서버(400)에서 상기 생성된 당일 시작시점과 동일한 익일 시간이 되면 상기 생성된 활동 프로그램 정보와 결정주기 설정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방법.
-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활동 감지부(110);상기 활동 감지부(110)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을 분석하여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 보다 짧은 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의 결정주기를 설정하는 시작시점 검출부(120);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상기 설정된 결정주기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참조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130); 및상기 활동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시점 검출부(120)는상기 활동 감지부(11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모듈(122);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기초하여 주어진 결정주기마다 대표 활동패턴을 결정하는 결정모듈(124);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 보다 짧은 주기로 결정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결정모듈에 제공하는 결정주기 선택모듈(125);상기 대표 활동패턴이 결정될 때마다 대응하는 소모 칼로리를 누산하는 누산모듈(126);상기 누산모듈(126)의 누산치와 목표치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산출모듈(128); 및상기 결정된 대표활동패턴들에 기초한 평가구간별 활동량 평균치를 비교하여 이전 평가구간의 평균치보다 문턱값 이상으로 크게 평균치가 변화한 평가구간을 상기 시작시점으로 검출하는 검출모듈(12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장치.
-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활동패턴을 발생하는 가속도센서(310);대표활동패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340);상기 저장된 대표활동패턴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400)로부터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320);상기 활동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활동메시지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330); 및상기 가속도 센서(310)를 통하여 검출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하고, 상기 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서버(4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상기 서버(400)로부터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에 상기 활동 프로그램정보를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동적활동구간에서는 상기 결정주기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장치의 휴대용 단말기.
- 휴대용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생성된 시작시점정보,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송수신부(410);상기 수신된 대표활동패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시작시점 검출부(420); 및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상기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활동 프로그램 생성부(4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장치의 서버.
-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발생된 활동패턴들 중 일정 결정주기로 대표활동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활동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대표활동패턴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400)에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300); 및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주기적으로 매일 전송된 대표활동패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당일 동적활동구간의 시작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 대해서는 정적활동구간의 결정주기보다 짧은 주기를 가진 결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주기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작시점이 검출되면 목표치 대비 부족한 활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상기 검출된 동적활동구간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당일 시작시점과 동일한 익일 시간이 되면 상기 생성된 결정주기 제어정보 및 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서버(4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습관 교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0779A KR101111218B1 (ko) | 2008-08-19 | 2008-08-19 |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US12/525,182 US8475339B2 (en) | 2008-02-04 | 2009-02-04 |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life patterns in real time |
PCT/KR2009/000537 WO2009099292A2 (ko) | 2008-02-04 | 2009-02-04 |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0779A KR101111218B1 (ko) | 2008-08-19 | 2008-08-19 |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2217A KR20100022217A (ko) | 2010-03-02 |
KR101111218B1 true KR101111218B1 (ko) | 2012-03-05 |
Family
ID=4217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0779A KR101111218B1 (ko) | 2008-02-04 | 2008-08-19 |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12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5672B1 (ko) * | 2010-05-20 | 2012-03-27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운동패턴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산출장치 |
US10335060B1 (en) | 2010-06-19 | 2019-07-02 | Dp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monitoring |
US9192326B2 (en) | 2011-07-13 | 2015-11-24 | Dp Technologies, Inc. | Sleep monitoring system |
JP2015501997A (ja) * | 2011-12-28 | 2015-01-19 |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 座位行動期間中の活動の促進 |
US9459597B2 (en) | 2012-03-06 | 2016-10-04 | DP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n improved sleep experience by selecting an optimal next sleep state for a user |
US9474876B1 (en) | 2012-12-14 | 2016-10-25 | DPTechnologies, Inc. | Sleep aid efficacy |
US9594354B1 (en) | 2013-04-19 | 2017-03-14 | Dp Technologies, Inc. | Smart watch extended system |
US11963792B1 (en) | 2014-05-04 | 2024-04-23 | Dp Technologies, Inc. | Sleep ecosystem |
US11883188B1 (en) | 2015-03-16 | 2024-01-30 | Dp Technologies, Inc. | Sleep surface sensor based sleep analysis system |
US11382534B1 (en) | 2018-10-15 | 2022-07-12 | Dp Technologies, Inc. | Sleep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14297A (ja) * | 1999-06-28 | 2001-01-19 | Sony Corp | 行動予測方法、情報提供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 |
-
2008
- 2008-08-19 KR KR1020080080779A patent/KR1011112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14297A (ja) * | 1999-06-28 | 2001-01-19 | Sony Corp | 行動予測方法、情報提供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2217A (ko) | 2010-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1218B1 (ko) |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
KR101038990B1 (ko) |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
US847533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life patterns in real time | |
US10492519B2 (en) | Customizing nutritional supplement shake recommendations | |
US11468976B2 (en) | Apparel and location information system | |
US10671705B2 (en) | Customizing recipe recommendations | |
US8475367B1 (en) | Biometric monitoring device having a body weight sens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 |
JP6423802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疲労評価方法 | |
EP2805274B1 (en) | Activity identification | |
KR101220179B1 (ko) | 운동량 측정 장치, 운동량 관리 시스템 및 운동량 측정 방법 | |
KR20190066797A (ko) |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 |
KR20160147297A (ko) |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 |
KR20130065755A (ko) |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 | |
KR20140133685A (ko) |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7038076A1 (ja) | 運動支援システム、情報機器、測定機器、運動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17213249A (ja) | 生体情報表示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ウェアラブル装置、生体情報表示方法および生体情報表示プログラム | |
KR20100007467U (ko) | 칼로리 계산이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
KR101377532B1 (ko) | 액티그라피 기능을 수행하는 활동량 측정 장치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 |
KR20120016300A (ko) | 칼로리 계산이 개선된 생활습관 교정방법 및 장치 | |
JP2004179680A (ja) | 歩数計装置、そのデータ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JP2004358231A (ja) | 生体状態監視システム | |
JP2018180664A (ja) | 非歩行時間測定機能付き歩数計 | |
KR20220142682A (ko) | 인공감성지능을 통해 사용자의 학업 효율을 증진시키는 자율 티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업 효율 증진 시스템 | |
KR20240139312A (ko) | 소아청소년 신장 관리 시스템 | |
KR20130088670A (ko) | 활동량 분석 정보를 전송하는 활동량 측정 장치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