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144B1 -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144B1
KR100751144B1 KR1020050132856A KR20050132856A KR100751144B1 KR 100751144 B1 KR100751144 B1 KR 100751144B1 KR 1020050132856 A KR1020050132856 A KR 1020050132856A KR 20050132856 A KR20050132856 A KR 20050132856A KR 100751144 B1 KR100751144 B1 KR 10075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display
bay
stand
displ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372A (ko
Inventor
박상돈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14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144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형성되는 베이; 및 내부에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VR 장치의 이동성이 향상되고, 다수대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본체로의 접속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의 삽입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외부기기, 하드 디스크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2는 디스플레이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과 외부기기 간의 연결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상기 외부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베이와 외부기기의 장착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베이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Ⅰ-Ⅰ'의 단면도.
도 8은 외부기기가 베이에 삽입된 상태에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 2 : 외부기기 3 : 베이
4 : 베이스 5 : 지주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의미의 텔레비전의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사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텔레비전이 있는에, 일반적인 의미에 있어서의 텔레비전은 공중파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시청이 가능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텔레비전은 흑백 디스플레이 시대와 칼라 텔레비전 시대를 거쳐서 현재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데에 까지 이르렀다. 근래들어서는 현재 전송되고 있는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텔레비전의 본질적인 기능뿐 만이 아니라, 방송신호를 현재 시점에서는 디지털 신호 형태로 미리 저장하였다가 시청자가 원하는 시점에 재생하여 시청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DVR 장치는 미국의 TIVO 사등에 의해서 제안된 장치로서 이미 그 사용이 널리 공지된 바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DVR 장치는 텔레비전에 반 영구적으로 부속되는 셋탑(Set-top)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한대의 텔레비전에 예속적으로만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어느 한 대의 텔레비전에서 접속이 되어 있는 DVR 장치는, 항상 그 텔레비전의 부속물로서 그 텔레비전에 수신되는 방송신호만을 수신하고 저장하고 재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항상 시청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해야 만이 DVR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DVR 장치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간소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벽걸이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기와 같이 벽에 걸어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에는 더욱이 DVR 장치가 거추장스러워지고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을 구매한 사람은 별도로 셋탑을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근래들어 소개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내부에 자체적으로 하드 디스크를 내장한 형태가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드 디스크 내장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에도 그 하드 디스크의 이동은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DVR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성이 향상되고, 다수대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본체로의 접속이 용이한 외부기기를 제안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와는 분리되는 외부기기가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효율적 이용 및 용이 접근가능성이 향상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와 외부기기와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가능하고, 다양한 형식의 하드 디스크도 단일의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형성되는 베이; 및 내부에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탠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킹 모듈; 상기 도킹 모듈에 형성되는 베이; 및 내부에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형성되는 베이; 및 저장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되고;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베이에 삽입되어 양자간에 접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양자 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기;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접속되는 외부기기;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는 베이;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베이에 장착시에는 상기 외부기기를 고정시키고, 상기 외부기기를 인출할 때에는 수동으로 조작되어 고정작용이 해제되도록 하는 레버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기;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접속되는 외부기기; 및 상기 외부 기기가 삽입되는 베이가 포함되고, 상기 외부기기의 장착시에는 수작업으로 상기 베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외부기기의 인출시에는 수작업으로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고정구조가 해제된 뒤에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서 방송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고, 외부기기의 사용형식에 제한이 없고, 시청자의 만족감이 증대되고, 데이터의 이용성이 증대되고, 하드 디스크를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안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한 다른 실시예를 얻어내는 것은 쉬운일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전기신호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로 분리하고 이를 내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하여 영상/음향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과, 상기 디스플레이(1)를 지지하는 스탠드가 포함되고, 상기 스탠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부(5)와, 상기 지주부(5)의 하면에 형성되어 지주부(5)가 직립되어 있도록 하는 베이스(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4)의 어느 일측에는 외부기기(2)가 삽입되고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2)는 상기 베이스(4)에 형성되는 베이(도 5의 3참조)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1)와 접속된다.
