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096B1 -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096B1
KR101109096B1 KR1020090105287A KR20090105287A KR101109096B1 KR 101109096 B1 KR101109096 B1 KR 101109096B1 KR 1020090105287 A KR1020090105287 A KR 1020090105287A KR 20090105287 A KR20090105287 A KR 20090105287A KR 101109096 B1 KR101109096 B1 KR 10110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oncide
microcapsules
capsule
nanoparticles
impre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635A (ko
Inventor
박종윤
김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크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크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크롬
Priority to KR102009010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0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일라이트 및 나노실버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은입자 및 일라이트 입자를 나노크기로 제조 한 후 기능성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외벽에 함침하므로써 소취성, 항균성 및 포름알데히드 분해성이 부여된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캡슐, 나노일라이트, 피톤치드, 열경화성 수지

Description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Nano particle impregnated Phytoncide}
본 발명은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기로는 소취성과 항균성이 우수한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나노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의 일상생활에 나노기술이 응용된 많은 제품을 볼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은 현대에 있어 획기적인 기술의 발전을 이루어 가고 있지만 기존의 마이크로 단위의 제품과 같이 혼합되고 융합되어야만 그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고 또한 이러한 제품은 우리가 일상생활에 많이 접목되어 볼 수 있다.
은 나노입자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수 있는 나노제품이다. 은(Ag, Silver)은 귀금속으로 또는 기능성물질로서 미생물에 대한 저항력, 독성물질의 검출능력, 항균능력 등으로 인해 예로부터 인간이 많이 사용되는 금속이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마이크로단위보다 나노단위 일 때 극대화되어 전자재료 분야에서는 고 전도성 소재로 사용되어지며 일상생활에서는 주로 천연의 항균제로 많이 사용되어진다. 천연의 항균제로 은나노입자가 사용되는 제품은 은나노입자가 첨가된 항균젖 병, 항균플라스틱 등과 나노실버 항균처리 원단 등 여러 가지 제품에 응용된 것을 볼수 있다.
일라이트는 점토입자크기의 미립자 광물로서 일반적으로 운모와 비슷한 판상구조를 갖는다. 결정화학식은 (K,H3O)Al2(Si,Al)4O10(H2O,OH)2 이다. 일라이트는 공기 중의 NH3, SO2, CO, H2S, Cl2 등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를 흡착, 탈취하는 성능이 우수하며 일부는 이온교환을 통해 유익한 공기로 만들어 준다. 일라이트의 유해가스 제거원리는 다음과 같은데 일라이트가 음(-)성질을 가지고 유해가스 즉 담배연기,황산가스(SO2),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오존(O3)등은 양(+)의 성질을 가져 양이온을 중화시켜 제거하며, 오존(O3) 같은 경우는 이온교환반응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산소(O2)로 만들어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항균 및 소취기능도 가지게 된다.
피톤치드는 수목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공기 중에 발산하는 천연의 항균물질로서 해충과 각종 균에는 치명적으로 작용하지만 사람에게는 유해물질을 제거해 주어 많은 이로움을 주는 물질이다. 그리스어로 ‘식물(phyton)'과 ’죽이다(cide)'를 뜻하는 합성어로 식물이 발산하는 살균물질을 총칭하여 말한다. 다량의 휘산기를 가져 주로 울창한 숲속을 거닐 때 삼림욕을 통해 느낄 수 있으며 편백나무, 잣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림에서 우수하게 발산된다. 산업적으로는 강력한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중화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을 필요로 하는데 응 용이 되는데 특히 건축물의 새집증후군을 완화하기 위한 건축내장재에 사용되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와 포름알데히드의 제거에 사용된다.
