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059B1 -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059B1
KR101111059B1 KR1020090136395A KR20090136395A KR101111059B1 KR 101111059 B1 KR101111059 B1 KR 101111059B1 KR 1020090136395 A KR1020090136395 A KR 1020090136395A KR 20090136395 A KR20090136395 A KR 20090136395A KR 101111059 B1 KR101111059 B1 KR 10111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tooth
workpiece
planet carri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376A (ko
Inventor
노순화
홍의창
배정욱
Original Assignee
(주) 호창엠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호창엠에프 filed Critical (주) 호창엠에프
Priority to KR102009013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0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085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handling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6Hammers tups; Anvils; Anvil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4Pierc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28Making machine elements wheels; discs
    • B21K1/30Making machine elements wheels; discs with gear-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28Making machine elements wheels; discs
    • B21K1/40Making machine elements wheels; discs h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스프링을 설치하여 공작물의 상하 2곳의 치형 제조가 동시에 정확하게 제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는, 공작물을 지지하는 하부어셈블리(600)와, 상기 하부어셈블리(6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가압하는 상부어셈블리(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어셈블리(500)에는, 공작물의 일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축치형부(52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어셈블리(600)에는, 공작물의 내측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맨드릴(610)과,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삽입맨드릴(620)과,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삽입맨드릴(620)을 지지하는 제1가스스프링(630)과, 공작물의 일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허브치형부(662)가 구비되는 치형인서트(660)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능률과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금형, 냉간단조, 치형, 플래닛캐리어

Description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A mold apparatus for planet carrier}
본 발명은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스프링을 설치하여 공작물의 상하 2곳의 치형 제조가 동시에 정확하게 제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닛캐리어(Planet Carrier)는, 차량의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부품을 일컫는다.
도 1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플래닛캐리어(Planet Carrier)의 일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닛캐리어(Planet Carrier)는, 큰기어 형상을 가지는 허브부(20)와, 작은 기어 형상을 가지는 샤프트부(30)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허브부(20)와 샤프트부(30)는 단면 차이가 크므로, 허브부(20)는 드로잉(Drawing) 공법에 의해 제조하고, 샤프트부(30)는 냉간단조에 의해 각각 별도로 제작한 다음, 허브부(20)와 샤프트부(30)를 서로 용접하여 플래닛캐리어(Planet Carrier)를 완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허브부(20)와 샤프트부(30)의 외주면에는 각각 서로 상이한 치형 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치형은 선삭 가공에 의해 각각 제조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플래닛캐리어(Planet Carrier)의 제조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각각의 치형을 개별적으로 가공하므로 균일한 치형 제작이 어려워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스프링을 이용하여 플래닛캐리어의 상하 치형을 동시에 성형하는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는, 공작물을 지지하는 하부어셈블리와, 상기 하부어셈블리의 상측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가압하는 상부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어셈블리에는, 공작물의 일부가 수용되는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축홀에는 공작물의 일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축치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어셈블리에는, 공작물의 내측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맨드릴과, 상기 슬라이드맨드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삽입맨드릴과, 상기 삽입맨드릴의 하측에 구비되어 삽입맨드릴을 지지하는 제1가스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맨드릴의 하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맨드릴을 지지하는 맨드릴블럭과, 상기 맨드릴블럭의 하측에 구비되어 맨드릴블럭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가스스프링과, 공작물의 일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허브치형부가 구비되는 치형인서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레닛캐리어용 금형장치에 의하면, 상부어셈블리와 하부어셈블리가 서로 근접함에 따라 플래닛캐리어(Planet Carrier)의 상하단에 치형이 각 각 동시에 성형된다. 