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755A -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755A
KR20130065755A KR1020110125024A KR20110125024A KR20130065755A KR 20130065755 A KR20130065755 A KR 20130065755A KR 1020110125024 A KR1020110125024 A KR 1020110125024A KR 20110125024 A KR20110125024 A KR 20110125024A KR 20130065755 A KR20130065755 A KR 20130065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target
physical activity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맥스
Priority to KR102011012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5755A/ko
Publication of KR20130065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헬스(Ubiquitous-health) 분야에서 실시간으로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사용자 신체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개인화된 권장 운동 또는 추천 식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할 수 있는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본 발명은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헬스(Ubiquitous-health) 분야에서 실시간으로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사용자 신체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개인화된 권장 운동 또는 추천 식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할 수 있는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한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유비쿼터스는 의료서비스와 결합이 가능하다. 유비쿼터스 의료라 하여 유비쿼터스와 헬스(health)가 결합되어 유-헬스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치료, 예후 건강 및 생활관리의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종래 유-헬스 분야에서 사용자에 개인화된 의료서비스는 사용자 신체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 또는 의료서비스 서버로 실시간으로 송신하며 의료기관은 수신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사용자에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의료 서비스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 신체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 유-헬스 분야의 개인화된 의료서비스는 수신한 사용자 신체 정보에 따라서만 일관적으로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할 뿐 사용자에 개인화된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사용자의 목표 신체 정보만을 고려하여 일방적인 목표 신체 활동량 정보와 추천 식단을 제공할 뿐, 사용자 나이, 성별, 생활수준, 직장 주소 등의 사용자 정보와 현재 시간, 날씨 정보 등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사용자에 권장 운동을 제공하거나 추천 식단을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실제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거나 추천 식단의 칼로리만을 섭취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유-헬스 분야의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개인화된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거나 목표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는 권장 운동이나 추천 식단의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한 경우 축하 메시지를 송신하고,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한편 사용자의 현재 상황 정보에서 사용자의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할 수 있는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신체 정보와 사용자의 목표 신체 정보를 비교하여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기 위한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신체 정보에 따라 사용자 권장 운동을 판단하고 판단한 사용자 권장 운동별 운동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혈압 정보 및 신체 활동량 정보를 구비하는 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위 시간 신체 활동량이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단위 시간 신체 활동량이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추천 운동 종목과 운동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취미, 직업, 생활수준, 집 주소, 직장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여기서 사용자 상황 정보는 현재 시간, 현재 사용자 위치, 현재 사용자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신체 정보와 사용자의 목표 신체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칼로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추천 식단을 판단하고 판단한 추천 식단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추천 식단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는 음식점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해당하는 음식점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한 음식점에서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칼로리에 해당하는 음식을 판매하는 음식점과 추천 식단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한 음식점과 추천 식단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집 주소 또는 직장 주소와 생활 수준에 따라 사용자 집 주소 또는 직장 주소와 생활 수준에 해당하는 음식점 또는 추천 식단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자 상황 정보 중 현재 시간 또는 현재 사용자 위치와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생활 수준에 따라 현재 시간 또는 현재 사용자 위치와 사용자 생활 수준에 해당하는 음식점 또는 추천 식단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위 시간 신체 활동량이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한 경우 사용자로 목표 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사용자의 단위 시간 신체 활동량이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로 목표 실패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헬스 분야의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종래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개인화된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나이, 성별, 생활수준, 직장 주소 등의 사용자 정보 또는 현재시간, 현재 위치, 사용자 상태 등의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거나 목표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는 권장 운동이나 추천 식단을 제공함으로써, 획일적인 건강 관리가 아닌 사용자에 진정한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현재 상황 정보에서 사용자의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할 수 있는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위 시간별로 목표 신체 활동량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제공 서버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와 도 6은 사용자에 제공되는 추천 운동 종목과 운동 시간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사용자에 제공되는 추천 음식점과 추천 식단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별 건강관리 스케줄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체성분 측정기(15)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한다. 신체 활동 측정기(11)는 3축 이동 센서를 구비하며 3축 이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며, 혈압 측정기(13)는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며, 체성분 측정기(15)는 체중, 체지방률, 체지방량, 기초대사량, 근육량 등의 체성분을 측정한다.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및 체성분 측정기(15)는 내부에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데, 측정한 사용자의 활동량, 혈압, 체성분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USB 형 게이트웨이(21) 또는 고정형 게이트웨이(23)의 게이트웨이(20)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및 체성분 측정기(15)는 사용자를 구별하여 사용자별로 측정한 활동량, 혈압, 체성분을 게이트웨이(20)로 송신한다. 게이트웨이(20)는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및 체성분 측정기(15)로부터 수신한 신체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며, 저장한 사용자별 신체 정보를 유선/무선 네트워크(30)를 통해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로 송신한다.