상세하게, 상기 베이(3)는 디스플레이(1)의 본체외관에서 안쪽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베이(3)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서는 상기 외부기기(2)가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상기 베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로서, 정보통신분야에서는 이를 '장치의 부품을 조립한 패널, 스위치, 유닛 또는 셀프를 일정 길이의 사닥다리 모양의 선반과 로커에 접어 넣은 것'의 의미를 가진다. 본원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그 함몰부분의 안으로 상기 외부기기(2)가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용이하게 생각하건데, 외부기기(2)를 사용자가 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의 외부에 드러나는 베이(3)의 안으로 외부기기(2)를 밀어넣거나 빼는 동작으로 디스플레이(1)와 외부기기(2)가 접속되거나 접속해제되도록 하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것은 당연하게 예측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2)는 바람직하게 하드 디스크로 예시되는 저장장치가 내장되는 기기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외부기기(2) 측으로 수신되어 상기 외부기기(2)에 저장되거나, 상기 외부기기(2)에 저장되는 신호가 디스플레이(1)으로 송신되어 디스플레이(1)에 의해서 영상/음향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기기(3)는 상기 베이(2)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접속부에 의해서 디스플레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양태를 각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외부기기(2)를 상기 베이(3)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상기 외부 기기(2)는 일반적인 DVR 장치로서 동작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외부기기(2)에는 저장장치로서 하드 디스크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하드 디스크로는 디스플레이(1)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저장된 정보는 추후에 사용자로부터의 호출이 있을 때, 디스플레이(1)로 송신되어 디스플레이에 영상/음향정보로 가공되어 출력된다. 이는 일반적인 DVR 장치와 유사하므로 이러한 동작 상태를 DVR 모드라고 이름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상기 외부기기(2)는 디스플레이(1)에 대하여 취출이 자유롭기 때문에, 외부기기(2)에 방송신호가 저장된 상태에서 인출하여 이를 다른 디스플레이(1)에 장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도 있다. 이 모드는 이동모드로 이름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하드 디스크가 장착되는 외부기기의 취출이 자유롭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하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특히 DVR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기기가 디스플레이(1)의 본체가 아니라 스탠드에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의 본체에 대해서는 그 형상 및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스탠드에 베이(3)가 설치되어 있어서 베이가 설치되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을 편리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2는 디스플레이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과 외부기기 간의 연결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1)에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수신부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송수신하는 아날로그 수신부와,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영상/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외부기기와의 연결제어를 담당하는 외부기기 연결부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각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제공되는 중앙처리장치(CPU)(108)는 디스플레이의 각 제어에 대한 중심으로 이루는 것으로서, 각 부품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지만 도면의 혼잡을 방지하여 그 제어선로의 도시를 생략하고 방송신호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디지털 수신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위성파 또는 지상파 또는 케이블 전송방식으로 송신되는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튜너(101)을 통하여 수신되어 특정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특정채널의 신호는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102)에서 디지털 비트 스트림으로 바꿔진다. 상기 디지털 비트 스트림에는 영상 스트림과 음향 스트림과 데이터 스트림이 다수개의 패킷으로 섞여 있다. 그러므로, 디 멀티플렉서(de-multiplexer)(103)는 각 패킷의 아이디(ID)를 식별하여 영상과 음향과 데이터를 분리하고 취합하여 각각의 디코더로 보낸다. 상기 디 멀티플렉서(103)의 동작은 MPEG 2 또는 MPEG 4에서 규정하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MPEG 2 또는 MPEG 4는 널리 알려진 방식이다. 상기 MPEG 규격에 따라서, 영상 스트림은 영상 디코더(104)에서 디코딩 된 뒤에 그래픽 프로세서(105)에서 영상처리되고, 음향 스트림은 음향 디코더(106)에서 디코딩되고, 데이터 스트림은 데이터 디코더(107)에 의해서 디코딩된다.
상기 아날로그 수신부는 현재 공중파 방송을 주종을 이루는 송신방식으로서, 아날로그 튜너(120)에 의해서 특정 주파수 채널의 방송신호가 수신된다. 상기 아날로그 튜너(120)에 의해서 수신된 신호는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사용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별도의 디코딩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방송신호의 형태에 따라서 영상신호의 주사율, 프레임 수등에 맞는 적절한 영상 프로세서(118)와 음향 프로세서(119)에 의해서 처리된 뒤에 스크린(116)과 스피커(117)로 영상/음향을 표시한다.
