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407B1 - 젬시타빈 아미드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 그의 조성물 및 용도 - Google Patents

젬시타빈 아미드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 그의 조성물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407B1
KR101108407B1 KR1020097001286A KR20097001286A KR101108407B1 KR 101108407 B1 KR101108407 B1 KR 101108407B1 KR 1020097001286 A KR1020097001286 A KR 1020097001286A KR 20097001286 A KR20097001286 A KR 20097001286A KR 101108407 B1 KR101108407 B1 KR 10110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luoro
oxopentyl
ribofuranosyl
deoxy
prop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447A (ko
Inventor
알렉산드르 예브겐예비치 오블레조프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90033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073Pyrimidine radicals with 2-deoxy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3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t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젬시타빈 아미드 전구약물의 신규한 결정 형태, 그의 조성물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젬시타빈 아미드 전구약물, 결정 형태, 모 약물, 감수성 신생물

Description

젬시타빈 아미드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 그의 조성물 및 용도{CRYSTALLINE FORMS OF GEMCITABINE AMIDE PRODRUG,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경구로 제공될 수 있고, 모 약물보다 더 낮은 위장내의 독성 및 더 우수한 생체이용률을 가지면서 장관에서 문맥 혈류로 실질적으로 완전한 상태로 이동하고, 더 적은 복용량으로 모 약물의 효율을 유지시키는, 젬시타빈의 신규한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젬시타빈 히드로클로라이드 (2',2'-디플루오로-2'-데옥시시티딘 히드로클로라이드)는 다양한 암의 치료용으로 감압 동결건조된 분말 제형인 젬자 (Gemzar)®로서 현재 생산되고 판매되는, 공지된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항암제이다. 젬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 방법은 미국 특허 제5,464,826호 및 미국 특허 제4,808,614호에 기재되어 있다. 젬자®는 현재 췌장암, 유방암, 비-소세포 폐암 (NSCLC)의 치료에 대해 승인되어 있으며, 난소암에 대해서는 평가중이다. 또한, 젬자®는 HCV의 치료에서 뿐만 아니라 면역 기능의 조절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555,518호 참조). 젬자®는 현재 30분에 걸쳐 대략 1000 내지 1250 mg/m2의 투여량으로 정맥내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데, 매주 1회 7주 이하 동안 투여되고 이어서 1주간의 치료 휴지기를 갖는다.
경구로의 젬시타빈의 이용은 그의 일차 통과 대사 결과인 불량한 경구 생체이용률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문헌 [Shipley LA. Et. al., "Metabolism and disposition of gemcitabine, and oncolytic deoxycytidine analog, in mice, rats, and dogs". Drug Metabolism & Disposition. 20(6):849-55, 1992] 참조. 또한, 경구 투여될 경우, 젬시타빈은 167, 333, 또는 500 mg/kg의 단일 경구 (위관영양) 젬시타빈 투여량이 제공된 마우스에서 전체 길이의 장관에 걸쳐 보통 내지 현저한 점막 상피의 손실 (위축성 장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량 제한 장 병변 유발에 관련된다. 문헌 [Horton ND et.al., "Toxicity of single-dose oral gemcitabine in mic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Poster Presentation, Orlando, FL, March 27-31, 2004] 참조. 이전의 마우스 연구에서의 정맥내 투여를 통해 필적하게 노출시킨 경우에는 치사나 위장관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젬시타빈의 전구약물 및 서방성 제형의 제조 방법은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구약물 및 서방성 제형의 예는 문헌 [WO 04/0412303 "Gemcitabine Prodrug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Gallop et. al.; WO 98/32762 "Gemcitabine derivatives," Myhren, Finn, et al.; WO 02/09768 "Therapeutic polyesters and polyamids," Uhrich, Kathryn E.; WO 02/76476 "Prodrugs of anticancer agents based on substituted aromatic acids," Greenwald, Richard B., et al.; WO 02/65988, "Terminally- branched polymeric linkers and polymeric conjugates as prodrug," Choe, Yun Hwang, et al.]에서 찾 아볼 수 있다.
젬시타빈 아미드 유도체는 젬시타빈의 합성에서 유용한 중간체로서 당업계에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톤(Britton) 등의 미국 특허 제5,420,266호 및 그린데이 (Grindey) 등의 미국 특허 제5,464,826호 참조), 또한 젬시타빈의 투여를 위한 전구약물 잔기로서 유용한 것으로 당업계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갈롭 (Gallop) 등의 WO 04/041203).