피톤치드는 물에 녹지 않는 오일(oil)의 형태로 침엽수림에서 추출이 되며 특히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피톤치드가 그 성능이 뛰어나다. 이러한 피톤치드 오일(oil)을 산업분야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일자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피톤치드 오일이 다량의 휘산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인해 그 효과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시키기가 힘들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이크로캡슐화 하여 사용한다. 마이크로캡슐화는 대개 내부물질의 보호하고 효과의 지속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마이크로캡슐화가 이루어지는데 2-3㎛의 크기로 내부물질을 외부의 벽재(주로 열경화성 고분자)로 둘러쌓아 내부물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시킴으로 내부물질을 보호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37740에서는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이 처리된 원단의 기능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단순히 피톤치드의 기능성만 나타내고 있어 나노실버 및 나노일라이트 같은 다른 기능성 물질과 복합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본 발명에서 피톤치드 오일의 기능성을 단순히 발휘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면서도 동시에 여러 기능성 나노입자의 복합된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다기 능성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나노입자로서 천연의 강력한 항균력을 발휘하는 은나노입자와 소취성 및 유해가스 분해성이 뛰어난 일라이트 나노입자를 복합하여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외벽에 기능성 나노입자를 함침 및 부착하여 단순기능성을 가지는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이 아니라 복합적, 다기능성을 가지는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톤치드 천연오일을 캡슐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기능성 나노입자로서 나노실버와 나노일라이트가 마이크로캡슐의 외벽에 함침, 부착되어 있는 다기능성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함침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20~30중량%의 피톤치드 오일을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에 혼합?교반하여 유화시켜 캡슐 내부 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캡슐내부 층에 4~6중량%의 열경화성 수지를 가하고 열을 가하면서 교반하여 캡슐 내부 층을 둘러싸도록 하여 캡슐 외벽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4) 캡슐외벽 층의 초기 형성단계에서 pH를 4.0~6.5 범위로 유지하면서 6:4~4:6 비율의 나노실버와 나노일라이트의 혼합입자를 투입하여 수지의 경화반응 중에 마이크로캡슐 외벽에 나노입자를 함침시키는 단계;
(5) 경화제로 5~10%의 묽은 주석산 1.5~3.0중량%를 투입하여 캡슐 표피층을 경화시켜, 캡슐의 안정성?내수성?내열성?내용제성을 부여하는 단계;
(6) 1~3중량%의 멜라민을 첨가하여 반응 중 남은 잔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입자 함침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시 사용되는 나노입자로서 나노실버는 건식법과 습식법에 의해 제조되는데 습식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실버는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AgNO3가 환원제에 의해 환원되면서 작은 콜로이드 상태의 안정된 분산액상으로 제조된다. 나노실버 제조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과 비이온성인 것이 적당한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과정에서 피톤치드 유화분산제와 응집 현상이 나타나 안정된 마이크로캡슐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나노실버의 입자size는 50~200nm의 것이 적당하며 그 이상의 경우 나노실버의 투입 후 마이크로캡슐의 초기 외벽 형성단계에서 나노실버 입자가 형성될 외벽두께보다 커지기 때문에 마이크로캡슐의 외벽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아 캡슐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노입자로서 나노일라이트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초기 5-7㎛ 일라이트입자를 분쇄하여 200nm이하의 콜로이드 액상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나노일라이트는 판상의 구조로서 밀링시 1차 0.4~2.0mm 지르코늄 비드로 분산제하에 1차 밀링 후 0.1~0.2mm 지르코늄 비드로 다시 2차 밀링 후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한다. 1차 밀링시 입도는 평균입도 약500~600nm로 될 때까지 밀링을 진행하며 그 이상으로 제조될 경우 입자크기가 커서 2차 0.1~0.2mm 밀링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문제가 된다.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나노실버와 나노일라이트의 혼합비는 6:4~4:6인 것이 적합하다.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음이온 성질의 것을 사용하며 구조에 술폰산기를 포함하여 친수기가 많은 것을 사용하며 주로 Lignic sulfonic acid계, Naphthalene sulfonic acid계, polystylene sulfonic acid계가 적당하여 한 개 또는 두 개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분산제의 pH는 중성의 것을 사용하며 산성일 경우 pH를 중성으로 조절하여 사용한다.
