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412B1 - 통합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412B1
KR101104412B1 KR1020110074773A KR20110074773A KR101104412B1 KR 101104412 B1 KR101104412 B1 KR 101104412B1 KR 1020110074773 A KR1020110074773 A KR 1020110074773A KR 20110074773 A KR20110074773 A KR 20110074773A KR 101104412 B1 KR101104412 B1 KR 10110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ing
case
module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복
신기환
이정원
배성한
Original Assignee
(주)진명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명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진명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1007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6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repeated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a singl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합 방송 시스템은 컨트롤러와, 메트릭스와, 문자 발생기와, 원격제어부와, 녹화부와, 전원공급부의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 시스템은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을 하나의 단위체로 결합시키는 방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유닛은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중 일부 모듈이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중 나머지 모듈이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의 입출력 단자가 결합되는 커넥터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삽입된 다수개의 방송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방송 시스템{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어부와, 출력부와, 예약부와, 알람부와, 자막기와, 스위칭부와, 녹화부와, 원격제어부가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송 시스템은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통해서 널리 듣고 볼 수 있게 소리나 영상을 전자파로 바꾸어 송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송시스템은 공중파, 케이블, 전광 방송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전관 방송 시스템은 아파트나, 사무실 빌딩이나, 호텔과 같은 건물에서 원하는 지역 전체, 층별, 구역별로 구분하여 방송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학교에 설치되는 방송 시스템은 중앙 방송실에 송신 장치를 설치하고, 각 교실 등에 스피커 혹은 텔레비젼과 같은 수신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중앙 방송실에서 각 학급으로 방송을 실시하게 된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오디오 방송 뿐만 아니라 영상방송도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방송시스템의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25923호(발명의 명칭: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와, 한국등록특허 제 10-0756366호(발명의 명칭:디지털 다원화 방송 제어장치) 등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는, 컨트롤부와, 메트릭스부와, 자막기와, 스위칭부와, 녹화부와, 원격제어부 등의 개별 방송모듈들이 케이블 등의 신호전달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방송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송 시스템은 복수개의 방송모듈들을 서로 연결하여 방송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므로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장소를 옮겨서 방송 시스템을 재설치하는 경우, 복수개의 방송모듈을 분리한 후 다시 이동하여 재설치하여야 하므로 방송 시스템의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방송모듈들을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통합 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모듈을 설치하는 경우 간편하게 서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 모듈을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트롤러와, 메트릭스와, 문자 발생기와, 원격제어부와, 녹화부와, 전원공급부의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 시스템은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을 하나의 단위체로 결합시키는 방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유닛은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중 일부 모듈이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 중 나머지 모듈이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의 입출력 단자가 결합되는 커넥터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삽입된 다수개의 방송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은 컨트롤러와, 메트릭스와, 문자 발생기와, 스위칭부와, 녹화부와, 원격제어부와 같은 복수개의 방송모듈들을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방송 시스템 구축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방송모듈을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된 커넥터의 플러그가 방송모듈의 입출력단자에 자동으로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방송모듈이 간편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내측에 볼형의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방송모듈을 케이스의 내부에 간단하게 밀어넣는 방식에 의하여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각 방송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개의 방송모듈과 단일 유닛에 장착된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송모듈이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송모듈과 이 방송모듈을 단일 유닛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방송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송 시스템은 방송의 송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와; A/V신호의 입출력 단자(P)가 복수개의 채널씩 구비되어 채널별로 방송 영상이 송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메트릭스(Matrix;3)와; 영상신호에 자막을 삽입하는 문자 발생기(Character Generator;5)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중계하여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스위칭부(Swicher;7)와; 상기 스위칭부(7)와 연결되어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녹화부(9)와; 원격지에서도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1)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부(11)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는 방송 송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방송 송출을 위한 환경을 설정하거나 방송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1)는 모니터에 연결됨으로써, A/V 신호를 모니터 상에서 믹싱하여 방송할 영상을 편집하고, 각 채널별 영상의 모니터링 등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는 방송 컨텐츠의 다양한 영상 확장자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다. 즉, avi, mpeg, tp, ts, mkv, wmv, mp4 등 다양한 영상 확장자를 갖는 방송 컨텐츠들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컨트롤러(1)는 다수개의 입출력단자(P;도4)가 구비되어 다른 방송모듈(M1,M2,M3,M4), 즉 메트릭스(3), 문자 발생기(5), 스위칭부(7), 녹화부(9)와, 원격제어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입출력신호를 각각의 방송모듈(M1,M2,M3,M4)로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출력 단자(P)의 갯수는 방송 시스템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에는 예약부가 구비됨으로써 방송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예약함으로써 방송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에 구비된 타이머(Timer) 등을 이용하여 방송시간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시간에 방송이 자동으로 시작 또는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컨트롤러(1)는 전원 공급부(13)와도 연결됨으로써 자동 웨이크업/오프(Wake up/Off) 기능이 가능하다. 즉, 스케쥴러(Scheduler)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에 전원이 자동으로 온(On) 혹은 오프(Off) 될 수 있다.
