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637B1 -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637B1
KR101104637B1 KR1020100017698A KR20100017698A KR101104637B1 KR 101104637 B1 KR101104637 B1 KR 101104637B1 KR 1020100017698 A KR1020100017698 A KR 1020100017698A KR 20100017698 A KR20100017698 A KR 20100017698A KR 101104637 B1 KR101104637 B1 KR 10110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xed
flat
flat ca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207A (ko
Inventor
이희성
손영진
엄범규
권용장
김경태
이석
김영주
유재균
김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6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63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절적 수요 변동이 많은 무개화차의 공차 운행을 줄이기 위하여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을 운송한 후에 공차로 귀환하는 무개화차로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케 하여 컨테이너의 신속한 수송 및 무개화차의 활용도를 높이고 물류효율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는, 무개화차 적재함의 네 코너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적재함의 외벽에 각각 설치되어 무개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재는. 적재함의 외벽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을 관통하여 삽입된 회전파이프; 상기 회전파이프의 상단(上端)에 고정 설치된 고정대; 상기 회전파이프의 하단부(下端部)에 고정 설치된 회전핸들; 상기 고정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고정핸들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무개화차의 적재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고정부재로 컨테이너를 고정시켜서 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Container fixing apparatus of an open freight car}
본 발명은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절적 수요 변동이 많은 무개화차의 공차 운행을 줄이기 위하여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을 운송한 후에 공차로 귀환하는 무개화차로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케 하여 컨테이너의 신속한 수송 및 무개화차의 활용도를 높이고 물류효율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현재 운행중인 화차는 유개화차(有蓋貨車), 무개화차(無蓋貨車), 평판화차, 조차(槽車), 컨테이너화차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무개화차에는 일반차와 호퍼차(hopper car), 자갈차 등이 있고 총 보유대수는 약 7,000량 정도이며, 상판에 규격화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얹어 운반하는 컨테이너화차는 약 3,000량 정도이다.
유개화차란 화차의 적재함에 지붕이 있는 화차를 말하고, 무개화차란 적재함에 지붕이 없는 화차를 말하는데 유개화차에 적재하지 못하는 장척화물(長尺貨物)이나 특대화물(特大貨物) 또는 무연탄, 광석, 철근 등과 같이 화물이 비에 젖거나 인화의 우려가 없는 화물을 적재하여 운송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는 주로 수·출입 화물운송에 사용되는 화물 적재용기로, 2003년에 제정된 국제대형일반화물 컨테이너의 KS규격(KS A ISO 1496-1)에서 수·출입되는 일반 화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의 치수를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무개화차가 운행되고 있는데, 계절적, 지리적 또는 업무적 요인에 따라 화물을 싣고 운행하지 못하고 운휴(運休) 또는 공차(空車)로 운영되거나 운행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경제적으로 커다란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무연탄 수요가 많은 동절기에는 무연탄을 수송하는 무개화차가 많이 운행되고 있는데, 생산지에서 무연탄을 싣고 수요지에 무연탄을 하역하고 난 다음에는 장거리를 공차로 운행해야 하고, 동절기가 지나간 다음에는 무개화차가 운휴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반면에 컨테이너화차는 수출·입 물동량은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컨테이너화차가 부족하여 화물이 적기에 운송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그렇다고 계속 늘어나는 물동량을 충분히 운송할 수 있을 만큼의 컨테이너화차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너무나도 비효율적이다.