USB형 게이트웨이(21)를 이용하여 사용자 신체 정보를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로 송신하는 일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USB형 게이트웨이(21)에 구비되어 있는 송수신 버튼(미도시)를 동작 제어시킨다. 송수신 버튼의 동작 제어에 따라 USB 게이트웨이(21)는 송수신 명령을 생성하여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및 체성분 측정기(15)로 송신하며,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및 체성분 측정기(15)는 송수신 명령에 따라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별로 측정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USB형 게이트웨이(21)로 송신한다. 사용자는 USB형 게이트웨이(21)를 사용자 컴퓨터의 USB 단자에 연결하며 사용자 단말기(100)의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30)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로 재송신한다.
고정형 게이트웨이(23)를 이용하여 사용자 신체 정보를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로 송신하는 일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및 체성분 측정기(15)를 통해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경우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및 체성분 측정기(15)는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별로 측정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고정형 게이트웨이(23)로 송신한다. 고정형 게이트웨이(23)는 전용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도 수집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와이파이 등의 통신 방식으로 네트워크(30)를 통해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로 재송신한다.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생활수준, 집 주소, 직장 주소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위치 확인 모듈(미도시)을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개인 스케줄러 등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상황 정보란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로 현재 시간, 사용자 위치, 사용자의 현재 상태, 현재 날씨 등을 포함한다. 한편,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소셜커머스 서버(40)에 접속하거나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50) 등에 접속하여 음식점, 제공 식단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헬스장, 운동시설, 운동 종목. 비용,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건강관리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목표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수신한 사용자 신체 정보와 목표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기 위한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 정보를 계산하고,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한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 권장 운동이나 추천 식단을 결정하여 사용자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제공 서버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체 정보 수집부(205)는 USB형 게이트웨이(21) 또는 고정형 게이트웨이(23)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 관리한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 관리하며, 사용자 상황 정보 수집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상황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 관리한다. 또한, 추가 정보 수집부(230)는 소셜 커머스 서버(40) 또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50)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운동 이용 위치, 가격, 종목 등의 운동 정보와 식단, 가격, 위치 등의 음식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운동 정보, 음식점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 관리한다.
수집한 사용자 정보, 사용자 상황 정보, 운동 정보 및 음식점 정보는 건강관리 제공 서버의 운영자에 의해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되거나 정보 온톨로지를 통해 자동으로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나이 42세인 경우 사용자의 연령은 중년으로 분류되거나 사용자의 소득수준, 직업, 집주소 등에 의해 사용자의 생활수준이 상, 중, 하로 분류된다. 또한 운동 정보 또는 음식점 정보에 기초하여 성별 선호 운동 종목, 생활수준에 매칭되는 운동 종목별로 분류되거나 성별 선호 음식점, 생활수준에 매칭되는 음식점별로 분류된다. 정보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수집한 사용자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일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 정보 중 거주지역 대치동, 직업 의사, 소득수준 1500만원/월인 경우 직업 온톨로지, 거주지 온톨로지, 소득 온톨로지 등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수준은 상 또는 상류층으로 자동 분류된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또는 사용자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사용자 정보를 요구하는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며, 정보 갱신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한다. 한편, 사용자 상황 정보 수집부(22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사용자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사용자 상황 정보를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 관리한다.