따라서, 작업능률과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스스프링이 구비되어, 맨드릴의 하측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치형 제작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엔빌(anvil)과 다이(Die)를 각각 상하로 2개씩 구비하였다. 따라서,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금형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레닛캐리어용 금형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플래닛캐리어(Planet Carrier)의 완성품 일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플래닛캐리어(Planet Carrier)(100)는 큰 직경을 가지는 허브부(200)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샤프트부(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브부(20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면(210)과, 상기 베이스면(210)의 테두리로부터 수직으로 상방으로 성형된 측면(2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허브부(200)의 베이스면(210) 중앙으로부터는 하측으로 샤프트부(300)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허브부(200)의 베이스면(21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베이스홀(21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브부(200)의 측면(220)에는 측방으로 관 통된 다수의 측면홀(2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허브부(200)의 측면(220)에는 요철(∩∪) 형상이나 허브치형(230) 또는 기어이(齒;tooth)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부(300)의 하반부에는 샤프트치형(310)이 성형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이 이용되는 플래닛캐리어의 제조방법의 실시예가 블럭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플래닛캐리어 제조방법에 의해 제품이 성형되는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이용되는 플래닛캐리어의 제조방법은, 원통형의 소재(M)를 열간단조에 의해 1차적으로 프레스로 압입하여 허브부(200)가 좌우로 형성되는 제1중간물(M1)을 가공하는 제1단계(S400)와, 상기 제1단계(S400)에 의해 제조된 제1중간물(M1)을 열간단조에 의해 2차적으로 프레스로 압입하여 상기 허브부(200)를 상방으로 성형시킴과 동시에 상하 중앙부에 중앙홈(320)을 형성하여 제2중간물(M2)을 가공하는 제2단계(S410)와, 상기 제2중간물(M2)의 외면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외경가공단계(S420)와, 상기 제2중간물(M2)의 허브부(200) 및 샤프트부(300)에 요철(∩∪)이나 기어이(齒;tooth)를 냉간단조로 성형하는 제3단계(S430)와, 상기 제2중간물(M2)의 허브부(200)에 다수의 측면홀(222)을 측방으로부터 동시에 형성하는 측면피어싱단계(S440)와, 상기 제2중간물(M2)의 내면을 가공하고, 중앙부에 상하로 중앙홀(330)을 관통 형성하는 내경가공단계(S4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계(S400)는 열간단조로 수행되며, 긴 원통형의 원소재를 일정 길 이로 절단한 소재가 사용된다. 즉,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소재(M)가 투입된다. 상기 소재(M)는 완성품(캐리어)의 샤프트부(300) 직경 크기에 따라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완성품(캐리어)의 샤프트부(300) 직경이 약 Φ36mm인 경우에는 직경 Φ42mm인 소재(M)를 사용하는 등과 같이, 완성품의 소재 직경보다 일정 부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제3단계(S430)는 냉간단조에 의해 상기 허브부(200)의 측면(220)에 허브치형(23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샤프트부(300)의 하단부 외면에 샤프트치형(310)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허브부(200)의 측면(220) 및 샤프트부(300)의 하단부 외면에 허브치형(230)과 샤프트치형(310)을 형성하는 것은 별개의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간단조라고 하는 것은, 상온에 있어서, 소성가공을 하여 성형하는 단조방법을 일컫는다. 따라서, 통상의 열간단조와는 변형이론, 제조공정, 사용기계 제품의 기본 등이 원천적으로 다르게 된다.
상기 측면피어싱단계(S440)는, 상기 제3단계(S430)가 완료된 중간물의 허브부(200) 측면에 측면홀(222)을 관통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측면홀(222)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량이 형성된다. 즉, 예로, 허브부(200)의 측면에 등(等)간격으로 24개의 측면홀(222)을 외부 측방으로부터 내측으로 펀칭하여 동시에 형성하는 과정이 측면피어싱단계(S440)이다.
상기 내경가공단계(S450)는, 상기와 같이 측면피어싱단계(S440)가 진행된 다음, 상기 샤프트부(300)의 내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중앙홀(33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허브부(200)와 샤프트부(300)의 내면을 설계 수치에 맞게 가공하는 과정이다.
