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918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918B1
KR101110918B1 KR1020087008568A KR20087008568A KR101110918B1 KR 101110918 B1 KR101110918 B1 KR 101110918B1 KR 1020087008568 A KR1020087008568 A KR 1020087008568A KR 20087008568 A KR20087008568 A KR 20087008568A KR 101110918 B1 KR101110918 B1 KR 10111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istway
counterweight
main rope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5904A (en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시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9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가 설치되며, 균형추에는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 내에는, 제1 구동 쉬브를 가지는 제1 권상기와 제2 구동 쉬브를 가지는 제2 권상기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제1 메인 로프 및 제2 메인 로프를 가지는 메인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제1 메인 로프는 제1 구동 쉬브,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연속적으로 감겨져 있다. 제2 메인 로프는 제2 구동 쉬브, 제2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연속적으로 감겨져 있다. 이에 의해,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의 각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승강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 car is provided with a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a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counterweight is provided with a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a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In the hoistway, a first hoist having a first drive sheave and a second hoist having a second drive sheave are provided.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a main rope body having a first main rope and a second main rope. The first main rope is continuously wound around the first drive sheave,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The second main rope is continuously wound around the second drive sheave, the second elevator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Thereby, miniaturization of each of the first hoisting machine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can be achieved, and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can be achieved.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구동 쉬브, 제1 메인 로프, 제2 메인 로프, 권상기 Car, suspension sheave, drive sheave, first main rope, second main rope, hoist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0001] ELEVATOR DEVICE [0002]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car and a balance weight are elevated in a hoistway.

종래, 2개의 구동 쉬브를 가지는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각 구동 쉬브는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각 구동 쉬브에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가 감겨진 서스펜션 쉬브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가 감겨진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가 마련되어 있다. 각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면, 메인 로프가 이동되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승강로 내를 승강된다(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car and a balanced weight are lifted and raised by a driving force of a drive apparatus having two drive sheaves has been proposed. Each drive sheave is arranged on the same axis. Each drive sheave is wound with a car and counterweight main rope. At the top of the car is a suspension sheave with a main rope wound around it. At the top of the counterweight is a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with a main rope wound. When each drive sheave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the main rope is moved to raise and lower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hoistway (se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 특표2001-51843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518434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1개의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기 때문에 구동 장치가 대형화되게 된다. 이에 의해, 승강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없게 되어 엘리베이터 장치가 대형화되게 된다.However, since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lifted by the driving force of one drive device, the drive device becomes large. As a result,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cannot be achieved, and the elevator apparatus is enlarg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be miniaturized.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균형추에 설치된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제1 구동 쉬브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권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제2 구동 쉬브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권상기 및, 제1 구동 쉬브,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연속적으로 감겨진 제1 메인 로프와, 제2 구동 쉬브,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연속적으로 감겨진 제2 메인 로프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체를 구비하고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and a balance weight capable of elevating the hoistway, a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a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provided in the car, a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provided with a counterweight and a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 first hoist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having a first drive sheave and generating driving force for elevating the car and counterweight; a first hoist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having a second drive sheave and generating drive force for lifting the car and counterweight 2 windings and a first main rope continuously wound on the first drive sheave,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the second drive sheave,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that are With a second main rope continuously wound , And a main rope body for suspending the car and balance weight.

또,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제1 메인 로프의 제1 구동 쉬브와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제2 메인 로프의 제2 구동 쉬브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제1 메인 로프의 제1 구동 쉬브와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 및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제2 메인 로프의 제2 구동 쉬브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Moreover,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which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the part between the 1st drive sheave of the 1st main rope and the 1st car suspension sheave is wound, the 2nd drive sheave of the 2nd main rope, 2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with a portion wound between the car suspension sheaves, a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wound with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of the first main rop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a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in which a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of the second main rop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is wound.

또,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는 승강로 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hoisting machine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lower part in a hoistway.

또,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는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are provided below the car.

또, 엘리베이터 칸은 승강로의 폭 방향에 대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균형추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의 폭 방향과 수직인 안길이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의 폭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car is arranged between a pair of car guide rails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balance weight is arranged at a dep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spaced apart from the car. The first hoist and the second hoist are disposed so as to sandwich the ca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istway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또, 엘리베이터 칸은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에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며, 제1 메인 로프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와,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고, 제2 메인 로프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가 설치되며, 제1 메인 로프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과, 제2 메인 로프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은,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또한,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car is arranged between a pair of car guide rails, and the car is disposed on different sides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between the car guide rails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 pair of continuously wound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between each car guide rail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rranged on different sides, and the second main rope being continuously wound A pair of 2nd car suspension sheaves are provided, and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 of a 1st main rope, and the part between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 of a 2nd main rope is an up-and-down direction.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and intersect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There is value.

또, 엘리베이터 칸은 승강로의 폭 방향에 대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균형추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의 폭 방향과 수직인 안길이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1 메인 로프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와, 제2 메인 로프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가 설치되며, 제1 메인 로프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 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균형추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car is arranged between a pair of car guide rails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balance weight is arranged at a dep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spaced apart from the car. The car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in which the first main rope is continuously wound, and a pair of second car suspension suspensions in which the second main rope is continuously wound, and the first main The portion between 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of the rope and the portion of each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of the second main rope is in a counterweight guess than a straight line connecting each car guide rail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It is arranged.

또, 엘리베이터 칸은 승강로의 폭 방향에 대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균형추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의 폭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균형추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car is arranged between a pair of car guide rai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balancing weight is arranged at intervals from the ca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The 2nd hois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lance estimation side of a cage | ca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a hoistway.

또,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1 메인 로프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와, 제2 메인 로프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가 설치되며, 제1 메인 로프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과, 제2 메인 로프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ar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in which the first main rope is continuously wound and a pair of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in which the second main rope is wound continuously, The part between each first car suspension sheave of the main rope and the part between each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of the second main rope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each car guide rail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It is arranged.

