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967A -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967A
KR19990010967A KR1019970033876A KR19970033876A KR19990010967A KR 19990010967 A KR19990010967 A KR 19990010967A KR 1019970033876 A KR1019970033876 A KR 1019970033876A KR 19970033876 A KR19970033876 A KR 19970033876A KR 19990010967 A KR19990010967 A KR 1999001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reservation
recording
pow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6915B1 (ko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915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부가적인 서비스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방송 예정 프로그램정보들이 방송 예정시간의 경과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프로그램 안내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들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프로그램을 예약 설정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본 발명은 텔레비젼(Television: 이하 TV라 함)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TV 수상기에서 부가적인 서비스(service)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TV 수상기나 VCR(Video Cassette Recorder)과 같은 가전제품들은 각각의 기본적인 기능이외에 각종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부가적인 서비스의 한가지로서 예약 서비스가 있다. 예를들어 TV 수상기는 전원 예약 서비스를 채용하여 왔었는데, 이는 사용자가 전원 온(on)/오프(off)시각을 예약하면 예약시각에 자동으로 전원이 온되거나 오프되는 기능이다. 이때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는 대기(standby)상태로 된다. 이러한 전원 예약 서비스에 있어서 전원 온을 예약할 경우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채널(channel)도 예약해 놓을 수도 있었다. 그러면 예약시각에 전원 온될 경우 예약된 채널을 자동으로 선국하여 출력한다.
또한 TV 수상기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VCR에 있어서도 예약 서비스의 하나로서 예약녹화기능을 채용하여 왔었다. 이는 미래에 방송 예정된 프로그램에 대해 사용자가 시작시각을 입력하거나 프로그램 정보인 G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예약하면, 예약된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예약 서비스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예약을 설정할 때 원하는 시각, 프로그램정보등과 같은 예약정보를 일일이 입력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HD 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송과 같은 차세대 디지털 TV방송은 RF(Radio Frequency) 채널의 개수가 아날로그 TV방송에 비해 훨씬 더 많아진다. 이뿐만아니라 필요할 때 필요한 서비스에 필요한 비트율을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 즉, 하나의 RF 채널의 한정된 전송 대역폭에서 다수의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프로그램 편성에서 어떤 시간대는 SD 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프로그램을 다채널로, 또 어떤 시간대는 HD TV 프로그램을 1채널로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디지털 TV 방송에 있어서는 RF 채널의 개수가 많아질 뿐만아니라 하나의 RF 채널에서도 다수의 프로그램이 방송될 수 있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폭넓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TV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디지털 TV 수상기에도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예약하여 시청하거나 녹화를 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를 상기한 바와 같은 예약 서비스 형태로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RF 채널 및 프로그램의 개수가 많음에 따라 사용자가 예약을 할 때 그만큼 어려움을 겪게 되며 예약정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도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TV 수상기에 있어서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를 종래의 예약 서비스 형태로 채용할 경우 RF 채널 및 프로그램의 개수가 많음에 따라 사용자가 예약을 할 때 그만큼 어려움을 겪게 되며 예약정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도 여전히 존재할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TV 수상기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설정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을 위한 프로그램 안내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확인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실행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오프시 처리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방송 예정 프로그램정보들이 방송 예정시간의 경과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프로그램 안내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들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프로그램을 예약 설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TV 방송에 있어서는 RF 채널의 개수가 많아질 뿐만아니라 하나의 RF 채널에서도 다수의 프로그램이 방송될 수 있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여러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디지털 TV 수상기의 화면에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의 HD TV와 같은 디지털 방송의 예를들면 독특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함)를 규정하여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방송국에서 각 RF 채널마다 EPG 정보를 송출하고, 디지털 TV 수상기에서는 EPG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요구할 때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EPG의 예는 미국 ATSC(United States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규격(standard)을 들 수 있다.
