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622B1 - 검색엔진의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엔진의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622B1
KR101106622B1 KR1020090108138A KR20090108138A KR101106622B1 KR 101106622 B1 KR101106622 B1 KR 101106622B1 KR 1020090108138 A KR1020090108138 A KR 1020090108138A KR 20090108138 A KR20090108138 A KR 20090108138A KR 101106622 B1 KR101106622 B1 KR 10110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profile
editing
user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517A (ko
Inventor
김경선
윤철진
오종건
박기림
이용환
윤철민
Original Assignee
(주) 다이퀘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이퀘스트 filed Critical (주) 다이퀘스트
Priority to KR102009010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6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웹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조건 및 다수의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파일 편집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의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고, 검색엔진으로부터의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입력된 검색어를 선택된 검색쿼리에 따라 처리하여 생성된 검색조건을 검색엔진에 입력하기 위한 검색쿼리 시뮬레이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실제 검색서비스를 구축하기 전에 검색 쿼리를 미리 생성하고, 프로파일을 설정한 후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된 검색 쿼리 및 설정된 프로파일에 대한 검증을 한 후에 실제 검색서비스를 구축함으로써, 검색서비스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검색 서비스 구축 이후 검색 결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검색 엔진, 프로파일(profile), 검색 쿼리, 시뮬레이터(simulator), 검색 서비스

Description

검색엔진의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profile of search engine}
본 발명은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검색이란 시스템에 존재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가공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생성해내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보검색의 과정(100)을 보여주는 것으로 클라이언트(110)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120)로 접속한 후, 정보검색을 원하는 검색어를 웹서버(120)의 검색페이지 상에 입력하면, 웹서버(120)는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검색엔진(130)으로 전송하고, 검색엔진(130)은 색인 DB와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는 컬렉션(150)을 참조하여 검색 API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웹서버(120)로 전송한다.
프로파일(profile)이란 클라이언트 그룹 또는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맞는 개인화된 검색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사전들을 포함하며, 컬렉션(150) 별로 다수의 프로파일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별 각 사전들은 서비스의 형태나 클라이언트의 유형에 따라 최적의 검색 결과를 줄 수 있도록 관리자가 편집하여 검색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프로파일 편집 후 검색 결과를 검증하려면 편집된 프로파일을 검색엔진에 반영한 후에 관리자가 검색 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어를 입력해보고 그 결과를 확인해 보는 방법 밖에 없으므로 실시간으로 편집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로파일 편집 후 검색 페이지를 거치지 않고 실시간으로 검색 결과를 검증한 후 검색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웹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조건 및 다수의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파일 편집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의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고, 검색엔진으로부터의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입력된 검색어를 선택된 검색쿼리에 따라 처리하여 생성된 검색조건을 검색엔진에 입력하기 위한 검색쿼리 시뮬레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쿼리 시뮬레이터에서 사용할 검색쿼리를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쿼리 편집수단 및 상기 프로파일을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파일 편집수단을 제공하며, 프로파일의 편집 전의 검색결과와 프로파일의 편집 후의 검색결과를 대비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은 검색된 결과물의 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수단과,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 및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최근의 검색로그로부터 추출된 가장 많이 사용된 검색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웹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조건 및 다수의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파일 편집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에 사용할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검색어를 선택된 검색쿼리에 따라 처리하여 생성된 검색조건으로 선택된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편집방법은 선택된 검색쿼리를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쿼리 편집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선택된 프로파일을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파일 편집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검색결과를 표시할 때 프로파일의 편집 전의 검색결과와 프로파일의 편집 후의 검색결과를 대비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에는 검색된 결과물의 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수단과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 및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된다.