또, 제1 메인 로프 및 제2 메인 로프는,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사이에서 서로 연속함으로써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를 구성하고 있으며, 승강로 내에 설치되며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균형추측 전향 풀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Moreover, the 1st main rope and the 2nd main rope consist of a complete annular main rope by mutually continuing between a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a 2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are installed in a hoistway, and a complete annular main rope And a counterweight guess turning pulley having a portion wound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또, 제1 메인 로프 및 제2 메인 로프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에서 서로 연속함으로써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를 구성하고 있으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Moreover, the 1st main rope and the 2nd main rope are comprised between the 1st cage suspension sheave and the 2nd cage suspension sheave, and comprise the complete annular main rope, and are installed in a hoistway, and the complete annular The car side turning pulley in which a portion between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of the main rope is wound is further provided.

또, 제1 메인 로프 및 제2 메인 로프는 엘리베이터 칸의 대략 중심을 매달도록 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main rope and the 2nd main rope are made to hang about the center of a cage | basket | car.

또,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및 제1 권상기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권상기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the first hoist,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hoist are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1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3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4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5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5.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7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9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10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의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 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된다. 균형추(7)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된다.1 is a horizontal stage shaving illustrat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a part of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the pair of cage guide rails 2 and 3 and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ar 6 is moved up and down in the hoistway 1 while being guided to the car guide rails 2 and 3. The counterweight 7 is moved up and down in the hoistway 1 while being guided to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4, 5.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및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의 각각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이 승강로(1)의 폭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승강로(1) 내에 배치되어 있다.Each of the cage guide rails 2, 3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4, 5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ge guide rails 2,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4 and 5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istway 1 so that it may become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6)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의 각각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각 측면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정면 및 배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각 측면은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car 6 has a pair of side surfaces opposed to each of the car guide rails 2 and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has a front side and a back side connecting between the ends of each side surface. have. Each side surface of the cage | basket | car 6 is arrange | positioned perpendicularly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6)은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대해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7)는,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대해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car 6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car guide rails 2 and 3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counterweight 7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4 and 5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승강로(1)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즉,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균형추(7)가 엘리베이터 칸(6)의 배면측을 승강하는 균형추 후면 하강식(back fall-type)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되어 있다.The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are spac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arrang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t is placed. That i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is a counterweight back fall-type elevator apparatus by which the counterweight 7 raises and lowers the back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6.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가 서로 독립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6)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the driving for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balance weight 7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dependently.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age | basket | car 6 may be inter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제1 권상기(8)는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1 권상기 본체(10)와, 제1 권상기 본체(10)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구동 쉬브(11)를 가지고 있다. 제2 권상기(9)는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2 권상기 본체(12)와, 제2 권상기 본체(12)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구동 쉬브(13)를 가지고 있다. 제1 구동 쉬브(11)는 제1 권상기 본체(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제2 구동 쉬브(13)는 제2 권상기 본체(1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의 각각은, 지름 방향에 대한 치수가 축선 방향에 대한 치수보다 크게 된 편평하고 박형(薄刑)인 권상기이다. 또,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의 각각의 회전축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hoisting machine 8 includes a first hoisting body 10 including a horizontally arranged rotary shaft, and a first drive sheave 11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hoisting body 10 and rotatable about the rotary shaft. Have. The second hoist 9 includes a second hoist main body 12 including a horizontally arranged rotary shaft, and a second drive sheave 13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of the second hoist main body 12 and rotatable about the rotary shaft. Have. The first drive sheave 11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hoisting body 10,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hoisting body 12. Moreover, each of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is a flat and thin hoisting machine whose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became larger than the dimension with respect to an axial direction. Moreover, each rotation axis of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제1 구동 쉬브(11)에는 복수 개의 제1 메인 로프(14)가 감겨져 있다. 또, 제2 구동 쉬브(13)에는 복수 개의 제2 메인 로프(15)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체(16)는 각 제1 메인 로프(14) 및 각 제2 메인 로프(15)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 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메인 로프체(16)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아져 있다.A plurality of first main ropes 14 are wound around the first drive sheave 11.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main ropes 15 are wound arou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The main rope body 16 has each 1st main rope 14 and each 2nd main rope 15. As shown in FIG. The elevator compartment 6 and the counterweight 7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the main rope body 16.

엘리베이터 칸(6)의 하부에는, 각 제1 메인 로프(14)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와, 각 제2 메인 로프(15)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6, the pair of 1st cage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which each 1st main rope 14 was wound continuously, and each 2nd main rope 15 are wound continuously A pair of second elevator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are provided.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 17 and 18 is arrange | positioned in a different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each car guide rails 2 and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refore,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1st main rope 14, and each car guide rails 2 and 3 is a part of the hoistway 1 They intersect each other in a vertical projection plane.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과,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을 연결하는 직선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 19 and 2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mutually different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the car guide rails 2 and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refore,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the part between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2nd main rope 15, and each car guide rail 2 and 3 is perpendicular to the hoistway 1 They intersect within the projection plane.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상하 방향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도 1). 또,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제 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로프체(16)는 엘리베이터 칸(6)의 대략 중심을 매달고 있다.Part between each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first main rope 14 and part between each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second main rope 15 Is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FIG. 1). Moreover,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1st main rope 14, and between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2nd main rope 15 is carried out. The portions of s intersect each oth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s a result, the main rope body 16 hangs about the center of the car 6.