관리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목표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기 위한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을 계산하고, 계산한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과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권장 운동 정보를 판단하거나 추천 식단을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활동량 칼로리 계산부(31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목표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신체 활동량 정보와 목표 섭취 칼로리 정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몸무게가 78kg이며 2달 동안 5kg을 감량하고자 하는 목표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1달 단위, 1주일 단위 또는 1일 단위의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과 목표 섭취 칼로리를 계산한다. 권장 운동 관리부(320)와 추천 식단 관리부(330)는 계산한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과 목표 섭취 칼로리에 기초하여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기 위한 권장 운동 정보와 추천 식단 정보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활동량 칼로리 계산부(310)는 건강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목표 신체 활동량 정보와 목표 섭취 칼로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240)를 조회하여 목표 신체 활동량 정보와 목표 섭취 칼로리 정보를 계산하거나 건강 전문가에 의해 설계된 목표 신체 활동량 정보 도는 목표 섭취 칼로리 정보 계산식을 통해 계산한다.
권장 운동 관리부(3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 종목 판단부(321)는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별로 사용자에 추천할 권장 운동을 판단한다. 즉, 운동 종목 판단부(321)는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나이와 사용자 생활 수준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추천할 권장 운동을 판단하거나, 현재 시간, 현재 위치 또는 현재 날씨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추천할 권장 운동 종목을 판단한다. 운동 시간 계산부(323)는 판단한 권장 운동 종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목표 신체 정보에 따라 단위 시간별로 단위 시간 목표 활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운동 시간을 계산한다. 바람직하게, 데이터베이스부(240)에는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권장 운동 종목이 매핑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240)에는 권장 운동별 단위 운동 시간에 따라 활동량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운동 관리부(325)는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또는 체성분 측정기(15)를 통해 신체 정보, 특히 신체 활동량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신체 활동량 정보와 사용자의 섭취 칼로리 및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단위 시간별로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였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축하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 제공한다. 또한, 운동 관리부(325)는 사용자가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에 달성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권장 운동 종목과 운동 시간을 재계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실제 신체 활동량 정보와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 차이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신체 활동량을 실시간으로 재계산하며, 더욱이 신체 활동량을 재계산시 사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시간, 현재 날씨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등과 같은 사용자 상황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권장 운동 종목과 운동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추천 식단 관리부(3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음식점 검색부(331)는 사용자 성별, 나이, 생활 수준 등의 사용자 정보 또는 현재 시간, 사용자 위치, 사용자의 현재 상태 등의 사용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점 중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음식점을 검색한다. 추천 식단 검색부(333)는 검색한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식단 중 목표 섭취 칼로리를 만족하는 식단을 검색한다. 식단 관리부(335)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먹은 식단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목표 섭취 칼로리와 실제 섭취한 칼로리 차이에 기초하여 목표 섭취 칼로리를 달성하기 위한 섭취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재계산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목표 섭취 칼로리와 실제 섭취 칼로리 차이에 기초하여 차후 목표 섭취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재계산하며, 더욱이 차후 목표 섭취 칼로리를 달성하기 위한 추천 식단 검색시 사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시간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등과 같은 사용자 상황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음식점 또는 추천 식단을 검색하여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목표 섭취 칼로리에 해당하는 식단을 먹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강관리 제공 서버는 신체 활동 측정기(11), 혈압 측정기(13) 또는 체성분 측정기(15)로부터 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S110), 수집한 사용자 신체 정보,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사용자별 분류하여 저장한다(S120). 바람직하게, 수집한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는 카테고리별, 예를 들어 생활 수준, 성별, 연령 등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사용자로부터 목표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기 위한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과 목표 섭취 칼로리를 계산한다(S130). 예를 들어, 사용자 신체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45세, 남자, 현재 몸무게 78kg, 키 173cm이며 목표 신체 정보가 목표 기간 12월 31일까지 3kg을 감량하여 75kg을 달성하는 것인 경우, 목표 기간까지, 1달 단위, 1주일 단위, 1루 단위 목표 신체 활동량과 목표 섭취 칼로리를 계산한다.
목표 신체 활동량과 목표 섭취 칼로리가 계산된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권장 운동 종목과 운동 시간을 단위 시간별로 계산하거나 추천 음식점과 추천 식단을 검색하여 사용자에 제공한다(S140).