캡슐 내부 충진물은 모두가 소수성이므로 사용되는 피톤치드 오일은 먼저 물과 혼합하여 수분층을 제거 후 사용한다. 오일층에 친수성 성분이 많으면 유화가 불안해서 캡슐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피톤치드 오일의 유화분산과정은 일정비율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물과 혼합하여 호모믹서로 약 2000~6000rpm으로 교반하여 피톤치드 오일이 유화분산된 에멀젼액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때 계면활성제가 소수성 물질을 감싸면서 작은 유적입 자를 형성하게 되는데 유적의 크기에 따라 제조되는 마이크로캡슐의 입자size가 결정되므로 피톤치드 오일의 물성에 따라 유화rpm을 조절하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size를 1~5㎛사이가 되도록 조절한다. 제조되는 마이크로캡슐의 입자size가 너무 크면 액의 안정성이 떨어져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액의 층분리 현상이 나타나고 마이크로캡슐의 강도도 너무 약해 사용하기 힘들다. 또한 너무 작은 입자size로 제조되면 마이크로캡슐의 발향성이 약해 기능성이 떨어지게 된다.
유화분산과정에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적당하며 물에 대해 약 1-10%정도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너무 많은 양을 사용하면 유화시 너무 점도가 세지므로 추후 외벽형성과정에서 교반의 불균일 현상이 나타나 제조된 마이크로캡슐끼리 엉김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너무 낮으면 유화안정성이 떨어져 너무 큰 유적이 형성되어 캡슐의 치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피톤치드 오일의 사용량은 전체액량의 20~30중량%를 사용하며 25%가 적당하다. 유화액(계면활성제 + 물)은 40~80 중량%를 사용하며 피톤치드 오일 사용량의 2배 또는 50중량%가 적당하다. 피톤치드 오일이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기능성을 충분히 부여하기가 어려우며,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캡슐화가 어렵게 되고, 유화액이 너무 적으면 피톤치드 오일의 유화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피톤치드 오일이 유화된 유화액에 초기 축합상태의 고분자수지를 가하고 열을 가하면서 교반하게 되면 고분자 수지는 부가?축합?중합반응 등을 통해 캡슐의 외벽층을 형성하게 되며, 캡슐 내부에 피톤치드 오일을 둘러 쌓아 피톤치드 오일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되어 환경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마이크로캡슐의 외벽으 로 사용되는 고분자수지는 열경화성 수지가 적당하며 특히 고온, 고압안정성을 가지는 멜라민, 우레아, 페놀, 벤조구아나민, 아세토 구아나민, 우레탄, 에폭시, PMMA, PS등이 적당하다. 열경화성 수지의 사용량은 4~6중량%를 사용하며 이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외벽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서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보호가 어려워 지속적인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벽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서 내부 피톤치드 오일의 기능성 발산이 어렵게 된다.
초기축합상태의 고분자 수지가 유화액에 투입된 후 약 5분 후 교반중에 나노입자를 투입한다. 투입된 나노입자는 미경화 상태의 캡슐외벽에 붙게 되고 최종적으로 함침된 상태에서 존재하게 된다. 나노실버와 나노일라이트를 동시에 함침시킨 캡슐을 제조할 경우 나노일라이트 입자를 먼저 투입한 후 약 1~5분사이에 나노실버를 투입한다. 5분이상이 지날 경우 캡슐외벽이 이미 경화가 되어 외벽에 잘 함침이 되지 않는다.
위의 과정에서 외벽층 형성의 가장 좋은 pH는 4.0~6.5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pH=5.5가 가장 적당하다. pH가 너무 낮으면 급격한 반응으로 인해 나노입자가 외벽에 함침되기 전 경화가 일어나고 또 pH가 6.5이상이면 경화반응이 너무 늦어 외벽의 형성이 늦어 유화액의 안정성이 파괴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초기의 외벽층의 경화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나노입자 투입까지 45~50도 사이로 반응온도를 유지하며 나노입자 투입 후 75~85도로 온도를 올린다.