균형추(7)의 상부에는, 각 제1 메인 로프(14)가 감겨진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각 제2 메인 로프(15)가 감겨진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는, 승강로(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는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된다.In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7, the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by which each 1st main rope 14 was wound, and the 2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by which each 2nd main rope 15 was wound are installed. It is. The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2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mutu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2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are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respectively.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및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에 의해 지지된 수평 빔(23)이 설치되어 있다. 수평 빔(23)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수평 빔(23)에는, 각 제1 메인 로프(14)가 각각 감겨진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및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와, 각 제2 메인 로프(15)가 각각 감겨진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horizontal beam 23 supported by the cage guide rails 2 and 3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is provided. The horizontal beam 23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the horizontal beam 23, the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24 and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in which each of the first main ropes 14 are wound,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second main ropes 15 are respectively The wound 2nd car side return pulley 26 and the 2nd balance estimation return pulley 27 are provided.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는, 구동 쉬브(11)로부터의 각 제1 메인 로프(14)를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8)를 향해 반전(反轉)시킨다. 또,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는, 구동 쉬브(11)로부터의 각 제1 메인 로프(14)를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를 향해 반전시킨다.The 1st cage side pulley 24 inverts each 1st main rope 14 from the drive sheave 11 toward the 1st cage suspension sheave 18. Moreover, the 1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inverts each 1st main rope 14 from the drive sheave 11 toward the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는, 구동 쉬브(13)로부터의 각 제2 메인 로프(15)를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20)를 향해 반전시킨다. 또,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는, 구동 쉬브(13)로부터의 각 제2 메인 로프(15)를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를 향해 반전시킨다.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inverts each second main rope 15 from the drive sheave 13 toward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20. Moreover, the 2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inverts each 2nd main rope 15 from the drive sheave 13 toward the 2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6)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는, 승강로(1)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된다.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4 and the 2nd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6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age | basket | car 6 may be inter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istway 1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t is. Moreover,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4 and the 2nd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6 are rotated centering around the rotating shaft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respectively.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균형추(7)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배면과 승강로(1)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는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된다.The 1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and the 2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unterweight 7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other words,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are locat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ar 6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d. Further,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are respectively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arranged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또, 수평 빔(23)에는 각 제1 메인 로프(14)의 일단부가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28)와, 각 제1 메인 로프(14)의 타단부가 접속된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와, 각 제2 메인 로프(15)의 일단부가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30)와, 각 제2 메인 로프(15)의 타단부가 접속된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ope fixing apparatus 28 to which the one end of each 1st main rope 14 wa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eam 23, and the 1st balance with the other end of each 1st main rope 14 connected 2nd cage | basket | car side rope fixing apparatus 30 to which the guess rope fixing apparatus 29, the one end of each 2nd main rope 15 was connected, and the 2nd other end of each 2nd main rope 15 connected. A balance guess rope fixing device 31 is provided.

각 제1 메인 로프(14)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28)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구동 쉬브(11),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의 순서로 감겨져서,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Each 1st main rope 14 is each 1st cage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from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ope fixing apparatus 28,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4, Wound in the order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to reach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rope fixation device 29; have.

각 제2 메인 로프(15)는,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30)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제2 구동 쉬브(13),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의 순서로 감겨져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Each 2nd main rope 15 is each 2nd cage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from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2nd cage | basket | car side rope fixing apparatus 30, the 2nd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6, The second drive sheave 13,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are wound in the order to reach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measurement rope fixing device 31.

즉,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2:1 로핑 방식으로 각 쉬브에 감겨진 제1 메인 로프(14) 및 제2 메인 로프(15)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아져 있다.That is, the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second main rope 15 wound around each sheave in a 2: 1 roping manner.

제1 권상기(8), 제2 권상기(9),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권상기(8),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권상기(9),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을 따른 엘리베이터 칸(6)의 중심선에 대해 각각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First hoist 8, second hoist 9,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24,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and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The 27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Moreover, with the 1st hoisting machine 8, the 1st cage side pulley 24, the 1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the 1st cage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the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 The second hoisting machine 9,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the second car suspension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y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cage | basket | car 6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respectively.

또한,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한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의 제어에 의해 서로 동기되어 회전된다. 이에 의해, 각 제1 메인 로프(14) 및 각 제2 메인 로프(15)가 이동되어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승강로(1) 내를 승강된다.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are rotate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by the control of the first hoist 8 and the second hoist 9 by a control device (not shown). Thereby, each 1st main rope 14 and each 2nd main rope 15 are moved, and 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balance weight 7 are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가 서로 독립되어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의 각각이 받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어,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의 각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fir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9 each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elevating the common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are installed in the hoistway 1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refore, the burden which each of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bears can be reduced, and each size of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can be miniaturized. . Thereby,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1 can be aimed at, and miniaturization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aimed at.

또, 제1 구동 쉬브(11)로부터의 각 제1 메인 로프(14)를 각각 반전시키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및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와, 제2 구동 쉬브(13)로부터의 각 제2 메인 로프(15)를 각각 반전시키는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가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의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의 배치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승강로(1)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Moreover, the 1st cage side pulley 24 and the 1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which invert each 1st main rope 14 from the 1st drive sheave 11, and the 2nd drive sheave 13, respectively. Since the 2nd cage side return pulley 26 and the 2nd balance estimation return pulley 27 which respectively reverse each 2nd main rope 15 from ()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freedom degree of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can be enlarged, and the space in the hoistway 1 can be utilized effectively.

또,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승강로(1)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의 보수 점검 작업을 승강로(1)의 피 트(pit)부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in the hoistway 1, the maintenance check work of the 1st hoister 8 and the 2nd hoister 9 is performed by the hoistway 1 It can be performed easily from the pit part of the.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는 엘리베이터 칸(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6)의 상한 위치를 승강로(1)의 천장면에 접근시킬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에 대한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the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r 6,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car 6 is carried out by the hoistway 1 The ceiling surface can be approached, and space sav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achieved.

또,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6)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age | basket | car 6 may be inter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space in the hoistway 1 can be used effectively.