도 5와 도 6은 사용자에 제공되는 추천 운동 종목과 운동 시간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생활 수준, 현재 위치, 현재 요일, 현재 날씨, 집 주소 등의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1일 단위로 사용자에 추천할 권장 운동 종목을 판단하거나 운동 시간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의 생활 수준이 상, 나이 40대 중후반, 집 주소 또는 현재 위치 양재동, 현재 시간과 날씨가 각각 일요일 오전 10시 13분, 맑음인 경우 골프 라운딩을 제안하거나 맑음 날씨에 현재 위치 또는 집주소에서 가까운 우면산을 2시간 정도 등산하거나 양재천을 40분 정도 조깅하도록 추천한다. 한편, 도 6을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 생활 수준이 중, 나이 30대 초반, 집 주소 또는 현재 위치 양재동, 현재 시간과 날씨가 각각 일요일 오전 10시 13분, 흐림인 경우 야외 운동보다는 비교적 운동 비용이 비싸지 않은 집 근처 또는 현재 위치에서 운동 가능하게 양재시민회관에서 수영 1시간을 추천하거나 근처 헬스장에서 1시간 러닝 머신을 추천한다.
도 7은 사용자에 제공되는 추천 음식점과 추천 식단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생활 수준, 현재 위치, 현재 요일, 현재 날씨, 집 주소 등의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1일 단위로 아침, 점심, 저녁으로 나누어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점 또는 추천 식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활 수준이 상, 나이 30대 중후반, 별도의 질병이 없어 피해야할 음식이 없는 경우, 아침으로 100kcal 목표 섭취량을 위한 추천 식단1, 추천 식단2를 제안하며, 점심으로 150kcal 목표 섭취량을 위해 현재 위치인 시청 근무 지역에서 맛집인 음식점 정보와 추천 식단1, 추천 식당2를 제안하며, 저녁으로 210kcal 목표 섭취량을 위한 추천 식단1, 추천 식단2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목표 섭취 칼로리를 달성하기 위한 추천 음식점 또는 추천 식단을 사용자 생활 수준, 집 주소, 근무지, 현재 위치 등에 따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목표 섭취 칼로리에 해당하는 식단을 개별적으로 판단하거나 목표 섭취 칼로리에 해당하는 식단을 판매하는 음식점을 검색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목표 섭취 칼로리에 해당하는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로 살펴보면,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실제 신체 활동량 정보 또는 실제 섭취 칼로리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단위 목표 신체 활동량 또는 목표 섭취 칼로리를 달성하였는지 판단하여(S150), 단위 목표 신체 활동량 또는 목표 섭취 칼로리를 달성한 경우 축하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 송신한다(S160). 그러나 사용자가 단위 목표 신체 활동량 또는 목표 섭취 칼로리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170). 한편 사용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권장 운동 종목과 운동 시간을 재계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목표 섭취 칼로리와 실제 섭취한 칼로리 차이에 기초하여 목표 섭취 칼로리를 달성하기 위한 차후 목표 섭취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재계산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S180).
도 8은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별 건강관리 스케줄로 건강관리 스케줄에는 사용자의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 목표 섭취 칼로리, 단위 시간 실제 신체 활동량, 실제 섭취 칼로리, 현재 사용자 신체 정보 등에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저장되어 있다.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과 목표 섭취 칼로리를 계산시, 이전 단위 시간의 실제 신체 활동량 또는 실제 섭취 칼로리를 고려하여 차후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 또는 목표 섭취 칼로리를 갱신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언제 어디서든 건강관리 스케줄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관리 실행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11: 신체 활동량 측정기 13: 혈압 측정기
15: 체성분 측정기 21: USB형 게이트웨이
23: 고정형 게이트웨이 30: 네트워크
40: 소셜 커머스 서버 50: 포털 서비스 제공자 서버
100: 사용자 단말기 200: 건강관리 제공 서버
205: 사용자 신체 정보 수집부 210: 사용자 정보 수집부
220: 사용자 상황 정보 수집부 230: 추가 정보 수집부
240: 데이터베이스부 250: 관리부
310: 활동량 칼로리 계산부 320: 권장 운동 관리부
321: 운동 종목 판단부 323: 운동 시간 계산부
325: 운동 관리부 330: 추천 식단 관리부
331: 음식점 검색부 333: 추천 식단 검색부
335: 식단 관리부

Claims (8)

  1. 자가 건강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에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목표 신체 정보를 비교하여 단위 시간별 목표 신체 활동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기 위한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신체 정보에 따라 사용자 권장 운동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사용자 권장 운동별 운동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혈압 정보 및 신체 활동량 정보를 구비하는 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위 시간 신체 활동량이 상기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위 시간 신체 활동량이 상기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추천 운동 종목과 운동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의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취미, 직업, 생활수준, 집 주소, 직장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는
    현재 시간, 현재 사용자 위치, 현재 사용자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목표 신체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칼로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추천 식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추천 식단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식단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는
