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676B1 -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676B1
KR101110676B1 KR1020090095299A KR20090095299A KR101110676B1 KR 101110676 B1 KR101110676 B1 KR 101110676B1 KR 1020090095299 A KR1020090095299 A KR 1020090095299A KR 20090095299 A KR20090095299 A KR 20090095299A KR 101110676 B1 KR101110676 B1 KR 10111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primary
primary battery
battery
current
current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740A (ko
Inventor
권광균
한정훈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09009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676B1/ko
Priority to PCT/KR2010/006778 priority patent/WO2011043570A2/ko
Publication of KR2011003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2Measuring effective values, i.e. root-mean-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44Cells or batteri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ell condition indicating means
    • H01M6/5055End of discharge indicated by a voltage 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은,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 값 및 일정 기간 동안의 전류 사용량을 수신하여, 측정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전류 사용량의 비율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된 알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튬 1차 전지의 잔존 배터리 량을 전압의 크기 및 전류 량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리튬 1차 전지의 잔존 배터리 량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소진 상태를 알람으로 통보하여 사전에 배터리 량의 소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리튬 전지, 전류 용량, 2차 전지, 알람

Description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BATTERY MEASUREMENT METHOD OF LITHIUM PRIMARY CEL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및 전류 사용량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량에 따른 알람 신호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에너지 원으로 리튬 전지(litium battery)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리튬 전지(lithium battery)는 음극에 금속 리튬을 사용한 전지로서, 주로 1차 전지가 많으며, 망가니즈 건전지에 비하여 전압과 에너지 밀도가 높아서 카메라나 전자시계 등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Socl2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로서 일반 전압에 비해 높은 약 3.0~3.7V에 해당하는 기전력을 가지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다. 따라서, 리튬-Socl2 전지는 메모리 백업이나, 원격 검침용, RFID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리튬 1차 전지 배터리의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가로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 축은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튬 1차 전지의 특성상 배터리가 약 90% 정도까지 소진되더라도 리튬 1차 전지의 전압의 크기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며, 배터리가 90% 이상 소진되어야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은 급격하게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곡선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터리의 잔량이 거의 다 소진 시에 아주 급격한 전압 변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을 통해서는 리튬 1차 전지의 잔존 배터리 양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리튬 1차 전지의 실제 사용 가능한 배터리 용량을 예측할 수 없으며, 리튬 1차 전지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리튬 1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하고,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미리 방전을 예측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리튬 1차 전지의 방전으로 인하여 IT 시스템의 동작이 중단되는 등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잔존 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은,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 값 및 일정 기간 동안의 전류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알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제1 임계 값보다 작으면 상기 카운터의 개수를 기준 값과 비교하고, 상기 카운터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이 이전 측정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전압 값 및 전류 사용량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전체 사용 전류 = Sleep 전류 사용량 + Tx 전류 사용량 + Rx 전류 사용량
전류 사용량의 비율[%] = (전체 사용 전류 / 전류 용량) * 100
여기서, Sleep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슬립(Sleep) 모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이고, Tx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 상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이며, Rx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데이터 수신 상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는,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 값 및 일정 기간 동안의 전류 사용량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는 연산부,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알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알람 경보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전압 값 및 전류 사용량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1차 전지는 리튬-Socl2 전지이고, 상기 2차 전지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 또는 하이브리드 층 커패시터(HLC)로 구성되며, 상기 리튬 1차 전지에 대하여 상기 2차 장치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원격 검침을 위한 장치이며, 슬립 모드와 액티브 모드가 주기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튬 1차 전지의 잔존 배터리 량을 전압의 크 기 및 전류 량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리튬 1차 전지의 잔존 배터리 량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소진 상태를 알람으로 통보하여 사전에 배터리 량의 소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따라 3가지 형태의 알고리즘으로 나누어 적용함으로써,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잔존 량에 따라서 더욱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시스템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시스템은 리튬 1차 전지(100), 2차 전지(200) 및 배터리 측정 장치(300)를 포함한다. 리튬 1차 전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측정의 대상이 되는 리튬 1차 전지로서, 바람직하게는 원격 검침에 사용되는 리튬-Socl2 전지를 나타낸다.
