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286B1 - 스피드센서 - Google Patents

스피드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286B1
KR101105286B1 KR1020100020024A KR20100020024A KR101105286B1 KR 101105286 B1 KR101105286 B1 KR 101105286B1 KR 1020100020024 A KR1020100020024 A KR 1020100020024A KR 20100020024 A KR20100020024 A KR 20100020024A KR 101105286 B1 KR101105286 B1 KR 10110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928A (ko
Inventor
이충혁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28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12Recording devices
    • G01P1/122Speed rec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7/3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드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의 입력부와 출력부에 각각 설치되고, 센서단자가 노출되는 한 쌍의 센서부와, 센서부와 결합되고, 센서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부 및 연결단자와 각각 접속되고, 제어부와 연결되는 케이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는 모듈화된 센서부와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센서단자와 연결단자가 정확하게 접속되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에서의 제품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드센서{SPEED SENSOR}
본 발명은 스피드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부품의 모듈화를 통해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조립과정에서의 제품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스피드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스피드센서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피드센서는 휠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알려주거나, 변속기에 부착되어 변속기의 변속시점을 최적화시킨다.
변속기에 설치되는 스피드센서는 입력부 및 출력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입력센서는 변속기의 입력 알피엠(RPM)을 측정하고, 출력센서는 변속기의 차축회전속을 측정한다.
즉, 스피드센서는 변속기에서 회전되는 기어회전속도를 측정하여 변속제어기에 신호를 보내고, 변속제어기는 스피드센서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변속기의 기어변환을 통한 변속시기가 최적화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스피드센서의 입력센서와 출력센서에 설치되는 터미널이 별도의 사출 성형을 통해 보호하는 작업이 추가로 진행된 후, 사출된 터미널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하므로, 작업공수가 복잡하고, 터미널에 대한 사출 성형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입력센서 또는 출력센서의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모듈화를 통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억제하는 스피드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속기의 입력부와 출력부에 각각 설치되고, 센서단자가 노출되는 한 쌍의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결합되고, 상기 센서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연결단자와 각각 접속되고, 제어부와 연결되는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입력부나 상기 출력부에 삽입되고, 상단부가 개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내장되고, 상기 센서단자가 노출되는 센서단자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변속기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가 삽입되도록 일부가 절개된 원통형상의 가이드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연결단자의 양단부가 노출되는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연접되는 원호형상의 걸림체; 및 상기 연결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단자와 상기 연결단자는 충진부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걸림체 사이에 충진되는 에폭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연결몸체에는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케이블의 접속부위를 커버하는 커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는 커넥터부의 양단부에 한 쌍의 센서부가 각각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에 의해 센서단자와 연결단자가 접속됨으로써, 센서단자와 연결단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접속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는 센서부와 커넥터부가 모듈화된 상태에서 조립됨으로써, 조립과정에서 각 부품의 불량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는 충진부가 센서단자와 연결단자를 커버함으로써, 센서단자와 연결단자의 접속력을 유지하고 외부로 부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는 커버부가 연결단자와 케이블부의 접속부위를 커버함으로써, 연결단자와 케이블간의 접속력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와 변속기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의 제조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 및 스피드센서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와 변속기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의 제조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1)에는 센서부(10), 커넥터부(20) 및 케이블부(30)가 구비된다.
센서부(10)는 변속기(40)의 입력부(41)와 출력부(42)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부(10)는 입력부(41)와 출력부(42)에 삽입되어 변속기(4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변속기(40) 내부 기어회전수를 감지한다.
센서부(10)에는 변속기(40) 기어회전수를 감지한 정보를 전달하는 센서단자(121)가 내장되며, 이러한 센서단자(121)는 상방으로 노출된다.
커넥터부(20)는 양단부가 센서부(10)에 각각 결합된다. 커넥터부(20)에는 연결단자(24)가 내장되며, 연결단자(24)는 각각의 센서단자(121)와 접속된다.
케이블부(30)는 커넥터부(20)의 연결단자(24)와 각각 접속되고, 변속기(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연결된다.
따라서, 센서부(10)를 통해 감지된 변속기(40)의 기어회전수는 센서단자(121), 연결단자(24) 및 케이블부(30)를 통해 제어부(50)에 전달되고, 제어부(50)는 케이블부(30)를 통해 전송된 정보를 통해 변속기(40)의 변속시점을 최적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에는 몸통부(11), 센서단자부(12), 고정부(13) 및 결합부(14)가 구비된다.
몸통부(11)는 변속기(40)의 입력부(41) 또는 출력부(42)에 해당하는 홀에 삽입된다. 이러한 몸통부(11)는 원통 형상을 하며, 상단부가 개방된다.