또한, 최근의 검색로그로부터 추출된 가장 많이 사용된 검색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제 검색서비스를 구축하기 전에 검색 쿼리를 미리 생성하고, 프로파일을 설정한 후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된 검색 쿼리 및 설정된 프로파일에 대한 검증을 한 후에 실제 검색서비스를 구축함으로써, 검색서비스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검색 서비스 구축 이후 검색 결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프로파일 편집장치(200)는 관리자(250), 즉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엔진(260)이 웹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검색 API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참조하는 프로파일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된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검색 과정을 시뮬레이션하여 검증한다. 즉, 검색엔진 관리자(250)가 편집하기를 원하는 프로파 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프로파일의 각 사전들의 설정 등을 편집한 후 검색어를 입력하여 편집된 프로파일에 따른 검색결과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와 검색쿼리 시뮬레이터(220)를 포함한다. 검색쿼리 시뮬레이터(220)는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의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웹서버가 검색어를 처리하는 검색식(query)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검색쿼리라는 용어와 검색식이라는 용어를 병용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사용자 즉, 검색엔진 관리자(250)로 하여금 검색 쿼리와 프로파일의 선택 및 편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관리자(250)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아 검색엔진(260)으로부터의 검색 결과를 관리자(250)에게 제공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25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에서 검색 튜닝(410) 메뉴를 선택하고, 검색 프로파일이라는 소메뉴를 선택하면 작업 즉, 편집하고자하는 대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버튼(420)이 생성된다. 관리자(250)가 선택 버튼(420)을 클릭하면 도 5와 같은 팝업창이 뜨고, 관리자(250)는 원하는 컬렉션 및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의 A부분을 보면, 관리자(250)가 DQ_TEST_BLOG라는 컬렉션에서 blog_profile을 선택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관리자(250)가 다시 A부분의 선택 버튼(420)을 클릭하면 도 5에 도시한 팝업창이 뜨고, 다른 컬렉션 및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검색 쿼리를 편집할 수 있는 검색쿼리 편집수단(211)과 프로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프로파일 편집수단(213)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프로파일 편집 전의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와 프로파일 편집 후의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대비하여 표시함으로써, 관리자(250)로 하여금 프로파일 편집 전후의 검색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최근의 검색로그로부터 추출된 가장 많이 사용된 검색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 즉 인기검색어를 포함한다. 인기검색어의 오른쪽에 위치한 설정버튼(609)을 클릭하면, 검색어 종류(예를 들어, 인기검색어, 급등검색어, 검색실패어)와 추출기간을 설정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검색어 결과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250)는 인기검색어를 사용하여 편집된 프로파일에 따른 검색결과를 검증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250)가 검색식 옆에 위치한 설정 버튼(601)을 클릭하면, 도 9와 같이 검색식 관리 창(900)이 뜨고, 관리자(250)는 추가 버튼(901)을 눌러 새로운 검색식 이름을 추가할 수 있고, 추가된 검색식 이름은 아래의 리스트에 생성된다. 리스트에 나열된 검색식의 오른쪽에 위치한 선택 버튼(903)을 클릭하면, 선택된 검색식을 수정하기 위한 검색식 수정필드(907)가 뜨고, 관리자(250)는 검색식 수정필드(907) 상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사항을 수정한 뒤 아래의 확인 버튼(909)을 클릭하면 수정된 검색식이 저장된다.
이때, 검색식 리스트의 오른쪽에 위치한 삭제 버튼(905)을 클릭하면, 해당 검색식이 목록에서 삭제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페이지에서 관리자(250)가 추가 버튼(603) 또는 수정 버튼(605)를 클릭하면, 도 7a와 같은 프로파일 추가/수정 페이지가 뜬다. 관리자(250)가 편집하고자 하는 프로파일 명은 도면부호 701번 부분과 비교대상(703) 부분에 표시되고, 페이지의 아래쪽에 현재 관리자(250)가 선택한 프로파일을 참조한 검색결과(705)는 왼쪽에 표시되고, 관리자(250)가 편집할 프로파일을 참조한 검색결과(707)가 오른쪽에 표시된다.
오른쪽에 표시된 검색결과(707)에는 문서랭킹을 관리자(250)가 강제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버튼 즉, 최상위랭킹버튼(707a), 상대적랭킹버튼(707b) 및 삭제버튼(707c)을 표시한다. 최상위랭킹버튼(707a)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문서가 최상위로 랭크되도록 수정할 수 있고, 상대적랭킹버튼(707b)을 클릭하여 해당 문서의 랭킹점수를 수정하여 랭크를 변경할 수 있으며, 삭제버튼(707c)을 클릭하여 해당 문서를 삭제할 수 있다. 삭제된 문서는 해당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검색에서는 검색결과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서랭킹 수정 이후의 화면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서랭킹이 적용된 문서의 랭킹점수 옆에는 (문)이라는 표시와 함께, 적용중버튼(707d)이 추가로 생성된다. 이때, 적용중버튼(707d)를 클릭하면, 문서랭킹 적용을 취소할 수 있다.
