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622B1 -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622B1
KR101109622B1 KR1020100007979A KR20100007979A KR101109622B1 KR 101109622 B1 KR101109622 B1 KR 101109622B1 KR 1020100007979 A KR1020100007979 A KR 1020100007979A KR 20100007979 A KR20100007979 A KR 20100007979A KR 101109622 B1 KR101109622 B1 KR 10110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cutting
inlet
suction
res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190A (ko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하나제약 주식회사
화인에프.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제약 주식회사, 화인에프.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6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removing material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재 앰플(A)의 입구를 절단하고 약액을 충진 후 밀봉하는 약액앰플 양산 시스템의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전 앰플(A)을 진공패드(21)로 흡착하여 컨베이어(15) 상의 행거(16)에 안착시키는 로딩부(20); 상기 컨베이어(15) 상을 이송하는 앰플(A)의 입구를 커터(35)로 절단하는 절단부(30); 상기 앰플(A)의 절단된 입구에 이온공기를 분사하여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부(40); 및 상기 앰플(A)의 절단된 입구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파티클을 흡입덕트(52)로 수집하는 흡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속적인 투입과 배출을 기반으로 하는 약액앰플의 양산 시스템에서 수지재 앰플의 절단 공정시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plastic ampoule}
본 발명은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적인 투입과 배출을 기반으로 하는 약액앰플의 양산 시스템에서 수지재 앰플의 절단 공정시 파티클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유리 소재의 앰플을 주사용이나 경구용으로 사용시 미세한 유리가루가 혈관을 타고 몸속에 들어가면 일정 기간 경과 후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대한병원협회, 대한의사협회, 대한간호사협회 등의 유관기관에서 어린이, 노약자 등에 대하여 유리파편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 등을 필요시 사용하도록 권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유리 소재 대신에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추세로 전환되고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460199호의 발명의 명칭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그리고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는 반제품의 저장용기를 일단부 쪽에서 타단부 쪽으로 단계적으로 이송하여 주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를 상기 이송부로 공급하는 저장용기 공급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빈 저장용기의 주입부 상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된 빈 저장용기 안으로 용액을 주입하는 용액 주입부와,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를 접합하여 밀봉시키는 동시에, 주입부의 형상을 형성시키는 성형부와, 상기 이송부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성형된 용액 저장용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이는 밀봉처리된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 안으로 용액을 저장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도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으나,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어나 칩과 같은 파티클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여 불량을 유발하므로 생산성 향상에 있어 한계성을 보인다.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52634호의 발명의 명칭 『플라스틱 앰플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앰플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지지판과, 금형이송부와; 페리손공급기; 및 블로잉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앰플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부가: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 각각의 앰플의 입구에 위치하여 동일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블로잉관과; 상기 블로잉관을 각각의 대응되는 앰플의 입구까지 상승시켜 주는 제2실린더를 구비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는 낱개로 절취 가능한 플라스틱 앰플에서 목부분의 두께가 균질하고 고온멸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고 밝히는 반면, 플라스틱의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티클의 제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여 양산시 불량률 증가의 우려가 크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인 투입과 배출을 기반으로 하는 약액앰플의 양산 시스템에서 수지재 앰플의 절단 공정시 파티클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재 앰플의 입구를 절단하고 약액을 충진 후 밀봉하는 약액앰플 양산 시스템의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전 앰플을 진공패드로 흡착하여 컨베이어 상의 행거에 안착시키는 로딩부; 상기 컨베이어 상을 이송하는 앰플의 입구를 커터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앰플의 절단된 입구에 이온공기를 분사하여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부; 및 상기 앰플의 절단된 입구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파티클을 흡입덕트로 수집하는 흡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딩부는 회전운동기의 상측과 하측의 적어도 일측에 직선운동기를 구비하고, 앰플을 정립에서 