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081B1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081B1
KR100737081B1 KR1020050125104A KR20050125104A KR100737081B1 KR 100737081 B1 KR100737081 B1 KR 100737081B1 KR 1020050125104 A KR1020050125104 A KR 1020050125104A KR 20050125104 A KR20050125104 A KR 20050125104A KR 100737081 B1 KR100737081 B1 KR 10073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nalog
receiver
digital broadcas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716A (ko
Inventor
이종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0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TV를 스카트 단자로 A/V 접속시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키 코드 정보를 TV로 전달하는 스카트 케이블을 포함하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키 코드 정보에 따라 TV의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튜닝하거나 해당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제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내에 저장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TV를 스카트 케이블로 연결하여 TV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 및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아날로그 튜너 없이도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고 시스템 운영에서도 두 개의 튜너가 혼재되지 않아 안정적이다. 또한, TV의 아날로그 튜너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손쉽게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 셋톱박스, 스카트 케이블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ALOG SIGNAL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털 방송 수신기 102 : 디지털 튜너
104 : TP 디먹스 106 : A/V 디코더
108 : RF 단자 110 : 스트림 저장 DB
112 : 키 입력부 114 : 제어부
116 : 스카트 단자 118 : 저장매체
200 : TV 300 : 스카트 케이블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날로그 튜너가 없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고 저장하는데 적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영상 압축 및 디지털 변/복조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표준화 및 상용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에서도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을 기반으로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MPEG을 기반으로 엔코딩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중화되어 전송 스트림(TS) 형태로 전송되며, 이 전송 스트림은 수신측에 설치된 셋톱박스(STB)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어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이 역 다중화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만이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셋톱박스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기 내에 구비된 MPEG 디코더를 이용하여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복원한 후 일반 텔레비전과 같은 A/V(Audio/Video) 출력장치로 전송 출력하게 된다.
또한, 셋톱박스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 내에 대용량의 하드디스크(HDD)를 추가 구비시킴과 아울러 텔레비전과 같은 A/V 출력 장치로 전송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에 기록 저장한 후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하드디스크에 기록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기록/재생 기능이 추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도 개발 출시되어 널리 보급 확산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할 경우 아날로그 채널에 비해 훨씬 다양한 채널을 방송할 수 있다는 상업적인 장점과, 높은 화질과 음향, 양방향 서비스,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디지털 셋톱박스 산업은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중동 및 아시아 지역에서도 상기 디지털 방송의 도입으로 인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주로 유료방송 사업자가 주도하고 있으며, 셋톱박스 시장은 유료방송 사업의 직접 구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술측면에서 디지털 셋톱박스는 방송국 측에서 아날로그 컨텐츠를 코딩하여 디지털화해 방송한 신호를 위성이나 케이블 지상 등을 통해 고객이 일반 TV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즉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는 아날로그 튜너가 없기 때문에 시청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셋톱박스 자체 내에 아날로그 튜너를 별도로 장착하거나, 셋톱박스의 전원을 끈 뒤 TV 자체의 튜너(아날로그 튜너)를 통해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하는 방안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안은 사용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를 낳는다. 즉, 셋톱박스에 내장된 아날로그 튜너를 사용하게 되면 원가 상승 및 하드웨어적인 노이즈 문제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셋톱박스 전원을 꺼서 TV를 통해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는 사용상 불편함이 클 뿐만 아니라 시청 중인 채널을 녹화하기가 용이 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유럽향 방송 녹화 시스템, 예를 들면, VCR, DVD-RW, PVR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스카트(scart) 연결 구조를 갖는다. 스카트 연결 구조에서 스카트 접속기는 TV와 VCR과 같이 두 가지 영상기기를 물리적,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장치로서, 21개의 암 핀(21번 핀은 차폐용)과 숫 플러그 케이블로 되어 있다. 스테레오 오디오, 합성 비디오 및 신호 제어는 양방향으로 제공되며 RGB 신호는 입력뿐이다. 인터페이스가 유럽 표준이고 PAL 방식의 TV와 VCR에 장착되어 있어 유로 커넥터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21핀으로 이루어진 스카트 케이블은 TV와 방송 수신기 사이의 오디오, 비디오 기타 컨트롤 신호들의 모든 연결을 하나의 커넥터로 통합한 형태로서,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주기 위한 케이블이다. 