상기 출력부는 시청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 및 음향으로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디코더(104)(106)(107)에서 디코딩된 영상/음향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프로세서(114) 및 음향 프로세서(115)와, 아날로그 신호의 영상/음향을 처리하는 영상 프로세서(118)와 음향 프로세서(119)가 포함된다. 그리고, 시청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스크린(116)과 스피커(117)가 포함된다. 상기 영상 프로세서(114)(118) 및 음향 프로세서(115)(119)는, 복수개의 영상 프로세서(114)(118)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 무관하게 단일한 프로세서에 의해서 처리되기도 하고, 이는 음향 프로세서(115)(11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어부에는 디스플레이(1)의 전체적인 동작을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108)가 포함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8)는 장치의 초기화, 각 구성의 인터럽트의 감시 및 관리, 사용자의 입력신호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 데이터 또는 명령의 처리등의 디스플레이의 동작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장치(108)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기억장치로서 램(RAM)(111)과 롬(ROM)(110)이 포함된다. 상기 롬(110)은 콘트롤 정보와 부팅정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기억이 유지되는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램(111)은 이와 달이 상기 중앙처리장치(108)의 동작 중에 필요한 임시저장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08)에는 유저 인터페이스(108)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08)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서 이를 중앙처리장치(108)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08)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리턴 패스(return path)를 통하여 송신되는 디스플레이으로부터의 송신신호인 경우에는, 이 신호는 중앙처리장치(108)의 제어하에 모듈레이터(112)에서 변조된 뒤에 디지털 튜너(101)를 통하여 송신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내부의 각 부품들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되기 위하여 버스(113)가 정의되어 있다.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에는 디스플레이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담당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가 제공되고,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에 의해서 외부기기인 디바이스(123)가 연결된다.
상세하게,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를 통하여 외부기기(2)로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디지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상기 아날로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를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신호로서 대용량의 신호전송에 적합한 USB, IEEE 1394의 규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식은 디지털 데이터의 압축방식으로 쌍방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으로서, 이와 다른 방식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디스플레이(1)과 외부기기(2) 간에 송수신하는 하기 위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방식에 의해서 통신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HDMI는 압축되지 아니한 아날로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 아날로그 튜너(120)에 의해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전송할 때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2)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와 디스플레이(1)간에 직접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방식으로서 E-IDE방식과, S-ATA방식과, P-ATA방식과, SCSI방식의 하드 디스크 인터페이스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통신 방식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와 외부기기(2)에 의해서 지원되는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다만, 상기 아날로그 튜너(120)에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인코더(121)가 별도의 부품으로 더 사용되는 것은 용이하게 짐작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드 디스크가 내장되는 외부기기(2)와, 상기 외부기기(2)와의 데이터 교환을 함과 동시에 방송신호를 시청하는 디스플레이(1)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서 방송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시청 양태가 더욱 다양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는데, 도 3을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2)와 상기 디스플레이(1)이 상호 접속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과 상기 외부기기(2) 간의 연결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1) 측에는 상기 외부기기(2)와 신호를 전달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가 제공되고, 디스플레이(1)의 내에는 상기 외부기기(2)를 안착하기 위한 베이(3)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로 부터는 적어도 방송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 신호(130)와, 상기 외부기기(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131)가 외부기기(2)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신호(131)를 통해서는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상기 외부기기(2)가 상기 베이(3)의 내부에 장착되어 양자가 연결되고 난 다음에는, 제어신호(131)에 의한 핫 플러그 기능에 의해서 디스플레이(1) 측에서는 외부기기(2)를 인식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08)에서는 상기 외부기기(2)를 인식하여 외부기기(2)에 대한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추후의 동작을 대기한다. 이후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소정의 시퀀스를 거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1)과 상기 외부기기(2) 간에 데이터 신호(131)의 송수신이 개시된다. 물론, 상기 외부기기(2)가 상기 베이(3)에서 제거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어신호(131)에 의해서 외부기기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의 저장매체에 등록해 둘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1)에 대하여 장착과 탈착이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기기(2)를 일반적인 DVR 장치로 사용하는 DVR 모드 뿐만 아니라, 어느 한 디스플레이에서 다른 한 디스플레이으로 정보를 이동하는 이동모드가 더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기기(2)의 내부에 장착되는 하드 디스크는 그 자체적인 이탈과 장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할 때에는 하드 디스크의 사양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하드 디스크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방식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외부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기기 케이스(21)의 배면에는 제 1 입출력블록(23)과, 상기 제 1 입출력블록(23)에 형성되어 도전통로를 제공하는 제 1 접촉단자(24)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기기(2)가 삽입될 때 외부기기의 삽입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기기 케이스(21)의 배면에는 조정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조정홀에 의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베이에 삽입될 때에 삽입방향이 정확히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2)를 사용자가 쥐고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2)의 전방에는 조작핸들(25)이 형성되고, 외부기기 케이스(21)의 하면에는 삽입되는 외부기기(2)가 상기 베이(3)의 내부에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기기(2)는 도 5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이루는 베이스(4)의 단부에 함몰되는 베이(3)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이(3)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외부기기(2)와 디스플레이(1)가 연결되어 상호간에 송수신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고, 상기 외부기기(2)가 상기 디스플레이(1)에서 이탈되어 있을 때에는 외부기기(2)와 디스플레이(1)가 서로간에 연결되지 않아서 상호간에 송수신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베이(3)의 내부구조는 도 6에 도시되는 베이의 정면도와, 도 7에 제시되는 도 5의 Ⅰ-Ⅰ'의 단면도와, 도 8에 제시되는 외부기기가 베이에 삽입된 상태에의 측단면도에 의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베이(3)에는, 상기 외부기기(2)가 삽입되었을 때 삽입된 위치가 정확하게 지지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위치고정구조와, 상기 외부기기(2)가 이탈될 때 베이(3)를 외측으로 밀어서 용이하게 외부기기(2)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푸싱구조와, 상기 외부기기(2)가 상기 베이(3)에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구조가 포함된다.