리튬 1차 전지(100)는 각종 동작의 주체가 되는 디바이스(50)에 전력을 공급하며, 디바이스의 내부에 포함되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50)는 원격 검침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액티브 모드(active mode)와 슬립 모드(sleep mode)가 시계열적으로 교대로 변환된다. 디바이스(50)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에서는 검침된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상위 계층의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2차 전지(200)와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리튬 1차 전지(100)에 대하여 병렬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2차 전지(200)는 리튬 1차 전지(100)에 대하여 전류 량의 변화를 감소시켜주는 보조적인 기능을 담당하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또는 하이브리드 층 커패시터(HLC: Hybrid Layer Capacitor)로 이루어진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고체 전극과 전해질 용액에 직류전압을 흘려주면 그 접한 면에 전기가 저장되는 전기이중층 현상을 이용한 것이고, 하이브리드 층 커패시터는 고체 전극 주변에 전기가 저장되는 하이브리드 층을 이용한 것이다.
도 3은 리튬 1차 전지에 2차 전지를 연결했을 경우 측정되는 전류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각 전류량에 따른 전류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1차 전지(100)의 운영 프로파일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이 다르며, 슬립 모드와 액티브 모드가 전환되는 펄스식 전류 사용 방식에 있어서 전류 예측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펄스식 전류 사용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2차 전지(200)를 배터리 측정 장치(300)와 병렬 연결 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용량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전류 용량의 예측이 용이해진다.
도 3에서 실제 사용 전류 량은 실선으로 표시하였으며, 2차 전지를 연결한 경우의 측정 전류 량은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슬립 모드와 액티브 모드에 따라 전류 량의 변화가 큰 펄스식 전류는 평균적인 전류 사용량을 측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2차 전지(200)를 병렬 연결하면 도 3의 점선 부분과 같이 측정 전류 량의 크기 변화가 매우 작아지게 되므로 도 4와 같이 평균 전류 량에 따른 전류 용량을 예측하기 쉽게 된다.
도 4는 리튬 1차 전지의 실제 사용 가능한 전류 용량을 나타낸 것으로, 가로 축은 시간을, 세로 축은 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사용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1시간 동안 사용 가능한 전류 용량(Ah)의 크기가 달라지며, 사용 가능 시간도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차 전지를 이용하면 전류의 평균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전류 사용량에 따른 전류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튬 1차 전지(100)에 대하여 보조적인 기능을 하는 2차 전지(200)가 리튬 1차 전지(100)에 대하여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배터리를 거의 소진하더라도 전압이 급작스럽게 드롭(drop)되는 전압 강하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리튬 1차 전지(100)에 대하여 2차 전지(200)와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리튬 1차 전지(100)의 측정 전압 값과 전류 량을 이용한 배터리 측정 알고리즘을 통하여 리튬 1차 전지(100)의 배터리 잔존 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알람 경보를 발생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입력부(310), A/D 변환부(320), 연산부(330), 제어부(340) 및 알람 경보부(35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리튬 1차 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로부터 액티브 모드 변환 신호를 수신하고,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 값 및 전류 량을 수신한다. A/D 변환부(320)는 아날로그 형태의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 값 및 전류 량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킨다.
연산부(330)는 리튬 1차 전지(100)의 측정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리튬 1차 전지(100)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한다. 제어부(340)는 리튬 1차 전지(100)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알람 경보부(350)는 생성된 알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한다.
특히 제어부(340)는 리튬 1차 전지(100)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여, 전류 사용량 비율이 60% 이하인 경우, 60%에서 80% 사이인 경우, 80% 이상인 경우로 나누어 각각의 상황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 생성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통하여 배터리 측정 장치(300)가 리튬 1차 전지(100)의 배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1차 전지 배터리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리튬 1차 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가 wake up 하여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변환되었다는 신호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S610). 그러면 디바이스로부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 및 전압 값을 수신하고(S620), 아날로그 형태의 전류 사용량 및 전압 값을 디지털로 변환시킨다(S630).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을 기준 값과 비교한 다(S640). 여기서 기준 값은 컷오프 전압(Cut off Voltage)보다 0.15V 높은 전압일 수도 있고, 3.1V 전압일 수도 있다. 즉,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리튬 1차 전지(100)의 측정 전압이 (Cut off Voltage + 0.15V) 전압보다 작거나, 3,1V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1차적으로 방전 징후가 나타난 것으로 간주한다.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리튬 1차 전지(100)의 측정 전압이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카운터를 증가시키고(S645),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한다(S650).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리튬 1차 전지가 사용한 전류 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운영 일수 및 대기 모드 상태를 계속 기록한다. 즉, 디바이스의 최초 생산 일로부터 운영 일수를 기록하고, 변동되는 데이터는 항시 저장한다. 또한 디바이스의 최소 생산 후부터 슬립 모드로 운영된 시간을 기록한다.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운영 일수를 통하여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된 전류 량을 계산하며,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한다.