또,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또한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6)이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에 편중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1st main rope 14, and between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2nd main rope 15 is carried out. The parts of ar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car 6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and each car guide rail The load biased to the cage | basket | car 6 by (2, 3) can be prevented. Thereby, the cage | basket | car 6 can be raised and lowered stably.

또, 메인 로프체(16)는 엘리베이터 칸(6)의 대략 중심을 매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6)을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main rope body 16 hangs about the center of the cage | basket | car 6, the cage | basket | car 6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tably.

제1 권상기(8),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권상기(9),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좌우 대칭 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기기를 각각 동형(同型)으로 할 수 있어 부품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First hoist 8,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second hoist 9,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and second Since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is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 pair of devices can be made homogeneous, and the parts can be shared.

실시의 형태 2.Embodiment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및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균형추(7)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3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each of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are with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respective car guide rails 2 and 3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unterweight 7 side rather than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them, respectively.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서로 개리되어서 배치되어 있고 교차하고 있지 않다. 또,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 및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균형추(7)측에 각각 배치되며, 또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게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Part between each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first main rope 14 and part between each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second main rope 1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do not cross each other. Moreover,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1st main rope 14, and between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2nd main rope 15. Moreover, as shown in FIG. The part of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unterweight 7 side rather than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each car guide rails 2 and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each car guide rails 2 and 3, respectively.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them.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 및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 을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균형추(7)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에 대해,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의 균형추(7)와 반대측에, 제어반이나 조속기 등의 각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1st main rope 14, and of each 2nd main rope 15 Since the part between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wa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unterweight 7 side rather than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each car guide rails 2 and 3,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ounterweights 7 of the car guide rails 2 and 3, a space for installing each device such as a control panel or a governor can be secured.

실시의 형태 3.Embodiment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매다는 메인 로프체(16)는 복수 개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41)를 가지고 있다.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41)는,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에서 서로 연속하는 제1 메인 로프(14) 및 제2 메인 로프(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4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main rope body 16 which hangs 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has several complete annular main rope 41. As shown in FIG.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41 is connected to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second main rope 15 that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It is composed by.

수평 빔(23)에는,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로프(41)의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균형추측 전향 풀리(42)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측 전향 풀리(4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측 전향 풀리(42)는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The horizontal beam 23 is provided with a counterweight guess turning pulley 42 in which a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of each complete annular rope 41 is wound. have. The balance estimation forward pulley 42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addition, the balance estimation forward pulley 42 is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arranged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로프(41)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28)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구동 쉬브(11),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 균형추측 전향 풀리(42),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 브(22),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제2 구동 쉬브(13),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20, 19)의 순서로 감겨져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30)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2와 같다.Each complete ring-shaped rope 41 is 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the first car side pulley 24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ar side rope fixing device 28. , First drive sheave 11,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counterweight backward deflection pulley 42,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second counterweight estimate The second pulley 27, the second drive sheave 13,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and each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20, 19 wound in the order of the second car side rope fixing device 30 The other end connected to is reache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제1 메인 로프(14) 및 각 제2 메인 로프(15)가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에서 서로 연속함으로써 복수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61)가 구성되며,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로프(41)의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의 부분이 승강로(1) 내에 설치된 균형추측 전향 풀리(42)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41)의 전 길이에 걸쳐서 장력을 균등하게 접근할 수 있어,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로프(41)의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의 각각에 대한 슬립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device, each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each second main rope 15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so that a plurality of complete rings The main rope 61 of the shape is constituted, and the portion of the balance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of each complete annular rope 41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Since it is wound around the turning pulley 42, the tension can be equally approach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omplete annular main rope 41, and the first drive sheave 11 of each complete annular rope 41 is provided. And occurrence of slip on each of the second drive sheaves 13 can be achieved.

즉, 각 제1 메인 로프(14)와 각 제2 메인 로프(15)가 서로 독립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장시간의 운전에 의해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의 각각의 마모량에 차이가 생기면, 각 구동 쉬브(11, 13)의 회전수가 동일하더라도, 각 제1 메인 로프(14) 및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각의 이동량은 서로 다르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메인 로프(14)와 제2 메인 로프(15) 사이에 장력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장력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는 제1 메인 로프(14) 및 제2 메인 로프(15)의 각각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6)측 및 균형추(7)측의 각각의 장력비가 트랙션(traction) 한계를 넘었을 때에, 제1 구동 쉬브(11) 혹은 제2 구동 쉬브(13) 에 대해 슬립이 발생하여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That is, when each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each of the second main rope 15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by the long time operatio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even if the rotational speed of each of the drive sheaves 11 and 13 is the same, the amount of movement of each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each of the second main ropes 15 is different. As a result, an imbalance in tension occurs between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second main rope 15. In each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second main rope 15 where tension imbalance occurs, the respective tension ratios on the car 6 side and the counterweight 7 side determine the traction limit. When exceeded, slip may occur with respect to the 1st drive sheave 11 or the 2nd drive sheave 13,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vibration may arise.

실시의 형태 3에서는, 각 제1 메인 로프(14)와 각 제2 메인 로프(15)가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의 장력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어, 제1 메인 로프(14)의 제1 구동 쉬브(11)에 대한 슬립 발생의 방지나 제2 메인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13)에 대한 슬립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In Embodiment 3, since each 1st main rope 14 and each 2nd main rope 15 are continuous, the said tension imbalance can be suppressed and the 1st of the 1st main rope 14 The occurrence of slip on the drive sheave 11 and the occurrence of slip on the second drive sheave 13 of the second main rope 15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균형추측 전향 풀리(42)가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균형추측 전향 풀리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균형추측 전향 풀리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bove example, one counterweight guess turning pulley 4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but two or more counterweight guess redirecting pulley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By doing in this way, the outer diameter of each balancing estimation turning pulley can be made small, and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실시의 형태 4.Embodiment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및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의 각각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1) 내에 배치되어 있다.5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a part of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each of the car guide rails 2 and 3 and each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is connected between the car guide rails 2 and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straight line to be connected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between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are arranged in the hoistway 1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엘리베이터 칸(6)은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대해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7)는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으로 대해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 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따른 방향이 승강로(1)의 폭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car 6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car guide rails 2 and 3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counterweight 7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4 and 5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Each car guide rail (2, 3) is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direction along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r guide rails (2, 3)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d to be parallel.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즉,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균형추(7)가 엘리베이터 칸(6)의 한쪽 측면측을 승강되는 균형추 측면 하강식(lateral fall-type)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되어 있다.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mutually so that it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at is,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is a counterweight side lateral fall-type elevator apparatus in which the counterweight 7 moves up and down one side of the car 6.