경구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상당한 분해 없이 완전한 상태로 장관을 통과하며, 젬시타빈을 허용가능한 안전성 및 효능으로 병소 영역으로 전달하는 젬시타빈의 전구약물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더 나아가, 제약 제형과 제조에 적합한 이러한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에 대한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실질적으로 완전한 상태로 장세포를 통과하고, 간에서 우세한 젬시타빈 대사산물인 데옥시디플루오로우리딘 (dFdU)의 상당한 축적 없이 젬시타빈으로 가수분해되며, 경구 젬시타빈보다 독성이 적고, 경구 투여시 적절한 효능 및 안정성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젬시타빈의 신규한 아미드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를 발견하였다.
발명의 간단한 요약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리보푸라노실)-4-(2- 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수성 신생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서 감수성 신생물의 치료를 위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수성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서 감수성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수성 신생물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의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 (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수성 신생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서 감수성 신생물의 치료를 위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수성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서 감수성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수성 신생물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의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제시된 의미를 갖는다.
용어 "포유동물"은 피부 상에 모발로 덮여 있고 암컷에서는 젖먹이에게 영양을 주기 위한 모유-생산 유선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 강의 임의의 다양한 온혈 척추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제형 특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제약상 허용되는 제형 담체, 용액 또는 첨가제를 지칭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데, 제형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어야 하고 수용자에게 유해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1995]을 참조한다.
용어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원하는 결정 형태를 약 90% 초과로 및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결정 형태를 약 95% 초과로 포함하는 화합물의 순수한 결정 형태를 지칭한다.
용어 "감수성 신생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구 투여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포유동물에서의 조직의 비정상적 성장을 지칭한다. 이러한 전구약물은 젬시타빈으로 가수분해될 것이므로, 상기 전구약물을 투여하면 고형 및 비고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양 유형들에 대해 광범위한 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수성 신생물은 T-세포 림프종, 연조직 육종, 췌장암, 유방암,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비-소세포 폐암, 난소암 및 방광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이러스의 감염, 특히 HCV의 치료에 유용하다.
용어 "치료 유효량"은 조직, 계 또는 포유동물에서 원하는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야기하는 화합물/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며, 이는 연구자, 진찰의 또는 임상학자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젬시타빈은 3개의 유도체화 가능한 관능기, 즉 3' 및 5' 히드록실기 및 N4-아미노기를 함유한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딘-2-온은 적합한 보호기를 사용하여 3' 및 5' 히드록실 관능기를 차단한 후, N4-아미노기를 아실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인 보호기는 익히 공지되어 있으며 당분야의 문헌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Theodora Greene, Peter Wuts (Wiley-Interscience) 1999]에서 인지되어 있다. N4-아미노기의 아실화는 산 클로라이드 또는 무수물과 반응시키거나 커플링제, 예컨대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 또는 유기 화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다른 유사한 시약들의 존재하에 카르복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보호기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노-, 디- 및 트리-부가물의 혼합물이 형성될 것이며 원하는 생성물은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기 절차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결정질 물질의 합성을 추가로 설명한다. 모든 출발 물질과 시약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인정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거나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젬시타빈 (2',2'-디플루오로-2'-데옥시시티딘)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08,614호에 개시되어 있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제조
Figure 112009003891453-pct00001
2',2'-디플루오로-2-'-데옥시시티딘 (10.0 g, 38.0 mmol)을 무수 피리딘 (100 mL)에 용해시키고 질소하에 교반하면서 0℃로 냉각시켰다. 클로로트리메틸실란 (24.0 mL, 190.0 mmol)을 적가하고, 내부 온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0℃에서 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별도의 플라스크에서, 2-프로필펜탄산 (6.0 g, 41.8 mmol)을 무수 아세토니트릴 (100 mL)에 용해시켰다. 1,1-카보닐디이미다졸 (6.8 g, 41.8 mmol)을 30분에 걸쳐 소량씩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피리딘 용액에 0℃에서 적가하고 반응물을 주위 온도가 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45℃에서 가열한 후, 30 내지 35℃로 냉각시키고 무수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고 45℃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물 50 mL를 첨가하고 45℃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인산으로 약 2의 pH로 산성화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추가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수성층을 역추출하였다. 유기 용액을 합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30% → 60% 에틸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하면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20 g). 목적 생성물을 백색의 분쇄가능한 발포체로서 단리하였다 (11.2 g, 77% 수율).
