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698B1 -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698B1
KR101104698B1 KR1020090105124A KR20090105124A KR101104698B1 KR 101104698 B1 KR101104698 B1 KR 101104698B1 KR 1020090105124 A KR1020090105124 A KR 1020090105124A KR 20090105124 A KR20090105124 A KR 20090105124A KR 101104698 B1 KR101104698 B1 KR 101104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lamping
unit frame
base
rai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360A (ko
Inventor
정수천
Original Assignee
(주)동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창호 filed Critical (주)동서창호
Priority to KR102009010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6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28Hollow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30Organic material
    • B23K2103/42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는 클램핑홀더를 이용해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의 각 단부를 파지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홀더가 설치되는 베이스; 및, 선단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홈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호프레임, 용접, 융착, 클램핑홀더

Description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clamping device of automatic welding m for PVC window framing}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프레임의 접합부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창호프레임은 경량금속으로 제작된 창호프레임과 달리 부식이나 마모에 강하고 열고 닫는데 마찰음이 없어 조용하며 또한 다양한 무늬를 씌울 수 있어 근래 창호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창호프레임은 쉽게 용융 접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므로 굳이 체결용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두 개의 나란한 수평틀과 이에 직교하는 두 개의 수직틀의 단부를 용접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25)는, 수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프레임(27)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7)의 일측에 설치되며 액츄에이터(53)에 의해 화살표 m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가동지지판(43)과, 상기 가동지지판(43)에 고정되며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47)과, 상기 수직프 레임(47)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그 위에 제 1액츄에이터(51)를 갖는 수평프레임(49)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 1액츄에이터(51) 작동로드(51a)의 하단부에는 상부홀더편(41a)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홀더편(41a)의 연직 하부에는 하부홀더편(41b)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두 개의 홀더편(41a,41b)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제 1클램핑홀더(41)를 이룬다. 상기 제 1클램핑홀더(41)는, 용접시 상기한 상부홀더편(41a)이 하강하여 하부홀더편(41b)에 대기하고 있는 수평틀(11b)의 일단부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잡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45는 상기 수직프레임(47)과 나란한 환봉으로서 상부홀더편(41a)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이다.
한편, 상기 하부홀더편(41b)의 측부에는 써포팅블록(59)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써포팅블록(59)은 하부홀더편(41b)에 안착된 수평틀(도 3c의 11b)을 도 3c의 화살표 z방향으로 지지하는 블록이다.
한편, 상기 가동지지판(43)의 측부에는 고정지지판(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지지판(30)은 베이스프레임(27)에 고정되며 수평을 유지한다. 상기 고정지지판(30)에는 수직 상부로 연장된 수직프레임(33)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3)의 상단부에는 수평프레임(37)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37)에는 제 2액츄에이터(39)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 2액츄에이터(39)의 작동로드(39a)에는 상부홀더편(31a)이 고정되고, 상기 상부홀더편(31a)의 연직 하부에는 하부홀더편(31b)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홀더편(31a)은 가이드로드(35)에 가이드되며 제 2액츄에이터(39)의 동작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상기 상부홀더편(31a)과 하부홀더편(31b)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제 2클램핑홀더(31)를 구성한다. 상기 제 2클램핑홀더(31)는 제 1클램핑홀더(41)에 물려있는 수평틀(11b)의 일단부에 융접할 수직틀(11a)의 일단부를 죄어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 1클램핑홀더(41)와 제 2클램핑홀더(31)의 작동 메카니즘은 동일하다.
상기 하부홀더편(31b)의 측부에도 써포팅블록(57)이 설치된다. 상기 써포팅블록(57)은 금속으로 제작된 육면체형 부재로서 그 내측면으로 수직틀(11a)의 외측면(레일홈(11c)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지지판(30)과 가동지지판(43)의 사이에는 승강격판(29)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격판(29)은 베이스프레임(27)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27a)을 상향 통과하여 제 1클램핑홀더(41)와 제 2클램핑홀더(31)를 구획하는 판으로서, 각 하부홀더편(41b,31b)에 수평틀(11b)과 수직틀(11a)을 세팅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틀(11b)과 수직틀(11a)은 그 단부(상호 접합할 용접면)가 상기 승강격판(29)에 면접하고 또한 각각의 레일홈(11c)에 지그블록(61,63)이 삽입되게 안착됨으로서 세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승강격판(29)의 양면은 하부홀더편(41b,31b)의 선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홀더편(41b)에 세팅되는 수평틀(11b)의 양단부는 하부 홀더편(41b) 선단부로부터 상기 이격거리만큼 돌출된다. 또한 제 2클램핑홀더(31)의 하부홀더편(31b)에 안착된 수직틀(11a)의 단부도 하부홀더편(31b)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이격거리만큼 돌출된다. 상기 돌출길이에 해당하는 부위는 용접을 위해 용융되는 부위이다.