상기한 EPG 정보는 방송 예정된 프로그램들에 대해 제목, 방송국명, 방송 시작시각 및 종료시각등의 정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EPG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국명, 방송 시작시각 및 종료시각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블록구성도로서, 디지털 TV 수상기의 예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규격을 채용하는 HD TV 수상기(100)의 블록구성을 보임과 아울러 TV 수상기(100)에 녹화장치(102)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한 예를 보인 것이다. 녹화장치(102)는 예를들어 DVCR(Video Cassette Recorder)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표준으로 채택된 IEEE 1394를 사용한다. 상기 IEEE 1394는 PC(Personal Computer)와 그 주변기기(마우스, 프린터, 스캐너등)간의 접속만 허용하던 기존의 인터페이스장치와는 달리 멀티미디어 PC, HD TV 수상기, 셋탑(set top)박스, DVCR, DVD(Digital Video Disc) 플레이어등과 같은 차세대 멀티미디어기기간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송수신등 완벽한 실시간 정보교환까지 가능하다.
상기한 TV 수상기(100)에서 튜너(tuner)(108)는 안테나(106)를 통한 방송 수신신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RF 채널을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126)의 제어에 따라 선국한다. 이에따라 튜너(108)에서는 채널 선국된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가 출력되고 IF 모듈(module)(110)에서 베이스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되어 채널 디코더(decoder)(112)로 출력된다. 채널 디코더(112)는 IF 모듈(110)로부터 입력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채널 복호화하여 TS(Transport Stream)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해 낸다. 이와같이 재생된 데이터 스트림은 TS 디코더(114)에 의해 TS 디코딩되어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부가 데이터로 각각 분리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116)에 인가되어 MPEG 규격 또는 돌비(Dolby) AC-3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118)에서 처리된후 스피커(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된다.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120)에 인가되어 MPEG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OSG(On Screen Graphic) 믹서(mixer)(122)에 인가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의 제어에 따른 OSG 데이터와 합쳐져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124)에서 처리된후 수상관(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화면상에 출력된다. 여기서 OSG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6)가 화면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TV 수상기(100)의 제어부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30)를 통해 키패드(keypad)(132)와 IR(Infrared) 수신부(136)가 접속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키패드(132)나 IR 수신부(136)를 통해 IR 리모트(remote)(134)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동작을 메모리부(128)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한다. 여기서 IR 리모트(134)는 에어 마우스(mouse)와 같은 무선 마우스나 리모콘(REMOCON: Remote Controller)등이 될 수 있고, IR 리모트(134)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은 IR신호로 IR 수신부(136)에 수신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 인가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는 TS 디코더(114)로부터 부가 데이터가 인가되는데, 이러한 부가 데이터에는 MPEG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대한 테이블인 프로그램 사양정보, 즉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와 전술한 EPG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 연결되는 RTC(Real Time Clock)(138)는 현재 시각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 제공한다. 이와같이 RTC(138)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시각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통상적인 시각표시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12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과,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RAM: Randoem Access Memory)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등을 구비한다.
또한 전원장치(1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의 제어에 따라 도 1의 각 부분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데, 동작전원은 정상동작을 위한 전원과 별도의 보조전원도 공급된다. 상기 보조전원은 대기상태의 전원과 녹화상태의 전원으로 구분된다. 대기상태의 전원은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TV 수상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대기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키패드(132), IR 수신부(136), RTC(138)등만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다. 이러한 대기상태의 전원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전원이 오프된 대기상태에서도 키패드(132) 또는 IR 리모트(134)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리고 녹화상태의 전원은 TV 수상기(100)가 대기상태인 경우에 녹화장치(102)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때 최소로 필요한 부분들만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다. 그러므로 녹화상태의 전원은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에 필요한 부분들을 제외한 부분들, 즉 튜너(108), IF 모듈(110), 채널 디코더(112), TS디코더(114), 마이크로 프로세서(126),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키패드(132), IR 수신부(136), RTC(138), IEEE1394 인터페이스부(142)등만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다. 이와 같이 전원을 필요에 따라 달리 공급하는 기술은 통상적인 전원절약(power saving)을 위한 전원 관리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TV 수상기(100)와 녹화장치(102)는 상기한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IEEE 1394 케이블(104)에 의해 연결되는데, IEEE 1394 케이블(104)은 TV 수상기(100)의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42)와 녹화장치(102)의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46)간을 연결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42,14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와 녹화장치(102)간의 정보교환을 인터페이스하며, TV 수상기(100)의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42)는 채널 디코더(112)의 출력단에 TS 디코더(114)와 공통으로 접속되어 녹화장치(102)와 TS 데이터 스트림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튜너(108), IF 모듈(110), 채널 디코더(112), 오디오 디코더(116),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118), 비디오 디코더(120), OSG 믹서(122),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124), 메모리부(128),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4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 연결되는 버스(144)를 통해 접속된다.