프로파일 편집수단(213)은 검색된 결과물의 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수단과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 및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편집할 수 있는 수단 등을 포함한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의 사전을 편집할 수 있는 사전편집수단(709)이 생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랭킹모델버튼(709a)을 클릭하면 도 8a에 도시한 것처럼 랭킹모델 설정을 수정할 수 있는 팝업창(801)이 뜨고, 팝업창(801) 상에서 문서 검색 필드별 가중치를 수정함으로써, 문서별 랭킹을 수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전편집수단(709)에 포함된 다수의 버튼 즉, 유사어버튼, 불용어버튼, 금지어버튼, 바로가기버튼, 추천어버튼, 카테고리랭킹버튼 및 문서랭킹버튼을 클릭하면 클릭된 버튼에 대응하는 수정 팝업창이 뜨고, 수정 사항을 입력함으로써 사전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사전편집수단(709) 뿐 아니라, 도 4와 같이, 검색튜닝메뉴(410)에 포함된 소메뉴들을 이용하여 편집 가능하다.
여기에서, 유사어 사전은 특정 검색어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가 등록된 것이고, 불용어 사전은 검색 시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단어가 등록된 것이며, 금지어 사전은 검색할 수 없는 단어가 등록된 것이고, 바로가기 사전은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특정 URL이 등록된 것이며, 추천어 사전은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추천 단어 리스트가 등록된 것이다. 또한, 카테고리랭킹은 검색어의 종류와 관계없이 또는 특정 검색어에 대하여 특정 카테고리에 속한 문서들의 순위를 조정하는 것이고, 문서랭킹은 특정 문서들의 순위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사전편집수단(709)에는 지식가져오기설정버튼(709b)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상위 컬렉션 또는 다른 프로파일의 설정된 내용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는데, 도 8b에 도시한 것처럼, 상속(803)이라는 것과 1회 가져오기(805)라는 것이 있다. 상속(803)은 상위 컬렉션 또는 동일 컬렉션 내의 다른 프로파일의 내용을 그대 로 가져오는 것으로 가져온 후, 지식을 전달한 곳에서 수정 사항이 발생하면 가져온 곳에도 수정사항이 그대로 반영되고, 1회 가져오기(805)는 상위 컬렉션, 다른 컬렉션 또는 다른 프로파일의 내용을 복사하여 가져오는 것으로 가져온 후, 지식을 전달한 곳에서 수정 사항이 발생하더라도 가져온 곳은 수정 사항이 반영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프로파일 및 검색식 편집이 완료된 후, 관리자(250)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프로파일 편집장치(200)의 검색쿼리 시뮬레이터(220)는 편집된 프로파일과 검색식을 이용하여 특정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도 6과 같이 나열하고, 여기에서 랭킹 점수 부분을 클릭하면 도 10과 같은 검색결과 검증 화면이 생성된다. 관리자(250)는 이 검색결과 검증 화면을 보고, 원하는 결과가 생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원하는 검색 결과가 생성되었으면, 편집된 프로파일을 검색엔진(260)에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검색식을 변경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그에 따라 웹서버의 쿼리문을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 편집장치(200)를 이용하여 검색쿼리 및 프로파일을 편집하고, 이를 참조한 검색 결과를 시뮬레이션하여 검증한 후 실제 검색서비스로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즉, 검색엔진 관리자로부터 작업할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이 선택되면(S301), 상기 선택된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검색쿼리 편집수단과 프로파일 편집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검색엔진 관리자는 상기 수단을 이용하여 검색쿼리 및 프로파일을 편집한다(S303).
즉, 도 4와 같은 관리도구에서 관리자가 선택버튼(420)을 클릭하면, 도 5와 같은 작업할 컬렉션과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뜬다. 이 중에서 작업을 원하는 컬렉션 및 프로파일을 선택하면, 도 6과 같은 창이 뜬다. 여기에서 추가버튼(603) 또는 수정버튼(605)을 클릭하면 도 7a와 같은 프로파일을 추가 또는 수정할 수 있는 프로파일 편집 페이지가 뜨고, 관리자는 이 페이지에서 프로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이때,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파일에 대한 편집 전의 검색결과(705)와 편집 후의 검색결과(707)를 대비하여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편집 전후의 검색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에는 검색된 결과물의 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되는데, 즉,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것처럼, 편집 후의 검색결과(707) 상에 최상위랭킹버튼(707a), 상대적랭킹버튼(707b), 삭제버튼(707c) 및 적용중버튼(707d)이 표시되어 있다.