Figure 112009003891453-pct00002
pH 화학적 안정성 분석
pH 화학적 안정성을 반-자동화 HPLC 기술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시료를 위장관 전체의 pH 범위 (pH 1 내지 pH 8)를 나타내는 5개의 완충액 중에서 100 mcg/mL로 제조하였다. 시료를 40℃로 항온처리된 HPLC 오토샘플러로 로딩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젬시타빈으로부터 분리하는 HPLC 칼럼을 이용하여 시료를 24시간 이하 동안 1시간 간격으로 HPLC 상에 반복하여 주입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피크 면적을 시간에 따른 UV 검출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초기 피크 면적과 비교하여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25% 미만이 4시간 후에 1 내지 8의 pH 범위에서 젬시타빈으로 분해되었다.
약동학적 분석
마우스 약동학
젬시타빈 및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대략 10 mg/kg의 젬시타빈을 함유하도록 선택된 투여량을 수컷 CD-1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이후 평가하였다. 지정된 동물 (n = 3/시간 포인트/화합물)을 투여 후 0.08, 0.25, 0.5, 1, 2 및 6시간에 희생시키고, 체혈 시료를 젬시타빈의 추가 대사를 억제하기 위해 테트라히드로우리딘 (혈중 최종 농도 0.5 mM)을 함유하는 EDTA-처리 시험관으로 수집하였다. 추가로 3마리의 동물을 간문맥 혈액을 수집하기 위해 0.08시간에 희생시켰다. 혈장을 원심분리하여 단리하고 분석하기 전에 동결시켰다. 젬시타빈 및 전구약물의 혈장 농도를 LC/MS/MS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윈논린(WinNonlin) 소프트웨어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 소재의 파르사이트 코포레이션(Pharsight Corp.))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각 전구약물의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유사한 연구 디자인에서 경구 젬시타빈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투여로부터 결정된 파라미터와 비교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은, CD-1 마우스에 경구 투여되었을 때 생체내에서 광범위하게 가수분해되어 젬시타빈을 방출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을 투여하였을 때, CD-1 마우스에서 젬시타빈에의 혈장 노출이 젬시타빈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직접 경구 투여한 경우에 비해 증가하였다. 온전한 전구약물의 흡수는 경구 투여 후 0.08시간에 간문맥 혈장 중에서의 비교적 고농도에 의해 확인되었다.
원숭이 약동학 분석
젬시타빈 및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시노몰구스(cynomolgus) 원숭이에서 교차 디자인으로 경구 및 정맥내 투여 이후 평가하였다. 화합물을 대략 10 mg/kg의 젬시타빈을 함유하도록 선택된 투여량으로 투여하였다. 혈액 시료를 48시간 이하 동안 소정의 간격으로 테트라히드로우리딘 (혈중 최종 농도 0.5 mM)을 함유하는 EDTA-처리 시험관으로 수집하였다. 동물들을 경구 투여 기간에 라니티딘 (정맥내, 5 mg/kg)으로 예비처치하였다. 혈장을 원심분리하여 단리하고 분석하기 전에 동결시켰다. 젬시타빈 및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혈장 농도를 LC/MS/MS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윈논린 소프트웨어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 소재의 파르사이트 코포레이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은, 시노몰구스 원숭이에 정맥내 투여되었을 때 생체내에서 광범위하게 가수분해되어 젬시타빈을 방출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을 투여하였을 때,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젬시타빈에의 경구 노출이 젬시타빈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직접 경구 투여한 경우에 비해 대략 5배 증가하였다.
가수분해 분석
소장 균질화물 분석
장에서의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효소적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소장 상피세포의 조질 균질화물을 CD-1 마우스, 비글(beagle) 개, 시노몰구스 원숭이 및 인간의 상부 소장의 절편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마우스 및 개의 균질화물은 새로 수집한 조직으로부터 제조한 반면, 원숭이 및 인간의 균질화물은 미리 동결되어 있던 조직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세포를 소장 단편으로부터 부드럽게 긁어내어, 모으고, 폴리트론(Polytron)(PT-10-85)을 사용하여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액 중에서 균질화시켰다. 단백질 농도를 표준 분광광도학적 기술에 의해 측정하였다. 제조된 균질화물을 사용하기 전에 -70℃에서 저장하였다.
