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327B1 -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327B1
KR101104327B1 KR1020100013569A KR20100013569A KR101104327B1 KR 101104327 B1 KR101104327 B1 KR 101104327B1 KR 1020100013569 A KR1020100013569 A KR 1020100013569A KR 20100013569 A KR20100013569 A KR 20100013569A KR 101104327 B1 KR101104327 B1 KR 10110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engine
power generation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487A (ko
Inventor
김외출
조기석
이상기
김해진
김수형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327B1/ko
Priority to CN2010800637630A priority patent/CN102762839A/zh
Priority to PCT/KR2010/001200 priority patent/WO2011099668A1/ko
Publication of KR2011009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6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2001/005Cooling engine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수의 컨테이너형 발전유닛과 메인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형 발전유닛(100)은, 컨테이너 형태의 엔클로저(160) 내에 차례로 설치된 엔진(110)과 발전기(120) 및 제어패널(130)을 구비함과 아울러, 엔진(110)의 연소실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과급기(112)를 포함한다. 엔클로저(160) 내부 공간의 공기는 제어패널(130)이 설치된 측의 상부에 설치된 유입구(17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엔진측에 설치된 유출구(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협소하고 대체로 밀폐된 공간 내에서 각 장치의 최적의 동작을 위하여 열과 공기의 흐름을 유리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메인제어유닛(200)은 저전압 제어부 및 저전압 출력부와 전력의 수분배를 위한 고전압 제어부가 분리배치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Containerized Power Pla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엔진의 동작시 엔진 연소에 필요한 압축공기는 과급기를 통하여 외부에서 직접 유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엔클로저 공간 내의 온도 환경을 장치 동작에 유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발전 유닛과 작업자의 작업 안전성을 높인 메인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새로운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는 엔진의 출력을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발전기 설비이다. 근래에는 이러한 발전기 설비를 대규모 하우스 내에 설치하지 않고, 각 기능을 모듈화한 유닛을 일반적으로 쓰이는 40피트 컨테이너 형태로 제작한 후, 컨테이너 운반차량으로 운반하여 준비된 장소에서 조립 설치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CPP: containerized power plant)가 알려져 있다. 이는 별도의 발전기 하우스가 필요없고 대지에 기초작업만을 한 후, 필요한 유닛들을 운반하여 설치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종래에 이러한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1)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감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1)는 엔진과 발전기를 포함하고 엔진출력을 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발전유닛(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발전유닛(10)에 필요한 연료유를 공급하고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다수의 보조 유닛들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보조 유닛들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제어유닛(200), 연료유저장탱크(3), 펌프유닛(4), 연료유공급유닛(5) 등이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발전유닛(1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형태의 엔클로저(16) 내부에 엔진(11), 발전기(12) 및 전기장치인 제어패널(13)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엔진(11)의 배출가스는 엔클로저(16) 상부에서 외부로 연통되어 있는 소음기(14)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엔클로저(16) 상부에 설치된 라디에이터(15)에 의하여 엔진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엔클로저(16) 내부 공간의 공기는 엔진측에 설치된 유입구(17)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제어패널(13)이 설치된 측의 상부에 설치된 유출구(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발전유닛(10)에 있어서, 엔진(11)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는 엔클로저(16) 내부 공간에서 조달되는데, 그런데 좁은 엔클로저(16) 내부에서 엔진 동작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가 전기장치인 제어패널(13) 쪽을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어야 하므로, 제어패널(13)의 정상적인 동작에 위험을 가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 나아가, 엔진의 소음이 비록 엔클로저(16) 벽에 의하여 어느 정도 저감될 수 있으나, 발전유닛(10)의 유입구(17)와 유출구(18)는 여전히 개방된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소음저감 효율도 그다지 좋지 않았다. 이 밖에도, 메인제어유닛에는 각부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전압부의 제어부 부분과 전력 수분배를 위한 고전압 제어부 부분이 무계획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영자가 단순히 제어 동작만을 위해 메인제어유닛에 접근할 경우에도 고전압 부분과 접촉될 위험이 크므로 작업 안정성에 문제가 많았다.