Sleep 전류 사용량 = 운영일수 * Sleep 전류 * 24
Tx 전류 사용량 = 운영일수 * [Tx전류 * (실제 Tx초/3600)] *24
Rx 전류 사용량 = 대기모드 * RX 전류/60 = Rx 전류 사용량
전체 사용 전류 = Sleep 전류 사용량 + Tx 전류 사용량 + Rx 전류 사용량
전류 사용량의 비율[%] = (전체 사용 전류 / 전류 용량) * 100
여기서, Sleep 전류 사용량은 디바이스가 슬립(Sleep) 모드 시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이고, Tx 전류 사용량은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 상태 시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이며, Rx 전류 사용량은 디바이스가 데이터 수신 상태 시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각의 전류 사용 량은 전류 량과 시간의 곱에 비례하며, 전류 사용량 비율은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로서 계산된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 량에 대한 전류 용량을 미리 획득한 상태에서, 일정 기간 동안 실제 사용한 평균 전류 량을 측정하여, 사용 가능한 전류 용량에 대한 실제 사용 전류 량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만일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60% 이하로 계산되면, 카운터의 횟수를 비교하여(S660), 카운터의 횟수가 3이상이면 이전 전압의 크기를 기록한 Offset 테이블을 통하여 전압 강하 여부를 판단한다(S670).
다음의 표 1은 전압의 크기를 일정 주기 마다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Offset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61498685-pat00001
표 1과 같이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하루 또는 이틀에 한 번 정도 리튬 1차 전지(100)의 전류 량과 전압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Offset 테이블에 기록한다. 여기서, 배터리 측정 장치(300)는 직전 전압과의 전압 차인 Offset 데이터를 통하여 전압 강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측정된 전압이 이전에 측정된 전압의 크기보다 작으면, 즉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에는 리튬 1차 전지(100)의 잔존 배터리 량이 거의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경보를 외부로 전달한다(S680).
그리고 다시 단계 S650에서,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60% 이상이고 80% 이하이면, 이전 경우보다 더 위급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카운트와 관계없이 바로 S670으로 진행하여 전압 강하 여부를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측정된 전압이 이전에 측정된 전압의 크기보다 작으면, 리튬 1차 전지의 잔존 배터리 량이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경보를 외부로 전달한다(S680).
그리고 다시 단계 S650에서,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80% 이상이면, 가장 위급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전압 강하 여부와 관계없이 리튬 1차 전지(100)의 잔존 배터리 량이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경보를 외부로 전달한다(S68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튬 1차 전지의 잔존 배터리 량을 전압의 크기 및 전류 사용량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리튬 1차 전지의 잔존 배터리 량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소진 상태를 알람으로 통보하여 사전에 배터리 량의 소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따라 3가지 형태의 알고리즘으로 나누어 적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이고 세부적으로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잔존량에 대하여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리튬 1차 전지 배터리의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시스템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리튬 1차 전지에 2차 전지를 연결했을 경우 측정되는 전류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각 전류량에 따른 전류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1차 전지 배터리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2)

  1.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 값 및 일정 기간 동안의 전류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카운터의 개수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알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카운터의 개수를 미리 설정된 카운터의 개수인 기준 값과 비교하고, 상기 카운터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카운터의 개수 또는 상기 전압 강하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이 이전 측정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압 값 및 전류 사용량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전체 사용 전류 = Sleep 전류 사용량 + Tx 전류 사용량 + Rx 전류 사용량
    전류 사용량의 비율[%] = (전체 사용 전류 / 전류 용량) * 100
    여기서, Sleep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슬립(Sleep) 모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이고, Tx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 상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이며, Rx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데이터 수신 상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을 나타낸다.