현재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무개화차와 컨테이너화차는 규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행할 수 없게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화물열차의 호환성 부족으로 인하여 화차의 운휴와 공차 운행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없어서 현실적으로 불가피하게 현재와 같이 화차를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이 운휴하거나 공차로 운행하는 화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수 백억원을 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화물열차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철도 화물운송 비용을 줄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절적 수요 변동이 많은 무개화차의 공차 운행을 줄이기 위하여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을 운송한 후에 공차로 귀환하거나 운휴하는 무개화차로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게 하여 컨테이너의 신속한 운송뿐만 아니라 무개화차의 활용도를 높여 물류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는, 무개화차 적재함의 네 코너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적재함의 외벽에 각각 설치되어 무개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재는. 적재함의 외벽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을 관통하여 삽입된 회전파이프; 상기 회전파이프의 상단(上端)에 고정 설치된 고정대; 상기 회전파이프의 하단부(下端部)에 고정 설치된 회전핸들; 상기 고정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고정핸들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무개화차의 적재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고정부재로 컨테이너를 고정시켜서 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는 무개화차 적재함의 앞뒷면 외벽에 각각 2개씩 설치되고, 가이드 플레이트는 평면이 'ㄱ'자 형상이어서 적재함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각각 위치하게 되며, 가이드 플레이트는 적재함의 상단에서 중간 정도 부분까지는 경사진 면을 구비하고 그 이하에서는 수직인 면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는, 무연탄 운송이 많은 무개화차는 계절적 수요 변동이 많은 관계로 동절기를 제외한 기간에는 운휴하는 경우가 많고 무연탄을 운송하고 난 후에 귀환하는 경우에도 공차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무연탄을 운송한 후에 공차로 귀환하거나 운휴하는 무개화차로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여 컨테이너의 신속한 수송뿐만 아니라 무개화차의 활용도를 높이고 컨테이너 화차의 부족 문제도 해결하여 철도 전체의 물류효율화에 기여하고 물류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컨테이너를 무개화차에 적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무개화차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개화차에 설치된 고정장치로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현재 운행되고 있는 무개화차의 적재함의 크기(본 명세서에서 '크기'는 '길이와 폭'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동일하다)와 컨테이너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현재 운행되고 있는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경우 전후방향에서 424㎜, 좌우방향에서 114㎜의 간격이 생겨 곡선을 주행하거나 가감속시 무개화차의 적재함 내에서 컨테이너가 움직이게 되어 대형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컨테이너를 무개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할 수 없으므로, 무개화차의 적재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려면 컨테이너를 고정시켜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고정장치는, 무개화차의 적재함(20)에 컨테이너(10)를 적재하여 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가이드 플레이트(21)와 고정부재(23)로 구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21)는, 무개화차 적재함(20)의 네 코너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적재시키기 위해 하강하는 컨테이너(10)를 안내하게 되는데, 평면이 'ㄱ'자 형상이어서 각 가이드 플레이트(21)는 적재함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각각 위치하게 되고, 길이방향과 폭방향에서 볼 때 적재함의 상단에서 중간 정도 부분(상단에서 높이로 약 ⅔부분)까지는 각각 경사진 면을 구비하고 있고, 그 이하에서 바닥면까지는 수직으로 설계되어 있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경사진 면을 형성해 둠으로써 컨테이너를 무개화차의 적재함에 적재시키기 위하여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컨테이너를 하강시킬 때 컨테이너의 모서리가 가이드 플레이트의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적재함에 원활하게 적재되고, 수직인 면에 의해 컨테이너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고정부재(23)는 무개화차 적재함(20)의 외벽에 설치되어 무개화차의 적재함(20)에 적재된 컨테이너(10)를 고정하는 부재로서, 구성요소로 고정블럭(231), 회전파이프(232), 고정대(233), 회전핸들(234) 및 고정핸들(235)을 구비하며, 무개화차 적재함의 길이방향에서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무개화차 적재함의 앞뒷면에 각각 2개씩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면에 2개씩의 고정대(233)를 설치할 때는 각 고정대(23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블럭(231)은 적재함의 외벽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되고, 회전파이프(232)는 상기 고정블럭(23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며, 회전파이프(232)의 상단(上端)에는 고정대(233)가 고정 설치되고, 회전파이프(232)의 하단부(下端部)에는 회전파이프(23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핸들(234)이 고정 설치되는데, 회전핸들(234)은 회전파이프(23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형상에 상관없으나, 간단한 레버 형상이 적절할 것이다.