도 2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디지털 TV 수상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설정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2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28)의 롬에 프로그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설정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키패드(132) 또는 IR 리모트(134)를 통해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요구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이에 응답하여 도 2의 (200)단계에서 OSG 믹서(122)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도 3으로서 예를들어 보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안내화면(300)은 방송 예정 프로그램정보들을 방송 예정시간의 경과에 대응되게 표시한다. 즉, 프로그램 안내화면(300)의 좌측에 세로 방향으로 방송국명들을 표시하고, 가로 방향으로 해당 방송국에서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과 방송 예정 프로그램들을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시각에 대응되게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안내화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되는 부가데이터에 포함된 EPG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하며,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EPG 정보를 메모리부(128)에 저장 및 갱신(update)해 놓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보고 사용자는 방송 예정 프로그램정보들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202)∼(206)단계에서 키패드(132) 또는 IR 리모트(134)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사용자는 프로그램 안내화면에서 프로그램들을 검색하거나 검색후 종료 또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그램 예약을 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프로그램 안내화면(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중 프로그램 예약하고자하는 하나의 방송 예정 프로그램을 키패드(132) 또는 IR 리모트(134)를 통한 키입력이나 마우스 클릭(click)에 의해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20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0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도 4로서 예를들어 보인 예약 확인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210)단계에서 예약 확인 여부를 대기한다. 도 4에 보인 예약 확인화면(400)은 텔레비젼 예약모드와 녹화 예약모드중 하나의 예약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화면이다. 상기 텔레비젼 예약모드는 사용자가 예약한 프로그램을 예약시각에 시청하고자 할 경우 선택하고, 녹화 예약모드는 사용자가 예약한 프로그램을 녹화장치(102)로서 녹화하고자 할 경우 선택하면 된다. 이때 예약모드 선택방법은 사용자가 예약 확인화면(400)상에서 TV 예약 체크박스(check box)(402) 또는 녹화 예약 체크박스(404)를 키패드(132) 또는 IR 리모트(134)를 통한 키입력이나 마우스 클릭에 의해 선택하고 확인 아이콘(icon)(406)을 선택하면 된다. 이때 만일 사용자가 예약을 원치 않는 경우라면 예약 확인화면(400)상의 취소 아이콘(408)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 (210)단계에서 사용자가 예약 확인화면(400)상에서 취소 아이콘(408)을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상기 (200)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이와달리 사용자가 예약 확인화면(400)상에서 TV 예약 체크박스(402) 또는 녹화 예약 체크박스(404)를 선택하고 확인 아이콘(406)을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21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해 메모리부(128)에 예약정보를 저장하여 예약 설정한후 상기 (200)단계로 돌아간다. 이때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그램 안내화면(300)상에서 마우스 커서(302)를 ABC방송의 오전 11시 30분에 방송 예정인 프로그램 2에 위치시키고 선택하였다면, ABC방송의 프로그램 2를 예약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선택된 프로그램의 채널번호와 시작시각과 같이 예약에 필요한 정보는 EPG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단지 프로그램 안내화면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예약이 아주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프로그램 검색을 하고자 키패드(132) 또는 IR 리모트(134)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검색을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상기 (204)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14)단계에서 EPG 정보에 따른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상기 (200)단계에서 그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132) 또는 IR 리모트(134)를 이용하여 종료키를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상기 (206)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16)단계에서 프로그램 안내화면 디스플레이를 종료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예약을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지 프로그램 안내화면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만 하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RF 채널 및 프로그램의 개수가 많아도 어려움없이 예약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예약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간편히 예약 설정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실행흐름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프로그램 예약을 실행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상기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28)의 롬에 프로그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실행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도 5의 (500)단계에서 메모리부(128)를 검사하여 프로그램 예약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프로그램 예약이 되어 있지 않으면 그대로 종료하고, 프로그램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에만 (50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0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RTC(138)로부터 제공되는 현재시각과 예약시각, 즉 예약된 프로그램의 시작시각을 비교하여 예약시각이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예약시각이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504)단계에서 예약모드를 확인하는데, TV 예약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522)단계를 수행하고 녹화 예약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506)단계를 수행한다.