  6.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 값 및 일정 기간 동안의 전류 사용량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는 연산부,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카운터의 개수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알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알람 경보부를 포함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카운터의 개수를 미리 설정된 카운터의 개수인 기준 값과 비교하고, 상기 카운터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사용량의 비율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카운터의 개수 또는 상기 전압 강하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측정 전압이 이전 측정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압 값 및 전류 사용량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용량에 대한 전류 사용량의 비율을 계산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
    전체 사용 전류 = Sleep 전류 사용량 + Tx 전류 사용량 + Rx 전류 사용량
    전류 사용량의 비율[%] = (전체 사용 전류 / 전류 용량) * 100
    여기서, Sleep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슬립(Sleep) 모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이고, Tx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 상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이며, Rx 전류 사용량은 상기 디바이스가 데이터 수신 상태 시 상기 리튬 1차 전지의 전류 사용량을 나타낸다.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1차 전지는 리튬-Socl2 전지이고, 상기 리튬 1차 전지와 연결되는 2차 전지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 또는 하이브리드 층 커패시터(HLC)로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측정 장치는 상기 리튬 1차 전지에 대하여 상기 2차 전지와 병렬 연결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원격 검침을 위한 장치이며, 슬립 모드와 액티브 모드가 주기적으로 변환되는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장치.
KR1020090095299A 2009-10-07 2009-10-07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11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299A KR101110676B1 (ko) 2009-10-07 2009-10-07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10/006778 WO2011043570A2 (ko) 2009-10-07 2010-10-05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299A KR101110676B1 (ko) 2009-10-07 2009-10-07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740A KR20110037740A (ko) 2011-04-13
KR101110676B1 true KR101110676B1 (ko) 2012-02-24

Family

ID=4385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299A KR101110676B1 (ko) 2009-10-07 2009-10-07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0676B1 (ko)
WO (1) WO20110435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3328C1 (ru) * 2013-07-04 2014-1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афоновский завод гидрометеорологических приборов" (ОАО "Сафоновский завод "Гидрометприбор")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статочной емкости аккумулятора
KR102491870B1 (ko) * 2022-08-05 2023-01-30 김진택 1차 전지의 수명 예측이 가능한 수도미터 원격검침용 IoT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9424A1 (en) 2001-10-02 2004-02-26 Merritt Donald R.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maining battery life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20040073011A (ko) * 2003-02-12 200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배터리 잔량시간 표시방법
JP2006053026A (ja) 2004-08-11 2006-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寿命診断装置
JP2007280935A (ja) 2006-03-15 2007-10-25 Sanyo Electric Co Ltd 一次電池の寿命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9424A1 (en) 2001-10-02 2004-02-26 Merritt Donald R.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maining battery life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20040073011A (ko) * 2003-02-12 200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배터리 잔량시간 표시방법
JP2006053026A (ja) 2004-08-11 2006-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寿命診断装置
JP2007280935A (ja) 2006-03-15 2007-10-25 Sanyo Electric Co Ltd 一次電池の寿命判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740A (ko) 2011-04-13
WO2011043570A3 (ko) 2011-10-13
WO2011043570A2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5439B2 (ja) 二次電池管理装置、二次電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74108B2 (ja) ニッケル・水素蓄電池の寿命判定方法および寿命判定装置
JP5874055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US97465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charge level estimation
US9112371B2 (en) Refresh charging method for an assembled battery constituted from a plurality of lead-acid storage batteries and charging apparatus
JP6590762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0139396A (ja) 電池寿命検出装置、蓄電装置、及び電池寿命検出方法
JP2008076295A (ja) 電池寿命予測システム、電池寿命予測方法、通信端末装置、電池寿命予測装置、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電池寿命予測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記録媒体
WO2016183418A1 (en) An instrumented super-cell
KR20150019983A (ko) 배터리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3728489B (zh) 电池控制器、无线电池控制系统、电池组和电池平衡方法
JP4302614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管理装置および容量算出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10676B1 (ko) 리튬 1차 전지의 배터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JP6135019B2 (ja) 蓄電池管理装置、蓄電池管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8086109A (ja) 電源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電源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
JP2016100956A (ja) 直流電源の制御装置、直流電源システム、および直流電源の制御装置の制御方法
KR101646730B1 (ko) 나트륨계 배터리의 충전상태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31685B2 (ja) 電池寿命判定装置及び電池寿命判定方法
JP2013141379A (ja) 無停電電源装置
US11680995B2 (en) In-situ testing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in electric meters
JP2007155434A (ja) 二次電池の残存容量検出方法
JP7043991B2 (ja) 監視端末
JP2008131785A (ja) 電源選択装置
JP2022014719A (ja) 亜鉛電池の状態検知方法および電源システム
CA279669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charge level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