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157B1 - 요리용기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요리용기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157B1
KR101107157B1 KR1020040002541A KR20040002541A KR101107157B1 KR 101107157 B1 KR101107157 B1 KR 101107157B1 KR 1020040002541 A KR1020040002541 A KR 1020040002541A KR 20040002541 A KR20040002541 A KR 20040002541A KR 101107157 B1 KR101107157 B1 KR 10110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ing vessel
longitudinal cavity
axis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177A (ko
Inventor
무나리마르코
Original Assignee
라 떠모플라스띠끄 에프.비.엠. 에세.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 떠모플라스띠끄 에프.비.엠. 에세.알.엘. filed Critical 라 떠모플라스띠끄 에프.비.엠. 에세.알.엘.
Publication of KR2004006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29C45/2614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for manufacturing bent tubular articles using an undercut forming moul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리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요리용기 손잡이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1 단부(2a)에 요리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를 가지는 하나의 덩어리로 된 기다란 몸체(2)를 가지며, 상기 몸체(2)는 적어도 사용시에 쥐게 되는 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길이방향 공동(空洞)(5)을 그 내부에 가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요리용기 손잡이에 의하면, 요리용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최소화되고,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를 쥐고 다루기가 쉬워진다.
손잡이, 조리용기, 프라이팬

Description

요리용기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COOKING VESSEL GRIP AND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리용기 손잡이의 종단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손잡이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손잡이를 생산하기 위한 주형의 간소화된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요리용기 손잡이, 특히 프라이팬(frying-pan)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프라이팬이나 스튜 냄비(saucepan)와 같은 음식 요리용 용기는 요리 중 내지는 하여튼 용기가 여전히 뜨거울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만질 수 있는 손잡이를 보통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단열(斷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부분의 손잡이들은 금속보다는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 특히 베이클라이트(Bakelite)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resin)로 만들어진다.
프라이팬(즉, 일반적으로 둥글고, 측면이 낮게 되어 있으며, 플레어(flare) 형상인, 손잡이 하나 달린 요리용기)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종류의 손잡이는 프라이팬에 결합하기 위한 부속품을 일 단부에 구비한 일반적으로 기다란 형상의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중합체 재료로부터 하나의 덩어리로 성형되며, 혹시 있다면, 장식용 삽입물 또는 나사나 리벳과 같이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자그마한 장착대(seat)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속이 차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손잡이의 단점은 바로 속이 차 있다는 점에 있다. 즉, 요리가 오래 걸리거나, 또는 손잡이가 외부로 드러난 불꽃 부근에 놓이도록 용기가 조리용 레인지(range) 위에 위치된다면, 단열 재료로 만들어진 손잡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히기에 충분한 고온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일이 일어날 때에는, 손잡이 과열의 원인이 일단 제거된 후에 손잡이가 빨리 냉각되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하지만, 속이 찬 플라스틱제 손잡이는 그 두께와 낮은 열전도율 때문에 매우 느리게 냉각되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위험이 더 오래 지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없애도록 설계된 요리용기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1 단부에 요리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하나의 덩어리로 된 기다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는 적어도 사용시에 쥐게 되는 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길이방향 공동(空洞)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가 제공된다.
달리 말하면, 길이방향 공동 덕분에, 사용자가 쥐는 부분에 걸쳐 한 덩어리 몸체의 두께가 감소되어, 손잡이가 과열되는 경우에 소량의 열만이 저장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쥐는 부분에 걸쳐서 냉각이 훨씬 빠르며, 따라서 우발적인 화상의 위험을 사실상 제거하게 된다. 더욱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양이 감소되므로, 손잡이의 기계적 강성 및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고도 손잡이의 중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방향 공동은 상기 몸체의 사실상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길이방향 공동은 상기 제1 단부 반대쪽에 있는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에서도 또한 개방된다.
따라서 길이방향 공동 내부의 공기의 순환 및 교환이 향상되어, 손잡이 내부에 축적되는 열을 대류에 의해 소산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더욱이, 한 덩어리 몸체의 노출되어 있는 유효 열교환 표면이 크게 증가된다. 즉, 손잡이가 강한 열원 부근에 위치되지 않아서 주위 공기가 대략 실온(室溫)에 있다면, 요리중 용기에 의해 전도(傳導)되는 열은 사용자에게 위험할 정도로 손잡이를 가열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여하튼, 손잡이의 냉각은 훨씬 빠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방향 공동은 굽어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 공동 내부의 공기 순환이 더욱 향상된다.
