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138B1 -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138B1
KR101109138B1 KR1020090108564A KR20090108564A KR101109138B1 KR 101109138 B1 KR101109138 B1 KR 101109138B1 KR 1020090108564 A KR1020090108564 A KR 1020090108564A KR 20090108564 A KR20090108564 A KR 20090108564A KR 101109138 B1 KR101109138 B1 KR 10110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magnetic field
generating
operation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796A (ko
Inventor
정현규
진정태
정용무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1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50Application to a particular transducer type
    • B06B2201/52Electrodynamic transducer
    • B06B2201/54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s [EM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펄스 형태의 전류를 전자석에 흘려주어 펄스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고자기장의 생성이 용이토록 하고 자유롭게 펄스 자기장의 레벨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펄스자기장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펄스자기장 발생장치는, 펄스 자기장 발생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 펄스에 따라 펄스자기장 발생 및 초음파 탐지를 위한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신호 발생기와; 상기 발생하는 동작신호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펄스의 폭과 전압을 조절하여 펄스 전원으로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전자석)에 공급하는 펄스 전원기와; 상기 펄스 전원기와 코일 사이에 게재되고, 상기 펄스 전원기에서 공급하는 펄스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전압 조절기를 구비함으로써, 발생하는 펄스 자기장의 레벨 조절이 가능하다.
펄스자기장, 비파괴검사, 펄스 전류, 레벨 조절, 고자기장

Description

펄스자기장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the pulsed magnetic field}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장비에서 펄스자기장 발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펄스 형태의 전류를 전자석에 흘려주어 펄스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고자기장의 생성이 용이토록 하고 자유롭게 펄스 자기장의 레벨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펄스자기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검사 대상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하기 위한 비파괴검사(NDT: Nondestructive Testing)가 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비파괴 검사나 비파괴 평가(NDE: Nondestructive Evaluation)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이 EMAT(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이다.
EMAT는 SH파를 주로 이용하는 데, 기존의 PZT와 비교하여 비접촉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모드 변환, 빔의 왜곡이나 비틀림 등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EMAT는 일종의 전자기장치로, 전선과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도체 내에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자성체 및 비 자성체에 상관없이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EMAT 발생장치가 전도체 근처에 있으면 유도된 와전류와 자기장에 의해 초음파가 전달된다. 이는 기존의 탐촉자가 직접 접 촉되어야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해준다. 접촉 매질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고온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MAT는 전선을 전도체의 표면에 가깝게 위치시키고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에 해당하는 교류를 가하면,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와전류가 발생한다. 투과두께는 표피효과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정전위 자기장(Bo)이 있는 상태에서 유도된 와전류(J)는 로렌츠 힘(f)을 받게 되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식과 같다.
Figure 112009069264729-pat00001
통상 전자기 음향 초음파 탐촉자는, 자석, 코일, 케이스, 커넥터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장치에서는 일반 압전 초음파 탐촉자와는 달리 액체 매질이 없이 초음파 발생이 가능하고, 압전 초음파 탐촉자에서 주로 발생하기 쉬운 종파, 횡파 이외의 특별한 파형을 발생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즉, SH파, 표면파, 판파 등의 발생이 용이하다.