승강로(1) 내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균형추(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과 균형추(7) 사이의 틈새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의 각각의 회전축이 승강로(1)의 안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9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1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counterweight 7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this example, the fir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9 are disposed in the gap between the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fir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9 are formed such that respective rotation axes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are perpendicular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d.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는 승강로(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도 승강로(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와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서로 다른 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i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and each of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also has a g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t is placed. 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each of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are with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connect between the respective car guide rails 2 and 3.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different side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respectively.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교차하지 않고 서로 개리되어 있다. 또,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로프체(16)는 엘리베이터 칸(6)의 대략 중심을 매달고 있다.Part between each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first main rope 14 and part between each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second main rope 1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crossing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1st main rope 14, and between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2nd main rope 15 is carried out. The part of is located in the mutually different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the cage guide rails 2 and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this example,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1st main rope 14 and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2nd main rope 15 are shown. The part between the parts i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the cage guide rails 2 and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s a result, the main rope body 16 hangs about the center of the car 6.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에 의해 지지된 수평 빔(51)과, 한쪽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의해 지지된 수평 빔(52)이 설치되어 있다. 수평 빔(51)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 및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빔(52)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28)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horizontal beam 51 supported by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4 and 5 and the horizontal beam 52 supported by one cage guide rail 3 are provided. The horizontal beam 51 has a first cage side pulley 24, a first counterbalance return pulley 25, a second cage side pulley 26, a second counterbalance return pulley 27, and a first counterbalance guess. A rope fixing device 29 and a second balancing guess rope fixing device 31 are provided. The horizontal cage 52 is provided with a first car side rope fixing device 28 and a second car side rope fixing device 30.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2 엘리 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의 각각의 회전축은 승강로(1)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Each of the rotary shafts of the first car pulley return pulley 24,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the second elevator car pulley return 26,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is the hoistway 1. It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각 제1 메인 로프(14)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28)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구동 쉬브(11),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의 순서로 감겨져서,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Each 1st main rope 14 is each 1st cage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from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ope fixing apparatus 28,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4, Wound in the order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to reach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rope fixation device 29; have.

각 제2 메인 로프(15)는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30)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제2 구동 쉬브(13),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의 순서로 감겨져서,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Each 2nd main rope 15 is each 2nd cage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the 2nd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6 from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2nd cage | basket | car side rope fixing apparatus 30, It is wound in the order of the 2nd drive sheave 13, the 2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and the 2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and has reache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2nd counterweight estimation rope fixing device 31. As shown in FIG. .

제1 권상기(8), 제2 권상기(9),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권상기(8),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권상기(9),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폭 방향을 따른 엘리베이터 칸(6)의 중심선에 대해 각각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First hoist 8, second hoist 9,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24,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and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Reference numeral 27 is arrang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1st hoisting machine 8, the 1st cage side pulley 24, the 1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the 1st cage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the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hoist 9,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the second car suspension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are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y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cage | basket | car 6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respectively.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균형추(7)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강로(1)의 폭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6)과 나란히 배치되며,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균형추(7)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균형추(7)와 겹치도록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를 배치하거나, 엘리베이터 칸(6)과 균형추(7) 사이의 틈새에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를 배치하거나 할 수 있어, 승강로(1) 내의 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counterweight 7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ar 6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the first hoist 8 and the second hoist 9 1) is disposed on the counterweight 7 side of the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first hoisting machine 8 overlaps with the counterweight 7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the second hoist 9 or the first hoist 8 and the second hoist 9 in the gap between the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and thus, in the hoistway 1. Space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또, 각 제1 메인 로프(14)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사이의 부분과,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사이의 부분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6)의 대략 중심을 메인 로프체(16)에 의해 매달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6)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part between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f each 1st main rope 14, and between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of each 2nd main rope 15 is carried out. Since the part of is locat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each cage | basket | car guide rails 2 and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center of the cage | basket | car 6 is centered about the main rope. It can be suspended by the sieve 16, and the cage | basket | car 6 can be raised and lowered stably.

실시의 형태 5.Embodiment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매다는 메인 로프체(16)는 복수 개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61)를 가지고 있다. 각 완전한 고리형상 메인 로프(61)는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에서 서로 연속하는 제1 메인 로프(14) 및 제2 메인 로프(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7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main rope body 16 which hangs 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has several complete annular main rope 61. As shown in FIG.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61 is constituted by a first main rope 14 and a second main rope 15 that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It is.