게다가,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으로 굽은 외형을 가진다. 이러한 외형은 인간공학적이고(ergonomic), 사용자로 하여금 쥐기 쉽게 하며, 손잡이를 다루기 쉽게 하고, 또한 보기에도 매우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와 동일한 형상의 성형부(molding seat)를 내부에 가지는 주형 내에서 플라스틱 재료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내부에 길이방향 공동을 구획하는 이동가능 부재를 상기 주형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성형단계 다음에 상기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몸체의 일 단부로부터 빼내어져 상기 길이방향 공동을 비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덩어리로 된 기다란 몸체를 가지는 유형의 요리용기 손잡이의 제조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요리용기 손잡이, 특히 프라이팬 손잡이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로써 지시되며,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기다란 한 덩어리 몸체(2)를 포함한다. 몸체(2)는 열경화성 중합체 재료, 특히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페놀-포름알데히드 성형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는 일 단부에서 폐쇄되고, 축(A)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굽은 외형을 가지는, 중공 관형 몸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축(A)은 몸체(2)의 굽은 대칭 중심축이다.
몸체(2)의 제1 단부(2a)는 알려진 프라이팬 또는 스튜 냄비와 같은 요리용기(간결함을 위해 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하기 위한 임의의 알려진 수단(3)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요리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는 몸체(2)의 제1 단부(2a)로부터 돌출되며, 요리용기에의 결합은 고정식일 수도 있고 착탈식일 수도 있다.
몸체(2)는 연결부(3)에 인접하게 그리고 축(A)을 따라서 연결부(3)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위치된, 사용시 사용자가 쥐게 되는 손잡이부(4)를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잡이부(4)는 대략 그 중앙 부분에서 옆방향 축소부(contraction)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2)의 길이방향 만곡(curvature)과 옆방향 축소부는 사용자가 손잡이(1)를 쉽게 쥐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몸체(2)는 적어도 사용시 사용자가 쥐게 되는 부분, 즉 손잡이부(4)에 걸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공동(5)을 내부에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길이방향 공동(5)은 완전히 손잡이부(4) 내부에 형성되며, 여기서 공기순환실을 구획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공동(5)은 몸체(2),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4)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단부(2a) 및 맞은 편의 제2 단부(2b) 사이에서 연장된다.
길이방향 공동(5)은 그 중심이 몸체(2) 내부의 굽은 축(A) 주위에 위치되고, 대략 몸체(2)의 길이방향 외형을 따라서 연장된다. 길이방향 공동(5)은 또한 길이방향으로 굽어 있고, 축(A)을 따라 연장되는데, 축(A)은 몸체(2)의 중앙수직평면상에 있고, 예컨대 원호의 형태이다.
길이방향 공동(5)은 막힌 공동으로서, 손잡이부(4)를 결합부(3)에 결합하는 단부 벽(5a)에 의해 몸체(2)의 제1 단부(2a)에서 폐쇄되고 몸체(2)의 제2 단부(2b)에서 개방됨으로써, 길이방향 공동(5) 내부의 공기의 순환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몸체(2)를 신속하게 냉각한다.
길이방향 공동(5)은 날카로운 모서리 없이 대체로 연속적인 몸체(2)의 내부 측면(6)에 의해 옆방향으로 구획되고, 몸체(2)의 제1 단부(2a)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제2 단부(2b)로부터 제1 단부(2a)까지 단면이 감소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공동(5)은 모서리가 둥근 대체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제1 단부(2a)를 향하여 모이는 두 쌍의 대향하는 내부 측면들(6a, 6b)에 의해 구획된다. 따라서 길이방향 공동(5)은, 서로에 대하여 및 축(A)에 대하여 수직이고 길이방향 공동(5)의 폭(L) 및 높이(H)를 각각 정의하는 두 방향에서, 제1 단부(2a) 쪽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 길이방향 공동(5)을 따라 각 지점에서 폭(L)과 높이(H)는 그 지점에서 축(A)에 수직으로 측정한 대향하는 내부 측면들(6a 또는 6b)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몸체(2)의 제2 단부(2b)는, 연속적인 주변 가장자리에 의해 구획되고 길이방향 공동(5)의 입구 단면을 형성하는 개구부(7)를 가진다. 개구부(7), 즉 길이방향 공동(5)의 입구 단면은 축(A)에 대하여 대체로 기울어져 있으며, 이로써 유입/유출공기 유동 표면을 증대시키고 따라서 공기 교환을 향상시킨다.
