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502B1 - 시소장치 - Google Patents

시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502B1
KR101109502B1 KR1020110047571A KR20110047571A KR101109502B1 KR 101109502 B1 KR101109502 B1 KR 101109502B1 KR 1020110047571 A KR1020110047571 A KR 1020110047571A KR 20110047571 A KR20110047571 A KR 20110047571A KR 101109502 B1 KR101109502 B1 KR 10110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saw
elastic means
support
support plate
squar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851A (ko
Inventor
서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우텍
Priority to KR1020110047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5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1/00See-saw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12Roundabouts rotated by the passengers themsel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는 물론 1인도 시소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넓힌 것과, 금속스프링을 러버로 대체하여 부드러운 완충이 가능토록 한 것과,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기능도 가능토록 한 것에 특징을 갖는 시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소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상에 설치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시소바로 구성하되 상기 시소바와 탄성수단을 교차하는 2단으로 구성되어 다수가 함께 시소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시소장치{Seesaw Apparatus}
본 발명은 고전적인 놀이기구의 하나인 시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수는 물론 1인도 시소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넓힌 것과, 금속스프링을 러버로 대체하여 부드러운 완충이 가능토록 한 것과, 2인 이상 다수가 시소를 즐길 수 있는 시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시소는 놀이터 등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기점을 둔 시소바의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앉아 상하로 오르내리는 놀이기구로 잘 알려져 있다.
시소는 통상 지면을 일정깊이로 파낸 후 이에 고정프레임을 콘크리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시소바의 중심부를 힌지 고정한 것으로서, 시소바의 양쪽에 사용자가 앉아서 상호 번갈아 가면서 오르내리는 놀이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시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 째, 2인 이상이 있어야 시소놀이가 가능하다. 즉, 종래의 시소는 시소바의 양쪽에 사용자가 균형있게 앉아야만 시소놀이가 가능하다. 따라서, 혼자서는 시소기구를 사용할 수 없어서 그 활용범위가 떨어진다.
둘 째, 종래의 시소는 오르내림 기능만 가능하여 쉽게 싫증을 내게 된다.
세 째, 종래의 시소는 완충재로서 폐타이어나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데, 폐타이어의 경우 소재의 특성상 탄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완충력이 떨어지며, 코일스프링은 탄성계수에 따라서 탄성력을 조절할 수는 있으나 탄성력이 비교적 둔탁하고 장기간 사용시 녹이슬거나 부식되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시소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2인 이상은 물론 상대편이 없이 혼자서도 시소놀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원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시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소바를 상하 2단으로 구성하여 2인 이상으로 다수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상에 설치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 상에 그 중앙부가 설치되어 탄성수단으로서 탄력적인 시소운동이 가능한 상태인 시소바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및 탄성수단, 시소바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탄성수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내에 설치되며, 상기 시소바와 연결되는 사각 케이스와; 상기 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마름모형 심재와; 상기 마름모형 심재와 사각 케이스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러버환봉;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수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내에 설치되며, 상기 시소바와 연결되는 사각 케이스와; 상기 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마름모형 심재와; 상기 마름모형 심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과; 상기 마름모형 심재와 사각 케이스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러버환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바닥면 중앙에 천공된 축공과, 상기 축공의 주변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홀과, 상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원호형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제한돌기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일부 노출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지주에 내설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구성하여, 상기 원호형 가이드홀이 제한돌기에 의해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포트 플레이트, 탄성수단, 시소바가 회전되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상에 설치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탄성수단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탄성수단과, 상기 제1탄성수단 상에 일단에 설치되어 제1탄성수단으로서 탄력적인 시소운동이 가능한 상태인 제1시소바와, 상기 제2탄성수단 상에 일단이 설치되어 제2탄성수단으로서 탄력적인 시소운동이 가능한 상태인 제2시소바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및 제1,2탄성수단, 제1,2시소바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제1탄성수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시소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사각 케이스와; 상기 제1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1마름모형 심재와;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링과;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와 제1사각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제1러버환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탄성수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시소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사각 케이스와; 상기 제2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2마름모형 심재와;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링과;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와 제2사각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제2러버환봉으로 구성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지주와 시소바 사이에 탄성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여타 부위에 완충장치를 부설하지 않고도 시소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시소바 자체가 탄력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편이 없이도 혼자서도 시소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수단의 탄성을 주도하는 재질이 러버이기 때문에 