도 4의 (c)는 상기 제2단계(S410)에 의해 성형된 제2중간물(M2)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d)는 상기 외경가공단계(S420)가 수행된 상태를, (e)는 상기 제3단계(S430)가 수행된 상태, (f)는 측면피어싱단계(S440) 그리고, (g)는 내경가공단계(S450)가 각각 수행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는, 크게 상부어셈블리(500)와 하부어셈블리(600) 등으로 구성된다. 즉, 공작물을 지지하는 하부어셈블리(600)와, 상기 하부어셈블리(6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가압하는 상부어셈블리(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작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2중간물(M2)에 대응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3단계(S430)에서 제2중간물(M2)의 허브부(200) 및 샤프트부(300)에 요철(∩∪)이나 기어이(齒;tooth)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작물을 상기 제2중간물과 같이 'M2' 번호를 사용한다.
상기 상부어셈블리(500)에는, 공작물(M2)의 일부가 수용되는 축홀(510)이 형성되며, 상기 축홀(510)에는 공작물(M2)의 일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축치형부(520) 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어셈블리(500)의 중앙 하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축홀(510)이 구비되고, 이러한 축홀(510)의 내면 상단부에는 축치형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축홀(510)은, 단조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샤프트부(300)가 수용되는 부분이며, 상기 축치형부(520)는 상기 샤프트부(300)에 샤프트치형(31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축치형부(520)의 내면은, 상기 샤프트치형(310)이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하부어셈블리(600)에는, 공작물의 내측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맨드릴(610)과,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삽입맨드릴(620)과,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삽입맨드릴(620)을 지지하는 제1가스스프링(630)과,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맨드릴(610)을 지지하는 맨드릴블럭(640)과, 상기 맨드릴블럭(640)의 하측에 구비되어 맨드릴블럭(640)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가스스프링(650)과, 공작물의 일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허브치형부(662)가 형성되는 치형인서트(66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은, 상기 공작물(M2)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작물(M2)은 하부어셈블리(600)에 거꾸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공작물(M2)의 허브부(200)가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을 상반부를 덮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부(200)의 내면 형상은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상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내측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하부공간(612)과 상부공간(614)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공간(612)은, 상기 맨드릴블럭(640)의 내측에 형성되는 홀(hole)과 연통되며, 상기 제1가스스프링(630)의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가스스프링(630)의 상하 유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상부공간(6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공간(612)의 상측에 하부공간(6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상부공간(614)에는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즉 상기 공작물(M2)이 상기 상부어셈블리(500)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맨드릴(620)의 지지부(624)가 상기 상부공간(614)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맨드릴블럭(640)은, 내측에 상기 하부공간(612)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하측에서 슬라이드맨드릴(610)을 지지한다.
상기 맨드릴블럭(6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스스프링(6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중앙부(642)와, 상기 중앙부(64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부(64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부(642)는 도시되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가스스프링(630)의 외측을 감싼다.
상기 날개부(644)는, 상기 중앙부(642)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이러한 다수의 날개부(644)의 하면은, 상기 다수의 제2가스스프링(650) 상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날개부(644)은, 2 이상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5개가 등(等) 간격으로 상기 중앙부(642) 하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644)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블럭돌기(646)가 형성되며, 이러한 블럭돌기(646)는 상기 제2가스스프링(6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스프링홈(652)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블럭돌기(646)와 스프링홈(652)에 의해 상기 맨드릴블럭(640)과 제2가스스프링(650)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삽입맨드릴(620)은, 공작물(M2)의 샤프트부(30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622)와, 상기 삽입부(62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지지부(62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6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624)는, 상기 삽입부(622)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62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하측에는 제1가스스프링(630)이 구비된다. 상기 제1가스스프링(6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의 몸체부(632)와 상측의 상단부(63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6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상반부는 하반부에 비해 외경이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부(634)는, 상기 몸체부(632)의 상반부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볼트 등으로 상기 몸체부(632)와 결합되고, 상면은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하단과 접한다.
