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996B1 - 철봉 - Google Patents

철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996B1
KR101096996B1 KR1020100008949A KR20100008949A KR101096996B1 KR 101096996 B1 KR101096996 B1 KR 101096996B1 KR 1020100008949 A KR1020100008949 A KR 1020100008949A KR 20100008949 A KR20100008949 A KR 20100008949A KR 101096996 B1 KR101096996 B1 KR 101096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illar
rod
horizontal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511A (ko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홍 filed Critical 이재홍
Priority to KR102010000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9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63B1/005Safety devices for securing the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철봉운동시 충격을 흡수하고 반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인은 물론 어린 유아들도 철봉운동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내구성을 구비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운동도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철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봉은, 두 개의 수직한 기둥에 가로봉의 양단이 연결된 철봉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상기 가로봉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으로 수평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봉의 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로봉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둘레로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봉{AN IRON BAR}
본 발명은 철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철봉운동시 충격을 흡수하고 반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인은 물론 어린 유아들도 철봉운동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내구성을 구비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운동도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철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봉은 두 개의 수직한 기둥에 가로봉의 양단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가로봉을 손으로 잡고 턱걸이, 매달리기, 흔들기 등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철봉운동을 통해 팔과 어깨의 근력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민첩성과 균형성을 향상시켜 신체 발달과 체력 증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철봉은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공원 등의 체육시설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철봉은 가로봉의 양단이 양측 기둥에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철봉을 이용한 근력운동시 신체에 충격이 가해져 특히 어린 유아의 경우에는 관절부위가 탈골되는 등 신체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철봉운동시 가로봉을 잡는 손의 파지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팔의 힘만으로는 몸무게의 하중을 견디는 시간이 길지 못하여 철봉운동을 장시간 실시하기 어렵고 운동의 흥미를 쉽게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둥의 내측에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가로봉의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철봉이 고안된 바 있다.
종래 고안된 철봉 중에는 기둥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 구성하여, 하부 기둥의 내측에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가로봉과 일체로 결합된 상부 기둥을 하부 기둥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이 미비하여 장시간 사용시 탄성부재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거나, 상부 기둥의 자체 하중이 더해져서 탄성부재의 탄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어 부식에 의한 파손 등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 간의 연결부에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고안된 철봉 중에는 가로봉의 단부를 둘러싸고 탄성부재가 측방향으로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하부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의 내구성이 떨어져 장기간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봉운동시 가로봉의 파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고 반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팔 힘이 약한 어린 유아들도 철봉운동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철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봉은, 두 개의 수직한 기둥에 가로봉의 양단이 연결된 철봉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상기 가로봉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으로 수평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봉의 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로봉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둘레로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받침판은, 플랜지부가 상부 외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측벽에는 상기 기둥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상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우징의 내측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과 하우징 간의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과 플랜지부 간의 결합부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의 상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는 덮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봉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외측을 덮는 안전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봉의 단부와 상기 가이드봉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과 저면이 편평한 커플링을 매개로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의 상면에는 상기 커플링의 세로방향 구멍을 통해 상기 가로봉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플링의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봉의 상단부가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고정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너트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또는 쿠션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기둥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봉에 의하면, 가로봉의 양측 단부에 탄성력이 작용됨으로써 철봉운동시 충격을 흡수하고 반동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철봉운동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의 반동력을 이용함에 따라서 장시간 운동하더라도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어 근력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의 내측에 받침판을 장착하고 가이드봉의 둘레에 탄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기둥의 상측에는 덮개가 결합되어 기둥 내부로 빗물 등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탄성부재 등 조립체의 부식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홈의 외측에 안전판이 구비되어 운동도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기준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가로봉이 하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기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봉은 두 개의 수직한 기둥(10)과 가로봉(20)의 양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부재(70)가 설치되어 철봉운동시 가로봉(20)의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70)는 가로봉(20)의 단부 하측을 지지하여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기둥(1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탄성부재(70)가 기둥(1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되는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두 개의 기둥(10)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가로봉(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기둥(10)의 상측 끝단(11)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길이의 가이드홈(15)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10)의 상부 내측에는 받침판(60)과 그 중앙의 구멍(61)을 볼트(50)가 상향으로 관통됨에 따라 받침판(60)의 상측으로 볼트(50)의 가이드봉(55)이 돌출되고, 상기 볼트(50)와 받침판(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W)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판(60)과 가이드봉(55)이 분리 구성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받침판(60)의 상측에 가이드봉(55)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봉(55)의 둘레에는 탄성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가로봉(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고무 등의 쿠션부재로 대체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탄성부재(70)의 하측단은 받침대(6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단은 커플링(30)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커플링(30)에는 가로방향의 구멍(31)과 세로방향의 구멍(32)이 서로 직교하면서 연통되고, 상면과 저면은 편평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커플링(30)의 가로방향 구멍(31)을 통해 가로봉(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가로봉(20)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21)과 커플링(30)의 세로방향 구멍(32)이 상하로 개통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봉(55)은 커플링(30)의 세로방향 구멍(32)의 하측으로부터 상향으로 삽입되어 가로봉(20)의 구멍(21)을 거쳐 커플링(30)의 세로방향 구멍(3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커플링(30)의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봉(55)의 상단부는 와셔(57,57a)를 사이에 두고 너트(58)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철봉운동시 가로봉(20)이 상하로 이동되는 도중에 가이드홈(15)으로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봉(20)에는 기둥(10)에 형성된 가이드홈(15)의 외측을 덮을 수 있는 안전판(25)이 결합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판(25)은 하우징(40)의 내측 하단부에 용접(W)으로 결합되고, 하우징(40)의 상부 외측에는 플랜지부(45)가 용접(W)으로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부(45)는 기둥(10)의 상단부(11)에 걸쳐지고 플랜지부(45)의 저면 외측과 기둥(10)의 상단부(11)는 용접(W)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40)의 측벽에는 기둥(10)의 가이드홈(15)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42)이 형성되어, 기둥(10)에 형성된 가이드홈(15)과 더불어 상기 가로봉(20)의 상하이동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기둥(10)의 상측에는 하우징(40)의 상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덮개(80)가 결합되고, 덮개(80)의 하부(81) 내측에는 상기 너트(58)가 수용되는 공간(82)이 마련된다.
상기 덮개(80)는 기둥(10)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둥(10)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0)를 포함한 커플링(30), 받침판(60), 하우징(40) 등의 부품이 부식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3에서 가로봉이 하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철봉운동시 가로봉(20)에 사람이 메달리면 그 하중에 의해 가로봉(20)과 그 단부에 결합된 커플링(30)은 가이드봉(55)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탄성부재(70)는 압착된 상태가 되면서 상측으로 탄성력을 작용함과 동시에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가로봉(20)에 메달린 사람은 작은 힘을 들이더라도 탄성부재(70)에 의해 가로봉(20)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턱걸이나 메달리기 등의 운동을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며, 유아들의 경우 가로봉(20)에 작용하는 반동력을 이용하여 장시간 메달리기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철봉운동의 흥미 유발은 물론 근력운동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 : 기둥 15 : 가이드홈
20 : 가로봉 25 : 안전판
30 : 커플링 40 : 하우징
45 : 플랜지부 50 : 볼트
55 : 가이드봉 58 : 너트
60 : 받침판 70 : 탄성부재
80 : 덮개