상기 언급된 상태로 3~5시간의 반응을 지속시킨 후, 캡슐의 내수성?내열성?내용제성 및 외벽층의 치밀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교제 및 경화제로 5~10중량%의 묽은 주석산을 총량의 1.5~3% 투입하여, pH를 4.5정도로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외벽층을 경화시킨다. 그 후 1~2시간이 지난 후 반응중 남은 잔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기 위해 총량의 1~2% 멜라민을 첨가하여 캡슐용액내의 잔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한다.
멜라민 투입 후 3~5시간 더 반응시키면 캡슐용액내의 잔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시킨 후 히팅(Heating)을 끝내고 상온까지 교반하며 서서히 냉각시켜 숙성시킨다.
상기에서 제조과정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 캡슐은 나노입자에 의해 기존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기능성과 나노입자의 기능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복합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은 하기 실시예 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친환경 소재로써 실내건축자재, 가구, 벽지, 섬유원단염색등 여러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으며 포름알데히드 제거, 공기정화, 소취성 및 항균성등 다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의 제조
하기 구조식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스타이렌말레익 무수물의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5중량% 가하고, 90~95℃의 온도에서 2~3시간 용해시켜, 소수성 물질을 유화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계면활성제는 상온에서 4~5시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 필터를 통과시켜 과립상 및 엉김 입자를 제거하였다.
[구조식1]
Figure 112009067468914-pat00001
(상기 식에서 m, n은 자연수이다.)
실시예 2) 나노일라이트의 제조
5~7㎛크기의 일라이트 파우더를 3~5중량%, 분산제로서 polystyrenesulfonic acid(분자량 100만이상) 20%용해한 액을 40중량% 투입한 후 나머지는 증류수로 전체액량을 맞춘다. 아래와 같은 공정으로 일라이트를 밀링하고 각 단계별 밀링시 입자size를 확인하고 0.4~0.6mm비드로 밀링한 후 500nm이하로 입자가 되도록 밀링시 간을 조절한다. 비드는 각각 지르코늄비드를 사용하고 최종 밀링액을 1㎛이하로 여과하여 나머지 액을 사용한다.
도 2는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나노일라이트의 TEM분석 사진이며 4% 염색천의 소취성 및 HCHO분해성을 시험하여 표 1에 개재하였다.
Figure 112009067468914-pat00002
실시예 3) 나노실버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수용성 고분자액을 1.0㎛ 필터를 통해 여과시킨 후 2000ml 용기에 약500g을 개량하여 넣는다. 0.1mol 질산은 용액을 100ml 투입하고 약 18-20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한다. 0.1mol 하이드라진 용액 200ml를 약 10분에 걸쳐 서서히 투입한 후 18-20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한다. 약 24시간 반응시킨 후 1.0㎛ 필터로 여과한다.
실시예 4) 나노일라이트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편백오일(피톤치드오일) 약 500g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고분자액 1000g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약 6000rpm으로 유화분산시킨다. 고형분 50% 멜라민 초기축합물을 약 10중량% 투입하고 5분간 50도 반응 후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나노일라이트를 10중량% 가하고 75도로 온도를 상승시킨 후 4시간 더 반응시킨다. 5%묽은 주석산을 1.5중량% 가한 후 1시간 더 반응 후 잔류포름알데히드 제거를 위해 멜라민은 1중량% 가하고 4시간 더 반응시킨 후 반응을 멈추고 24시간 숙성시킨다. EDX 분석을 통해 표면에 나노일라이트를 확인하고 이를 도3에 개재하였고 4%염색천의 소취성 및 HCHO분해성 성능을 시험하고 표1 에 개재하였다.
실시예 5) 나노일라이트, 나노실버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편백오일(피톤치드오일) 약 500g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고분자액 1000g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약 6000rpm으로 유화분산시킨다. 함량 50% 멜라민 초기축합물을 약 10중량% 투입하고 5분간 50도 반응 후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나노일 라이트를 10중량% 가하고 이후 1분 후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나노실버액 10중량%를 가하고 75도로 온도를 상승시킨 후 4시간 더 반응시킨다. 5%묽은 주석산을 1.5중량% 가한 후 1시간 더 반응 후 잔류포름알데히드 제거를 위해 멜라민은 1중량% 가하고 4시간 더 반응시킨 후 반응을 멈추고 24시간 숙성시킨다. 3% 염색천의 항균성능을 시험하고 도4에 개재하였다.