소장 균질화물 (SIH)에서의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가수분해 속도를, pH 7.5의 아세테이트 중에서 SIH (2.5 내지 5 mg/mL의 총 단백질)를 화학식 I의 화합물 (100 μM)과 함께 6시간 이하 동안 항온처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반응을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켄칭시킨 후에, 가수분해를 통해 방출된 젬시타빈의 농도를 LC/MS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가수분해 속도를 스크리닝 실험에서 30분째에, 또한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특성화 연구들에서 가수분해 대 시간 곡선의 직선 부분의 기울기로부터 계산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은 소장 균질화물 분석법에서 저속 가수분해를 나타냈다. 가수분해는 원숭이 및 인간 균질화물에서 가장 느렸는데, 총 화합물의 3% 미만이 6시간 항온처리시에 젬시타빈으로 전환되었다.
간 S9 가수분해 분석
간 효소에 의한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가수분해를 간 가수분해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간 균질화물을 CD-1 마우스, 비글 개, 시노몰구스 원숭이 및 인간의 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간 조직을 가위를 사용하여 작은 조각들로 자른 후, 1분간 폴리트론(PT-10-85)을 사용하여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액 중에서 균질화시켰다. 포스트(post)-미토콘드리아(S9) 분획물을 각각 10분간 9,000 x g로 4℃에서 초원심분리하여 제조하였다. 마우스, 개 및 원숭이의 간 S9 분획물은 새로 수집한 조직으로부터 제조한 반면, 인간의 간 S9는 미리 동결되어 있던 조직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상청액을 수집하고, 단백질 농도를 표준 분광광도학적 기술에 의해 측정하였다. 제조된 S9 분획물을 사용하기 전에 -70℃에서 저장하였다.
간 S9에서의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가수분해 속도를 pH 8.0의 인산염 완충된 식염수 중에서 S9 (2 mg/mL의 총 단백질)를 화합물 (10 μM)과 함께 6시간 이하 동안 항온처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반응을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켄칭시킨 후에, 가수분해를 통해 방출된 젬시타빈의 농도를 LC/MS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가수분해 속도를 스크리닝 실험에서 30분째에, 또한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특성화 연구들에서 가수분해 대 시간 곡선의 직선 부분의 기울기로부터 계산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은 상기 모든 종의 간 S9에서 가수분해되었다. 가수분해는 원숭이 및 인간 균질화물에서 가장 빨랐는데, 총 화합물의 대략 35%가 6시간 항온처리시에 젬시타빈으로 전환되었다.
독성학 분석
4일 마우스 스크린
4일간 암컷 CD-a 마우스에 매일 투여할 경우에 경구 투여된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에 의해 발생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위장내의 독성 프로파일을, 젬시타빈을 4일 마우스 연구에서 8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을 때의 위장내의 독성에 대한 기존 결과와 비교하였다.
5 내지 8주령의 암컷 CD-1 마우스에 경구 위관영양법에 의해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을 투여하였다. 투여량 수준은 8 mg/kg의 젬시타빈의 몰당량에 근접하도록 선택하였다. 10 mL/kg의 투여량 부피를 사용하였고 투여량을 4일 연속해서 1일 1회 투여하였다. 4회째 투여 이후 대략 5 내지 8시간에 해부하였다.
임상 징후, 임상 화학, 육안의 병리학적 증상 및 제한된 조직병리학적 증상 (회장, 공장 및 간)을 평가하였다. 젬시타빈 HCl의 경우에 비해, 동등한 투여량의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을 마우스에 투여한 후에 관찰되는 위축성 장 변화 또는 장병증의 중증도는 상당히 감소하였다.
14일 마우스 연구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이 14일의 경구 위관영양 투여 이후 마우스에서 부작용을 나타내는지를 평가하고, 또한 1회 또는 14회 투여 후에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및 그의 대사산물인 젬시타빈 HCl 및 데옥시디플루오로우리딘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14일 마우스 연구를 수행하였다.
9 내지 12주령의 수컷 및 암컷 CD-1 마우스에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약물을 경구 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하였다. 최대 관용 투여량 및 투여량 제한 독성을 측정하기 위한 노력으로 소정 범위의 투여량을 선택하였다. 10 mL/kg의 투여량 부피를 사용하였고 1일 1회 투여하였다.
임상 징후, 체중, 먹이 소비, 혈액학, 임상 화학,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과 대사산물인 젬시타빈 HCl 및 데옥시디플루오로우리딘의 혈장 농도 및 병리학적 증상 (육안의 병리학적 증상, 기관 중량 및 조직 병리학적 증상을 포함함)을 평가하였다.
