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577B1 -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577B1
KR101104577B1 KR1020090115019A KR20090115019A KR101104577B1 KR 101104577 B1 KR101104577 B1 KR 101104577B1 KR 1020090115019 A KR1020090115019 A KR 1020090115019A KR 20090115019 A KR20090115019 A KR 20090115019A KR 101104577 B1 KR101104577 B1 KR 10110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al turbine
fixed
rotating shaft
bar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284A (ko
Inventor
박진순
이광수
염기대
오명학
한상훈
이진학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09011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5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유체의 일방향 또는 다방향 흐름에 대하여 연속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회전축에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헬리컬 터빈와, 상기 헬리컬 터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조립체와, 상기 헬리컬 터빈 및 하우징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에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수평방향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은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바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바가 상기 지지기둥에 지지되어 수평방향 회전은 방지되고 수직 이동은 가능해 지므로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분해 및 조립과정 중에 헬리컬 터빈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헬리컬 터빈, 하우징 조립체, 고정바, 지지기둥

Description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SHAFT FIXING SYSTEM OF HELICAL TURBINE}
본 발명은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분해 및 조립과정에서 조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헬리컬 터빈의 회전력에 방해받지 않고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헬리컬 터빈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방지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은 물, 가스, 증기 등의 유체가 가지는 에너지를 유용한 기계적 일로 변환시키는 기계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터빈이 사용되어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로는 조력발전이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조력발전은 조석간만차가 큰 내만에 조력댐을 설치하여 해수의 이동을 차단한 후, 조석 간만 차에 의해 발생하는 조력댐 내/외측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으로 수력발전방식과 유사하다.
그러나 조력발전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위치에너지의 이용이 필요하므로 일정높이 이상의 수위차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필수적으로 방조제를 조성해야 하고 이에 따라 해수가 오염되는 등의 환경문제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헬리컬 터빈이 개발되어 사용중에 있다. 헬리컬 터빈은 미국의 노쓰이스턴(Northeastern) 대학의 고를로프(Gorlov) 교수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유체의 일방향 흐름뿐만 아니라 다중방향 흐름에 대해서도 회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헬리컬 터빈 발전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120)과 프레임 구조물(120)에 설치되고 원통 내부공간을 이루는 하우징 서포터(110)와, 하우징 서포터(11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심부에 헬리컬 터빈(1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조립체(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헬리컬 터빈(130)은 하우징 조립체(1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1)과, 회전축(131)에서 방사형으로 층을 이루도록 짝을 지어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132)와, 층을 이루는 각각의 지지부재(132) 끝단에 연결되고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꼬인 헬리컬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1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 조립체(140)는 하우징 서포터(1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구조의 헬리컬 터빈(130) 및 하우징 조립체(140)를 차례차례 순차적으로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경우, 유체의 흐름에 의해 설치 도중에도 헬리컬 터빈(130)에 회전력이 작용되어 회전되므로 설치 및 분해작업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헬리컬 터빈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그 회전축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헬리컬 터빈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립식 헬리컬 터빈 고정장치는 유체의 일방향 또는 다방향 흐름에 대하여 연속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회전축에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헬리컬 터빈; 상기 헬리컬 터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 조립체; 상기 헬리컬 터빈 및 하우징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에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의 수평방향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은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바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는 헬리컬 터빈의 조립 및 분해 과정 중에 회전축에 고정바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바가 지지기둥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축의 수직방향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됨으로써 헬리컬 터빈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립식 헬리컬 터빈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립식 헬리컬 터빈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상태도로서, 도 3은 고정바가 고정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또 다른 회전축이 얹어지고 고정바가 추가 고정된 상태도이고, 도 5는 하단의 고정바를 해체한 상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립식 헬리컬 터빈 고정장치는 헬리컬 터빈 발전기는 유체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120)과 프레임 구조물(120)에 설치되고 원통 내부공간을 이루는 하우징 서포터(110)와, 하우징 서포터(11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심부에 헬리컬 터빈(1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조립체(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헬리컬 터빈(130)은 하우징 조립체(1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연결되는 다수개의 회전축(131)과, 각각의 회전축(131)에서 방사형으로 층을 이루도록 짝을 지어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132)와, 층을 이루는 각각의 지지부재(132) 끝단에 연결되고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꼬인 헬리컬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133)로 이루어진다.
각 회전축(131)의 양 끝단부에는 볼트(11) 체결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체결홈(11a)이 구비된 플렌지부(131a)가 형성되고, 플렌지부(131a)에는 고정바(12)가 방사형으로 돌출되도록 볼트(11)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바(12)는 일정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끝단에는 볼트(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홀(12a)이 관통된다.
또한 회전축(131)과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진 지지기둥(13)이 형성되고, 지지기둥(13)은 고정바(12)의 타측 끝단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립식 헬리컬 터빈 고정장치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을 조립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터빈(130)과 하우징 조립체(14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면서 회전축(131)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바(12)를 장착한다. 이때 고정바(12)는 플렌지부(131a)의 상면측에 장착되거나 저면측에 장착될 수 있으나, 또 다른 회전축(131)을 후에 추가로 장착하기 위해서는 저면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된 고정바(12)는 헬리컬 터빈(13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다가 지지기둥(13)에 접촉되면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고정바(12)가 지지기둥(13)에 지지되면서 수평 방향의 회전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 상태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헬리컬 터빈(130)을 이루는 회전축(131)을 추가로 연결한 후, 연결된 회전축(131)에 고정바(12)를 추가로 연결하여 추가된 고정바(12)도 지지기둥(13)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단의 고정바(12)가 지지기둥(13)에 지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설치되었던 고정바(12)를 제거한 후, 상단에 위치하던 고정바(12)가 지지기둥(13)에 지지된 상태로 헬리컬 터빈(130) 및 하우징 조립체(140)와 함께 수직 방향으로 하강 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유체의 흐름에 의해 헬리컬 터빈(1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분해 작업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고정바(12)가 지지기둥(13)에 지지되어 수평 회전운동을 방지되고 수직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하여 분해 과정 중에 헬리컬 터빈(1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조립식 헬리컬 터빈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립식 헬리컬 터빈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상태도로서,
도 3은 고정바가 설치된 상태도,
도 4는 또 다른 회전축이 얹어지고 고정바가 추가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하단의 고정바를 해체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고정바 13 : 지지기둥
130 : 헬리컬 터빈 131 : 회전축