스카트 케이블이 TV와 VCR, PVR 등의 가전제품과 연결되면 제품 서로간의 오디오, 비디오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TV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면, 아날로그 튜너가 없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방송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데 착안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TV를 스카트 케이블로 연결하여 TV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 및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아날로그 튜너 없이도 아날 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조작되는 채널 변경 정보를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TV로 전송하여 TV의 아날로그 튜너를 튜닝함으로써, 자체 아날로그 튜너 없이도 TV로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하면서 채널 조작 및 기능 조작을 간편히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튜너를 통해 튜닝되는 임의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 처리 및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재생 처리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RF 수신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TV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상기 TV를 스카트 단자로 A/V 접속시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키 코드 정보를 상기 TV로 전달하는 스카트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키 코드 정보에 따라 상기 TV의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튜닝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TV가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A/V 링크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수동되면 아날로그 방송 튜닝 모드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 튜닝 모드가 요청되면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상기 TV와의 통신 채널 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부터 키 코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키 코드 정보를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상기 TV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키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TV에서 아날로그 채널 튜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튜닝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TV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TV(200),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TV(200)를 A/V 링크로 연결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스카트 케이블(300)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안테나(10), 디지털 튜너(102), TP 디먹스(104), A/V 디코더(106), RF 단자(108), 스트림 저장 DB(110), 키 입력부(112), 제어부(114), 스카트 단자(116), 저장매체(118)를 각각 포함하며, TV(200)는 안테나(20), 스카트 단자(202), 제어부(204), 아날로그 튜너(206), 키 입력부(208), RF 단자(210), 디스플레이부(212)를 각각 포함하고 구성된다.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디지털 튜너(102)는 안테나(10)를 통해 외부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튜닝하며, TP 디먹스(104)는 디지털 튜너(102)에서 튜닝된 방송 스트림 중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방송 스트림만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 행한다.
A/V 디코더(106)는 TP 디먹스부(104)에서 선택된 방송 스트림을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RF 단자(108)로 제공하며, RF 단자(108)는 상기 변환된 영상신호를 TV(200)의 RF 단자(210)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V(200)의 RF 단자(210)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100)의 RF 단자(108)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12)로 전달하며, 디스플레이부(212)는 이러한 영상신호를 TV 화면에 최종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트림 저장 DB(110)는 후술하는 제어부(114)의 제어하에 디지털 튜너(102)에서 튜닝된 방송 신호 중 소정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방송 스트림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12)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키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4)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키 신호로는,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방송 튜닝 모드 신호, 채널 업/다운 키 신호 등일 수 있다.
제어부(114)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며, 디지털 튜너(102), TP 디먹스(104) 등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A/V 디코더(106)를 통해 재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거나 디지털 튜너(102)에서 임의의 스트림을 따로 추출하여 스트림 저장 DB(110)에 저장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제어부(114)는 본 실시예에 따라 후술하는 스카트 단자(116)와 스카트 케이블(300)을 통해 키 입력부(112)의 키 코드 정보를 송출하도록 하여 TV(200)의 제어부(204)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TV(200)의 제어부(204)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부터의 키 코드 정보에 따라 해당 채널로 튜닝하도록 아날로그 튜너(206)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4)는 TV(200)의 아날로그 튜너(206)를 통해 튜닝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스카트 케이블(300)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매체(118)에 저장하도록 한다.
스카트 단자(116)(202)는 21개의 핀으로 이루어지며, 이 중 A/V 링크 핀을 통해 키 입력부(112)의 키 코드 정보(예컨대, 채널 업/다운 키 정보) 및 아날로그 튜너(206)의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상호 전달된다.
저장매체(118)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RW 디스크 등일 수 있으며,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거하여 TV(200)의 아날로그 튜너(206)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계(S200)에서 제어부(114)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가 구동되는지를 판단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가 구동되면 제어부(114)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키 입력부(112)를 통해 아날로그 방송 튜닝 모드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아날로그 방송 튜닝 모드는 본 실시예에 따라 아날로그 튜너가 구비되지 않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 또는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메뉴 화면 또는 별도의 키 버튼을 할당하여 사용자가 모드 설정을 할 수 있게 한다.
단계(S202)의 판단 결과, 키 입력부(112)로부터 아날로그 방송 튜닝 모드가 요청되면, 제어부(114)는 단계(S204)로 진행하여 스카트 단자(116)를 활성화시켜 TV(200)의 스카트 단자(202)를 통해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후, 제어부(114)는 단계(S206)로 진행하여 키 입력부(112)를 통해 키 코드 정보, 예컨대 채널 업/다운 키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채널 업/다운 키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키 코드 정보를 스카트 단자(116)를 통해 TV(200)로 송출한다.
TV(200)의 제어부(204)는 스카트 단자(202)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키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아날로그 튜너(206)의 채널 튜닝을 제어한다. 즉, 현재 TV(200)의 채널을 상기 키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TV 채널로 변경하도록 아날로그 튜너(206)를 제어한다.
TV 채널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부(212)는 해당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TV 외부 화변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212).