몰 당량에 기초하여,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은 젬시타빈 HCl에 비해 대략 2배의 전신 노출을 초래하였지만, 젬시타빈 HCl에 비해 더 낮은 장병증과 관련되었다.
7일 개 연구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을 7일간 비글 개에 투여하였을 때의 독성 프로파일을 평가하고, 또한 1회 또는 7회 투여 후에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및 대사산물인 젬시타빈 HCl 및 데옥시디플루오로우리딘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7일 개 연구를 수행하였다.
6개월 내지 48개월령의 수컷 및 암컷 비글 개에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을 캡슐로 경구 투여하였다. 최대 관용 투여량 및 투여량 제한 독성을 측정하기 위한 노력으로 소정 범위의 투여량을 선택하였다. 1 mL/kg의 투여량 부피를 사용하였고 1일 1회 투여하였다.
임상 징후, 체중, 먹이 소비, 체온, 혈액학 (응고 포함), 임상 화학, 소변검사,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과 그의 대사산물인 젬시타빈 HCl 및 데옥시디플루오로우리딘의 혈장 농도 및 병리학적 증상 (육안의 병리학적 증상, 기관 중량 및 조직 병리학적 증상을 포함함)을 평가하였다. 조직 병리학적 증상 및 GI 독성을 비롯한 다른 독성들은 비경구 젬시타빈에 대해서 이전에 개시되었던 것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들 독성 중 어느 것도 경구 투여 경로에 대해 고유한 것이 아니었다.
생체내 분석법
HCT-116 결장 종양 세포를 시험관내에서 표준 조직 배양 조건하에 성장시키고, 수확하고, 세척하였으며, 5 x 106개 세포 (마트리겔(Matrigel) 중의 1:1 현탁액, 콜라보레이티브 바이오메디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Collaborative Biomedical Products, Inc.))를 암컷 누드 마우스 (찰스 리버(Charles River), CD1 nu/nu, 24-27 g, 이식 24시간 이내에 450 라드로 조사함)의 후방 옆구리에 피하 주사하였다. 종양을 치료 개시전에 약 100 ㎣으로 성장시켰다. 다양한 투여량 수준의 비히클 대조군,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또는 젬시타빈 HCl을 개개 실험에서 표시된 시간에 경구 투여 (10 ml/kg 부피)에 의해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화합물을 14일간 매일, 총 7회 투여동안 2일 1회, 또는 총 4회 투여동안 3일 1회 투여하였다. 매일의 투여 스케쥴의 경우에는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을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6.0) 중에 제형화하였고, 2일 1회 및 3일 1회 투여 스케쥴의 경우에는 1%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5%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0.05% 안티포움(Antifoam) 150 및 0.085% 포비돈 중에 제형화하였다. 젬시타빈-HCl을 경구 투여를 위해 생리식염수 중에 제조하였다. 종양 크기는 칼리퍼 측정법에 의해 측정하고, 종양 부피 (㎣)는 수학식 l x w 2 x 0.536으로부터 추정하였다 (이때, l은 수직 직경의 가장 긴 거리이고, w는 가장 짧은 거리이다). 모든 데이타 (종양 측정치 및 동물 체중)는 치료 개시로부터 매주 2회 수집하였으며 컴퓨터 기반 종양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을 이용하여 관찰된 항종양 효능은 동일한 투여량의 젬시타빈-HCl로 얻어진 것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으로 치료한 경우에 동일한 양의 젬시타빈-HCl을 투여받은 동물에 비해 전체 독성이 더 낮았다.
실시예 1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400 mg, 1.03 mmol)을 실온에서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에 용해시켰다. 파라-톨루엔술폰산 모노히드레이트 (195 mg, 1.03 mmol)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완전히 용해된 후에, 백색 고체의 침전이 즉각적으로 일어났다. 슬러리를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 여과에 의해 고체 생성물을 여과하고, 메탄올 (1 mL)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92 mg, 68%)을 제공하였다.
X-선 분말 회절
40 kV 및 50 mA에서 작동하는 CuKα 방사선원 (λ = 1.54056 Å)이 장착된 D4 인데버(Endeaver) 회절계로 X선 분말 회절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시료를 0.009°(2θ)의 단계별 크기 및 ≥3초/단계의 스캔 속도로 3°부터 40°(2θ)까지 스캐닝하였다. 시료 변위 에러는 NIST 표준 SRM675 (8.85°(2θ)에서 표준 피크)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결정 형태의 확인은, 보통은 보다 우세한 피크인 특징적 피크 (°2θ의 단위)의 특이한 조합을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는 4.86°의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거나, 또는 4.86, 9.76 및 16.86°의 2θ 값에서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모든 회절 각도는 0.1°의 허용 오차로 표시된다.