길이방향 공동(5)의 입구 단면이 축(A)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서, 몸체(2)는 대향하는 벽(8b)(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 벽) 너머로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는 벽(8a)(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벽)을 제2 단부(2b)에서 가지므로, 상부 벽(8a) 은 하부 벽(8b) 너머로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는 단부(8c)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부 벽(8a)은 축(A)에 수직인 방향으로 하부 벽(8b) 위에 포개지지 않는다.
슬롯(9)이 몸체(2)의 제2 단부(2b) 부근에서 단부(8c)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축(A)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부(7) 위에 포개지므로, 축(A)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슬롯(9)의 투영(projection)은 완전히 개구부(7) 안쪽에 놓여진다. 슬롯(9)은 한편으론 손잡이(1)를 지지대(미도시됨)에 걸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론 길이방향 공동(5) 내부의 공기의 순환 및 교환에 도움을 준다.
길이방향 공동(5)이 폐쇄되는 제1 단부(2a)에는, 관통구멍(70)이 몸체(2)의 벽(8b)에 형성되어, 길이방향 공동(5)으로부터 공기와 응축수 또는 세척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1)는 성형을 위하여 손잡이(1)와 동일한 형상의 내부에 성형부(molding seat)(11)를 가지는 주형(10)을 사용하여 생산된다. 따라서 도 1은 성형부(11)를 역상(逆相)으로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주형(10)은 두 개의 반주형(12,13)을 포함하며, 반주형들(12,13)은 짝을 이루어 성형부(11)를 형성하고, 또한 주형(10)을 열고 하나의 성형된 덩어리를 빼낼 수 있도록 떼어진다. 성형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공급도관(14)이 반주형(12,13) 사이 또는 반주형(12,13) 중 하나에 형성되며, 공급도관(14)은 성형부(11)에서 손잡이(1)의 결합부(3)가 형성되는 부분 안쪽으로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형(10)은, 손잡이(1)의 길이방향 공동(5)을 구획하고 따라서 상기 공동(5)과 동일한 형상인 제거가능 삽입물(15)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가능 부재를 내부에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물(15)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굽은 외형을 가지며, 위에서 정의한 굽은 축(A)을 따라 연장된다.
삽입물(15)은,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고 주형(10)에서 형성될 몸체(2)의 내부 측면(6)(도 1 및 도 2 참조)과 동일한 형상인 대체로 연속적인 작업 표면(16)에 의해 형성되며, 자유단부(15a)와, 길이방향으로 자유단부(15a)의 맞은 편에 있고, 주형(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받침대(carriage)(17)에 연결된 추출단부(15b)를 가진다. 삽입물(15)은 추출단부(15b)로부터 자유단부(15a) 쪽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져 단면이 감소하며,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및 축(A)에 대하여 수직인 두 방향에서, 자유단부(15a)를 향하여 점점 가늘어진다.
손잡이(1)는 주형(10) 내에서 수행되는 성형단계에서 형성된다.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중합체 재료, 특히 페놀-포름알데히드 성형수지(베이클라이트)가 주형(10)이 닫힌 상태에서 유체 상태로 공급도관(14)을 따라 성형부(11) 안으로 공급된다.
플라스틱 재료가 굳고 중합하게 되는 냉각 단계 후에, 주형(10)이 여전히 닫힌 상태에서, 삽입물(15)이 몸체(2)의 제2 단부(2b)로부터 빼내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대(17)가 곡선 궤적을 따라 주형(1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움직여지는데, 몸체(2)의 중앙수직평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축(A)을 따라서 움직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굽어 있고 자유단부(15a)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삽입물(15)은 몸체(2)의 내부 측면(6)과 간섭함이 없이 빼내어지고, 그러므로 길이방향 공동(5)을 비우게 된다.
그 후에 주형(10)을 열기 위해 반주형들(12,13)이 분리되고, 손잡이(1)가 도시되지 않은 알려진 추출기에 의해 주형(10)으로부터 빼내어진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상술한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에 변화를 가할 수 있음을 명백하다.
특히, 길이방향 공동(5)은 상술한 것과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방향 공동(5)을 구획하는 몸체(2)의 두 대향 내부 측면(6a 또는 6b)은 모아지게 하는 대신 평행하게 할 수도 있다.
축(A)은 원호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굽게 할 수도 있다.
축(A)에 수직인 길이방향 공동(5)의 단면들 또한 상술한 바와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지름이나, 단면의 축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2)의 제1 단부(2a) 쪽으로 갈수록 감소하게 한다. 어떤 경우이든, 길이방향 공동(5)은 제1 단부(2a)로부터 제2 단부(2b) 쪽으로 갈수록 항상 가늘어진다.