한편, 도 1에는 한 세트의 제 1,2클램핑홀더(41,31)만 도시 하였지만, 상기 클램핑홀더(41,3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 세트가 구비되어, 수평틀(11b)의 양단부에 수직틀(11a)을 동시에 접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수평틀에 대한 수직틀의 용접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수평틀(11b)의 양단부에 수직틀(11a)을 용접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틀(11b)을 상기 제 1클램핑홀더(41)에 안착시킨다. 이 때 제 1클램핑홀더(41)의 상부홀더편(41a)은 아직 하강하지 않은 상태이다. 아울러 제 1클램핑홀더(41)간의 간격은 생산할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미리 정해진다.
여하튼 상기 하부홀더편(41b)에 수평틀(11b)을 세팅하기 위하여는, 수평틀(11b)을 화살표 k방향으로 평행 이동시켜, 수평틀(11b)의 양단부가 써포팅블록(59)에 동시에 접하도록 한다. 이 때 수평틀(11b)의 레일홈(11c)에 상기 지그블록(63)이 삽입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수평틀(11b)이 안착되었다면 상부홀더편(41a)을 하강시켜 수평틀(11b)의 양단부를 두께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틀(11b)을 고정시킨다.
상기 수평틀(11b)이 제 1클램핑홀더(41)에 고정되었다면 도 2b와 같이 상기 승강격판(29)을 상승시킨 후 수직틀(11a)을 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수직틀(11a)을 화살표 b방향으로 진입시켜 그 단부가 상기 승강격판(29)에 도달하였다면 양측의 상부홀더편(31a)을 내려 수직틀(11a)을 두께 방향으로가압 고정하고 승강격판(29)을 하강시켜 뺀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한 바와같이 승각격판(29)이 있던 자리에 가열플레이트(64)를 삽입시켜 수직틀(11a)과 수평틀(11b)의 대향 단부를 용융시키고, 해당 부위가 충분히 용융되었다면 가열플레이트(64)를 제거한 후 제 1클램핑홀더(41)를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직틀(11a)과 수평틀(11b)의 대향단부를 접합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수평틀(11b)의 양단부에 수직틀(11a)이 용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품 즉 창짝틀(11)을 용접기로부터 꺼내기 위해서는 도 2e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 제 1클램핑홀더(41)를 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제품을 화살표 r방향으로 인출한다.
도 3은 종래의 합성수지 창짝틀의 모습을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합성수지제 창호프레임(11)은 두 개의 나란한 수평틀(11b)과, 상기 수평틀(11b)의 양단부에 용접 결합하는 수직틀(11a)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틀(11a)과 수평틀(11b)은 그 단면형상이 상호 동일하다.