Figure 112009003891453-pct00003
고체상 13 C NMR 분광법
70 kHz 2-펄스 위상 변조 양성자 짝풀림, 62 kHz 경사-진폭 교차 편파 및 10.0 kHz 마술 각도 스피닝(MAS)을 이용하며, 100.578 MHz의 탄소 진동수에서 작동하는 바리안 유니티 이노바(Varian Unity Inova) 400 MHz 분광계로 고체상 13C NMR 분광 (SSNMR)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획득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90 양성자 r.f. 펄스폭 4.0 s, 접촉 시간 5.0 ms, 펄스 반복 주기 20 s, 스펙트럼폭 50 kHz, 및 획득 시간 50 ms. ppm으로 표시되는 화학 이동은 시료 교체시의 헥사메틸벤젠의 메틸기에 대한 것이다 (= 17.3 ppm). 마술 각도는 프라이어(Frye)와 마시엘(Maciel) (문헌 [Frye J. S. and Maciel G. E., J. Magn. Reson., 1982, 48, 125])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KBr의 79Br 신호의 측대역을 최적화함으로써 조정된다.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는 13C SSNMR 분광법에 의해 다음 화학 이동으로의 등방성 13C 피크의 존재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15.7, 20.9, 22.3, 35.3, 38.1, 48.9, 57.4, 67.5, 82.5, 85.8, 98.7, 121.0, 140.6, 143.5, 146.4, 152.5, 159.6 및 182.2 ppm. 따라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는 152.5, 159.6 및 182.2 ppm에서의 특징적 화학 이동을 갖는 SSNMR 스펙트럼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모든 화학 이동은 ± 0.1 ppm의 정확성으로 표시된다.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 산은 경구로 이용가능하며 통상적으로 경구 투여되고, 그러한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2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
메탄올 (1 mL) 중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109 mg, 0.28 mmol) 및 벤젠술폰산 (22 mg, 0.14 mmol)의 용액에 헥산 (6 m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용액을 건고상태로 증발시켰다. 그 후에, 잔류물을 헥산 (2 mL)에 현탁시키고 교반하였다. 고체 생성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수율 = 91 mg (68%).
X-선 분말 회절
40 kV 및 50 mA에서 작동하는 CuKα 방사선원 (λ = 1.54056 Å)이 장착된 D4 인데버 회절계로 X선 분말 회절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시료를 0.009°(2θ)의 단계별 크기 및 ≥3초/단계의 스캔 속도로 3°부터 40°(2θ)까지 스캐닝하였다. 시료 변위 에러는 NIST 표준 SRM675 (8.85°(2θ)에서 표준 피크)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X선 회절 패턴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는 5.22°의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거나, 또는 5.22 및 7.33°의 2θ 값에서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모든 회절 각도는 0.1°의 허용 오차로 표시된다.
Figure 112009003891453-pct00004
고체상 13 C NMR 분광법
70 kHz 2-펄스 위상 변조 양성자 짝풀림, 62 kHz 경사-진폭 교차 편파 및 10.0 kHz 마술 각도 스피닝(MAS)을 이용하며, 100.578 MHz의 탄소 진동수에서 작동하는 바리안 유니티 이노바 400 MHz 분광계로 고체상 13C NMR 분광 (SSNMR)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획득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90 양성자 r.f. 펄스폭 4.0 s, 접촉 시간 5.0 ms, 펄스 반복 주기 20 s, 스펙트럼폭 50 kHz, 및 획득 시간 50 ms. ppm으로 표시되는 화학 이동은 시료 교체시의 헥사메틸벤젠의 메틸기에 대한 것이다 (= 17.3 ppm). 마술 각도는 프라이어와 마시엘 (문헌 [Frye J. S. and Maciel G. E., J. Magn. Reson., 1982, 48, 125])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KBr의 79Br 신호의 측대역을 최적화함으로써 조정된다.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는 다음 화학 이동으로의 등방성 13C SSNMR 피크의 존재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14.4, 15.4, 21.8, 34.9, 36.3, 47.1, 49.1, 58.0, 68.3, 82.7, 97.6, 99.9, 121.1, 126.1, 127.9, 130.5, 144.3, 147.5, 149.7, 156.9, 163.3, 176.9 및 177.8 ppm. 따라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는 156.9, 163.3, 176.9 및 177.8 ppm에서의 특징적 화학 이동을 갖는 SSNMR 스펙트럼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모든 화학 이동은 ± 0.1 ppm의 정확성으로 표시된다.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는 경구로 이용가능하며 통상적으로 경구 투여되고, 그러한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제형 및 투여