비교예) 편백(피톤치드)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시행하되 나노실버와, 나노일라이트를 투입하지 않고 제조하였으며 4%염색 후 소취성과 HCHO분해율을 측정하여 표1에 개재하였다. 표1의 결과로 나노일라이트와 이를 외벽에 함침시킨 마이크로캡슐의 소취성 및 HCHO분해성이 일반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 1] 소취성 및 HCHO분해성 비교
시료명 처리농도
(%)
소취율(%) HCHO 분해율(%)
0.5h 1h 1.5h 2h 0.5h 1h 1.5h 2h
Blank fabric 0 44 52 54 55 50 60 65 68
나노일라이트
4
67 75 81 83 71 85 88 87
일라이트/피톤치드 캡슐 83 87 91 92 78 80 85 91
피톤치드 캡슐 55 62 65 67 80 85 88 90
도 1은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구조도.
도 2는 나노일라이트 TEM분석사진.
도 3은 나노일라이트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EDX분석사진.
도 4는 나노실버, 나노일라이트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항균시험성적서.
도 5는 나노일라이트, 나노일라이트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소취성, HCHO분해성 시험성적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분자수지(외벽)
2 : 피톤치드 오일(내부물질)
3 : 나노입자

Claims (6)

  1. 나노실버와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20~30중량%의 피톤치드 오일을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에 혼합?교반하여 유화시켜 캡슐 내부 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캡슐내부 층에 4~6중량%의 열경화성 수지를 가하고 열을 가하면서 교반하여 캡슐 내부 층을 둘러싸도록 하여 캡슐 외벽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4) 캡슐외벽 층의 초기 형성단계에서 pH를 4.0~6.5 범위로 유지하면서 6:4~4:6 비율의 나노실버와 나노일라이트의 혼합입자를 투입하여 수지의 경화반응 중에 마이크로캡슐 외벽에 나노입자를 함침시키는 단계;
    (5) 경화제로 5~10%의 묽은 주석산 1.5~3.0중량%를 투입하여 캡슐 표피층을 경화시켜, 캡슐의 안정성?내수성?내열성?내용제성을 부여하는 단계;
    (6) 1~3중량%의 멜라민을 첨가하여 반응 중 남은 잔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우레아 공중합체, 멜라민-페놀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공정 중 캡슐용액 내의 잔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단계는 1~3%의 멜라민을 첨가하여, 70~80℃에서 3~5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나노실버 및 나노 일라이트의 입경은 100~2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피톤치드 오일은 물과 혼합된 후 수분층을 제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리그닌 설포닉 에스드(Lignic sulfonic acid)계, 나프탈렌 설포닉 에시드(Naphthalene sulfonic acid)계, 폴리스티렌 설포닉 에시드(polystylene sulfonic acid)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KR1020090105287A 2009-11-03 2009-11-03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KR10110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87A KR101109096B1 (ko) 2009-11-03 2009-11-03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87A KR101109096B1 (ko) 2009-11-03 2009-11-03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635A KR20110048635A (ko) 2011-05-12
KR101109096B1 true KR101109096B1 (ko) 2012-02-09

Family

ID=4435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287A KR101109096B1 (ko) 2009-11-03 2009-11-03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0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4132A (zh) * 2013-11-07 2015-05-20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环氧树脂自修复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20190001314A (ko) 2017-06-27 2019-01-04 신케미코리아 주식회사 기능성 물질이 담지된 서방형 나노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마이크로입자
KR102108812B1 (ko) 2018-12-17 2020-05-11 (유)현대어패럴 피톤치드 캡슐 부착률이 향상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아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580B1 (ko) * 2013-11-08 2020-05-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단농화유체를 이용한 고분자 복합체
CN103920438B (zh) * 2014-04-25 2016-03-09 黑龙江大学 一种酚醛树脂/聚苯乙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8837779B (zh) * 2018-06-04 2021-01-19 华南理工大学 一种离子交联的木质素微胶囊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913A (ko) * 2003-04-18 2003-05-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연항균 및 치유기능을 갖는 축열 복합 마이크로캡슐 및그제조방법