반면, 에너지 변환효율이 낮고, 탐촉자 크기를 축소하는 데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낮은 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석에 있어서의 높은 자기장과 코일에 높은 전류를 흘림으로써 보다 높은 로렌츠 힘을 생성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기존의 초음파 발생장치에서, 높은 자기장과 코일에 높은 전류를 흘려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방전 펄스를 이용한 고전류에 의해 높은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 기술은 높은 자기장의 발생은 가능하나 발생하는 자기장의 레벨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유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EMAT를 이용한 초음파 발생장치에서 높은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발생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펄스 형태의 전류를 전자석에 흘려주어 펄스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자기장의 발생이 용이하고 자유롭게 펄스 자기장의 레벨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펄스자기장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펄스 형태의 전류를 이용하여 펄스 자기장을 생성하되, 펄스 폭과 펄스 전압의 조절을 통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레벨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펄스자기장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자기장 발생장치"는,
펄스 자기장 발생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 펄스에 따라 펄스자기장 발생 및 초음파 탐지를 위한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신호 발생기와;
상기 발생하는 동작신호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펄스의 폭과 전압을 조절하여 펄스 전원으로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에 공급하는 펄스 전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자기장 발생장치"는,
상기 펄스 전원기와 코일 사이에 게재되고, 상기 펄스 전원기에서 공급하는 펄스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펄스자기장 발생장치"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탐지하는 탐촉 코일과;
상기 탐촉 코일에 의해 탐지된 초음파를 인지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탐상하는 초음파 탐상유닛을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신호 발생기는,
펄스자기장 발생을 위한 동작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한 동작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킨 지연신호를 초음파 탐지를 위한 동작 신호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펄스 전원기는,
펄스자기장 발생을 위한 동작신호의 상승 시점에서 펄스 폭 조정신호에 따라 펄스 폭을 조정한 펄스를 발생하는 제1멀티바이브레이터와;
미리 설정된 펄스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진기와;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한 펄스와 상기 펄스 발진기에서 발생한 펄스를 논리 곱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1논리연산기와;
상기 제1논리연산기의 출력을 증폭한 후, 그 증폭된 펄스로 제1전계효과트랜 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제1FET드라이버와;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한 펄스에 대응하는 펄스를 발생하는 제2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 펄스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 펄스와 상기 펄스 발진기의 출력 펄스를 논리곱하는 제2논리연산기와;
상기 제2논리연산기의 출력을 증폭한 후, 그 증폭된 펄스로 제2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제2FET드라이버와;
상기 제1 및 제2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동작에 따라 1차측으로 유입되는 펄스를 2차측으로 유기시켜 펄스를 변환하는 펄스 변압기와;
상기 펄스 변압기의 출력 펄스에 따라 연동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자기장 발생을 위한 펄스 전원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메인 펄스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펄스 형태의 전류를 전자석에 흘려주어 펄스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자기장의 발생이 용이하고, 펄스 자기장의 레벨 설정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또한, 펄스 형태의 전류를 이용하여 펄스 자기장을 생성하되, 펄스 폭과 펄스 전압의 조절을 통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레벨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자기장 발생장치는 영구자석을 일정한 곳에 고정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이동성에 제약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하여 필요한 곳에 이동시킨 후 펄스를 인가하여 사용하므로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펄스자기장 발생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펄스자기장 발생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펄스자기장 발생장치는, 동작신호 발생기(110), 직류전원 공급기(120), 펄스 전원기(130), 전압 조절기(140), 오실로스코프(150), 자기장 발생용 코일(160) 및 탐촉 코일(161), 초음파 탐상 유닛(170)을 포함한다.
동작신호 발생기(110)는 펄스 자기장 발생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 펄스에 따라 펄스자기장 발생 및 초음파 탐지를 위한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직류 전원 공급기(120)는 펄스 발생을 위해 5V의 직류 전원과 15V의 직류 전원을 펄스 전원기(130)에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동작신호 발생기(110)는 펄스자기장 발생을 위한 동작신호(Trigger)를 발생하여 상기 펄스 전원기(130)에 제공하며, 상기 발생한 동작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킨 지연신호(Delayed Trigger)를 초음파 탐지를 위한 동작 신호로 발생하여 초음파 탐상 유닛(170)에 제공한다.
펄스 전원기(130)는 상기 발생하는 동작신호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펄스의 폭과 전압을 조절하여 펄스 전원으로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16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펄스 전원기(1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자기장 발생을 위한 동작신호의 상승 시점에서 펄스 폭 조정신호에 따라 펄스 폭을 조정한 펄스를 발생하는 제1멀티바이브레이터(201)와, 미리 설정된 펄스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진기(202)와,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201)에서 발생한 펄스와 상기 펄스 발진기(202)에서 발생한 펄스를 논리 곱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1논리연산기(203)와, 상기 제1논리연산기(203)의 출력을 증폭한 후, 그 증폭된 펄스로 제1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05)를 구동시키는 제1FET드라이버(204)와,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201)에서 발생한 펄스에 대응하는 펄스를 발생하는 제2멀티바이브레이터(206)와,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206)의 출력 펄스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인버터(207)와, 상기 인버터(207)의 출력 펄스와 상기 펄스 발진기(202)의 출력 펄스를 논리곱하는 제2논리연산기(208)와, 상기 제2논리연산기(208)의 출력을 증폭한 후, 그 증폭된 펄스로 제2전계효과트랜지스터(210)를 구동시키는 제2FET드라이버(209)와, 상기 제1 및 제2 전계효과트랜지스터(205)(210)의 동작에 따라 1차측으로 유입되는 펄스를 2차측으로 유기시켜 펄스를 변환하는 펄스 변압기(211)와, 상기 펄스 변압기(211)의 출력 펄스에 따라 연동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212)(213)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213)의 동작에 대응하여 자기장 발생을 위한 펄스 전원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메인 펄스 스위치(214)를 포함한다.