제약 조성물은 제약 분야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제조된다. 담체 또는 부형제는 활성 성분에 대한 비히클 또는 매질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는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제약 조성물은 경구, 흡입, 비경구, 국소 용도에 대해 적합하게 적합화될 수 있고, 환자에게 정제, 캡슐제, 에어로졸, 흡입제, 좌제, 용액제, 현탁액제 등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로, 예를 들어, 비활성의 희석제 또는 캡슐과 함께, 또는 압축된 정제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치료 투여를 위해, 상기 화합물은 부형제와 혼입되어, 정제, 트로키, 캡슐제, 엘릭시르, 현탁액제, 시럽, 웨이퍼, 츄잉검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1% 이상 함유하지만, 특정 형태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편의상 단위 중량의 1 중량% 내지 약 90 중량% 사이가 될 수 있다. 조성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양은 적합한 투여량이 수득되도록 하는 양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 및 제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정제, 환제, 캡슐제, 트로키 등은 또한 하나 이상의 하기 보조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포비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전분, 락토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인산이칼슘과 같은 부형제 또는 희석제, 크로스카르멜로스, 크로스포비돈,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활석 또는 수소화 식물성 오일과 같은 윤활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와 같은 활택제;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80과 같은 습윤제; 및 수크로스, 아스파탐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첨가될 수 있음), 또는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오렌지 착향제와 같은 착향제. 투약 단위 형태가 캡슐제인 경우, 이는 상기 유형의 물질에 추가하여,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지방 오일과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투여 단위 형태는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개질시키는 기타 다양한 물질을, 예를 들어 코팅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형태는 장용 코팅된다. 따라서, 정제 또는 환제는 당,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다른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시럽은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 감미제로서의 수크로스, 특정 보존제, 염료, 착색제 및 착향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들은 제약상 순수하고 사용되는 양에서 비독성이어야 한다.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 및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투여량 범위에 걸쳐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단일 또는 분할 투여량에서 1일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약 15 mg/일 내지 약 200 mg/일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5 mg/일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일부 경우에서는 상기 범위의 하한치 미만의 투여량 수준이 적합한 수준보다 더 많을 수 있는 한편, 다른 경우에서는 임의의 해로운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더 많은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 범위는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제로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은, 치료할 증상, 선택된 투여 경로, 투여되는 실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 개개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 및 환자 증상의 중증도를 비롯한 관련 환경에 비추어 진찰의에 의해 결정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3)

  1.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 또는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인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모노-p-톨루엔술포네이트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90% 초과의 순도를 갖는 화합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a. X-선 스펙트럼에서 4.86°± 0.1의 2θ 회절 각도에서의 피크; 또는
    b. 고체상 13C NMR에서 152.5 ± 0.1, 159.6 ± 0.1 및 182.2 ± 0.1 ppm의 화학 이동에서의 피크들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파라-톨루엔술폰산 모노히드레이트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중의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의 용액에 첨가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
  6.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장용 코팅된 제약 조성물.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암이 T-세포 림프종, 연조직 육종, 췌장암, 유방암,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비-소세포 폐암, 난소암 및 방광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결정질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헤미-벤젠술포네이트 헤미히드레이트인 화합물.