그러므로, 협소하고 대체로 밀폐된 공간 내에서 각 장치의 최적의 동작을 위하여 열과 공기의 흐름을 유리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의 구조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의 구조를 개선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고열에 약한 전기장치가 협소하고 밀폐된 공간에 함께 설치된 발전 유닛내의 공기의 흐름을 적절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전 유닛 내외부의 공기의 흐름이, 열에 약한 전기장치 측에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뜨거운 엔진 측에서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장치인 제어패널의 정상적인 동작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전 유닛 내의 과급기에 소음장치를 포함한 별도의 인테이크 에어필터(Intake Air Filter)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발전유닛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조를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소음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제어유닛(200)에서는 각부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전압의 제어부 부분과 전력 수분배를 위한 고전압 제어부의 배치를 운영자가 접근할 경우에도 고전압 부분과 접촉될 위험이 없이 제어 작업만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열이 발생하는 엔진 및 발전기를 제어패널과 분리하여 소음을 줄임과 아울러 제어패널이 위치한 공간에 설치된 에어컨을 통해 제어패널이 열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한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는, 컨테이너 형태의 엔클로저 내에, 엔진과 발전기 및 각부의 제어, 전력 전송과 기기보호를 위한 제어패널을 구비하여, 엔진의 출력을 전력으로 변환 출력하는 컨테이너형 발전유닛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엔클로저 내부에서 상기 엔진 측에 설치되는 과급기와; 상기 과급기에 상기 엔클로저 외부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엔클로저 외부와 상기 과급기를 연통시키는 에어흡입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흡기구에는 외부공기 중 불순물을 걸러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진, 발전기, 및 제어패널이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엔클로저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는 상기 제어패널 측에 배치되며, 상기 엔클로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출구는 상기 엔진 측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는 각각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서의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한 팬, 및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는 다공성 스플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제어유닛은, 각 발전유닛의 제어를 위한 저전압 제어부 및 저전압 출력부와 전력의 수분배를 위한 고전압 제어부가 변압기의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유닛은 상기 발전유닛이 8개인 표준모델에서 저전압 제어부는 저전압 제어부와 고전압 제어부는 고전압 제어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는, 'ㄷ' 단면 구조의 리프팅 러그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와 제어패널은 개폐 가능한 유동막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막에 의해 분리된 제어패널 측 공간에 에어컨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는, 엔진의 동작시 과급기에 공급되어야 하는 공기를 엔클로저 외부에서 별도의 흡입통로를 구비하여 직접 유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엔클로저 공간 내의 온도 환경을 장치 동작에 유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고열에 약한 전기장치가 협소하고 밀폐된 공간에 함께 설치된 발전 유닛 내의 공기의 흐름을 적절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발전 유닛 내외부의 공기의 흐름이, 열에 약한 전기장치 측에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뜨거운 엔진 측에서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장치인 제어패널의 정상적인 동작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발전 유닛의 유입구와 유출구 구조를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소음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제어유닛(200)의 내부 배치를 각부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전압의 제어반 부분과 전력 수분배를 위한 고전압 부분을 구분하여, 운영자가 접근할 경우에도 고전압 부분과 접촉될 위험이 없이 제어 작업만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은 리프팅 러그 구조의 베이스 프레임이 구비되어 발전유닛의 이동 배치가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와 제어패널이 유동막에 의해 분리되므로 제어시 소음이 감소하고, 제어패널 부분에 에어컨이 설치되면 제어패널을 구성하는 각종 전기장치의 과열이나 오작동이 방지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CPP: containerized power plant)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감도.
도 2는 종래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에 구비되는 발전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도 3의 발전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3의 발전유닛의 구성 중 엔클로저 내부의 엔진과 엔클로저 외부의 에어흡입구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종래의 발전유닛과 본 발명에 따른 발전유닛 내부의 공기 흐름의 방향을 비교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공기 유입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공기 유출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의 메인제어유닛의 내부 배치 형태가 도시된 평면도.
도 10의 (a) 내지 (f)는 도 3의 발전 유닛 에어흡입구의 다공성 스플리트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세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발전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발전유닛의 구성 중 엔클로저 내부의 엔진과 엔클로저 외부의 에어흡입구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6은 종래의 발전유닛과 본 발명에 따른 발전유닛 내부의 공기 흐름의 방향을 비교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공기 유입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공기 유출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의 메인제어유닛(200)의 내부 배치 형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의 (a) 내지 (f)는 도 3의 발전유닛의 에어흡입구의 다공성 스플리트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세부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컨테이너형 발전유닛은, 컨테이터형 발전 플랜트를 구성하는 유닛들 중 하나로서, 엔진의 출력을 전력으로 변환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유닛이다.
이 발전유닛(100)은 컨테이너 형태의 엔클로저(160) 내에, 엔진(110)과 발전기(120) 및 각부의 제어, 전력 전송과 기기보호를 위한 제어패널(130)을 구비하며, 이 밖에 소음기(140), 라디에이터(150), 유입구(170), 유출구(180) 및 에어흡입구(190)를 구비한다.