전압 조절기(140)는 상기 펄스 전원기(130)와 코일(160) 사이에 게재되고, 상기 펄스 전원기(130)에서 공급하는 펄스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코일(160)에 펄스 전류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탐촉 코일(161)은 상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160)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탐지하게 되며, 초음파 탐상 유닛(170)은 상기 탐촉 코일(161)에 의해 탐지된 초음파를 인지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탐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자기장 발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펄스 전원을 발생하기 위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펄스자기장 발생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에서 0 ~ 100Hz의 신호 펄스가 동작신호 발생기(110)에 입력되면, 동작 신호 발생기(110)는 펄스 발생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동작 신호(트리거신호)를 발생하여 펄스 전원기(130)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동작 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킨 동작신호를 초음파 탐상 유닛(17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기는 일반적인 중앙처리장치나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제어기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펄스 발생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탐상 유닛(170)에 제공되는 동작 신호를 일정 시 간 지연시켜 제공하는 이유는, 물리적으로 펄스자기장 발생장치가 동작을 시작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해야만 초음파 탐상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초음파 탐상 유닛의 동작 시점을 지연된 동작신호로 제어함으로써, 정확하게 초음파 탐상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펄스 전원기(130)는 동작신호 발생기(110)로부터 펄스 발생 시작을 알리는 트리거 신호가 인가되면, 제1멀티바이브레이터(201)에서 상기 트리거 신호의 상승시점에서 최소 펄스 폭 10㎲에서 최대 펄스 폭 10s의 펄스를 출력한다. 이때 제1멀티바이브레이터(201)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폭은 펄스 폭 조정용 저항(R) 또는 커패시터(C)의 값을 가변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이러한 펄스 폭 조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의 펄스를 만들기 위하여 슬라이드 볼륨 같은 장비로 가변 저항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히 발생하는 자기장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레벨 선택에 대응하게 제어기에서 자동으로 펄스 폭 조절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를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로 펄스 폭을 245㎲로 고정하여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때의 커패시터와 저항의 용량은 각각 20nF, 10㏀이다.
펄스 발진기(202)는 250kHz로서 펄스 한 개의 펄스 폭은 2㎲이며, 이 출력 펄스는 제1논리연산기(203)와 제2논리연산기(208)에 각각 제공된다.
제1논리연산기(203)는 논리곱소자(AND게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201)의 출력 펄스와 상기 펄스 발진기(202)의 출력 펄스를 각각 논리곱하여 그 결과 펄스 열을 제1FET 드라이버(204)에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제1논 리연산기(203)에서 출력되는 펄스 열로서, 245㎲시간 동안 펄스 폭이 2㎲인 펄스 열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제2멀티바이브레이터(206)는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201)에서 출력되는 펄스 폭 245㎲의 펄스가 하강하는 순간을 트리거 신호로 받아서, 110㎲의 펄스 폭을 가진 펄스를 출력하게 되고, 이렇게 출력되는 펄스는 인버터(207)에 의해 위상이 180°천이되어 제2논리연산기(208)에 인가된다.
제2논리연산기(208)는 논리곱소자(AND게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버터(207)의 출력 펄스와 상기 펄스 발진기(202)에서 제공되는 발진 펄스를 각각 입력받아, 두 펄스를 논리곱하여 그 결과에 해당하는 펄스 열을 출력하여 제2 FET 드라이버(209)에 제공한다. 도 4는 상기 제2논리연산기(208)에서 출력되는 펄스 열을 도시한 것으로서, 110㎲의 시간 동안 펄스 폭 2㎲인 펄스 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논리연산기(203)(208)에서 각각 출력되는 펄스 열은 제1 및 제2 FET 드라이브(204)(209)에서 각각 증폭되어, 제1 및 제2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05)(210)를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 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전계효과트랜지스터(205)(210)의 동작에 대응하여 펄스 변압기(211)는 1차측에 유입된 펄스를 2차측으로 유기시키게 된다.