상기 메트릭스(3)는 일측에 다수개의 입출력 단자(P)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1)와, 외부의 영상 혹은 음성 입력장치들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메트릭스(3)는 카메라와, 믹서기와, 마이크 등과 같은 방송 송출을 위한 소스와 연결되어 A/V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메트릭스(3)의 입출력 단자(P)는 방송 송출규격에 따라 적절한 갯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릭스(3)는 상기 컨트롤러(1)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A/V 신호의 입출력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문자 발생기(Character Generator;5)는 글자 혹은 기호 등의 자막 내용을 코드로 변환하여 인서터를 통해 방송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발생기(5)도 다수개의 입출력단자(P)가 배치됨으로써 자막신호 및 영상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문자 발생기(5)는 방송 시스템에 의하여 송출되는 영상신호에 필요에 따라서는 자막을 삽입하여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7)는 여러 방송 영상을 각 채널별로 필요한 곳에 분배하여 송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위칭부(7)도 일측에 입출력단자(P)가 배치됨으로써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부(7)도 일측에 다수개의 입출력 단자(P)가 배치됨으로써 방송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부(11)는 원격지에서 방송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원격 제어부(11)는 원격지에서 방송 시스템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고, 또한 방송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도 있다.
상기 녹화부(9)는 텔레비젼(TV)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녹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공중파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된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한 후, 이 방송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녹화부(9)도 일측에 다수의 입출력단자(P)가 배열됨으로써 방송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13)는 컨트롤러(1)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전원을 온/오프(ON/OFF)하며,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원 입출력단자(P)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3)는 상기 컨트롤러(1)의 예약부와 연결됨으로써 예약기능이 가능하다. 즉, 방송 시간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송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방송 시스템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컨트롤러(1)의 입력채널을 통해 입력되면, 컨트롤러(1)에서 소정의 입력 채널을 선택하여, 선택된 입력 채널의 방송신호를 신호 증폭부를 통하여 스피커 혹은 모니터를 통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방송모듈(M1,M2,M3,M4)로 구성된 방송시스템은 하나의 방송유닛(20)으로 통합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유닛(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모듈(M1,M2)이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케이스(First case;21)와; 제 1케이스(21)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모듈(M3,M4)이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케이스(Second case;23)와;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21,23)의 내부에 장착되어 방송모듈(M1,M2,M3,M4)의 입력단자(P)가 결합되는 커넥터(Connector;25)와; 제 1 및 제 2케이스(21,23)의 내부에 구비되어 삽입된 방송모듈(M1,M2,M3,M4)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방송유닛에 있어서, 제 1케이스(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레일(Rail;29)에 의하여 다수개로 구획된다.
즉, 상기 제 1케이스(21)의 내측 바닥부와 천정부에는 레일(29)이 각각 배치되며, 이 레일(29)은 "ㄱ"자 단면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방송모듈(M1,M2)이 제 1케이스(2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방송모듈(M1,M2)의 각 모서리가 레일(29)에 안착된 상태에서 미끄럼 접촉을 하게 된다.
이때, 제 1케이스(21)에 삽입되는 다수의 방송모듈(M1,M2)은 컨트롤러(1)와, 메트릭스(3)와, 문자 발생기(5)와, 스위칭부(7)와, 녹화부(9)와, 원격제어부(11) 중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모듈(M1,M2)이 제 1케이스(21)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재(27)에 의하여 정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9)에 형성된 안착홈(31)의 내측에 안착된 고정볼(33)과; 이 고정볼(33)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5)와; 상기 탄성부재(35)의 측방향을 지지하는 브래킷(Bracket;37)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볼(33)은 상기 탄성부재(35)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므로, 그 상부는 안착홈(31)의 외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탄성부재(35)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33)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브래킷(37)은 탄성부재(35)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5)가 고정볼(33)을 지지하는 경우, 상기 브래킷(37)은 탄성부재(35)가 측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재(27)는, 방송모듈(M1,M2)이 레일(29)에 안착된 상태에서 미끄럼 접촉방식에 의하여 제 1케이스(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방송모듈(M1,M2)의 상면(42)과 하면(40)이 이 고정볼(33)에 접촉하여 가압하게 되고, 고정볼(33)이 안착홈(31)의 내측으로 눌려짐으로써 방송모듈(M1,M2)이 이 고정볼(33)을 타고 넘어서 제 1케이스(2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모듈(M1,M2)이 제 1케이스(2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안착홈(31) 위치에 방송모듈(M1,M2)의 상면(42) 및 하면(40)에 형성된 걸림홈(h)이 위치하게 되므로, 고정볼(33)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걸림홈(h)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방송모듈(M1,M2)은 제 1케이스(2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방송모듈(M1,M2)들을 제 1케이스(21)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다.