상기 제1가스스프링(630)의 하단 외측에는 지지대(670)와 하부블럭(671)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대(670)의 상측에는 하부엔빌(672)과 상부엔 빌(674)이 더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맨드릴블럭(640)의 외측에는, 상기 맨드릴블럭(640)을 감싸는 상부엔빌(674)과 하부엔빌(67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엔빌(674)과 하부엔빌(672)의 하측에는 상기 다수의 제2가스스프링(650)이 수용되는 지지대(67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지지대(670)에는 상하로 5개의 홀(hole)이 구비되고, 이러한 각 홀(hole)에 상기 5개의 제2가스스프링(650)이 각각 수용된다.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외측에는 상기 치형인서트(660)가 구비되며, 상기 치형인서트(660)의 외측에는 치형인서트(660)를 감사는 외측인서트(688)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인서트(688)의 내면은 상기 치형인서트(66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치형인서트(660)와 외측인서트(688)의 상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인서트(684)와 하부인서트(68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치형인서트(660)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다수의 인서트(660,684,686,688) 외측에는, 상측다이(682)와 하측다이(680)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인서트(660,684,686,688)를 감싼다.
상기 상측다이(682)와 하측다이(680)는 체결볼트(B) 등으로 체결되며, 이와 같이 다이(Die)를 상측다이(682)와 하측다이(680)로 두개로 나누어 구비하고, 상기 엔빌(anvil)도 상부엔빌(674)과 하부엔빌(672)로 2개를 각각 구비하는 이유는 힘을 분산시켜 하중을 견디는 힘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다이(Die) 등을 하나 의 단품으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상하로 2개로 나누는 경우에 견디는 힘이 커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부블럭(671)의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핀(69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핀(690)은 상기 공작물(M2)의 하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핀(690)은,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과 맨드릴블럭(64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어셈블리(600)의 상면에 상기 공작물(M2)을 얹는다. 이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M2)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놓는다.
그런 다음, 상기 상부어셈블리(500)가 하방으로 내려오도록 하여 공작물(M2)을 가압한다.
상기 상부어셈블리(500)가 하방으로 내려오면, 상기 축홀(510)에 상기 공작물(M2)의 샤프트부(300)가 삽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샤프트부(300)의 외면에 치형이 형성된다. 즉, 상기 축홀(510)의 축치형부(520)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300)의 상단(도 5에서) 외면에 샤프트치형(31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어셈블리(500)가 점차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맨드릴블럭(640)도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삽입부(622)는 상기 샤프트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삽입맨드릴(620)은 상기 제1가스스프링(63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공작물(M2)과 슬라이드맨드릴(61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삽입부(622)는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지지부(624)는 도 6과 같이 상기 상부공간(614) 내측으로 수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공작물(M2)이 상부어셈블리(500)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면, 공작물(M2)의 허브부(200) 외면은 상기 치형인서트(660)의 허브치형부(662)에 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작물(M2)의 허브부(200) 외면에는 상기 허브치형부(662)에 대응되는 치형이 형성된다. 즉, 상기 치형인서트(660)는 견고하게 지지되어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공작물(M2)이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치형인서트(660)가 공작물(M2)의 허브부(200) 외면을 절삭하여 가공이 일어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어셈블리(500)의 하향 이동은 도 6과 같이 상기 공작물(M2)이 상기 지지핀(690)에 닿게 되면, 정지한다. 즉, 상기 지지핀(690)의 상단에 상기 공작물(M2)이 닿게 되면, 더 이상 공작물(M2)의 하향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면, 본 발명에 의한 단조가공이 완료되며, 상기에서는 샤프트치형(310)과 허브치형(230)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실제로는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플래닛캐리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플래닛캐리어 완성품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사용되는 플래닛캐리어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사용되는 플래닛캐리어의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에 의해 제품이 형성되는 과정을 단면도로 보인 제조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에 의해 제품이 제조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플래닛캐리어 200. 허브부
230. 허브치형 300. 샤프트부
310. 샤프트치형 500. 상부어셈블리
520. 축치형부 600. 하부어셈블리
610. 슬라이드맨드릴 620. 삽입맨드릴
630. 제1가스스프링 640. 맨드릴블럭
650. 제2가스스프링 660. 치형인서트
M2. 공작물

Claims (5)

  1. 공작물을 지지하는 하부어셈블리(600)와, 상기 하부어셈블리(6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가압하는 상부어셈블리(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어셈블리(500)에는,