도립 상태로 전환하여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단부의 커터는 제전용 이온의 분사를 위해 다수의 통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전부는 이온발생기와 함께 블로워를 구비하고, 승하강기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이온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진부는 진공발생기와 함께 상하운동 가능한 흡입덕트를 구비하고, 흡입덕트로 앰플의 입구를 수용한 상태에서 흡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인 투입과 배출을 기반으로 하는 약액앰플의 양산 시스템에서 수지재 앰플의 절단 공정시 파타클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앰플 양산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앰플 양산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의 로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의 요부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지재 앰플(A)의 입구를 절단하고 약액을 충진 후 밀봉하는 약액앰플의 양산 시스템에 관련된다. 수지재 앰플(A)은 사출성형시 다수(5~6개)가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가 밀봉된 상태로 양산에 투입되어 동시에 절단하고 약액을 충진하는 일련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은 소정의 청정도가 유지되는 챔버(10) 내에서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컨베이어(15) 상으로 이송되는 동안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컨베이어(15)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딩부(20)가 상기 충진전 앰플(A)을 진공패드(21)로 흡착하여 컨베이어(15) 상의 행거(16)에 안착시킨다. 행거(16)는 단순한 블록 구조로서 전면에 다수의 핀(16a)이 형성되고, 앰플(A)에 형성된 홀(H)과 맞물려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챔버(10)의 전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로딩부(20)와 언로딩부(70)가 설치된다. 로딩부(20)와 언로딩부(70)는 컨베이어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점에서 동일하다.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충진전 앰플(A)을 챔버(10) 내부로 로딩하기 위해 진공패드(2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로딩부(20)는 회전운동기(23)의 상측과 하측의 적어도 일측에 직선운동기(22)를 구비하고, 앰플(A)을 정립에서 도립 상태로 전환하여 로딩한다. 직선운동기(22)는 일직선상의 전후진 운동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그 선단에 앰플(A)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패드(21)를 구비한다. 회전운동기(23)는 적어도 일단부에 설치된 직선운동기(22)와 함께 180˚ 단위로 회전운동을 수행한다. 물론 2개의 직선운동기(22)를 장착하는 것이 작업속도 향상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일측의 직선운동기(22)가 정립 상태의 앰플(A)을 흡착하고, 회전운동기(23)가 180˚로 회전하여 컨베이어(15)의 행거(16)에 앰플(A)을 도립 상태로 로딩한다. 이와 동시에 타측에 있던 직선운동기(22)가 상측으로 위치하여 다시 정립 상태의 앰플(A)을 흡착하고 행거(16)에 로딩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행거(16)에 안착된 후 진공패드(21)의 진공압을 해제하는 간단한 작동으로 로딩이 완료된다.
한편, 앰플(A)이 공급되는 컨베이어 하류단에 승하강기(26)를 구비하여 앰플(A)을 한 단위씩 상승시킨 상태로 직선운동기(22)의 진공패드(21)에 의해 흡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진공패드(21)와 직선운동기(22)에 의한 흡착 과정에서 후속된 앰플(A)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부(30)가 상기 컨베이어(15) 상을 이송하는 앰플(A)의 입구를 커터(35)로 절단한다. 절단부(30)는 로딩부(2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도립 상태로 이송되는 앰플(A)의 입구를 동시에 절단한다. 커터(35)의 절단날은 직선형, 삼각형, 반원형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절단부(30)의 커터(35)는 제전용 이온의 분사를 위해 다수의 통공(35a)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커터(35)의 절단날을 포함한 다수의 지점에 상호 연통된 통공(35a)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제전부(40)와 연결시켜 이온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커터(35) 상에 통공(35a)의 수가 많으면 그 만큼 마찰저항이 줄어 정전기 발생을 완화하는데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전부(40)가 상기 앰플(A)의 절단된 입구에 이온공기를 분사하여 정전기를 제거한다. 제전부(40)는 절단부(3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도립 상태로 이송되는 앰플(A)의 입구에 이온공기를 분사한다. 제전용 이온의 생성 방법에 따라 전압 인가식, 자기 방전식, 방사성식 등의 3 종류로 크게 구분되는 바, 전자의 전압 인가식이 짧은 시간에 높은 제전 능력을 발휘하고 이동하는 대전물체에도 효과를 보이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전부(40)는 이온발생기(45)와 함께 블로워(48)를 구비하고, 승하강기(46)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다수의 노즐(42)을 통하여 이온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한다. 노즐(42)은 하강시 앰플(A)의 입구 하측에 위치하여 간섭을 방지하고 이온공기를 주입할 때 일시 상승하여 입구로 진입된다. 이온발생기(45)는 고주파에 의한 코로나 방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다수개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송되는 앰플(A)의 정확한 제전을 위해 이온발생기(45)에 블로워(48)를 병용하여 복수의 노즐(42)을 통하여 균일하고 풍부한 양의 이온공기를 분배한다. 이온공기의 분사압은 3기압 내외, 분사량은 200ℓ/min 내외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흡진부(50)가 상기 앰플(A)의 절단된 입구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파티클을 흡입덕트(52)로 수집한다. 흡진부(50)는 제전부(4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도립 상태로 이송되는 앰플(A)의 입구에 부착된 파티클을 흡입하여 수거한다. 흡입덕트(52)는 다수의 앰플(A)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고 저면에서 서랍 또는 덕트 방식의 수거대(58)와 연결한다.