    음식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에 해당하는 음식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한 음식점에서 상기 목표 신체 정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칼로리에 해당하는 음식을 판매하는 음식점과 추천 식단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한 음식점과 추천 식단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집 주소 또는 직장 주소와 생활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집 주소 또는 직장 주소와 생활 수준에 해당하는 음식점 또는 추천 식단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 중 현재 시간 또는 현재 사용자 위치와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생활 수준에 따라 상기 현재 시간 또는 현재 사용자 위치와 사용자 생활 수준에 해당하는 음식점 또는 추천 식단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단위 시간 신체 활동량이 상기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 목표 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의 단위 시간 신체 활동량이 상기 단위 시간 목표 신체 활동량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 목표 실패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KR1020110125024A 2011-11-28 2011-11-28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 KR20130065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024A KR20130065755A (ko) 2011-11-28 2011-11-28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024A KR20130065755A (ko) 2011-11-28 2011-11-28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755A true KR20130065755A (ko) 2013-06-20

Family

ID=4886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024A KR20130065755A (ko) 2011-11-28 2011-11-28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575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07A (ko) * 2015-04-27 2016-11-04 박성훈 신체 밸런스 측정 시스템
KR20170115998A (ko) * 2017-10-10 2017-10-18 주식회사 리퓨터 U-빌리지 힐링 시스템
CN108665957A (zh) * 2018-04-08 2018-10-16 浙江康体汇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体成分预测及营养运动方案推荐方法
US10255823B2 (en) 2016-04-06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
KR20200049438A (ko) 2018-10-31 2020-05-08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식단케어 서비스 방법
KR20200119690A (ko) * 2019-04-10 2020-10-20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의 상황과 성향을 고려하여 선제적 신체 활동을 제안하는 모바일 시스템 및 방법
US11996171B2 (en) 2017-04-25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ggregation and continuous learning to improve health outcom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07A (ko) * 2015-04-27 2016-11-04 박성훈 신체 밸런스 측정 시스템
US10255823B2 (en) 2016-04-06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
US11996171B2 (en) 2017-04-25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ggregation and continuous learning to improve health outcomes
KR20170115998A (ko) * 2017-10-10 2017-10-18 주식회사 리퓨터 U-빌리지 힐링 시스템
CN108665957A (zh) * 2018-04-08 2018-10-16 浙江康体汇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体成分预测及营养运动方案推荐方法
CN108665957B (zh) * 2018-04-08 2021-09-03 浙江康体汇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体成分预测及营养运动方案推荐方法
KR20200049438A (ko) 2018-10-31 2020-05-08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식단케어 서비스 방법
KR20200119690A (ko) * 2019-04-10 2020-10-20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의 상황과 성향을 고려하여 선제적 신체 활동을 제안하는 모바일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0709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492519B2 (en) Customizing nutritional supplement shake recommendations
US10671705B2 (en) Customizing recipe recommendations
US10262553B2 (en)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based services
JP4552878B2 (ja) 活動量計及び活動量演算システム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AU2013101802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specific modulation of nutrient intake
KR101723382B1 (ko)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41532A1 (en) Longitudinal Pers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ata Capture
KR102067282B1 (ko) 모바일 건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별적으로 맞춤화되고, 피어-파생 메시지의 자동 구성
KR20130065755A (ko)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
KR101500673B1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US20040210459A1 (en) Weight control system having recipe builder and exchange capability
EP2926285A2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592021B1 (ko)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49090A (ko) 고객이 입력한 운동기록과 음식섭취 정보, 트레이너가 입력한 전문분야 정보, 그리고 각자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 및 고객에 적합한 트레이너의 매칭과 추천을 가능하게 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JP2014174954A (ja) 行動支援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の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ー
KR102330705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90073042A (ko)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110107132A (ko) 맞춤형 운동 안내 방법 및 시스템
JP2014238791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120023294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 광고 방법
JP2020160569A (ja) 生活習慣改善提案装置、生活習慣改善提案方法、及び生活習慣改善提案プログラム
KR20170109449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19225575A1 (ja) 活動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活動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3

Effective date: 201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