    공작물의 일부가 수용되는 축홀(510)이 형성되며, 상기 축홀(510)에는 공작물의 일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축치형부(52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어셈블리(600)에는,
    공작물의 내측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맨드릴(610)과,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삽입맨드릴(620)과, 상기 삽입맨드릴(6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삽입맨드릴(620)을 지지하는 제1가스스프링(630)과, 상기 슬라이드맨드릴(6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맨드릴(610)을 지지하는 맨드릴블럭(640)과, 상기 맨드릴블럭(640)의 하측에 구비되어 맨드릴블럭(640)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가스스프링(650)과, 공작물의 일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허브치형부(662)가 구비되는 치형인서트(6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블럭(640)은,
    상기 제1가스스프링(6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중앙부(642)와, 상기 중앙부(642)이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부(644)를 포 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날개부(644)는, 상기 다수의 제2가스스프링(650)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맨드릴(620)은,
    공작물의 샤프트부(30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622)와;
    상기 삽입부(622)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62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지지부(6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블럭(640)의 외측에는,
    상기 맨드릴블럭(640)을 감싸는 상부엔빌(674)과 하부엔빌(67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엔빌(674)과 하부엔빌(672)의 하측에는 상기 다수의 제2가스스프링(650)이 수용되는 지지대(6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인서트(660)의 외측에는, 치형인서트(660)의 외형과 대응되는 외측인서트(688)가 구비되고;
    상기 치형인서트(660)와 외측인서트(688)의 상하에는, 상부인서트(684)와 하부인서트(686)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인서트(660,684,686,688) 외측에는, 상측다이(682)와 하측다이(680)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인서트(660,684,686,688)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KR1020090136395A 2009-12-31 2009-12-31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KR10111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395A KR101111059B1 (ko) 2009-12-31 2009-12-31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395A KR101111059B1 (ko) 2009-12-31 2009-12-31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376A KR20110079376A (ko) 2011-07-07
KR101111059B1 true KR101111059B1 (ko) 2012-03-09

Family

ID=4491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395A KR101111059B1 (ko) 2009-12-31 2009-12-31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0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06B1 (ko) 2008-03-11 2009-04-17 임기현 역구배 스퍼기어 냉간단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구배스퍼기어를 가지는 일체형 도그바디 복합 단조 방법 및 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06B1 (ko) 2008-03-11 2009-04-17 임기현 역구배 스퍼기어 냉간단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구배스퍼기어를 가지는 일체형 도그바디 복합 단조 방법 및 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376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4871B2 (ja) 熱交換器用フィンのカラー成形法及び金型
CN105683619B (zh) 用来制造用于无级变速器的推带的横向部件的方法和由此获得的横向部件
WO2007043625A1 (ja) ステアリングラ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SE532183C2 (sv) Metod och anordning för tillverkning av brickor för låsning
US713131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forging blank
JP2014512275A (ja) 無フランジ絞り加工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10084215A (ko) 중공형 금속 소재 상의 외부 쓰레드의 비절삭 제조방법 및 장치
JP4814118B2 (ja) 歯車成形方法及び装置
JP4734267B2 (ja) 歯車成形装置
KR10095310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플래닛캐리어 제조방법
KR101867186B1 (ko) 쇼바씰 제조용 프레스 공정의 소재두께 보정방법 및 그 금형
KR101111059B1 (ko) 플래닛캐리어용 금형장치
JPH03268830A (ja) ベアリング用締め付けナットのナット素材の製造方法
JP6874526B2 (ja) 円筒部の製造方法
JP5573389B2 (ja) 歯車成形装置及び方法
KR20130080080A (ko) 스프링시트 제조방법
KR20100103021A (ko) 냉간단조를 이용한 자동차 수동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와이어연결용 핀의 제조방법
JP4619055B2 (ja) 歯形形成部を有する部材の製造方法
JP2012196679A (ja) フランジ付き中空ピンの製造方法及びフランジ付き中空ピンの製造装置
KR101123396B1 (ko) 금형장치의 이용방법
JP3469275B2 (ja) 歯車素形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610623B1 (ko) 절단칼의 부분교체가 가능한 절단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102282098B1 (ko) 안전벨트고리 제조방법
KR102244127B1 (ko) 차량용 롤링부품 가공장치
KR200460510Y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플래닛캐리어 피어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