  14. 제13항에 있어서, 90% 초과의 순도를 갖는 화합물.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a. X-선 스펙트럼에서 5.22°± 0.1 및 7.33°± 0.1의 2θ 회절 각도에서의 피크들; 또는
    b. 고체상 13C NMR에서 156.9 ± 0.1, 163.3 ± 0.1, 176.9 ± 0.1 및 177.8 ± 0.1 ppm에서의 피크들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헥산을 메탄올 중의 1-(2,2-디플루오로-2-데옥시-β-D-리보푸라노실)-4-(2-프로필-1-옥소펜틸)아미노피리미딘-2-온 및 벤젠술폰산의 용액에 첨가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장용 코팅된 제약 조성물.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암이 T-세포 림프종, 연조직 육종, 췌장암, 유방암,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비-소세포 폐암, 난소암 및 방광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7001286A 2006-06-21 2007-06-20 젬시타빈 아미드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 그의 조성물 및 용도 KR101108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550806P 2006-06-21 2006-06-21
US81540706P 2006-06-21 2006-06-21
US60/815,508 2006-06-21
US60/815,407 2006-06-21
PCT/US2007/071613 WO2007149891A2 (en) 2006-06-21 2007-06-20 Crystalline forms of gemcitabine amide prodrug,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447A KR20090033447A (ko) 2009-04-03
KR101108407B1 true KR101108407B1 (ko) 2012-01-30

Family

ID=3867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286A KR101108407B1 (ko) 2006-06-21 2007-06-20 젬시타빈 아미드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 그의 조성물 및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114854B2 (ko)
EP (1) EP2043653B1 (ko)
JP (1) JP5225271B2 (ko)
KR (1) KR101108407B1 (ko)
CN (1) CN101448504B (ko)
AU (1) AU2007261002B2 (ko)
CA (1) CA2652633C (ko)
EA (1) EA014909B1 (ko)
ES (1) ES2446092T3 (ko)
MX (1) MX2009000198A (ko)
WO (1) WO20071498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178A (ko) * 2008-05-16 2011-03-09 파르마 마르 에스.에이. Pm00104 및 다른 항종양제를 이용한 복합 치료법
CN102216314A (zh) * 2008-06-12 2011-10-12 台湾神隆股份有限公司 吉西他滨碱的结晶多晶型物
CN101525361B (zh) * 2009-04-21 2010-11-17 济南圣鲁金药物技术开发有限公司 基于吉西他滨结构的前药及其合成方法及应用
CN102432654A (zh) * 2011-09-26 2012-05-02 宋云龙 吉西他滨酰胺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50082606A (ko) 2012-11-13 2015-07-15 보옌 테라퓨틱스, 인크. 겜시타빈 전구약물 및 그의 용도
RU2681939C2 (ru) 2013-10-29 2019-03-14 Оцука Фармасьютикал Ко., Лтд. Путь синтезирования 2'-дезокси-2'2'-дифтортетрагидроуридинов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1203A2 (en) * 2002-11-04 2004-05-21 Xenoport, Inc. Gemcitabine prodrug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2115B2 (ja) * 1997-01-24 2009-10-28 クラヴィス・ファルマ・アーエスアー ゲムシタビン誘導体
EP1831237B1 (en) 2004-12-17 2008-08-20 Eli Lilly And Company Amide prodrug of gemcitabin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1203A2 (en) * 2002-11-04 2004-05-21 Xenoport, Inc. Gemcitabine prodrug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46092T3 (es) 2014-03-06
AU2007261002A1 (en) 2007-12-27
CA2652633C (en) 2014-03-25
CA2652633A1 (en) 2007-12-27
CN101448504B (zh) 2012-04-11
US20090203640A1 (en) 2009-08-13
JP5225271B2 (ja) 2013-07-03
EA200970042A1 (ru) 2009-04-28
EP2043653B1 (en) 2013-12-25
EA014909B1 (ru) 2011-02-28
MX2009000198A (es) 2009-01-22
WO2007149891A2 (en) 2007-12-27
CN101448504A (zh) 2009-06-03
JP2009541344A (ja) 2009-11-26
WO2007149891A3 (en) 2008-02-14
AU2007261002B2 (en) 2012-03-08
US8114854B2 (en) 2012-02-14
KR20090033447A (ko) 2009-04-03
EP2043653A2 (en)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052B1 (ko) 젬시타빈의 아미드 전구약, 그의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108407B1 (ko) 젬시타빈 아미드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 그의 조성물 및 용도
EA019559B1 (ru) Антивирусное соединение, в частности ингибирующее вич,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с его помощью
EP2924042A1 (en) Bis- -carbolin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068259B1 (ko) 헤테로사이클기에 고리-축합된 신규 베툴린산 유도체
EP3470403B1 (en) Taxoid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BRPI0713615A2 (pt) Formas cristalinas de pró-fármacos de amida de gemcitabina, composições de uso das mesmas
JP5476650B2 (ja) 新規dif−1誘導体
CN105037490A (zh) 一类乙二醛酶i不可逆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30050504A (ko) 신규5'-데옥시-n-알킬옥시카르보닐-5-플루오로사이토신-5'-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항암제
KR20040008410A (ko) 신규5'-데옥시-n-알킬옥시카르보닐-5-플루오로사이토신-5'-티오에스터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항암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