손잡이(1)의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삽입물(15)은 주형(10)이 열린 후, 즉 반주형들(12,13)을 떼어낸 후에 길이방향 공동(5)으로부터 빼내어질 수도 있다.
삽입물(15)은 도시된 것과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으나, 역시 추출단부(15b)로부터 자유단부(15a) 쪽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요리용기 손잡이에 의하면, 열의 축적은 최소화되는 한편 냉각이 촉진되어 요리용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의 외형이 굽은 형상이므로 사용자가 쥐고 다루기에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1 단부(2a)에 요리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3)을 가지는 하나의 덩어리로 된 연장된 몸체(2)를 포함하는 요리용기 손잡이로서,
    상기 몸체(2)는 적어도 사용시에 쥐게 되는 부분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제1 단부(2a) 반대쪽에 있는 상기 몸체(2)의 제2 단부(2b)에서 개방되는 길이방향 공동(空洞)(5)을 그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몸체(2)가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며, 상기 길이방향 공동(5)이 굽어 있고 상기 제1 단부(2a)를 향하여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공동(5)은 상기 몸체(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공동(5)은 축(A)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단부(2b)에 위치된 상기 길이방향 공동(5)의 유입 단면은 상기 축(A)에 대하여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는 길이방향으로 굽은 외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는, 상기 제1 단부(2a)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공동(5)과 통해 있는 관통구멍(7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열경화성 중합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는 중공 관형 몸체이고, 상기 길이방향 공동(5)은 상기 몸체(2)의 연속적인 내부 측면(6)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는 굽은 축(A)을 따라 연장되고, 요리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와, 상기 축(A) 방향으로 결합부에 인접하고 사용시 쥐게 되는 부분인 손잡이부(4)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 공동(5)은 상기 손잡이부(4) 안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공동(5)은 막힌 공동이며, 몸체(2)의 상기 제1 단부(2a)에서 폐쇄되고, 제1 단부(2a) 반대쪽에 있는 몸체(2)의 제2 단부(2b)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
  10. 요리용기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3)을 가지는 제1 단부(2a) 및 상기 제1 단부(2a) 반대쪽의 제2 단부(2b)를 구비하는 한 덩어리로 된 연장된 몸체(2)를 구비하는 유형의 요리용기 손잡이(1)의 제조방법으로서,
    손잡이(1)와 동일한 형상의 성형부(molding seat)(11) 및 상기 몸체(2) 내부에 길이방향 공동(5)을 구획하는 이동가능 부재(15)를 내부에 구비하는 주형(10) 내에서 플라스틱 재료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단계 다음에, 상기 길이방향 공동(5)을 비우기 위하여 상기 이동가능 부재(15)를 상기 몸체(2)의 일 단부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부재(15)는 굽고, 연장된 삽입물이며, 자유단부(15a)를 향하여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1)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부재(15)는 곡선 축(A)을 따라 빼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축(A)은 손잡이(1)의 중앙평면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기 손잡이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40002541A 2003-01-14 2004-01-14 요리용기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107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425012A EP1438917B1 (en) 2003-01-14 2003-01-14 Cooking vessel grip and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EP03425012.6 2003-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177A KR20040065177A (ko) 2004-07-21
KR101107157B1 true KR101107157B1 (ko) 2012-04-05

Family

ID=3252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541A KR101107157B1 (ko) 2003-01-14 2004-01-14 요리용기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204387B2 (ko)
EP (1) EP1438917B1 (ko)
KR (1) KR101107157B1 (ko)
CN (1) CN100506137C (ko)
AT (1) ATE320742T1 (ko)
BR (1) BRPI0400222B1 (ko)
CO (1) CO5540059A1 (ko)
DE (1) DE60304152T2 (ko)
EG (1) EG25043A (ko)
ES (1) ES2258710T3 (ko)
HK (1) HK1066454A1 (ko)
MX (1) MXPA04000416A (ko)
PL (1) PL203861B1 (ko)
PT (1) PT1438917E (ko)
RU (1) RU2334448C2 (ko)
SI (1) SI1438917T1 (ko)