도 5는 상기 펄스 변압기(211)의 출력 전압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펄스 변압기(211)의 코어는 토로이달 형태의 Mn-Zn 페라이트 코어이며, 크기는 OD 85mm, ID 55mm, t 10mm이고, 1차 코일 권선수는 각각 50턴이고, 2차 코일의 권선수는 75턴이다.
상기 펄스 변압기(211)에서 출력되는 펄스 전압에 의해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212)(213)가 연동하여 동작을 하게 되고, 제2스위칭소자(213)의 동작에 대응하여 펄스 스위치(214)가 동작을 하여 자기장 발생을 위한 펄스 전류를 전압 조절기(140)에 제공하게 된다.
즉, 제1전계효과트랜지스터(205)가 턴-온(turn-on)되는 순간 제1스위칭소자(212)에 부속되어있는 다이오드(D1)에 의하여 제2스위칭소자(213)의 게이트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제2스위칭소자(213)가 턴-온(turn-on)되며, 따라서 메인 스위치인 펄스 스위치(214)는 펄스 열이 유지되는 245㎲ 동안 턴-온(turn-on) 상태를 유지한다. 시간이 245㎲ 경과 한 후, 도 5에서와 같이 펄스 변압기(211)의 출력 극성이 양에서 음으로 반전되면 제2스위칭소자(213)가 턴-온(turn-on)되고 다이오드(D2)를 거쳐 펄스 스위치(214)는 역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턴-오프(turn-off) 된다.
도 6은 상기 펄스 스위치(IGBT)(214)의 게이트 전압 파형이다. 도 6에서와 같이 게이트 전압은 245㎲ 동안 +14V, 그 후 110㎲ 동안 -15V를 유지한 후, 시상수(CR2)를 가지고 방전된다. 여기에서 커패시터(C)는 펄스 스위치(214)의 입력 커패시턴스로서, 미쓰비시 전기의 "IGBT CM75DU-24F", Sep 2000.에 개시된 데이터 시트에 따르면 최대 29ns이고 저항값은 100㏀이다. 메인 펄스 스위치로 사용된 IGBT의 정격은 1200V, 75A로서 1ms 이하의 펄스 전류는 200A까지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펄스 전원기의 출력을 부하인 코일(전자석)에 사용할 경우, 전압 10V 이상, 전류 100A 이상, 펄스 반복률 1Hz 이상, 펄스 폭 10㎲ ~ 1s 까지 가변 가능 하다.
이후 발생 된 펄스 전류는 Slidax Power Supplier인 전압 조절기(140)에서 임의의 레벨까지 펄스 전압으로 변환된 후, 자기장 발생용 코일(160)에 인가되며, 이후 와전류에 의해 설정된 레벨에 대응하는 펄스자기장이 발생한다.
초음파 탐상을 위한 탐촉 코일(161)은 앞에서 기술한 전자기 힘에 의해 검사체에 초음파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검사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검출하게 되고, 초음파 탐상 유닛(170)은 지연된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탐촉 코일(161)을 통해 탐지된 초음파 신호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신호로 변환을 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해줌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펄스자기장 발생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펄스자기장 발생장치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도 2의 펄스 발진기의 출력 펄스 파형도.
도 4는 도 2의 제1논리연산기의 출력 펄스 파형도.
도 5는 도 2의 펄스 변압기의 출력 전압 파형도.