고정대(233)는 단부(端部)가 컨테이너(10)의 측벽에 닿아 운행중 컨테이너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平板)이고, 길이가 긴 방향에서 일단부(一端部)가 회전파이프(232)의 일단(一端)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며, 고정대(233)의 타단(他端)은 양측단(일단은 길이가 더 길고, 타단은 길이가 더 짧음)을 연결하는 라운드 형상(즉, 길이가 서로 다른 양단을 연결하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대(233)는 90°회전하여 길이가 긴 쪽의 단부(端部)가 컨테이너(10)의 측벽에 닿아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회전파이프(232)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대(233)의 일측변(즉, 컨테이너에 닿게 되는 변)이 회전하면서 고정대(233)의 일측 모서리가 컨테이너(10)의 측벽에 닿지 않도록 고정대(233)의 일측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즉, 둥글게)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대(233)를 90°회전시켜서 고정대(233)의 일측변이 컨테이너(10)에 닿은 다음에는 그 위치에서 고정대(233)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핸들(235)로 회전파이프(232)를 고정시킨다. 고정핸들(235)은 고정블럭(231)의 일측에 형성한 구멍으로 단부(端部)를 삽입시켜 손잡이를 시계/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고정핸들(235)의 단부가 회전파이프(232)를 압박하면서 회전파이프(232)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컨테이너
20 : 무개화차 적재함
21 : 가이드 플레이트 23 : 고정부재
231 : 고정블럭 232 : 회전파이프
233 : 고정대 234 : 회전핸들
235 : 고정핸들

Claims (4)

  1. 무개화차 적재함의 네 코너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적재함의 외벽에 각각 설치되어 무개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적재함의 외벽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을 관통하여 삽입된 회전파이프;
    상기 회전파이프의 상단(上端)에 고정 설치된 고정대;
    상기 회전파이프의 하단부(下端部)에 고정 설치된 회전핸들;
    상기 고정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고정핸들;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무개화차의 적재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고정부재로 컨테이너를 고정시켜서 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무개화차 적재함의 앞뒷면 외벽에 각각 2개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평면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平板)이고, 길이가 긴 방향에서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회전파이프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고, 타단(他端)은 양측단(일단은 길이가 길고, 타단은 길이가 짧음)을 연결하는 라운드(즉,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평면이 'ㄱ'자 형상이어서 적재함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각각 위치하게 되고, 길이방향과 폭방향에서 볼 때 적재함의 상단에서 중간 정도 부분까지는 각각 경사진 면을 구비하고, 그 이하에서 바닥면까지는 수직인 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KR1020100017698A 2010-02-26 2010-02-26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KR10110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98A KR101104637B1 (ko) 2010-02-26 2010-02-26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98A KR101104637B1 (ko) 2010-02-26 2010-02-26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07A KR20110098207A (ko) 2011-09-01
KR101104637B1 true KR101104637B1 (ko) 2012-01-12

Family

ID=4495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698A KR101104637B1 (ko) 2010-02-26 2010-02-26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2851A (zh) * 2014-12-04 2015-03-25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一种80英尺铁路集装箱专用平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5047C2 (ru) * 2019-03-04 2021-03-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агонпутьмашпроект"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или грузового модуля и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или грузового модуля
CN110450797A (zh) * 2019-08-08 2019-11-15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钢锭保温车
CN110949423A (zh) * 2019-12-03 2020-04-03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导向装置及具有其的车辆
CN113212568B (zh) * 2021-06-22 2023-10-31 湖北宏大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物流车货箱及其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617A (ko) * 1994-08-24 1996-03-22 새로운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조건을 이용한 α-1 프로테이나제 억제제의 정제방법
KR19990002285U (ko) 1997-06-26 1999-01-25 김무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카고트럭의 카고박스
JP2007152966A (ja) * 2005-11-09 2007-06-21 Takao Fukuda ごみ用コンテナ固定装置
WO2009049369A1 (en) 2007-10-17 2009-04-23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Container support for freight wag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617A (ko) * 1994-08-24 1996-03-22 새로운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조건을 이용한 α-1 프로테이나제 억제제의 정제방법
KR19990002285U (ko) 1997-06-26 1999-01-25 김무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카고트럭의 카고박스
JP2007152966A (ja) * 2005-11-09 2007-06-21 Takao Fukuda ごみ用コンテナ固定装置
WO2009049369A1 (en) 2007-10-17 2009-04-23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Container support for freight wag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2851A (zh) * 2014-12-04 2015-03-25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一种80英尺铁路集装箱专用平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07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637B1 (ko) 무개화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US20190375588A1 (en) Robotic cargo handling system and method
CN201566621U (zh) 带活动棚的平车
CN108466676B (zh)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CN105460037A (zh) 一种平车车体
CN202953141U (zh) 一种集装箱船船舱导向装置
CN211032557U (zh) 一种用于卷材的多用途运输车架
RU956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и контейнер (варианты)
CN204250062U (zh) 一种敞车的侧墙结构
RU172999U1 (ru) Специ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закрытого типа
CN206644858U (zh) 一种电池转运料架
CN201736990U (zh) 铁路敞平两用货车车体
CN105722724B (zh) 用于装卸集装箱的车辆、设施以及站
CN112061609B (zh) 一种能够实现快速装卸货的敞顶集装箱
CN201165406Y (zh) 集装箱
CN201030861Y (zh) 弧面端墙铁路敞车
CN201165355Y (zh) 人民币专用托盘
CN102039941A (zh) 自卸车
KR100945009B1 (ko) 다목적 화차의 수송용기
CN110696852A (zh) 一种用于卷材的多用途运输车架
CN207089909U (zh) 一种卷钢运输通用托盘
CN202201360U (zh) 可移动集装箱房及集装箱房运输模组
CN201901148U (zh) 一种铁路货车用整体式柱插
CN206969372U (zh) 集装箱用汽车运输支架
CN205186968U (zh) 圆柱形货物运输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