최상위랭킹버튼(707a)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문서가 최상위로 랭크되도록 수정할 수 있고, 상대적랭킹버튼(707b)을 클릭하여 해당 문서의 랭킹점수를 수정하여 랭크를 변경할 수 있으며, 삭제버튼(707c)을 클릭하여 해당 문서를 삭제할 수 있 다. 적용중버튼(707d)은 문서랭킹 변경이 적용된 문서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적용중버튼(707d)을 클릭하면 적용이 취소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에는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선택 및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는 도 7a에 도시한 사전편집수단(709)과 같다.
여기에서 랭킹모델버튼(709a)을 클릭하면 도 8a에 도시한 것처럼 랭킹모델 설정을 수정할 수 있는 팝업창(801)이 뜨고, 팝업창(801) 상에서 문서 검색 필드별 가중치를 수정함으로써, 문서별 랭킹을 수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전편집수단(709)에 포함된 다수의 버튼 즉, 유사어버튼, 불용어버튼, 금지어버튼, 바로가기버튼, 추천어버튼, 카테고리랭킹버튼 및 문서랭킹버튼을 클릭하면 클릭된 버튼에 대응하는 수정 팝업창이 뜨고, 수정 사항을 입력함으로써 사전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사전편집수단(709) 뿐 아니라, 도 4와 같이, 검색튜닝메뉴(410)에 포함된 소메뉴들을 이용하여 편집 가능하다.
여기에서, 유사어 사전은 특정 검색어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가 등록된 것이고, 불용어 사전은 검색 시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단어가 등록된 것이며, 금지어 사전은 검색할 수 없는 단어가 등록된 것이고, 바로가기 사전은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특정 URL이 등록된 것이며, 추천어 사전은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추천 단어 리스트가 등록된 것이다. 또한, 카테고리랭킹은 검색어의 종류와 관계없이 또는 특정 검색어에 대하여 특정 카테고리에 속한 문서들의 순위를 조정하는 것이고, 문서랭킹은 특정 문서들의 순위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사전편집수단(709)에는 지식가져오기설정버튼(709b)이 포함되어 있는 데, 이는 상위 컬렉션 또는 다른 프로파일의 설정된 내용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는데, 도 8b에 도시한 것처럼, 상속(803)이라는 것과 1회 가져오기(805)라는 것이 있다. 상속(803)은 상위 컬렉션 또는 동일 컬렉션 내의 다른 프로파일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오는 것으로 가져온 후, 지식을 전달한 곳에서 수정 사항이 발생하면 가져온 곳에도 수정사항이 그대로 반영되고, 1회 가져오기(805)는 상위 컬렉션, 다른 컬렉션 또는 다른 프로파일의 내용을 복사하여 가져오는 것으로 가져온 후, 지식을 전달한 곳에서 수정 사항이 발생하더라도 가져온 곳은 수정 사항이 반영되지 않는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페이지에서, 관리자가 검색식 옆에 위치한 설정버튼(601)을 클릭하면, 도 9와 같은 검색식을 편집할 수 있는 검색식 편집 페이지가 뜨고, 관리자는 이 페이지에서 검색식을 추가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이후, 검색쿼리 및 프로파일의 편집이 끝나면, 관리자는 도 6에 도시한 페이지상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누르면, 도 6과 같이 편집된 검색쿼리 및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검색을 수행한 후(S305), 검색결과 리스트를 나열하고, 관리자에 의해 랭킹점수 부분이 클릭되면, 도 10과 같은 검색결과 검증 페이지가 생성되어 관리자는 상기 검색결과 검증 페이지로부터 검색 쿼리 및 프로파일이 원하는 방향으로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07).
따라서, 관리도구상에서 검색쿼리 및 프로파일을 편집한 후, 이를 참조하여 검색 결과를 시뮬레이션하고 검증한 후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보검색의 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작업할 컬렉션 및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컬렉션 및 프로파일을 선택한 후,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프로파일 편집수단을 이용한 문서랭킹 편집 전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프로파일 편집수단 중 랭킹모델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프로파일 편집수단 중 지식 가져오기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검색식 편집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 편집장치에서 검색 결과 시뮬레이션에 대한 검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6)

  1. 웹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조건 및 다수의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파일 편집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의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고, 검색엔진으로부터의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된 검색어를 선택된 검색쿼리에 따라 처리하여 생성된 검색조건을 검색엔진에 입력하기 위한 검색쿼리 시뮬레이터
    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파일을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파일 편집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로파일의 편집 전의 검색결과와 프로파일의 편집 후의 검색결과를 대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쿼리 시뮬레이터에서 사용할 검색쿼리를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쿼리 편집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은 검색된 결과물의 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은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은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장치.