먼저 상기 (522)단계를 살펴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TV 수상기(100)의 전원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전원이 오프된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524)단계에서 전원장치(140)에 의해 TV 수상기(100)의 전원을 온시킨후 (526)∼(530)단계를 수행하고 전원 온상태라면 그대로 (526)∼(53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26)∼(53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예약 프로그램의 출력을 알리는 확인메시지를 OSG 믹서(122)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면서 확인키입력 여부와 시간경과(time out)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예약 출력 확인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사용자가 예약되지 않은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경우 예약 프로그램으로 전환됨을 사용자에게 미리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예약 출력 확인메시지에 의해 사용자는 예약 프로그램으로의 채널 전환을 미리 알 수 있게 되며, 예약 프로그램으로의 채널 전환을 원할 경우 키패드(132) 또는 IR 리모트(134)를 통해 확인키를 입력하고 원치 않을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그대로 놔두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사용자로부터 확인키입력이 없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그대로 종료한다. 이와달리 일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확인키입력이 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532)단계에서 튜너(108)를 제어하여 예약 프로그램으로 채널 전환하고 예약 프로그램의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예약한 프로그램을 TV 수상기(1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물론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예약된 프로그램이라면 채널 전환을 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바와 달리 예약모드가 녹화 예약모드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506)단계에서 TV 수상기(100)의 전원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전원이 오프된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508)단계에서 전원장치(140)에 의해 TV 수상기(100)의 전원을 녹화상태로 전환시킨후 (510)단계를 수행하고 전원 온상태라면 그대로 (51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42)를 통해 녹화장치(102)로 전원 온 명령을 전송하여 녹화장치(102)의 전원을 온시킨후, (512)단계에서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42)를 통해 녹화장치(102)로 녹화 명령을 전송하여 녹화장치(102)를 녹화모드로 동작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514)∼(516)단계에서 튜너(108)를 제어하여 예약 프로그램으로 채널 전환하고 예약 프로그램의 방송을 수신하며 채널 디코더(112)로부터 출력되는 TS 데이터 스트림을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42)를 통해 녹화장치(102)로 전송한다. 이후 예약 프로그램이 종료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518)단계에서 녹화장치(102)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520)단계에서 전원장치(140)를 제어하여 TV 수상기(100)의 전원을 오프시켜 대기상태로 전환시킨후 종료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예약한 프로그램을 녹화장치(102)에 의해 녹화해 놓음으로써 추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그램 예약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TV 수상기(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TV 수상기(100)는 대기상태로 전환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키패드(132), IR 수신부(136), RTC(138)등만이 동작되므로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예약 실행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전원을 오프시키기 전에 프로그램 예약에 따른 예약시각에 TV 수상기(100)의 전원 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전원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도 6은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오프시 처리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6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26)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28)의 롬에 프로그램한다. 만일 사용자가 키패드(130) 또는 IR 리모트(134)를 통해 TV 수상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고자 전원 오프키를 입력하거나 전원 예약 서비스에 따른 전원 오프시각이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도 6의 (6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60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0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메모리부(128)에 프로그램 예약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프로그램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606)단계에서 전원장치(140)를 제어하여 TV 수상기(100)의 전원상태를 대기상태로 전환한후 종료한다. 이와달리 프로그램 예약이 하나라도 되어 있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6)는 (604)단계에서 프로그램 예약에 따른 모든 예약시각을 전원 온 시각으로 설정해 놓은 다음에 상기 (606)단계를 수행한다.