Claims (3)

  1. 유체의 일방향 또는 다방향 흐름에 대하여 연속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회전축에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헬리컬 터빈; 및
    상기 헬리컬 터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 조립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헬리컬 터빈 및 하우징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에 일측 끝단이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의 수평방향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은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바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회전축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 끝단부에 고정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양 끝단부에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체결홈이 구비된 플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플렌지부의 체결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KR1020090115019A 2009-11-26 2009-11-26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KR10110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019A KR101104577B1 (ko) 2009-11-26 2009-11-26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019A KR101104577B1 (ko) 2009-11-26 2009-11-26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284A KR20110058284A (ko) 2011-06-01
KR101104577B1 true KR101104577B1 (ko) 2012-01-11

Family

ID=4439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019A KR101104577B1 (ko) 2009-11-26 2009-11-26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1352B (zh) * 2017-11-06 2019-11-05 国网四川省电力公司遂宁供电公司 一种用于立式水轮机转动部分的荷重转移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334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테스트용 무단변속기의 고정장치
KR100814859B1 (ko) * 2006-11-29 2008-03-20 한국해양연구원 조립식 헬리컬 터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334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테스트용 무단변속기의 고정장치
KR100814859B1 (ko) * 2006-11-29 2008-03-20 한국해양연구원 조립식 헬리컬 터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284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495B1 (ko) 조립식 헬리컬 터빈
KR101143144B1 (ko) 다리우스형 풍력발전장치
US8444374B2 (en) Impulse hydro electric turbine comprising rotating nozzles
KR20160092420A (ko) 소수력 발전장치
KR101104577B1 (ko) 조립식 헬리컬 터빈의 회전축 고정장치
KR100814859B1 (ko) 조립식 헬리컬 터빈
KR100929494B1 (ko) 조립식 헬리컬 터빈
JP2009024543A (ja) 河川設置用水車の製造方法
JP5518275B1 (ja) 水車発電装置
KR20100007002A (ko)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KR20110013654A (ko)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KR101471398B1 (ko) 키가 있는 반원통형 커버가 구비된 수ㆍ조력 발전 회전장치
US200601088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well pressures
KR200196189Y1 (ko) 분수용 노즐 구동장치
KR20120012542A (ko) 풍력발전기
KR101393854B1 (ko)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KR101516205B1 (ko) 수직형 발전 장치
JP2023161058A (ja) 発電
JP5278726B6 (ja) 流水の運動エネルギーを利用するための装置
KR101062084B1 (ko) 헬리컬 터빈 실험장치
KR101082532B1 (ko) 저(低) 저항 바람 유도장치를 구비한 파워 발전장치
KR20100046656A (ko) 수륙양용 풍력발전 장치
KR20190009888A (ko) 자성체를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KR20060084334A (ko) 대형바람깃발판을 바람의 방향에 따라 변형시켜 풍력을효율적으로 동력화하여 발전,펌푸,동력으로 사용하는 방법
JP2011163334A (ja) 垂直軸風車用二重軸と発電機増速用組み立て式円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