도 6은 도 2의 메인 펄스 스위치(IGBT)의 출력 전압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동작신호 발생기
130… 펄스 전원기
140… 전압 조절기
170… 초음파 탐상 유닛

Claims (5)

  1. 자기장을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펄스 자기장 발생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 펄스에 따라 펄스자기장 발생 및 초음파 탐지를 위한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신호 발생기와;
    상기 발생하는 동작신호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펄스의 폭과 전압을 조절하여 펄스 전원으로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전자석)에 공급하는 펄스 전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신호 발생기는,
    펄스자기장 발생을 위한 동작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한 동작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킨 지연신호를 초음파 탐지를 위한 동작 신호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전원기와 코일 사이에 게재되고, 상기 펄스 전원기에서 공급하는 펄스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전압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탐지하는 탐촉 코일과;
    상기 탐촉 코일에 의해 탐지된 초음파를 인지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탐상하는 초음파 탐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자기장 발생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전원기는,
    펄스자기장 발생을 위한 동작신호의 상승 시점에서 펄스 폭 조정신호에 따라 펄스 폭을 조정한 펄스를 발생하는 제1멀티바이브레이터와;
    미리 설정된 펄스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진기와;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한 펄스와 상기 펄스 발진기에서 발생한 펄스를 논리 곱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1논리연산기와;
    상기 제1논리연산기의 출력을 증폭한 후, 그 증폭된 펄스로 제1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제1FET드라이버와;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한 펄스에 대응하는 펄스를 발생하는 제2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 펄스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 펄스와 상기 펄스 발진기의 출력 펄스를 논리곱하는 제2논리연산기와;
    상기 제2논리연산기의 출력을 증폭한 후, 그 증폭된 펄스로 제2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제2FET드라이버와;
    상기 제1 및 제2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동작에 따라 1차측으로 유입되는 펄스를 2차측으로 유기시켜 펄스를 변환하는 펄스 변압기와;
    상기 펄스 변압기의 출력 펄스에 따라 연동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자기장 발생을 위한 펄스 전원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메인 펄스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KR1020090108564A 2009-11-11 2009-11-11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KR10110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564A KR101109138B1 (ko) 2009-11-11 2009-11-11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564A KR101109138B1 (ko) 2009-11-11 2009-11-11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796A KR20110051796A (ko) 2011-05-18
KR101109138B1 true KR101109138B1 (ko) 2012-02-24

Family

ID=4436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564A KR101109138B1 (ko) 2009-11-11 2009-11-11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5647B (zh) * 2021-11-23 2022-10-1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产生扰动磁场的脉冲功率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7163A (ja) 1984-04-03 1985-11-12 Hiroshi Shimizu 高周波磁心を用いた横波用電磁超音波トランスジユ−サ
JPH06109708A (ja) * 1992-09-25 1994-04-22 Sumitomo Metal Ind Ltd 電磁超音波探傷装置
KR20030054477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초음파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용접부의 원거리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7163A (ja) 1984-04-03 1985-11-12 Hiroshi Shimizu 高周波磁心を用いた横波用電磁超音波トランスジユ−サ
JPH06109708A (ja) * 1992-09-25 1994-04-22 Sumitomo Metal Ind Ltd 電磁超音波探傷装置
KR20030054477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초음파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용접부의 원거리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796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4409B2 (en)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EMAT) for corrosion mapping
Svilainis et al. Efficient high voltage pulser for piezoelectric air coupled transducer
Zhai et al. High-temperature EMAT with double-coil configuration generates shear and longitudinal wave modes in paramagnetic steel
Pei et al. Development of a flexible film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for nondestructive testing
KR101109138B1 (ko) 펄스자기장 발생장치
Rieger et al. Noncontact reception of ultrasound from soft magnetic mild steel with zero applied bias field EMATs
CN204705619U (zh) 一种表面波和兰姆波双模电磁超声探头
Svilainis et al. Investigation of the half bridge and transformer push–pull pulser topologies for ultrasonic transducer excitation
RU2007122863A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расхода жидких сред и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расходомер
RU2013154948A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дефектов на поверхности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5303100B2 (ja) 超音波測定装置
JPH0228824B2 (ko)
Hidayat et al. MOSFET-based high voltage short pulse generator for ultrasonic transducer excitation
Zhang et al. Design of bulk wave EMAT using a pulsed electromagnet
Suchkov et al. Powerful sources for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transducers for measurement, monitoring and diagnostics
RU154462U1 (ru) Лабо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ускорен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остаточного ресурс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изделий с учётом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нагрузки
JPS57144456A (en) Non-destructive inspecting device
JP2016109435A (ja) 電圧検出装置
JP2772481B2 (ja) 超音波測定方法及び超音波測定装置
UA136338U (uk) Спосіб визначення ультразвуковим методом коефіцієнта пуассона локального об&#39;єму матеріалу феромагнітних електропровідних виробів невідомої товщини
RU11549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корости поверхностных акустических волн
Sikora et al. On the possibility of use of fractional order derivatives to eddy current non-destructive testing
SU9265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возбуждени упругих колебаний
Nozdrachova et al. Power Supplies of High-Frequency Capacitive Transducers for Measurement, Monitoring, and Diagnostics of Metal Products
RU41515U1 (ru) Прибор для акус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