센서단자부(12)는 몸통부(11)에 내장되고, 센서단자(121)를 포함하여 사출 성형된다. 센서단자부(12)는 몸통부(1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고, 센서단자(121)는 상단부가 노출된다.
고정부(13)는 몸통부(1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13)는 몸통부(1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몸통부(11)가 입력부(41) 또는 출력부(42)에 삽입될 때, 변속기(40)의 일측면과 접촉된다.
고정부(13)에는 고정홀(131)이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홀(131)을 통과하는 볼트는 변속기(4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부(13)를 변속기(40)에 결합시킨다.
결합부(14)는 몸통부(11)의 상부에 형성되고, 커넥터부(2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4)에는 가이드부(141)와 끼움홈부(142)가 구비된다.
가이드부(141)는 몸통부(1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개구된 원통 형상을 한다. 이러한 절개부위에는 커넥터부(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부(141)와 맞물린다.
끼움홈부(142)는 몸통부(11)에 형성되고, 커넥터부(20)가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끼움홈부(142)는 몸통부(11)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10)의 몸통부(11), 고정부(13) 및 결합부(14)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센서단자부(12)에는 센서단자(121)가 삽입되어 사출성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20)에는 연결몸체(21), 걸림체(22) 및 결합돌기(23)가 구비된다.
연결몸체(21)에는 한 쌍의 센서부(10)에 배치되는 센서단자(121)와 각각 접속되는 연결단자(24)가 내장된다. 즉, 각 센서부(10)에는 한 쌍의 센서단자(121)가 배치되고, 연결몸체(21)에는 4개의 연결단자(24)가 내장되어 각각의 센서단자(121)와 접속된다.
연결몸체(21)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사출성형되고, 양단부에는 연결단자(24)가 한 쌍씩 노출된다. 이러한 연결몸체(21)의 중앙부는 개구된다. 개구된 부분에는 연결단자(24)의 단부가 노출된다. 연결몸체(21)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연결단자(24)는 케이블부(30)와 접속된다.
걸림체(22)는 연결몸체(21)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가이드부(141)에 맞물린다. 걸림체(22)는 원호형상을 하여 가이드부(141)의 절개된 부분에 삽입된 후 가이드부(141)의 단부에 맞물린다.
결합돌기(23)는 연결몸체(21)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결합부(14)의 끼움홈부(142)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돌기(23)는 연결몸체(2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홈부(142)에 끼움 결합된다.
센서부(10)의 상단부는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에는 센서단자(121)와 연결단자(24)가 접속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센서단자(121)와 연결단자(24)는 충진부(60)에 의해 밀폐된다. 이러한 충진부(60)는 에폭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이드부(141)와 걸림체(22)가 맞물려 형성되는 원통형상 내부로 충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30)에는 커버부(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커버부(70)는 연결몸체(21)의 개구된 부분에 노출되는 연결단자(24)와 케이블부(30)의 접속부위를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커버부(70)는 클립 형상을 하여, 연결몸체(21)의 개구된 부분을 감싼 후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커버부(70)는 연결몸체(21)의 개구된 부분에 충진되어, 연결단자(24)와 케이블부(30)를 커버하는 충진물이 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피드센서 조립방법은 사출성형된 몸통부(11)에 센서단자부(12)를 결합하여 센서부(10)를 조립한다(S10). 이때, 센서단자부(12)에는 센서단자(121)가 내장되고, 센서단자(121)의 상단부는 센서단자부(12)의 상단부에 노출된다.
몸통부(11)는 상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하며, 몸통부(11)의 개구된 부분에는 센서단자(121)가 노출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한 쌍의 센서부(10)가 조립되면, 커넥터부(20)의 양단부가 각 센서부(10)에 결합된다(S20).
이때, 각 센서부(10)에서 노출되는 센서단자(121)는 커넥터부(20)의 단부에 노출되는 연결단자(24)와 접속되고,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한 쌍의 센서부(10)가 커넥터부(20)의 양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부(20)와 케이블부(30)가 결합된다(S30). 이때, 커넥터부(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구된 부분에 의해 노출되는 연결단자(24)는 케이블부(30)의 각 케이블(31)과 접속되고, 용접공정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케이블부(30)는 변속기(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연결단자(24)로 전달된 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한다.
케이블부(30)가 커넥터부(20)에 결합되면, 센서부(10)가 변속기(40)에 장착된다(S40). 이러한 센서부(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변속기(40)의 입력부(41) 및 출력부(40)에 각각 삽입되어 변속기(40) 내부에서 회전되는 기어의 회전수를 감지한다.
센서부(10)의 몸통부 외주면에는 고정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부(13)는 변속기(40)에 안착되어 볼트 결합된다.