상기 수직틀(11a) 및 수평틀(11b)의 외측면에는 창틀(미도시)에 창짝을 끼울 때 창틀의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레일홈(11c)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상기 두 개의 수평틀(11b) 중 (창짝을 세웠을 때) 아래쪽 수평틀(11b)의 레일홈(11c)에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틀(11a)에는 손잡이나 잠금 장치 등이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레일홈(11c)은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로 수직틀(11a) 또는 수평틀(11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창짝틀(11)의 테두리부를 (어떤 목적을 위하여) 예컨대 화살표 F방향으로 눌었을 때 쉽게 눌려 오므라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창짝틀(11) 제작 과정시, 즉, 수직틀(11a)과 수평틀(11b)의 단부를 용접할 때 제품의 품질에 직결되는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한 수직틀(11a)과 수평틀(11b) 단부의 용접면(11d)을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각 틀(11a,11b)의 인접 단부를 클램핑홀더(도 1의 31 및 41)로 잡아 죄어야 하는데, 틀(11a,11b)이 상기 클램핑홀더에 의해 f1,f2의 죔력을 받으면 상기한 바와같이 오므라지므로 용접면(11d)이 쉽게 어긋나게 되며, 이로인해 접합단부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램핑홀더를 통해 단위프레임을 파지한 상태에서 단위프레임의 레일홈에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단위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단위프레임의 접합단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가압부재가 레일홈의 개구측 뿐만 아니라 내부영역까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단위프레임의 내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접합단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가압부재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이 레일홈의 개구부 일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가압부재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선단부 타측이 레일홈의 내부 타측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단위프레임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장비교체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클램핑홀더의 상부홀더편과 하부홀더편의 단부에 단위프레임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단위프레임의 외측면의 마감상태가 불량하거나 단위프레임과 홀더편의 사이에 이물이 개재된 경우에도 단위프레임의 단부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가압블럭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지지력의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단위프레임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단면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클램핑홀더를 이용해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의 각 단부를 파지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홀더가 설치되는 베이스; 및, 선단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홈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수평구동부와, 선단부 일측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수평구동부의 직선운동하는 구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위프레임의 레일홈으로 삽입되는 가압블럭과, 상기 가압블럭을 베이스로부터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단부에 적어도 두개 마련되며, 각각의 지지부재는 가압블럭의 경사면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핑홀더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단위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홀더편와, 상기 수직이동부에 설치되어 단위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홀더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홀더편와 상부홀더편는 단위프레임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는 판면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홀더를 통해 단위프레임을 파지한 상태에서 단위프레임의 레일홈에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단위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단위프레임의 접합단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가압부재가 레일홈의 개구측 뿐만 아니라 내부영역까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단위프레임의 내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접합단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가압부재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이 레일홈의 개구부 일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가압부재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선단부 타측이 레일홈의 내부 타측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단위프레임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장비교체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클램핑홀더의 상부홀더편과 하부홀더편의 단부에 단위프레임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단위프레임의 외측면의 마감상태가 불량하거나 단위프레임과 홀더편의 사이에 이물이 개재된 경우에도 단위프레임의 단부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발췌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는 클램핑홀더(110)와, 지지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홀더(11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상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112)와, 상기 가이드부(11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113)와, 상기 수직이동부(113)를 구동하는 수직구동부(114)와, 상기 베이스(111)에 설치되어 단위프레임(F)의 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홀더편(115)과, 상기 수직이동부(113)에 설치되어 단위프레임(F)의 단부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홀더편(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홀더편(115)과 상부홀더편(116)은 단위프레임(F)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돌기(117)가 판면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클램핑홀더(110)의 고정작용시 가압돌기(117)가 단위프레임(F)의 단부측 상,하부를 각각 가압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베이스(111)에 설치되는 수평구동부(121)과, 선단부 일측 모서리에 경사면(122a)이 형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수평구동부(121)의 직선운동하는 구동축(121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럭(122)과, 상기 가압블럭(122)을 베이스(111)로부터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블럭(122)의 