TW (1) TWI3164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4893B2 (en) * 2006-03-28 2009-12-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okware handle with metal insert and overmold
US8857657B2 (en) 2010-06-29 2014-10-14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Cookware article with a hollow handle
US8844099B2 (en) 2012-10-12 2014-09-30 Sp Industries Holdings, Inc. Handle device
KR101533598B1 (ko) * 2013-12-05 2015-07-03 (주)삼미통상 안정성과 열효율이 향상된 이중조리용기
CN108943607B (zh) * 2018-06-13 2020-03-31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管状产品注射成型模具
FR3089107B1 (fr) * 2018-11-30 2020-10-30 Seb Sa Recipient de cuisson muni d’une poignee tubulaire amelioree
FR3089106B1 (fr) * 2018-11-30 2020-10-30 Seb Sa Recipient de cuisson muni d’une poignee tubulaire froide
EP4177011B1 (en) * 2021-11-05 2024-06-05 Fiskars Finland Oy Ab Ax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x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4022A1 (de) * 1979-08-13 1981-02-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stallationssystem
US4680829A (en) 1984-12-13 1987-07-21 Heinrich Baumgarten Kg Hollow sheet metal utensil handle fastening assembly
US4763557A (en) 1987-01-12 1988-08-16 Donohoe David G One-piece hollow drumstick and method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895A (en) * 1935-03-21 1935-10-29 Thomas G Lindsey Handle
US2931884A (en) * 1957-01-23 1960-04-05 Sunbeam Corp Controlled heat cooking vessel
EP0240225A3 (en) * 1986-04-04 1988-04-27 Kidde Consumer Durables Corp. Handle for saucepans and the like
ES2152915T3 (es) * 1999-05-10 2002-11-01 Termoplastic Fbm Srl Mango para un utensilio de cocinar.
GB2352672A (en) * 1999-07-30 2001-02-07 Meyer Manuf Co Ltd Handle for article of cookwa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4022A1 (de) * 1979-08-13 1981-02-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stallationssystem
US4680829A (en) 1984-12-13 1987-07-21 Heinrich Baumgarten Kg Hollow sheet metal utensil handle fastening assembly
US4763557A (en) 1987-01-12 1988-08-16 Donohoe David G One-piece hollow drumstick and method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6460B (en) 2009-11-01
PL364401A1 (en) 2004-07-26
RU2334448C2 (ru) 2008-09-27
EG25043A (en) 2011-07-13
PT1438917E (pt) 2006-06-30
US7204387B2 (en) 2007-04-17
CN1524478A (zh) 2004-09-01
KR20040065177A (ko) 2004-07-21
EP1438917A1 (en) 2004-07-21
CO5540059A1 (es) 2005-07-29
EP1438917B1 (en) 2006-03-22
BRPI0400222A (pt) 2004-12-28
MXPA04000416A (es) 2004-11-12
DE60304152T2 (de) 2006-12-21
TW200420408A (en) 2004-10-16
ES2258710T3 (es) 2006-09-01
PL203861B1 (pl) 2009-11-30
ATE320742T1 (de) 2006-04-15
CN100506137C (zh) 2009-07-01
RU2004101176A (ru) 2005-06-27
SI1438917T1 (sl) 2006-06-30
US20040163549A1 (en) 2004-08-26
HK1066454A1 (en) 2005-03-24
DE60304152D1 (de) 2006-05-11
BRPI0400222B1 (pt)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157B1 (ko) 요리용기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287287B1 (ko) 조리 기구 핸들
WO2008061092A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container
KR20140005981A (ko) 분리가능한 조리 용기 홀딩 장치
US5417463A (en) Baker's peel
CN217547805U (zh) 一种空气炸锅的炸桶结构
KR101778996B1 (ko) 뚝배기 받침대 및 그 제조방법
CN206080097U (zh) 一种双耳式造型食物烹饪锅
KR102147516B1 (ko) 조리기구용 핸들
KR200234637Y1 (ko) 도자기로된 조리용 전골냄비
CN210961689U (zh) 烹饪器具用饭勺
CN212015281U (zh) 一种电饭锅的不粘蒸煮内胆结构
CN217309950U (zh) 一种用于空气炸锅的底座组件和空气炸锅
CN209235740U (zh) 一种仿压合金挤压锅
CN219905362U (zh) 方便食品用容器
CN206371909U (zh) 用于烹饪器具的内锅和烹饪器具
CN218899159U (zh) 烹饪器具
CN213309008U (zh) 蒸笼和烹饪器具
JP2003174970A (ja) フライパン
CN209121957U (zh) 一种烤盘把手
KR200249400Y1 (ko) 솥전이 형성된 솥
US20040168579A1 (en) Grill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grill unit
KR200168219Y1 (ko) 조리용구
JP5864218B2 (ja) 調理用容器
CN113017714A (zh) 一种宫颈刷及其宫颈刷的制造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