시소작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어린아이들도 신체에 충격이 가해짐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시소바가 바닥면에 닿지않기 때문에 시소운동시 사용자에게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어 2인 이상 다수가 함께 시소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의 회전 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의 회전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시소장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C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소장치의 다른 형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D-D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E-E선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수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의 회전 전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의 회전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시소장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C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수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소장치의 다른 형태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E-E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와, 서포트 플레이트(20), 탄성수단(30), 시소바(40), 회전수단(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앙카볼트(미도시)로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 상에 일체화된 수직상의 환형봉(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는 상기 지주(10)의 환형봉(12) 상에 설치되며,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양쪽에 수직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면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수단(30)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시소바(40)가 중앙부를 기점으로 양단부의 시소운동이 가능토록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탄성수단(30)은 안장 플레이트(60)를 매개로 시소바(40)와 결합되는 사각 케이스(31)와, 상기 사각 케이스(31)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마름모형 심재(32)와, 상기 마름모형 심재와 사각 케이스(31)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4개의 러버환봉(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수단(30)의 다른 실시 예는 안장 플레이트(60)를 매개로 시소바(40)와 결합되는 사각 케이스(31)와, 상기 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마름모형 심재(32)와, 상기 마름모형 심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34)과, 상기 마름모형 심재(32)와 사각 케이스(31)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4개의 러버환봉(33)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사각 케이스(31)의 내부 모서리에는 마름모형 심재(32)와의 형상적 차이로 인해 대략 삼각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에 연질 고무로 된 러버환봉(33)이 압입된다. 따라서, 사각 케이스(31)는 마음모형 심재(32)를 축으로 하여 러버환봉(33)의 탄성범위 내에서 탄성 유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러한 탄성 범위로 인해 시소바(40)의 시소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안장 플레이트(60)는 그 윗면으로 상기 시소바(40)가 볼트 조립되어 있고, 안장 플레이트(60)의 양단부에는 끼움홈(61)이 형성되어 이에 상기 사각 케이스(31)의 외주 양쪽을 끼워넣고 용접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34)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일측면에 나사 조립하기 위한 나사조립부(34a)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마름모형 끼움홀(34b)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와 마름모형 심재(34b)는 상기 마름모형 끼움홀(34b)을 통해 볼트 조립하는 것이 좋다.
상기 회전수단(50)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의 바닥면 중앙에 천공된 축공(51)과, 상기 축공의 주변에 형성된 마주보는 한쌍의 원호형 가이드홀(52)과,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원호형 가이드 홀(52)을 관통하는 각각의 제한돌기(53)와,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일부 노출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54)과, 상기 지주(10)에 내설되어 상기 회전축(54)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베어링(55)으로 구성하여, 상기 원호형 가이드홀(52)이 제한돌기(53)에 의해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포트 플레이트(20), 탄성수단(30), 시소바(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소장치는 앞서 설명된 통상의 시소작용은 물론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작용도 되므로 유희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는 도 3과 같이 시소바(40)가 수평인 상태에서, 시소바(40)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시소바(40)가 도 4와 같이 도면상 좌측이 아래로 내려간다. 이때, 상기 시소바(40)에 결합되어 있는 안장 플레이트(60)와, 이 안장 플레이트(60)에 용접되어 있는 사각 케이스(31)는 시소바(4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러버환봉(33)에는 사각 케이스(31)와 마름모형 심재(32) 사이에서 비틀림 응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시소바(40)의 좌측단이 하향으로 내려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시소바(40)의 좌측단에 작용되는 하중이 약해지면 러버환봉(33)의 복원력에 의해 시소바(40) 및 안장 플레이트(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상으로 복귀되는 것이고, 시소바(40)의 우측단이 내려가고 올라가는 것을 상기 작용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실시예의 시소장치는 도 6, 7에서와 같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즉, 지주(10)의 상단에 형성된 한쌍의 제한돌기(53)가 서포트 플레이트(20)의 한쌍의 마주보는 원호형 가이드홀(52)에 끼워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소놀이중 좌우로 방향을 틀게 되면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축공(51)에 끼워진 회전축(54)이 베어링(55)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의 범위는 원호형 가이드홀(52)의 길이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시소장치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나 시소바와 이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수단 등이 한 쌍으로 구성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시소장치는, 지주(100), 서포트 플레이트(200), 제1탄성수단(300), 제2탄성수단(310), 제1시소바(400), 제2시소바(410), 회전수단(5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0)와, 서포트 플레이트(200)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탄성수단(300)은 제1안장 플레이트(600)를 매개로 제1시소바(40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사각 케이스(301)와, 상기 제1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1마름모형 심재(302)와,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링(304)과,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302)와 제1사각 케이스(301)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4개의 제1러버환봉(30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탄성수단(310)은 상기 제1탄성수단(300)과 대칭형으로 설치된다.