선단부가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가압블럭(122)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22a)이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 개구부 일측 모서리에 접촉하여 경사면(122a)을 따라 가압블럭(122)의 선단부가 하강하게 되는데, 가압블럭(122)의 선단부 타측이 상기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 내부영역에서 타측 면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레일홈(F1)의 양측이 가압블럭(122)에 의해 동시에 지지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클램핑홀더의 작용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부재의 작용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살펴보면, 베이스(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이동부(113)가 수직구동부(114)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111)상에 설치된 가이드부(11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베이스(111)에 설치된 하부홀더편(115)과 수직이동부(113)에 설치된 상부홀더편(116)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위프레임(F)이 고정되고, 반대로 수직이동부(113)가 상승하면 단위프레임(F)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홀더(110)를 이용해 단위프레임(F)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프레임(F)의 단부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융착시키게 된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홀더편(115)과 상부홀더편(116)의 판면으로부터 각각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117)가 단위프레임(F)의 단부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가압함으로써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단위프레임(F)의 접합부위가 상,하 방향으로 들떠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가압돌기(117)는 하부홀더편(115) 및 상부홀더편(116)의 판면으로부터 대략 0.5mm정도로 돌출되어 단위프레임(F)의 단부를 가압하는 것이므로, 단위프레임(F)의 상측면과 하측면의 평탄도가 균일하지 않거나 단위프레임(F)과 하부홀더편(115) 및 상부홀더편(116)의 사이에 이물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단위프레임(F)의 접합단부를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인해 양측의 접합단부가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117)가 하부홀더편(115) 및 상부홀더편(116)의 판면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단위프레임(F)의 단부가 가압돌기(117)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한 쌍의 단위프레임(F)을 융착시키기 위해 클램핑홀더(110)를 이용해 단위프레임(F)을 파지한 상태에서는 지지부재(120)를 이용해 레일홈(F1)의 상,하부를 각각 지지함으로써 상기 클램핑홀더(110)의 가압력에 의해 단위프레임(F)의 단면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11)상에 설치된 수평구동부(121)의 전진구동에 의해 구동축(121a)과 연결된 가압블럭(122)이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압블럭(122)이 레일홈(F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블럭(122)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22a)이 레일홈(F1)의 개구부 일측 모서리에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블럭(122)의 선단부 타측은 레일홈(F1)의 내측영역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레일홈(F1)의 내부영역의 타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9와 같이 상기 수평구동부(121)의 구동축(121a)이 전진구동하면 후단부가 구동축(121a)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가압블럭(122)은 레일홈(F1)의 개구부 일측 모서리에 접촉된 가압블럭(122)의 경사면(122a)에 의해 구동축(121a)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가압블럭(122)의 선단부측이 하강하여 가압블럭(122)의 선단부 타측이 레일홈(F1)의 내부영역의 타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블럭(122)과 베이스(111)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블럭(122)이 하측방향으로의 회동하는 것에 의해 탄성압축되는 탄성부재(123)는 양측 단위프레임(F)의 융착이 완료된 뒤 상기 지지부재(120)의 수평구동부(121)가 후진구동하여 가압블럭(122)이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으로부터 이탈하면 탄력적으로 복원하면서 상기 가압블럭(122)을 원래의 높이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선단부 일측에 경사면(122a)이 형성된 가압블럭(122)은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레일홈(F1)의 일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레일홈(F1)의 내부영역의 타측면을 지지함으로써 단위프레임(F)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레일홈(F1)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인해 한 쌍의 단위프레임(F)의 접합단부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가압블럭(122)은 단위프레임(F)의 단면형태가 변형되거나 레일홈(F1)의 크기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레일홈(F1)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단위프레임(F)의 단면형상에 따라 가압블럭(122)을 교환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는 도 10에서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120)가 단위프레임(F)의 일측 단 부에 나란하게 인접 배치된 상태로 설치되며,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120)는 가압블럭(122)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면(122a)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며, 수평구동부(121)나 탄성부재(123)는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부재(120,120') 중 일측에 배치된 지지부재(120)는 도면상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선단 상측에 형성된 경사면(122a)이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 개구부 상측 모서리에 접촉한 상태에서 선단부 하측부분이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 내부영역으로 삽입되어 레일홈(F1)의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120,120') 중 타측에 배치된 지지부재(120')는 도면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선단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122a)이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 개구부 하측 모서리에 접촉한 상태에서 선단부 상측 부분이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 내부영역으로 삽입되어 레일홈(F1)의 상부면을 지지함으로써 단위프레임(F)의 레일홈(F1)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즉, 경사면(122a)이 형성된 가압블럭(122)이 레일홈(F1)의 일측에서는 개구부를 지지하고 타측에서는 내부영역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한 쌍의 지지부재(120,120')를 통해 레일홈(F1)의 양측부분을 각각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힘의 균형을 이루어 단위프레임(F)을 파지하는 가압력에 의해 단위프레임(F)의 형상이 일부영역에서 변형되거나 접합단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종래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창호프레임의 용접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창호프레임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발췌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램핑홀더의 작용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부재의 작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의 평단면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클램핑홀더, 111:베이스, 112:가이드부, 113:수직이동부,