KR20040094203A (ko) * 2003-05-02 2004-11-09 주식회사 폴리크롬 은 나노입자가 고착된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KR20050037740A (ko) * 2003-10-20 2005-04-25 엔바이타(주) 마이크로캡슐화된 피톤치드로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4472A (ko) * 2005-01-19 2006-07-24 (주) 파로마티디에스 피톤치드 은나노 혼합액을 가구에 도포하는 방법 및 그혼합액, 도포된 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913A (ko) * 2003-04-18 2003-05-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연항균 및 치유기능을 갖는 축열 복합 마이크로캡슐 및그제조방법
KR20040094203A (ko) * 2003-05-02 2004-11-09 주식회사 폴리크롬 은 나노입자가 고착된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KR20050037740A (ko) * 2003-10-20 2005-04-25 엔바이타(주) 마이크로캡슐화된 피톤치드로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4472A (ko) * 2005-01-19 2006-07-24 (주) 파로마티디에스 피톤치드 은나노 혼합액을 가구에 도포하는 방법 및 그혼합액, 도포된 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4132A (zh) * 2013-11-07 2015-05-20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环氧树脂自修复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20190001314A (ko) 2017-06-27 2019-01-04 신케미코리아 주식회사 기능성 물질이 담지된 서방형 나노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마이크로입자
KR102108812B1 (ko) 2018-12-17 2020-05-11 (유)현대어패럴 피톤치드 캡슐 부착률이 향상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아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635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096B1 (ko) 나노입자가 함침된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Chen et al. Multimorphology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for dye adsorption and multicolor luminescence applications
ES2830753T3 (es) Micro- o nanocápsulas que tienen propiedades fotocatalíticas para la liberación controlada de agentes de difusión y respectivos métodos de obtención
Wen et al. Controlled release of avermectin from porous hollow silica nanoparticles
Dhandayuthapani et al. PVA/gluten hybrid nanofibers for removal of nanoparticles from water
DE102005040189B4 (de) Trägermaterial mit katalytisch aktiven Polymerpartikeln
KR101600548B1 (ko) 유해물질 분해 또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3009B1 (ko) 친환경 유해물질 차단 조성물
WO2002060573A2 (de) Kapseln-in-kapsel-syste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WO2021115601A1 (de) Bioabbaubare mikrokapselsysteme
JP4638888B2 (ja) 建築物仕上げ用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9136B1 (ko) 아파타이트를 복합한 항균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Baysal et al. Nanofibrous MgO composites: Structur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TW201714945A (zh) 一種含奈米銀粒子之高分子乳膠顆粒組成物
KR20150099086A (ko) 서방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서방성 섬유
CN111040477B (zh) 一种抗菌防霉效果持久的干粉涂料及其制备方法
EP0680753A2 (de) Metalloxidkomposit mit steuerbarer Wirkstoffabgabe
JP2002200148A (ja) 不飽和炭化水素系アルデヒドガス用消臭剤
Massella et al. Manufacture techniques of chitosan-based microcapsules to enhance functional properties of textiles
Chakraborty et al.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various metal oxide–/biomaterial–coated carbonaceous nanomaterials derived from waste biomass for removal of Cr+ 6 present in solution
Huang et al. Versatile surface modification of millimeter‐scale “aqueous pearls” with nanoparticles via self‐polymerization of dopamine
JPWO2008146711A1 (ja)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組成物
KR20090114497A (ko) 대나무 활성탄 페인트
CN116234949A (zh) 功能性成分含浸硬硅钙石中空体
KR101989582B1 (ko) 기능성 물질이 담지된 서방형 나노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마이크로입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