수평 빔(51)에는 각 완전한 고리형상 메인 로프(61)의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균형추측 전향 풀리(62)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측 전향 풀리(6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측 전향 풀리(62)는 승강로(1)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The horizontal beam 51 is provided with a counterweighted deflection pulley 62 in which a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of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61 is wound. . The balance estimation forward pulley 62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addition, the balance estimation forward pulley 62 is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61)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28)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구동 쉬브(11),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 균형추측 전향 풀리(62), 제 2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제2 구동 쉬브(13),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20, 19)의 순서로 감겨져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30)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4와 같다.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61 is each of the first cage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the first cage side pulley 24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age side rope fixing device 28. ), The first driving sheave 11,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the counterweight shifting pulley 62,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guessing The second pulley 27, the second drive sheave 13,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and each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20, 19 wound in the order of the second car side rope fixing device 30 The other end connected to is reache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제1 메인 로프(14) 및 각 제2 메인 로프(15)가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에서 서로 연속함으로써 복수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61)가 구성되며,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61)의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의 부분이, 승강로(1) 내에 설치된 균형추측 전향 풀리(62)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실시의 형태 3과 마찬가지로,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61)의 전 길이에 걸친 장력을 균등하게 접근시킬 수 있어,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61)의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의 각각에 대한 슬립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device, each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each second main rope 15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so that a plurality of complete rings The main rope 61 of a shape is comprised, The part between the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2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of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61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1. Since it is wound around the balance guess turning pulley 62, the tens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omplete annular main rope 61 can be equally approached like i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respective annular main ropes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for each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of 61.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균형추측 전향 풀리(62)가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균형추측 전향 풀리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균형추측 전향 풀리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one counterweight guess turning pulley 6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but two or more counterweight guess redirecting pulley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 By doing in this way, the outer diameter of each balancing estimation turning pulley can be made small, and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실시의 형태 6.Embodiment 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매다는 메인 로프체(16)는 복수 개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71)를 가지고 있다.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71)는, 한쪽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와 한쪽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사이에서 서로 연속하는 제1 메인 로프(14) 및 제2 메인 로프(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main rope body 16 which hangs 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has several complete annular main rope 71. As shown in FIG.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71 includes a first main rope 14 and a second one that are continuous to each other between on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17 and on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19. It is comprised by the main rope 15.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의해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72)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7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72)는 승강로(1)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cage | bowl side turning pulley 72 supported by the cage | basket | car guide rail 3 is provided. The car side turning pulley 72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cage | basket | car side forward pulley 72 rotates about the rotating shaft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71)는,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1 구동 쉬브(11),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8, 17),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72),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제1 구동 쉬브(13),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의 순서로 감겨져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4와 같다.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71 has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and the first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estimation rope fixing device 29. Drive sheave 11,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24, each first car suspension sheave 18, 17, car side forward pulley 72, each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19, 20, The second counterweight pulley fixing device 31 is wound in the order of the second cage pulley 26, the first drive sheave 13,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The other end connected to is reache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복수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71)가, 한쪽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와 한쪽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사이에서 서로 연속하는 제1 메인 로프(14) 및 제2 메인 로프(15)에 의해 구성되며,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71)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사이의 부분이, 승강로(1)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72)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상기의 예와 마찬가지로,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71)의 전 길이에 걸친 장력을 균등하게 접근시킬 수 있어,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71)의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의 각각에 대한 슬립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device, a plurality of completely annular main ropes 7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first car suspension sheave 17 and the second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19. A portion between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17 and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19 of each of the complete annular main ropes 71, constituted by a rope 14 and a second main rope 15. Since it is wound around the cage side turning pulley 72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tension | strength over the full length of the complete annular main rope 71 can be made to approach evenly similarly to the above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on each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of the completely annular main rope 71.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72)가 승강로(1)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각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one car side turning pulley 72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1, but two or more car side turning pulley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 Even if it does in this way, the outer diameter of each cage | bowl side turning pulley can be made small, and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또, 실시의 형태 1~6에서는, 제1 권상기 (8) 및 제2 권상기(9)가 승강로(1) 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및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중 어느 것인가와 제1 권상기(8)를 교체하고,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 중 어느 것인가와 제2 권상기(9)를 교체함으로써,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Moreover, in Embodiment 1-6, although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lower part in the hoistway 1, the 1st cage side return pulley 24 and the 1st balance estimation return By replacing any of the pulleys 25 and the first hoist 8 and replacing any of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and the second hoist 9 The fir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9 may be arranged above the hoistway 1.

실시의 형태 7.Embodiment 7.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수평 빔(23)에 장착됨으로써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는 승강로(1) 내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9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fir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9 are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by being attached to the horizontal beam 23. Moreover, the 1st cage side pulley 24, the 1st counterbalance return pulley 25, the 2nd cage side pulley 26, and the 2nd counterbalance return pulley 27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Not.

각 제1 메인 로프(14)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28)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제1 구동 쉬브(11)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의 순서로 감겨져서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Each first main rope 14 is 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first one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ar side rope fixing device 28.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is wound in order to reach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device 29.

각 제2 메인 로프(15)는,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30)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제2 구동 쉬브(13)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의 순서로 감겨져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Each 2nd main rope 15 is each 2nd cage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the 2nd drive sheave 13, and the 2nd one end connected to the 2nd cage | basket | car side rope fixing apparatus 30, respectively.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is wound in the order of 22 to reach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device 31.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이,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했기 때문에,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를 없앨 수 있어, 승강로(1) 내에 배치되는 기기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Thus, since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we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in the hoistway 1, the 1st cage side return pulley 24, the 1st balance estimation return pulley 25, and the 2nd The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6 and the 2nd balance estimation return pulley 27 can be eliminated, and the number of apparatuse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Thereby,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에 각 제1 메인 로프(14)의 타단부가 접속되고,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에 각 제2 메인 로프(15)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으나, 실시의 형태 3과 같이, 각 제1 메인 로프(14) 및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각 타단부를 서로 연속시켜 복수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로 하며,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균형추측 전향 풀리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전 길이에 걸친 장력을 균등하게 접근시킬 수 있어,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의 각각에 대한 슬립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main ropes 1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guess rope fixing device 29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nd 2 The other end of each second main rope 15 is connected to the balance guessing rope fixing device 31, but as in the third embodiment, each first main rope 14 and each second main rope 15 The other end of each other is continuous with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completely annular main ropes, and a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of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is wound. A balance estimation forward pulley may be provided above the hoistway 1. In this way, the tens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can be equally approached, so that each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of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is The occurrence of slip can be prevented.