이때, 상기 흡진부(50)는 진공발생기(55)와 함께 상하운동 가능한 흡입덕트(52)를 구비하고, 흡입덕트(52)로 앰플(A)의 입구를 수용한 상태에서 흡진하는 것이 좋다. 다수의 앰플(A)이 행거(16)에 로딩되어 이송되면 흡입덕트(52)를 상승하여 앰플(A)의 하측에 위치한 입구 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흡진한 후에 흡입덕트(52)를 원위치로 하강한다. 진공발생기(55)에 의한 진공압은 200㎜Hg 내외로 하고 공기배출량은 300ℓ/min 내외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4처럼 본 발명의 제전부(40)와 흡진부(50)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나, 도 5처럼 흡진부(50)를 제전부(40)의 하류단에 별치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흡입덕트(52)는 노즐(42)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필요에 따라 승하강기(46)의 일부를 감싸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단에 복수의 앰플(A)의 입구를 향하는 일자형의 개구를 지닌다.
작동에 있어서, 로딩부(20)는 외부에서 정립 상태로 받은 앰플(A)을 회전운동기(23)의 작동에 의해 도립 상태로 행거(16)에 걸고, 절단부(30)는 커터(35)로 앰플(A)의 하측에 위치한 입구를 동시에 절단하고, 제전부(40)는 노즐(42)을 앰플(A)의 입구로 진퇴시키면서 이온공기를 분사하여 파티클의 정전기력을 제거하고, 이와 동시에 흡진부(50)는 앰플(A)에 붙어있거나 비산되는 파티클을 흡입하여 배출한다. 계속하여 앰플(A)이 컨베이어(15)의 단부를 돌아 정립 상태로 되고, 충진부(60)는 앰플(A)의 입구로 질소와 함께 약액을 충진하고, 밀봉부(65)는 앰플(A)의 입구를 다단계의 열융착으로 봉합하고, 언로딩부(70)는 완제품 앰플(A)을 챔버(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챔버 15: 컨베이어
16: 행거 20: 로딩부
21: 진공패드 22, 32: 직선운동기
23: 회전운동기 26: 승하강기
30: 절단부 35: 커터
40: 제전부 42: 노즐
45: 이온발생기 46: 승하강기
50: 흡진부 52: 흡입덕트
55: 진공발생기 60: 충진부
65: 밀봉부 70: 언로딩부

Claims (5)

  1. 수지재 앰플(A)의 입구를 절단하고 약액을 충진 후 밀봉하는 약액앰플 양산 시스템의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전 앰플(A)을 진공패드(21)로 흡착하여 컨베이어(15) 상의 행거(16)에 안착시키는 로딩부(20);
    상기 컨베이어(15) 상을 이송하는 앰플(A)의 입구를 커터(35)로 절단하는 절단부(30);
    상기 앰플(A)의 절단된 입구에 이온공기를 분사하여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부(40); 및
    상기 앰플(A)의 절단된 입구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파티클을 흡입덕트(52)로 수집하는 흡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20)는 회전운동기(23)의 상측과 하측의 적어도 일측에 직선운동기(22)를 구비하고, 앰플(A)을 정립에서 도립 상태로 전환하여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의 커터(35)는 제전용 이온의 분사를 위해 다수의 통공(35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부(40)는 이온발생기(45)와 함께 블로워(48)를 구비하고, 승하강기(46)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다수의 노즐(42)을 통하여 이온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부(50)는 진공발생기(55)와 함께 상하운동 가능한 흡입덕트(52)를 구비하고, 흡입덕트(52)로 앰플(A)의 입구를 수용한 상태에서 흡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KR1020100007979A 2010-01-28 2010-01-28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KR10110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979A KR101109622B1 (ko) 2010-01-28 2010-01-28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979A KR101109622B1 (ko) 2010-01-28 2010-01-28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190A KR20110088190A (ko) 2011-08-03
KR101109622B1 true KR101109622B1 (ko) 2012-02-06

Family