114:수직구동부, 115:하부홀더편, 116:상부홀더편, 117:가압돌기,
120,120':지지부재, 121:수평구동부, 121a:구동축, 122:가압블럭,
122a:경사면, 123:탄성부재

Claims (5)

  1. 삭제
  2. 클램핑홀더를 이용해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의 각 단부를 파지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홀더가 설치되는 베이스; 및,
    선단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홈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수평구동부와, 선단부 일측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수평구동부의 직선운동하는 구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위프레임의 레일홈으로 삽입되는 가압블럭과, 상기 가압블럭을 베이스로부터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단부에 적어도 두개 마련되며, 각각의 지지부재는 가압블럭의 경사면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4. 클램핑홀더를 이용해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의 각 단부를 파지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홀더가 설치되는 베이스; 및,
    선단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홈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홀더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단위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홀더편와, 상기 수직이동부에 설치되어 단위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홀더편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홀더편와 상부홀더편은 단위프레임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판면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KR1020090105124A 2009-11-02 2009-11-02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KR101104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24A KR101104698B1 (ko) 2009-11-02 2009-11-02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24A KR101104698B1 (ko) 2009-11-02 2009-11-02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360A KR20110048360A (ko) 2011-05-11
KR101104698B1 true KR101104698B1 (ko) 2012-01-17

Family

ID=4423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124A KR101104698B1 (ko) 2009-11-02 2009-11-02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1397A (zh) * 2016-11-27 2017-02-15 洛阳丰泰铝业有限公司 一种铝木门框的定位装置
KR20190029983A (ko) * 2017-09-13 2019-03-21 최화순 창호 융착 장치용 열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3675A (zh) * 2018-07-03 2018-11-02 广东港重绿建科技有限公司 工件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110102940B (zh) * 2019-03-21 2021-11-16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插销油缸支架的加工工装和加工方法
KR102148916B1 (ko) * 2020-02-17 2020-08-28 주식회사 우리기계 샤시 용접장치 및 그 용접방법
KR102459870B1 (ko) * 2021-01-28 2022-10-28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조립식 패널의 측면 프레임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370960B1 (ko) * 2021-08-26 2022-03-07 (주)삼송창호 창틀 접합장치
CN116851955B (zh) * 2023-08-22 2024-01-30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水厂过滤池自动加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23A (ko)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코팩이티에스 동축 열사이폰 유로를 장착한 완전 유리식 진공관형태양열 집열기
KR200409323Y1 (ko) * 2005-11-25 2006-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짝틀 용접용 지그장치
KR100899571B1 (ko) * 2008-09-29 2009-05-27 주식회사 한성기계 창호골재 자동용접기계의 창호골재 클램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23A (ko)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코팩이티에스 동축 열사이폰 유로를 장착한 완전 유리식 진공관형태양열 집열기
KR200409323Y1 (ko) * 2005-11-25 2006-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짝틀 용접용 지그장치
KR100899571B1 (ko) * 2008-09-29 2009-05-27 주식회사 한성기계 창호골재 자동용접기계의 창호골재 클램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1397A (zh) * 2016-11-27 2017-02-15 洛阳丰泰铝业有限公司 一种铝木门框的定位装置
KR20190029983A (ko) * 2017-09-13 2019-03-21 최화순 창호 융착 장치용 열판
KR102041016B1 (ko) 2017-09-13 2019-11-05 최화순 창호 융착 장치용 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360A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698B1 (ko) 창호프레임 자동용접기계의 클램핑장치
KR200409323Y1 (ko) 창짝틀 용접용 지그장치
US9341777B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JP4978527B2 (ja) 電気機器の接触子ホルダおよび接触子ホルダの組立方法
JP4750195B2 (ja) ノズルタッチ機構部を備えた射出成形機
KR101986494B1 (ko)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CN111872623A (zh) 一种薄壁焊管的焊接设备
KR102157367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소재 이송장치
KR101821523B1 (ko) 열과 진동을 이용한 융착 장치 및 방법
CN105711083A (zh) 用于对汽车灯具锁定的锁紧机构
KR102033303B1 (ko) 창호용 합성수지 프로파일의 무이음매 용접장치
KR200481848Y1 (ko) 샤시 융착 가공장치
KR20190029983A (ko) 창호 융착 장치용 열판
JP2008044175A (ja) 金型装置
KR100820099B1 (ko) 저압 주조용 금형장치
KR101714071B1 (ko) 도어 프레임의 패킹채널 절곡장치
KR101819373B1 (ko) 몰드체 제조장치
CN218892230U (zh) 一种3d打印线材接合装置
KR102179334B1 (ko) 수지 성형품의 제조 장치, 수지 성형 시스템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CN113909849B (zh) 一种用于组装交叉滚柱的装置及方法
JP4810386B2 (ja) ガラス製壜機の金型開閉装置
JP7135194B1 (ja) 樹脂成形用成形型の製造方法、樹脂成形用成形型、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TWI672867B (zh) 插頭電極之夾持治具
KR101906869B1 (ko) 예열을 수행하는 진동융착장치
KR102502630B1 (ko) 창호 제작을 위한 용접기의 프로파일 고정용 클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