반대로, 방송모듈(M1,M2)을 제 1케이스(21)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에는, 방송모듈(M1,M2)의 손잡이(61)를 잡고 외측으로 당기면 걸림홈(h)에 걸린 상태의 고정볼(33)이 안착홈(31)의 내측으로 눌려진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5)는 고정볼(33)에 의하여 눌려져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방송모듈(M1,M2)이 레일(29)을 따라 미끄럼 접촉을 하면서 제 1케이스(21)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제 2케이스(23)는 제 1케이스(21)와 동일한 구조의 레일(29)과 고정부재(27)가 구비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2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케이스(21) 및 제 2케이스(23)의 내측에 각각 장착되며, 이러한 커넥터(25)는 신호버스(B)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방송모듈(M1,M2)이 삽입되는 경우 방송모듈(M1,M2)의 입출력 단자(P)에 자동으로 연결됨으로써 신호버스(B)를 통하여 이웃한 방송모듈(M1,M2)과 신호전달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25)는 제 1케이스(21) 혹은 제 2케이스(23)의 내측에 고정되는 몸체(50)와; 상기 몸체(5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52)에 장착되는 탄성편(54)과; 상기 탄성편(54)에 삽입되며, 방송모듈(M1,M2)의 입출력 단자(P)에 삽입되어 방송모듈(M1,M2) 신호가 전송되는 다수의 플러그(5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25)에 있어서, 상기 몸체(50)에는 다수의 관통홀(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관통홀(52)은 각 방송모듈(M1,M2)의 입출력 단자(P)와 동일 높이, 즉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56)가 관통홀(52)에 삽입된 상태에서, 방송모듈(M1,M2)이 제 1케이스(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56)가 방송모듈(M1,M2)의 입력단자(P)에 자동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54)은 관통홀(52)의 내측에 장착되며, 일측(55)은 상기 관통홀(52)의 내측벽면에 고정되고, 타측(57)은 상기 탄력편(54)의 일측(55) 단부에 연결되어 일측(55)과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나란하게 진행된다.
이때, 상기 타측(57)은 관통홀(52)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56)가 관통홀(52)에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56)가 상기 탄성편(54)을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56)는 다수의 관통홀(52)에 각각 삽입되며 도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플러그(56)는 방송모듈(M1,M2)의 입력단자(P)에 삽입됨으로써 방송모듈(M1,M2)의 신호를 이웃한 방송모듈(M1,M2)로 전송한다.
이러한 플러그(56)는 방송모듈(M1,M2)의 규격에 맞게 적절한 개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송모듈(M1,M2)의 입력단자(P)수에 비례하여 플러그(56)의 갯수도 적절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모듈(M1,M2)의 입력단자(P)가 16단자(P)인 경우, 플러그(56)도 16개가 구비됨으로써 방송모듈(M1,M2)의 입출력단자(P)의 신호를 이웃한 방송모듈(M1,M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모듈(M1,M2)의 입력단자(P)가 8단자(P)인 경우에는, 16개의 플러그(56) 중 8개를 삭제하고 8개만을 남김으로써 방송모듈(M1,M2)의 입출력 단자(P)에 삽입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케이스(21)의 내부에 방송모듈(M1,M2)이 삽입되는 경우, 레일(29)을 따라 미끄럼 접촉을 하면서 삽입되고, 이때, 커넥터(25)의 플러그(56)가 입력된 방송모듈(M1,M2)의 입력단자(P)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또한, 방송모듈(M1,M2)은 레일(29)의 고정부재(27)에 의하여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방송모듈(M1,M2)이 삽입된 구역의 이웃한 구역에도 방송모듈(M1,M2)이 삽입되며, 이 방송모듈(M1,M2)의 입력단자(P)도 이웃한 커넥터(25)의 플러그(56)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서로 이웃한 커넥터(25)들은 신호버스(B)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 1케이스(21)에 삽입된 다수의 방송모듈(M1,M2)은 이웃한 커넥터(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호버스(B)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방송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25)들을 연결하는 수단은 신호버스(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호 케이블과 같은 수단들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케이스(23)의 커넥터(25)는 제 1케이스(21)의 커넥터(2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2케이스(23)는 절첩부재(59)에 의하여 제 1케이스(21)와 연결됨으로써 필요시 접거나 펼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케이스(21,23)를 펼친 상태에서, 다수의 방송모듈(M1,M2,M3,M4)을 제 1 및 제 2케이스(21,23)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시 제 1 및 제 2케이스(21,23)를 접어서 고정시킨 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송시스템은 컨트롤러(1)와, 메트릭스(3)와, 문자 발생기(5)와, 전원 공급부(13)와, 원격 제어부(11)를 방송유닛(20)에 의하여 하나로 결합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
1: 컨트롤러 3: 메트릭스
5: 문자발생기 7:스위칭부
9: 녹화부 11: 원격 제어부
13: 전원 공급부 20: 방송 유닛
21,23: 제 1 및 제 2케이스
25:커넥터 29: 레일
31: 안착홈 33: 고정볼
35: 탄성부재 37: 브래킷
50: 몸체 52: 관통홀
54: 탄성편
M1,M2,M3,M4: 방송모듈

Claims (5)