ID=4492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979A KR101109622B1 (ko) 2010-01-28 2010-01-28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251B1 (ko) 2014-12-02 2016-11-29 주식회사 지텍 정전기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301B1 (ko) * 2015-09-23 2017-03-27 박재일 앰플의 자동 절단 장치
CN107640372A (zh) * 2016-12-01 2018-01-3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防止聚酯切片打包操作静电电击的方法
CN109823629B (zh) * 2019-03-22 2023-11-17 江苏翰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安瓿瓶加料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112A (ko) * 2002-07-08 2004-01-16 주식회사 중외 플라스틱 앰플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앰플의 제조방법
KR20040021870A (ko) * 2002-09-05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가공제품 검사장치 및 방법
US20040139834A1 (en) 2003-01-17 2004-07-22 Weiler Gerhard H. Ampoule card splitter
KR200421870Y1 (ko) 2006-05-03 2006-07-18 배응준 액상용액 앰플 자동 공급장치
KR20070044658A (ko) * 2005-10-25 2007-04-30 박종현 앰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112A (ko) * 2002-07-08 2004-01-16 주식회사 중외 플라스틱 앰플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앰플의 제조방법
KR20040021870A (ko) * 2002-09-05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가공제품 검사장치 및 방법
US20040139834A1 (en) 2003-01-17 2004-07-22 Weiler Gerhard H. Ampoule card splitter
KR20070044658A (ko) * 2005-10-25 2007-04-30 박종현 앰플 및 그 제조방법
KR200421870Y1 (ko) 2006-05-03 2006-07-18 배응준 액상용액 앰플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251B1 (ko) 2014-12-02 2016-11-29 주식회사 지텍 정전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190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8829B2 (en) Packaging machine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movers
KR101109622B1 (ko) 수지재 앰플의 절단장치
JP6041620B2 (ja) 容器処理装置
US5687542A (en) Isolation module for molding and packaging articles substantially free from contaminants
JPH09509914A (ja) 滅菌バイアル充填装置
WO2014104118A1 (ja) 粉粒体供給方法と供給装置
CN109693928A (zh) 塑料安瓿瓶卸盘机
KR101109621B1 (ko) 수지재 앰플의 제조장치
JP4100558B2 (ja) びん形状の包装容器に殺菌充填する装置
JP2007112515A (ja) 包装されるべき少物品を帯状シートのカップ部中へと所定の位置・姿勢に配列して送り込み引き渡すための装置
JP3608815B2 (ja) 液体容器搬送処理装置
RU252869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барьера из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между двумя соединенными объемами
KR102046025B1 (ko) 캡슐을 루스 물질로 충전하여 밀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998539B2 (ja) 洗浄充填装置
CN107215636B (zh) 用于具有针对烟草工业棒状元件的可调节容量的输送和储存设备的清洁系统
KR100804571B1 (ko) 일회용 용기의 버 제거 및 세척장치
CN208775146U (zh) 一种用于封口塑料盖的全自动流水线设备
JP4175097B2 (ja) 連続無菌炊飯方法および装置
KR101680251B1 (ko) 정전기 제거장치
US20230211026A1 (en) Continuous decontamination device
US20160298867A1 (en) Clean work device
JP3968754B2 (ja) 容器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6135926B2 (ja) 物品処理装置
KR20110000218U (ko) 제품용기 청소장치
CN109896274A (zh) 塑料安瓿瓶上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