또, 상기와 같이 승강로(1) 내의 상부에 균형추측 전향 풀리를 설치할 경우, 균형추측 전향 풀리의 수는 1개로 한정하지 않으며 2 이상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균형추측 전향 풀리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roviding a counterweight speculative divert pulley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s mentioned above, the number of counterweight spectacled divert pulleys may not be limited to one but may be two or more. By doing in this way, the outer diameter of each balancing estimation turning pulley can be made small, and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실시의 형태 8.Embodiment 8.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는, 수평 빔(51)에 장착됨으로써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와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는 승강로(1) 내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10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fir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9 are attached to the horizontal beam 51 and ar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1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2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are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1st counterweight estimation rope fixing apparatus 29 and the 2nd counterweight estimation rope fixing apparatus ( 31) are arranged between. Moreover, the 1st cage side pulley 24, the 1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the 2nd cage side pulley 26, and the 2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Not.

각 제1 메인 로프(14)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28)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제1 구동 쉬브(11) 및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의 순서로 감겨져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Each first main rope 14 is 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first one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ar side rope fixing device 28.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is wound in order to reach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device 29.

각 제2 메인 로프(15)는,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고정 장치(30)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 제2 구동 쉬브(13)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의 순서로 감겨져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에 접속된 타단부에 도달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4와 같다.Each 2nd main rope 15 is each 2nd cage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the 2nd drive sheave 13, and the 2nd one end connected to the 2nd cage | basket | car side rope fixing apparatus 30, respectively.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is wound in the order of 22 to reach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device 31.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이와 같이, 제1 권상기(8) 및 제2 권상기(9)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 했기 때문에, 균형추측 측면 하강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4),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25),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27)를 없앨 수 있어 승강로(1) 내에 배치되는 기기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Thus, since the 1st hoisting machine 8 and the 2nd hoisting machine 9 we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part in the hoistway 1, 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of a counterweight side-down type,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24 and the 1st The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5,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26,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27 can be eliminated, so that the number of devices arranged in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Thereby,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29)에 각 제1 메인 로프(14)의 타단부가 접속되고,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2 균형추측 로프고정 장치(31)에 각 제2 메인 로프(15)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으나, 실시의 형태 5와 마찬가지로, 각 제1 메인 로프(14) 및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각의 타단부를 서로 연속시켜 복수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로 하고, 각 완전한 로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1)와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22)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균형추측 전향 풀리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전 길이에 걸친 장력을 균등하게 접근시킬 수 있어,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의 각각에 대한 슬립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균형추측 전향 풀리의 수는 1개로 해도 되며 2 이상으로 해도 된다. 균형추측 전향 풀리의 수를 2개 이상으로 하면, 각 균형추측 전향 풀리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main ropes 1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guess rope fixing device 29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nd 2 The other end of each second main rope 15 is connected to the balance guess rope fixing device 31, but as in the fifth embodiment, each first main rope 14 and each second main rope 15 The other end of each other is continuous with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completely annular main ropes, and a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of each of the completely lory-shaped main ropes is wound The true balance estimation forward pulley may be provided above the hoistway 1. In this way, the tens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can be equally approached, so that each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of each complete annular main rope is The occurrence of slip can be prevent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balance guess turning pulleys may be one or two or more. When the number of the balance estimation turning pulleys is two or more, the outer diameter of each balance estimation turning pulley can be reduced, and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또, 실시의 형태 6과 마찬가지로, 각 제1 메인 로프(14) 및 각 제2 메인 로프(15)의 각각의 일단부를 서로 연속시켜 복수의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로 하고,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를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제1 구동 쉬브(11) 및 제2 구동 쉬브(13)의 각각에 대한 슬립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milarly to the sixth embodimen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each of the second main ropes 15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perfect annular main ropes, and each perfect annular shape The car side turning pulley in which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17 and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19 of the main rope is wound may be provided above the hoistway 1. Eve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for each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of each of the completely annular main ropes.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의 수는 1개로 해도 되며 2 이상으로 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의 수를 2개 이상으로 하면, 각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car side turning pulleys may be one or two or more. When the number of cage side turning pulleys is two or more, the outer diameter of each cage side turning pulley can be made small, and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또, 각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및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가 엘리베이터 칸(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각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7, 18) 및 각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9, 20)를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 설치해도 된다.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each 1st car suspension sheave 17 and 18 and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 19 and 20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r 6, each 1st The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each 2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r 6.