  1. 다수개의 방송모듈로 구성되는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 시스템은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을 하나의 단위체로 결합시키는 방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유닛은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중 일부 모듈이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에 절첩부재에 의하여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중 나머지 모듈이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방송모듈의 입출력 단자가 결합되는 커넥터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삽입된 다수개의 방송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케이스와 제 2케이스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에 장착되는 탄성편과;
    상기 방송모듈의 입출력 단자의 수에 따라 마련되어 상기 탄성편에 삽입되며, 상기 방송모듈이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방송모듈의 입출력 단자에 삽입되어 방송모듈 신호가 전송되는 다수의 플러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를 접어서 이동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케이스는 내부의 바닥부 및 천정부에 레일이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방송모듈인 컨트롤러와, 메트릭스와, 문자 발생기와, 원격제어부와, 녹화부가 이 레일에 의하여 미끄럼 접촉 방식에 의하여 제 1 및 제 2케이스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방송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안착홈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볼과;
    상기 고정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측방향을 가이드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일측은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편의 일측에 연결되어 일측과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나란하게 진행되며, 상기 타측은 관통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경사진 형상을 갖는 방송시스템.
KR1020110074773A 2011-07-27 2011-07-27 통합 방송 시스템 KR10110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773A KR101104412B1 (ko) 2011-07-27 2011-07-27 통합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773A KR101104412B1 (ko) 2011-07-27 2011-07-27 통합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412B1 true KR101104412B1 (ko) 2012-01-16

Family

ID=4561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773A KR101104412B1 (ko) 2011-07-27 2011-07-27 통합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4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755A (ja) * 1994-11-07 1998-03-10 エロネックス・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ジュール式携帯用コンピュータ
KR200285747Y1 (ko) * 2002-03-28 2002-08-14 주식회사 일능 통신용 장비를 적재하기 위한 마운팅 랙
KR20020085747A (ko) * 2001-05-09 2002-11-16 오정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주문형 관광방송시스템및 그 방법
KR20030013939A (ko) * 2001-08-10 200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호 결합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이루어진 셋톱박스
KR20080008886A (ko) * 2006-07-21 2008-01-24 (주)와이즈그램 기능 확장형 연동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755A (ja) * 1994-11-07 1998-03-10 エロネックス・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ジュール式携帯用コンピュータ
KR20020085747A (ko) * 2001-05-09 2002-11-16 오정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주문형 관광방송시스템및 그 방법
KR20030013939A (ko) * 2001-08-10 200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호 결합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이루어진 셋톱박스
KR200285747Y1 (ko) * 2002-03-28 2002-08-14 주식회사 일능 통신용 장비를 적재하기 위한 마운팅 랙
KR20080008886A (ko) * 2006-07-21 2008-01-24 (주)와이즈그램 기능 확장형 연동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334B1 (ko) 무선 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제어 장치
KR20040016801A (ko) 전자 기기 제어 장치 및 전자 기기 제어 방법
CN102714758A (zh) 用于操作多室数字视频记录系统的方法和系统
KR20110059204A (ko) 미디어 처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118597A (zh) 设备控制装置、设备控制方法和计算机程序
EP2160855B1 (en) Multimedia and multichannel information system
CN100596179C (zh) 用于提供简化对等记录的方法和设备
KR101104412B1 (ko) 통합 방송 시스템
CN102223583A (zh) 一种电视机遥控方法、装置及系统
KR101980520B1 (ko)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3312884B (zh) 一种播放方法及设备
CN105264882A (zh) 显示装置的功能扩展件及其控制方法
CN101674438B (zh) 广播接收装置及其控制方法
CN102802072A (zh) 广播接收器及广播接收器控制方法
CN203327188U (zh) 一种电视机顶盒及数字家庭系统
CN101573966A (zh) 将音频/视频信号从电视内部调谐器路由到远程设备的方法
KR101094226B1 (ko) 3차원 방송 시스템
KR102255141B1 (ko) 수신부가 구비된 빔 프로젝터
KR100751144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9990010967A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KR100419922B1 (ko) 지향성 tv방송 시스템
KR20090028155A (ko) 존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1135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01063719Y (zh) 箱式演播室系统
JP2012058557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