즉, 제2안장 플레이트(610)를 매개로 제2시소바(41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사각 케이스(311)와, 상기 제2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2마름모형 심재(312)와,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링(314)과,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312)와 제2사각 케이스(311)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4개의 제2러버환봉(3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0)의 바닥면 중앙에 천공된 축공(501)과, 상기 축공의 주변에 형성된 한쌍의 원호형 가이드홀(502)과,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원호형 가이드홀(502)을 관통하는 한쌍의 제한돌기(503)와, 상기 지주(100)의 상부에 일부 노출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504)과, 상기 지주(100)에 내설되어 상기 회전축(504)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베어링(505)으로 구성하여, 상기 원호형 가이드홀(502)이 제한돌기(503)에 의해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포트 플레이트(200), 제1,2탄성수단(300,310), 제1,2시소바(400,410)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시소장치는 제1,2시소바(400,410)가 개별적으로 시소작용하는 것이 다를 뿐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소장치에는 도 12와 같이 탑승자가 안착하는 부위에 안전안장(70)과 동물 모양과 같은 어린이용 유희용 손잡이(80)를 설치하여 어린아이들이 안전하게 시소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희성을 보강하여 즐겁게 시소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도 10에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을 토대로 도시된 것이나 제2실시예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시소장치는 도 13 내지 16에서와 같은 구성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될 시소장치는 360°로 회전 가능하면서 시소작용도 가능하여 놀이감을 보다 높인 것이다.
즉,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910)와, 상기 지주(910)에 정,역방향으로 36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서포트(920)와, 상기 하부 서포트(920)의 상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상부 서포트(930)와, 상기 하부 서포트(9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탄성수단(940)과, 상기 제1탄성수단(9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1탄성수단(940)의 탄성력에 의해 시소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제1시소바(950)와, 상기 상부 서포트(9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수단(960)과, 상기 제2탄성수단(960)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2탄성수단(960)의 탄성력에 의해 시소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시소바(950)와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시소바(9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수단(940)은, 제1사각케이스(941)와, 상기 제1사각케이스(941)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1마름모형 심재(942)와,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942)와 제1사각 케이스(941)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제1러버환봉(943)과,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942)의 양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하부 서포트(930)의 양쪽에 각각 나사 고정되는 제1고정링(944)과, 상기 제1사각케이스(94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이들 사이로 상기 제1시소바(950)가 고정되는 제1고정판(945)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탄성수단(960)은, 제2사각케이스(961)와, 상기 제2사각케이스(961)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2마름모형 심재(962)와,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962)와 제2사각 케이스(961)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제2러버환봉(963)과,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962)의 양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 서포트(930)의 양쪽에 각각 나사 고정되는 제2고정링(964)과, 상기 제2사각케이스(96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이들 사이로 상기 제2시소바(970)가 고정되는 제2고정판(965)으로 구성된다.
미 설명부호 980은 안장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시소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100, 910 : 지주 20, 200 : 서포트 플레이트
30 : 탄성수단 40 : 시소바
50, 500 : 회전수단 60 : 안장 플레이트
300, 940 : 제1탄성수단 310, 960 : 제2탄성수단
400, 950 : 제1시소바 410,970 : 제2시소바,
920 : 하부 서포트, 930 : 상부 서포트

Claims (5)

  1.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 상에 설치되는 서포트 플레이트(200)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탄성수단(300)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탄성수단(310)과;
    상기 제1탄성수단 상에 일단에 설치되어 제1탄성수단으로서 탄력적인 시소운동이 가능한 상태인 제1시소바(400)와;
    상기 제2탄성수단 상에 일단이 설치되어 제2탄성수단으로서 탄력적인 시소운동이 가능한 상태인 제2시소바(410)와;
    및 상기 지주(100) 상측에 설치되고 회전가능한 베어링(505)과,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구성된 회전축(504)과, 상기 회전축의 외곽으로 구성된 제한 돌기(503)와, 상기 회전 축과 제한돌기가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축공(501)과 원호형 가이드 홀(502)로 구성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제1,2탄성수단 및 제1,2시소바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수단(300)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시소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사각 케이스(301)와;
    상기 제1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1마름모형 심재(302)와;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링(304)과;
    및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와 제1사각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제1러버환봉(30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탄성수단(310)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시소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사각 케이스(311)와;
    상기 제2사각 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2마름모형 심재(312)와;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링(314)과;
    및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와 제2사각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제2러버환봉(3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0) 상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 홀(502)은,
    마주보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곽으로 구성된 제한 돌기(503)는,
    한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장치.