한편, 센서단자(121)와 연결단자(24)는 충진부(60)에 의해 보호된다(S50). 이러한 충진부는 에폭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의 가이드부(141) 내측으로 충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센서단자(121)와 연결단자(24)를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부(60)가 충진되는 공정은 센서부(10)와 커넥터부(20)가 결합되는 공정(S20) 이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부(30)와 연결단자(24)의 접속부위는 커버부(70)에 의해 보호된다(S60). 이러한 커버부(70)는 클립 형상을 하거나 충진물로써, 케이블부(30)의 각 케이블(31)과 연결단자(24) 간의 결합부분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70)가 케이블부(30)와 연결단자(24)의 접속부위를 감싸는 공정은 커넥터부(20)와 케이블부(30)가 결합되는 공정(S30) 이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센서부 11 : 몸통부
12 : 센서단자부 13 : 고정부
14 : 결합부 20 : 커넥터부
21 : 연결몸체 22 : 걸림체
23 : 결합돌기 30 : 케이블부
40 : 변속기 50 : 제어부
60 : 충진부 70 : 커버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변속기의 입력부와 출력부에 각각 설치되고, 센서단자가 노출되는 한 쌍의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결합되고, 상기 센서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연결단자와 각각 접속되고, 제어부와 연결되는 케이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입력부나 상기 출력부에 삽입되고, 상단부가 개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내장되고, 상기 센서단자가 노출되는 센서단자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변속기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가 삽입되도록 일부가 절개된 원통형상의 가이드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연결단자의 양단부가 노출되는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연접되는 원호형상의 걸림체; 및
    상기 연결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단자와 상기 연결단자는 충진부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걸림체 사이에 충진되는 에폭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연결몸체에는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케이블의 접속부위를 커버하는 커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20024A 2010-03-05 2010-03-05 스피드센서 KR10110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24A KR101105286B1 (ko) 2010-03-05 2010-03-05 스피드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24A KR101105286B1 (ko) 2010-03-05 2010-03-05 스피드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28A KR20110100928A (ko) 2011-09-15
KR101105286B1 true KR101105286B1 (ko) 2012-01-17

Family

ID=4495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024A KR101105286B1 (ko) 2010-03-05 2010-03-05 스피드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705B1 (ko) * 2011-10-31 2013-10-2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396B1 (ko) * 1995-10-06 1999-08-16 정몽규 무인차량의 속도감지용 보완장치 및 그의 보완방법
JP2001235482A (ja) 2000-02-22 2001-08-31 Nagano Japan Radio Co 回転速センサ
KR20030068533A (ko) * 2003-08-04 2003-08-21 이정민 별도의 내용물 저장 공간을 갖고 있는 스파우트 파우치 용기
KR200368533Y1 (ko) * 2004-08-19 2004-11-20 이서남 자동차용 스피드센서
KR20080055416A (ko) * 2006-12-15 2008-06-19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속도 감지 센서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396B1 (ko) * 1995-10-06 1999-08-16 정몽규 무인차량의 속도감지용 보완장치 및 그의 보완방법
JP2001235482A (ja) 2000-02-22 2001-08-31 Nagano Japan Radio Co 回転速センサ
KR20030068533A (ko) * 2003-08-04 2003-08-21 이정민 별도의 내용물 저장 공간을 갖고 있는 스파우트 파우치 용기
KR200368533Y1 (ko) * 2004-08-19 2004-11-20 이서남 자동차용 스피드센서
KR20080055416A (ko) * 2006-12-15 2008-06-19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속도 감지 센서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28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2025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onic unit
JP7103498B2 (ja) 検出装置
CN102257681A (zh) 密封的电连接器
US10106136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ssembling method,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brake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JP6886612B2 (ja) ハウジング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ハウジング構造体
KR20140138703A (ko) 타이어 공기압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605445B2 (en) Component carrier for substantially electrical components
US20050217418A1 (en) Gearbox
KR101105286B1 (ko) 스피드센서
KR101140035B1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JP5716956B2 (ja) 電子制御ユニット
KR101661885B1 (ko) 오일 리저버용 브레이크 레벨센서
CN111051635B (zh) 具有封装的电子器件的机动交通工具门把手装置
CN102444526B (zh) 发动机控制装置
CN104334913A (zh) 振动构件安装构造
KR101181114B1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JP5783411B2 (ja) 電子ユニットの防水構造
KR101133236B1 (ko) 자동변속기의 유온센서 배선장치
CN102823076B (zh) 接头连接器
CN203822470U (zh) 一种防尘盖组件及包括其的电子节气门
CN107871630A (zh) 车辆用按钮开关装置
KR200404625Y1 (ko) 자동차용 스피드 센서
EP4109064A1 (en) Magnetic detection module, detection device, case assembly, and production method for magnetic detection module
WO2010074263A1 (ja) モールドモータ及び電動車両
KR101612627B1 (ko) 엑추에이터 하우징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