Claims (13)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A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a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installed in the car, 상기 균형추에 설치된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A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a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installed in the counterweight;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제1 구동 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권상기, A first hoist installed in the hoistway, having a first drive sheav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lift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제2 구동 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권상기, 및A second hoist installed in the hoistway, having a second drive sheav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lift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제1 구동 쉬브,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연속적으로 감겨진 제1 메인 로프와, 상기 제2 구동 쉬브,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연속적으로 감겨진 제2 메인 로프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체를 구비하고 있고, A first main rope continuously wound around the first drive sheave,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the second drive sheave,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A second main rope continuously wound on the sheave, the main rope body for suspend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는 서로 독립하여 설치되며,The first hoist and the second hoist are insta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승강로의 폭 방향에 대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The car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car guide rails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상기 균형추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폭 방향과 수직인 안길이 방향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The balance weight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car in a dep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상기 제1 메인 로프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와, 상기 제2 메인 로프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한 쌍의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가 설치되고, The car is provided with a pair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in which the first main rope is continuously wound and a pair of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in which the second main rope is wound continuously. , 상기 제1 메인 로프의 각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 및 상기 제2 메인 로프의 각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은,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상기 균형추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portion between 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of the first main rope and the portion between each of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of the second main rope are each with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counterweight side than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guide rai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로프의 상기 제1 구동 쉬브와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A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having a portion wound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of the first main rope and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메인 로프의 상기 제2 구동 쉬브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A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having a portion wound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of the second main rope and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로프의 상기 제1 구동 쉬브와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 및A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having a portion wound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of the first main rop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메인 로프의 상기 제2 구동 쉬브와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d a second counterweight measurement return pulley installed in the hoistway, in which a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of the second main rop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is wound.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제1 권상기 및 상기 제2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 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said first hoisting machine and the said 2nd hoisting machine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lower part in the said hoistway,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said 1st cage suspension sheave and the said 2nd cage suspension sheave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aid cage,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승강로의 폭 방향에 대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The car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car guide rails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상기 균형추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폭 방향과 수직인 안길이 방향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The balance weight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car in a dep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상기 제1 권상기 및 상기 제2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폭 방향에 대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Said 1st hoisting machine and said 2nd hoisting machine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aid cage | basket | car may interpos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hoistway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said hoistw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승강로의 폭 방향에 대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The car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car guide rails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상기 균형추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폭 방향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The balance weight is arrange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t intervals with the ca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상기 제1 권상기 및 상기 제2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기 균형추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first hoisting machine and the second hoisting machine are arranged in the balance estimation side of the car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메인 로프 및 상기 제2 메인 로프는,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와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사이에서 서로 연속함으로써 완전한 고리형상 의 메인 로프를 구성하고 있으며,The first main rope and the second main rope,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s each other to form a complete annular main rope,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와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페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균형추측 전향 풀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further comprising a counterweight biasing pulley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wound around a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of the complete annular main rop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메인 로프 및 상기 제2 메인 로프는,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에서 서로 연속함으로써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를 구성하고 있으며,The first main rope and the second main rope constitute a completely annular main rope by being continuous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완전한 고리형상의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엘리베이터 칸측 전향 풀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compartment side pulley provided in the hoistway and further comprising a portion wound between the first car suspension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of the completely annular main rope. Device. 청구항 1, 2, 3, 4, 5, 8, 10,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5, 8, 10, 11, 상기 제1 메인 로프 및 상기 제2 메인 로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대략 중심을 매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said 1st main rope and said 2nd main rope are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nging about the center of the said cage | basket | car. 청구항 1, 2, 3, 4, 5, 8, 10,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5, 8, 10, 11,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및 상기 제1 권상기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 및 상기 제2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the first hoisting machine, the second car suspension suspension sheave,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hoist are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symmetrically.
KR1020087008568A 2005-12-14 2005-12-14 Elevator device KR1011109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22948 WO2007069311A1 (en) 2005-12-14 2005-12-14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904A KR20080055904A (en) 2008-06-19
KR101110918B1 true KR101110918B1 (en) 2012-03-14

Family

ID=3816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568A KR101110918B1 (en) 2005-12-14 2005-12-14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61688A4 (en)
JP (1) JPWO2007069311A1 (en)
KR (1) KR101110918B1 (en)
CN (1) CN101291867B (en)
WO (1) WO200706931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5805B1 (en) * 2009-08-11 2016-11-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WO2012023204A1 (en) * 2010-08-20 2012-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device
JP2015037984A (en) * 2013-03-07 2015-02-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ystem
CN105819310B (en) * 2016-05-20 2018-03-27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ouble tracking-driven elevators with slow drop function of saving oneself manually
CN105883555B (en) * 2016-06-12 2017-12-19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ouble tracking-driven elevators with slow drop function of saving oneself
JP6647411B2 (en) * 2016-09-09 2020-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uspension device
CN110467086A (en) * 2019-07-19 2019-11-19 佛山菱王科技有限公司 8 font wiring tracting structures of 8 to 1 machine-roomless lift of collet formula
DE112019007977T5 (en) * 2019-12-18 2022-09-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8434A (en) * 1997-10-01 2001-10-16 ウィットウー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Cable / rope elevator
JP2002167137A (en)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Elevator
KR20040007690A (en) * 2002-05-01 2004-01-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ing/lowering mechanism and elevating/lowering method of elevat0r
JP2005022812A (en) * 2003-07-01 2005-01-27 Fujitec Co Ltd Elev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908230A (en) 1998-02-26 2000-10-31 Otis Elevad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suspended drive motor
CN2362825Y (en) * 1999-02-02 2000-02-09 杭州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WO2005056455A1 (en) * 2003-12-09 200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8434A (en) * 1997-10-01 2001-10-16 ウィットウー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Cable / rope elevator
JP2002167137A (en)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Elevator
KR20040007690A (en) * 2002-05-01 2004-01-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ing/lowering mechanism and elevating/lowering method of elevat0r
JP2005022812A (en) * 2003-07-01 2005-01-27 Fujitec Co Ltd Elev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1867B (en) 2011-01-12
KR20080055904A (en) 2008-06-19
JPWO2007069311A1 (en) 2009-05-21
CN101291867A (en) 2008-10-22
EP1961688A1 (en) 2008-08-27
EP1961688A4 (en) 2012-03-14
WO2007069311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918B1 (en) Elevator device
KR100961038B1 (en) Elevator device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JP2002080178A (en) Elevator device
KR101636194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modifying elevator
KR100956208B1 (en) Elevator device
JP5235577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016822B1 (en) Elevator device
WO2018225140A1 (en) Elevator
JP4292157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60111682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1011280B1 (en) Elevator device
KR100875778B1 (en) Elevator device
JP6432926B1 (en) Elevator equipment
KR100735338B1 (en) Elevator
JP4601771B2 (en) Elevator hoistway equipment
KR100728419B1 (en) Elevator equipment
KR100872928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766654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77519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795265B1 (en) Elevator apparatus
KR20060006001A (en) Elevator apparatus
KR20060058101A (en) Elevator apparatus
KR20180118760A (en) Elevator device
KR20060058102A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