  4.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910)와;
    상기 지주에 정역방향으로 36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서포트(920)와;
    상기 하부 서포트의 상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상부 서포트(930)와;
    상기 하부 서포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탄성수단(940)과;
    상기 제1탄성수단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1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시소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제1시소바(950)와;
    상기 상부 서포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수단(960)과;
    및 상기 제2탄성수단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2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시소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시소바와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시소바(9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수단(940)은,
    제1사각케이스(941)와;
    상기 제1사각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1마름모형 심재(942)와;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와 제1사각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제1러버환봉(943)과;
    상기 제1마름모형 심재의 양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하부 서포트의 양쪽에 각각 나사 고정되는 제1고정링(944)과;
    및 상기 제1사각 케이스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이들 사이로 상기 제1시소바가 고정되는 제1고정판(945)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탄성수단(960)은,
    제2사각케이스(961)와;
    상기 제2사각케이스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는 제2마름모형 심재(962)와;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와 제2사각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압입되는 제2러버환봉(963)과;
    상기 제2마름모형 심재의 양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하부 서포트의 양쪽에 각각 나사 고정되는 제2고정링(964)과;
    및 상기 제2사각 케이스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이들 사이로 상기 제2시소바가 고정되는 제2고정판(96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장치.
KR1020110047571A 2011-05-19 2011-05-19 시소장치 KR10110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71A KR101109502B1 (ko) 2011-05-19 2011-05-19 시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71A KR101109502B1 (ko) 2011-05-19 2011-05-19 시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651A Division KR101100044B1 (ko) 2009-04-09 2009-04-09 시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851A KR20110076851A (ko) 2011-07-06
KR101109502B1 true KR101109502B1 (ko) 2012-01-31

Family

ID=4491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571A KR101109502B1 (ko) 2011-05-19 2011-05-19 시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886B1 (ko) * 2011-09-06 2013-06-17 이흥규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놀이용 시소기구
KR101324278B1 (ko) * 2011-10-19 2013-11-01 주식회사 알론 시소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344B1 (ko) * 2007-12-20 2009-06-18 주식회사폴리피아 균형 유지 수단을 구비한 시이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344B1 (ko) * 2007-12-20 2009-06-18 주식회사폴리피아 균형 유지 수단을 구비한 시이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851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71910U (zh) 健身車搖擺裝置
KR101109502B1 (ko) 시소장치
KR101100044B1 (ko) 시소장치
KR100928729B1 (ko) 어린이 지능개발용 시소
KR101098189B1 (ko) 지네시소
KR20200001070U (ko) 전신균형운동기구
KR101234564B1 (ko) 회전속도 조절수단을 구비한 시소장치
KR100970477B1 (ko) 다인승 연동형 시소
EP3247476B1 (en) Basket swing comprising a seat section having a double/single walled impact surface
JP5319187B2 (ja) 揺動具
KR101332281B1 (ko) 회전 및 상,하작동이 가능한 시소 조립체
KR101416968B1 (ko) 트램펄린 및 이를 이용한 점프 운동구
KR100397753B1 (ko) 회전놀이기구
KR101273886B1 (ko)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놀이용 시소기구
KR200443232Y1 (ko)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KR102283107B1 (ko) 벤치형 그네 놀이기구
KR20090005175U (ko) 반전식 관람석 의자의 좌판 회전장치
KR200457613Y1 (ko) 나뭇잎배형 완구
KR200469773Y1 (ko) 볼을 이용한 어린이 놀이대
KR20110002535U (ko) 놀이용 안전 시이소
KR101096996B1 (ko) 철봉
KR200308681Y1 (ko) 발육용 놀이 기구
KR200252106Y1 (ko) 공기주입식 수상 시이소
KR200478883Y1 (ko) 텐션 승용놀이구
KR20220026321A (ko) 시소용 충격흡수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