이때,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제어부(114)는 키 입력부(112)를 통해 녹화 키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214), 녹화 키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14)는 해당 녹화 키 정보를 스카트 단자(116), 스카트 케이블(300), 스카트 단자(202)을 통해 TV(200)의 제어부(204)로 제공하고, TV(200)의 제어부(204)에서는 상기 녹화 키 정보에 따라 현재 수신 중인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스카트 단자(202), 스카트 케이블(300), 스카트 단자(116)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제어부(114)로 제공한다(S216).
따라서 제어부(114)는, 단계(S218)에서와 같이 상기 TV(200)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매체(118)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TV를 A/V 연결하여 아날로그 튜너가 없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도 아날로그 방송을 손쉽게 튜닝하고 또한 자체 저장매체에 원하는 아날로그 방송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TV를 스카트 케이블로 연결하여 TV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 및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아날로그 튜너 없이도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고 시스템 운영에서도 두 개의 튜너가 혼재되지 않아 안정적이다. 또한, TV의 아날로그 튜너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손쉽게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디지털 튜너를 통해 튜닝되는 임의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 처리 및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재생 처리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RF 수신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TV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상기 TV를 스카트 단자로 A/V 접속시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변경 키 코드 정보를 상기 TV로 전달하는 스카트 케이블
    을 포함하며,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변경 키 코드 정보에 따라 상기 TV의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튜닝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코드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업/다운 키 코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TV에서 튜닝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키 코드 정보와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은 상기 스카트 단자의 A/V 링크 핀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RW 디스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6.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TV가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A/V 링크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구동되면 아날로그 방송 튜닝 모드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 튜닝 모드가 요청되면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상기 TV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부터 채널 변경 키 코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채널 변경 키 코드 정보를 상기 스카트 케이블을 통해 상기 TV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변경 키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TV에서 아날로그 채널 튜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튜닝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TV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부터 녹화 키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튜닝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되는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코드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업/다운 키 코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방법.
KR1020050125104A 2005-12-19 2005-12-1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KR10073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104A KR100737081B1 (ko) 2005-12-19 2005-12-1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104A KR100737081B1 (ko) 2005-12-19 2005-12-1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716A KR20070064716A (ko) 2007-06-22
KR100737081B1 true KR100737081B1 (ko) 2007-07-06

Family

ID=3836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104A KR100737081B1 (ko) 2005-12-19 2005-12-1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0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890A (ko) * 1993-12-30 1995-07-28 이헌조 텔레비젼수상기/브이씨알의 채널정보 공용화 회로
KR19980049443A (ko) * 1996-12-19 1998-09-15 김광호 초간편 예약녹화장치
JP2003134407A (ja) 2001-10-29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録画システム
JP2004241852A (ja) 2003-02-03 2004-08-26 Funai Electric Co Ltd Tv、vtr及びtvとvtrのセ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890A (ko) * 1993-12-30 1995-07-28 이헌조 텔레비젼수상기/브이씨알의 채널정보 공용화 회로
KR19980049443A (ko) * 1996-12-19 1998-09-15 김광호 초간편 예약녹화장치
JP2003134407A (ja) 2001-10-29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録画システム
JP2004241852A (ja) 2003-02-03 2004-08-26 Funai Electric Co Ltd Tv、vtr及びtvとvtrの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716A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2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peripheral record/playback device in a networked multimedia system
CN101341740B (zh) 设备联动装置
US76266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mplified power scan for remote control
RU2427097C2 (ru) Мультимед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30070181A1 (en) Interactive TV client device with integrated removable storage system
US8607297B2 (en) Remote setting of recording timers
KR100602954B1 (ko) 미디어 게이트웨이
KR10038712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웹 pvr 시스템 및 방법
KR100617876B1 (ko) 멀티룸 개인 영상저장장치
KR100737081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 장치 및방법
US20090080869A1 (en) Broadcast program displaying apparatus, broadcast program displaying method, and broadcast program displaying system
JP2009505512A (ja) オーディオ/ビデオ信号をテレビジョンの内部チューナから遠隔装置へ経路指定する方法
KR20040066594A (ko) Pvr장치 및 pvr장치에서의 vbi로부터 추출한epg에 의한 예약 녹화 방법
US8079056B2 (en) Synchronizing a media center on a correct channel
CN101742195A (zh) 具有pvr功能的电视机及其实现方法
KR200375304Y1 (ko) 일체화된 시스템 제어 및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개인용비디오 녹화시스템
KR0166735B1 (ko) 복합형 멀티미디어기기
KR100658835B1 (ko) 매크로 기능을 갖는 리모콘
KR100759140B1 (ko) 텔레비전 시스템
KR20060056501A (ko) 에이브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744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타임쉬프트 시청 방법
JP200211214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WO2007026662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