Claims (10)

  1. 두 개의 수직한 기둥에 가로봉의 양단이 연결된 철봉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상기 가로봉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으로 수평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봉의 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로봉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둘레로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플랜지부가 상부 외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측벽에는 상기 기둥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상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우징의 내측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과 하우징 간의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과 플랜지부 간의 결합부는 용접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상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는 덮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봉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외측을 덮는 안전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봉의 단부와 상기 가이드봉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과 저면이 편평한 커플링을 매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상면에는 상기 커플링의 세로방향 구멍을 통해 상기 가로봉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플링의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봉의 상단부가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8. 제7항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상부 외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측벽에는 상기 기둥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상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는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너트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또는 쿠션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기둥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
KR1020100008949A 2010-02-01 2010-02-01 철봉 KR101096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949A KR101096996B1 (ko) 2010-02-01 2010-02-01 철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949A KR101096996B1 (ko) 2010-02-01 2010-02-01 철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11A KR20110089511A (ko) 2011-08-09
KR101096996B1 true KR101096996B1 (ko) 2011-12-20

Family

ID=4492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949A KR101096996B1 (ko) 2010-02-01 2010-02-01 철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9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127A (en) 1982-05-10 1983-09-20 Gravity Guidance, Inc. Doorway mounted horizontal bar
KR200443951Y1 (ko) 2009-01-02 2009-03-27 위호경 탄력 철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127A (en) 1982-05-10 1983-09-20 Gravity Guidance, Inc. Doorway mounted horizontal bar
KR200443951Y1 (ko) 2009-01-02 2009-03-27 위호경 탄력 철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11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2307B2 (en) Trampoline swingset suspension
KR101177798B1 (ko) 운동기구
KR100666280B1 (ko) 점프놀이 겸용 철봉
KR101096996B1 (ko) 철봉
EP2535088A1 (en) Trampoline
CN210529994U (zh) 一种层间隔震结构多维隔震减震装置
CN205345324U (zh) 无人机弹力保护底架
US3915451A (en) Playground jumping device
CN213638503U (zh) 一种带有防护功能的ip电气控制柜
CN105715102A (zh) 一种体育场地用缓冲围栏
KR101762656B1 (ko)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평행봉
KR200452947Y1 (ko) 트램펄린 착지 보조대
CN201676436U (zh) 一种弹跳器
KR102361745B1 (ko) 트램펄린
EP2460564A1 (en) Leg assembly and platform assembly for a trampoline
US20120142499A1 (en) Leg assembly and platform assembly for a trampoline
CN112721769A (zh) 一种公交车用安全扶手
KR101211346B1 (ko)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비구방지 펜스
KR200475940Y1 (ko) 다목적 프레임
KR101873688B1 (ko) 트램폴린의 도약판 고정기구
KR200202303Y1 (ko)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JP4262295B1 (ja) スノーボード
CN206261981U (zh) 单杠训练安全架
KR200443951Y1 (ko) 탄력 철봉
CN202342737U (zh) 弹簧板蹦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