먼저 위치고정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베이(3)의 하측부분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제거핸들(37)이 형성되고, 제거핸들(37)의 안쪽으로는 조작레버(38)가 상기 제거핸들(37)과 일체로 형성되고, 조작레버(38)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단(3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38)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40)이 더 제공되고, 상기 걸림단(39)은 상기 외부기기(2)의 하면에 걸림홈(도 4의 26참조)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먼저 상기 외부기기(2)가 상기 베이(3)의 안쪽으로 삽입될 때에는, 베이(3)의 형상과 외부기기(2)의 대응되는 형상에 의해서 베이(3)의 삽입동작이 가이드된다. 이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상 상기 외부기기(2)가 삽입되면 상기 걸림단(39)이 상기 걸림홈(26)에 걸리게 되어서 상기 외부기기(2)와 상기 베이(3) 간의 상대적인 위치는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베이(3)에서 외부기기(2)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거핸들(37)을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그 걸림작용이 해제하여야 한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단(39) 및 걸림홈(26)의 상호작용이 정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푸싱구조는 상기 외부기기가 이탈될 때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기기를 외측으로 미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 케이스(36)의 배면에는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기기(2)의 배면에 접하여 상기 외부기기(2)를 미는 푸싱부(31)와, 상기 푸싱부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 케이스(36)를 관통하여 바깥까지 인출되는 가이드부(3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32)의 이동방향이 정확하게 지시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3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 케이스(36)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32)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단(35)과, 상기 가이드부(32)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단(34)과, 상기 제 1 지지단(35)과 제 2 지지단(34)의 사이 간격에 형성되는 탄성부재(33)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외부기기(2)가 상기 베이(3)의 안으로 인입되면 상기 베이(3)의 단부에 푸싱부(31)가 닿아서 상기 푸싱부(31)는 뒤로 밀리게 되고, 상기 푸싱부(31)와 상기 가이드부(32)는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32)도 마찬가지로 뒤로 밀린다. 한편, 비록 상기 가이드부(32)가 뒤로 밀려나더라도 상기 제 1 지지단(35)은 상기 베이 케이스(36)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33)는 그 길이가 늘어나서 상기 가이드부(32)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 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기기(2)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푸싱부(31)에 의해서 상기 외부기기(2)에는 전방으로 밀리는 힘이 항상 작용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구조가 해제되면 외부기기(2)는 일정거리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정렬구조는 상기 외부기기(2)와 상기 베이(3)의 접속이 신뢰성있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외부기기(2)의 배면에 형성되는 조정홀(22)과 상기 조정홀(22)에 삽입되는 조정핀(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정핀(44)은 그 끝단부가 첨점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정렬구조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외부기기(2)가 상기 베이(3)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조정핀(44)의 뾰족한 단부가 상기 조정홀(22)의 안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기(2)가 더 깊이 삽입되면 상기 조정핀(44)에 의해서 상기 외부기기(2)의 삽입방향이 정확하게 가이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정핀(44)의 외면은 상기 조정홀(22)의 내면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구조에 의해서 외부기기(2)의 위치가 상기 베이(3)에 대하여 정확하게 가이드됨으로써, 제 1 입출력블록(23)과 제 2 입출력블록(41)는 상호간에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원 실시예와 많은 부분에 있어서 동일하고 다만, 상기 베이(3)가 형성되는 위치가 특징적으로 다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베이(3)는 디스플레이(1)를 지지하는 스탠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스탠드가 지지되는 또 다른 도킹모듈(52)에 장착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그러므로, 설명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원실시예의 설명을 그대로 원용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부(5)의 하측에는 베이스(51)가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51)의 이격되는 하방에는 상기 베이스(51)와는 다른 물품으로 별도의 도킹모듈(52)이 더 설치된다. 상기 도킹모듈(52)의 일측에는 제 2 연결블록(5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블록(54)과 정렬되는 베이스(51)에는 제 1 연결블록(5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블록(53)(54)은 상기 베이스(51)가 상기 도킹모듈(52)의 정위치에 안착되는 동작과 동시에 상호간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 사용자는 스탠드를 도킹모듈이 안착시키는 단순한 과정으로 설치할 수가 있고, 스탠드의 구조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고, 장착과 이탈이 가능한 시스템을 원하는 사용자는 상기되는 별도의 도킹모듈을 구매하여 추가적으로 장착하기만 하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킹모듈을 표준화함으로써 제조비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상기 실시예로는 제시되지 아니하는 다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기기의 내부에는 하드 디스크가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드 디스크와, 광기록 매체와, 메모리와 같은 다수의 다른 형식의 저장매체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에 하드 디스크가 놓이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와는 분리되는 곳이면 어느 곳에라도 장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지주부(5)에 베이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공간상의 제약이 없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거핸들 및 그와 연결되는 걸림단은 상기 베이의 하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걸림단이 걸리는 걸리홈은 외부기기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충분하게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VR 장치의 이동성이 향상되고, 다수대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본체로의 접속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방송 데이터의 효율적 이용 및 용이 접근가능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와 외부기기와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가능한 장점이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체적인 형상의 변경이 없는 상태에서도 하드 디스크가 편리하게 장착되거나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의 삽입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형성되는 베이; 및