이에따라 프로그램 예약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TV 수상기(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프로그램 예약에 다른 예약시각에 전원 예약 서비스에 의해 전원을 온시키게 되므로 도 5의 처리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HD TV 수상기에 적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EPG 정보를 제공받는 모든 디지털 TV 수상기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예약 설정과 실행에 대한 예를 모두 보였으나, 예약 설정을 하는 경우에만 본 발명을 적용하고 실행은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예약모드를 TV 예약모드와 녹화 예약모드로 구분하였으나, 필요하다면 예약 프로그램의 시청과 녹화를 동시에 실행하는 예약모드를 별도로 둘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예약을 위해 예약정보를 별도로 입력할 필요없이 프로그램 안내화면상에서 예약하고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만 하면 되므로 간편하게 프로그램 예약을 하여 시청 또는 녹화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1)

  1.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방송 예정 프로그램정보들이 방송 예정시간의 경과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그램 안내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들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프로그램을 예약 설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시작시각이 될 때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예약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오프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모든 예약시각을 전원 온 시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과정이,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상태가 상기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먼저 전원을 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과정이,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시작시각이 될 때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출력을 알리는 확인메시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6.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녹화장치와 연결되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방송 예정 프로그램정보들이 방송 예정시간의 경과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그램 안내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들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텔레비젼 예약모드와 녹화 예약모드중 하나의 예약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약 확인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 확인화면상에서 선택되는 예약모드로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을 예약 설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시작시각이 될 때 상기 예약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모드가 상기 텔레비젼 예약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모드가 상기 녹화 예약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방송을 수신하여 상기 녹화장치에 의해 녹화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예약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오프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모든 예약시각을 전원 온 시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과정이,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상태가 상기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먼저 전원을 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과정이,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시작시각이 될 때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출력을 알리는 확인메시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과정이,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이 오프된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녹화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녹화장치의 전원을 온시키는 과정과,
    상기 녹화장치로 녹화명령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 프로그램의 방송을 수신하여 상기 녹화장치로 출력하여 녹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예약 프로그램 종료후 상기 녹화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과정과,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KR1019970033876A 1997-07-19 1997-07-19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KR100246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876A KR100246915B1 (ko) 1997-07-19 1997-07-19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876A KR100246915B1 (ko) 1997-07-19 1997-07-19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67A true KR19990010967A (ko) 1999-02-18
KR100246915B1 KR100246915B1 (ko) 2000-03-15

Family

ID=1951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876A KR100246915B1 (ko) 1997-07-19 1997-07-19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9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372A (ko) * 1998-11-30 2000-06-15 전주범 디지탈 텔레비젼의 예약 모드 실행 방법
KR100640917B1 (ko) * 1999-03-05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채널 탐색방법
KR100787031B1 (ko) * 2005-12-27 200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방송 예약 장치 및 방법
KR100793328B1 (ko) * 2006-06-12 2008-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엠비 그룹 예약 녹화 방법
KR100965165B1 (ko) * 2008-09-12 2010-06-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Dmb 수신기의 예약 녹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917B1 (ko) * 1996-01-25 1999-05-01 김광호 한국형 예약녹화시스템을 이용한 예약시청방법
KR0181916B1 (ko) * 1996-01-25 1999-05-01 김광호 한국형 예약녹화시스템을 이용한 테마별 예약시청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372A (ko) * 1998-11-30 2000-06-15 전주범 디지탈 텔레비젼의 예약 모드 실행 방법
KR100640917B1 (ko) * 1999-03-05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채널 탐색방법
KR100787031B1 (ko) * 2005-12-27 200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방송 예약 장치 및 방법
KR100793328B1 (ko) * 2006-06-12 2008-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엠비 그룹 예약 녹화 방법
KR100965165B1 (ko) * 2008-09-12 2010-06-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Dmb 수신기의 예약 녹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6915B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62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에서서브채널정보표시방법
JP5244249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ソース情報の組合せ
KR10023341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갱신방법 및 장치
JP2002223400A (ja) チャンネル情報のオンスクリーン表示機能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KR19990002689A (ko) 채널 선국방법 및 장치
US7657155B2 (en) Program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246915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KR101443609B1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US20050028205A1 (en) Program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22270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갱신방법 및 장치
KR20010060150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이용한 예약녹화 제어방법
CN100421450C (zh) 指定本地频道的系统和方法
JP2007282276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放送システムおよび放送方法
KR10027911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의채널선국방법및장치
JP2009505512A (ja) オーディオ/ビデオ信号をテレビジョンの内部チューナから遠隔装置へ経路指定する方法
KR100488818B1 (ko) 디지털방송을수신하는영상기기에서대기화면디스플레이방법
JP2001197394A (ja) 送信機及び受信機
KR20010019711A (ko) 데이타방송 자동 저장기능을 갖는 디지탈방송수신시스템
KR100242318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프로그램 내용 선택수신방법
KR19990005625A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프로그램 예약 예고방법
KR100320732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에서채널정보표시방법
KR100246761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채널 표시방법
KR1005947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050052748A (ko) 디지털 티브이의 모니터링 방법
KR20050066735A (ko) 티브이를 이용한 dtv 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