  8. 웹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조건 및 다수의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파일 편집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의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고, 검색엔진으로부터의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된 검색어를 선택된 검색쿼리에 따라 처리하여 생성된 검색조건을 검색엔진에 입력하기 위한 검색쿼리 시뮬레이터
    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최근의 검색로그로부터 추출된 가장 많이 사용된 검색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장치.
  9. 웹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조건 및 다수의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파일 편집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에 사용할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단계와,
    선택된 프로파일을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파일 편집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검색어를 선택된 검색쿼리에 따라 처리하여 생성된 검색조건으로 선택된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검색결과를 표시할 때 프로파일의 편집 전의 검색결과와 프로파일의 편집 후의 검색결과를 대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선택된 검색쿼리를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쿼리 편집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파일 편집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엔는 검색된 결과물의 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에는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편집수단에는 검색에 사용할 사전들을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편집방법.
  16. 웹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조건 및 다수의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파일 편집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에 사용할 검색쿼리와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검색어를 선택된 검색쿼리에 따라 처리하여 생성된 검색조건으로 선택된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최근의 검색로그로부터 추출된 가장 많이 사용된 검색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파일 편집방법.
KR1020090108138A 2009-11-10 2009-11-10 검색엔진의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 KR101106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38A KR101106622B1 (ko) 2009-11-10 2009-11-10 검색엔진의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38A KR101106622B1 (ko) 2009-11-10 2009-11-10 검색엔진의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7A KR20110051517A (ko) 2011-05-18
KR101106622B1 true KR101106622B1 (ko) 2012-01-20

Family

ID=4436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138A KR101106622B1 (ko) 2009-11-10 2009-11-10 검색엔진의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6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38A (ko) * 2000-08-23 2002-03-02 전홍건 엔트로피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적용한 문서순위 조정방법
JP2003303206A (ja) * 2002-04-10 2003-10-24 Toshiba Corp 辞書編集システムおよび辞書編集方法
KR20090043078A (ko) * 2007-10-29 2009-05-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정의 옵션에 근거한 검색 결과 순위 조절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38A (ko) * 2000-08-23 2002-03-02 전홍건 엔트로피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적용한 문서순위 조정방법
JP2003303206A (ja) * 2002-04-10 2003-10-24 Toshiba Corp 辞書編集システムおよび辞書編集方法
KR20090043078A (ko) * 2007-10-29 2009-05-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정의 옵션에 근거한 검색 결과 순위 조절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7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9487B1 (en) Customization of search results for search queries received from third party sites
US7216121B2 (en) Search engine facility with automated knowledge retrieval, generation and maintenance
JP5612731B2 (ja) 関心領域についての関連情報の決定
KR101191531B1 (ko) 인라인 문맥 질의들을 사용하는 검색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9569541B2 (en) Evaluating preferences of content on a webpage
US20040139107A1 (en) Dynamically updating a search engine's knowledge and process database by tracking and saving user interactions
KR100645608B1 (ko) 사용자 방문 유알엘 로그를 이용한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US20110055185A1 (en) Interactive user-controlled search direction for retrieved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earch system
US20090049010A1 (e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domain specific search
US7065536B2 (en) Automated maintenance of an electronic database via a point system implementation
CN102362275A (zh) 内容推荐方法、推荐信息生成方法、内容推荐程序、内容推荐服务器以及内容提供系统
CN104991962B (zh) 一种生成推荐信息的方法及装置
KR20140031255A (ko) 툴바 상의 관련 검색 제시
CN102004794A (zh) 搜索引擎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40280174A1 (en) Interactive user-controlled search direction for retrieved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earch system
WO2008046341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fourniture d'une ressource réseau et d'un service
CN106599299A (zh) 一种网站关键词的确定方法及装置
JPWO2020026366A1 (ja) 特許評価判定方法、特許評価判定装置、および特許評価判定プログラム
JP6162134B2 (ja) ソーシャルページのトリガー
Lau et al. A conversational interface to web automation
US11194883B2 (en) Alert driven interactive interface to a website mining system
KR101106622B1 (ko) 검색엔진의 프로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
JP707883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2058085B2 (en) Dynamic hierarchical/multi-level hierarchical content navigation chatbot
JP2020021455A (ja) 特許評価判定方法、特許評価判定装置、および特許評価判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