    내부에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는 상기 스탠드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하드 디스크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베이에 삽입된 뒤에 삽입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구조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여 용이하게 외부기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푸싱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베이에 삽입될 때, 상기 외부기기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정렬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탠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킹 모듈;
    상기 도킹 모듈에 형성되는 베이; 및
    내부에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형성되는 베이; 및
    저장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되고;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베이에 삽입되어 양자간에 접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양자 간의 위치가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디스플레이 기기;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접속되는 외부기기;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는 베이;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베이에 장착시에는 상기 외부기기를 고정시키고, 상기 외부기기를 인출할 때에는 수동으로 조작되어 고정작용이 해제되도록 하는 레버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디스플레이 기기;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접속되는 외부기기; 및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는 베이가 포함되고,
    상기 외부기기의 장착시에는 수작업으로 상기 베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외부기기의 인출시에는 수작업으로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고정구조가 해제된 뒤에 인출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50132856A 2005-12-29 2005-12-29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5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56A KR100751144B1 (ko) 2005-12-29 2005-12-29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56A KR100751144B1 (ko) 2005-12-29 2005-12-29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372A KR20070070372A (ko) 2007-07-04
KR100751144B1 true KR100751144B1 (ko) 2007-08-22

Family

ID=3850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856A KR100751144B1 (ko) 2005-12-29 2005-12-29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3906A (zh) * 2021-08-23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底座、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026A (ja) 1997-07-10 1999-02-02 Hitachi Ltd 液晶モニタ装置
JP2002238008A (ja) 2001-02-08 2002-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ードディスク内蔵テレビ
JP2005198042A (ja) 2004-01-07 2005-07-21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026A (ja) 1997-07-10 1999-02-02 Hitachi Ltd 液晶モニタ装置
JP2002238008A (ja) 2001-02-08 2002-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ードディスク内蔵テレビ
JP2005198042A (ja) 2004-01-07 2005-07-21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372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1131B1 (en) Portable entertainment apparatus
US8898347B2 (en) Repeater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07508785A (ja) ビデオ信号中にエンコードされたテキストの翻訳
EP131868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various audiovisual devices with a digital data network
US20100008636A1 (en) Video display device, video playback device, video playback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272485A (ja) Hdmiケーブル装置および情報再生システム
US20040177380A1 (en) Method and system using docking stations to distribute a set top box between multiple monitors
WO2017220017A1 (zh) 接收信号源的方法与系统
US8842224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aching a plurality of mod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51144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020019986A1 (en) Enhanced home entertainment system with removable long-term storage
EP1843573A2 (en) Multi-room personal video storage apparatus
WO2017179600A1 (ja) コネクタ、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0714692B1 (ko)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타임 시프트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751135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59140B1 (ko) 텔레비전 시스템
US20090080869A1 (en) Broadcast program displaying apparatus, broadcast program displaying method, and broadcast program displaying system
KR20070072081A (ko) 텔레비전 시스템 및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790071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809771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782191B1 (ko) 디스플레이 기기
EP1718061A1 (en) Multimedia device
KR100737081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KR200375304Y1 (ko) 일체화된 시스템 제어 및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개인용비디오 녹화시스템
JP4003190B2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