엔진(110)은 예컨대 디젤유와 같은 오일 연료를 이용하는 디젤엔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엔진(110)이 반드시 디젤엔진일 필요는 없다. 아래에서는 엔진으로서 서술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둔다.
발전유닛(100)의 엔진(110)에는, 엔진(110)의 연소실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엔클로저(160) 내부에서 엔진(110) 측에 설치되는 과급기(112)가 포함된다. 과급기(112)는 터빈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터보차저 또는 수퍼차저일 수 있다.
에어흡입구(190)는 이 과급기(112)에 엔클로저(160) 외부의 공기가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엔클로저(160) 외부와 과급기(112)를 연통시키는 수단이며, 도 5에 세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흡입구(190)는 엔클로저(160) 상부측에서 엔클로저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덕트(192)로 이루어지는데, 엔클로저(160) 내부에 연장되어 있는 덕트 단부는 연결관(196)에 의하여 과급기(112)에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에어흡기구(190)에는 외부공기 중 불순물을 걸러 제거함과 동시에 소음저감을 위한 다공성 스플리트(split)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다공성 스플리트는 예컨대 세밀한 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망이 복수겹 중첩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도 10의 (a) 내지 (f)는 에어흡입구(190)의 필터로서의 다공성 스플리트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세부도면들이다. 이 필터(194)는 예컨대 세밀한 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망이 복수겹 중첩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흡입구(190)는 외기를 과급기(112)를 경유하여 엔진(110)에 공급하며, 이것은 발전유닛(1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자유를 설계자에게 준다는 장점을 가진다. 왜냐하면, 이미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발전유닛(10)을 설명하면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엔클로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엔진 측에 설치되어야만 하였고, 이것은 결국 엔클로저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열에 민감한 전기장치인 제어패널 측에 설치될 수 밖에 없게 하는 한계를 부과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유닛(100)의 엔클로저(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진(110), 발전기(120), 및 제어패널(130)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엔클로저(160)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70)는 제어패널(130) 측에 배치되며, 엔클로저(160)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출구(180)는 엔진(110) 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6의 (b)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부 공기가 제어패널(130)을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엔진 동작에 따라 뜨거워진 내부 공기는 엔진측의 유출구(180)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것은 도 6의 (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발전유닛(10)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내부 공기가 제어패널(13)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반면에, 엔진 동작에 필요한 외부 공기가 엔진측의 유입구(18)를 통해 유입되는 구조와 대비된다.
세부적으로, 도 4에서 명확히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유입구(170)와 유출구(180)는 각각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덕트(172, 182), 덕트(172, 182) 내에서의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팬(174, 184), 및 덕트(172, 182) 내에 설치되는 다공성 스플리트(176, 1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공성 스플리트(176, 186)는, 위에서 언급한 에어흡기구(190)에 구비되는 외부공기 중 불순물을 걸러 제거함과 동시에 소음저감을 위한 필터(194)와 유사하게, 예컨대 세밀한 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망이 복수겹 중첩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공성 스플리트(176, 186)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면서도 외부공기 중 불순물이 제거되고 또한 엔클로저(160)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저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작업 안정성이 향상된 메인제어유닛(200)을 보여주고 있다. 이 메인제어유닛(200)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설비패널은 상대적으로 저전압부인 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저압라인 영역(210, 210')과 외부로 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20, 220')와 변압기(240, 240') 및 발전기에서 출력된 전력을 수급하여 분배하기 위한 고압부인 고압라인 영역(230, 230')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저압라인 영역(210, 210')과 전력 수분배를 위한 고압라인 영역(230, 230')이 서로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작업자가 제어 작업을 위하여 메인제어유닛(200)에 접근할 때 인체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고압라인 영역(230, 230')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발전 플랜트의 전력 생산 용량이 커질수록 메인제어유닛(200) 내에 설치되는 제어설비패널이 복수로 설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메인제어유닛(200) 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2개의 제어설비패널(22, 22')로서 구비되고 2개의 제어설비패널(22, 22') 사이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발전소 출력이 커지는 데에 따라 메인제어유닛(20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최소한의 공간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화살표 U는 작업자가 작업을 위하여 움직이는 방향을 보여준다)
한편, 상기 엔클로저(160)의 하부에는, 도 4와 같이 'ㄷ'단면 구조의 리프팅 러그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16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약 56톤에 달하는 발전유닛(100)의 안전한 운반을 위함과 더불어 바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엔진(110) 및 발전기(120)가 설치된 공간과 상기 제어패널(130)이 설치된 공간 사이를 개폐 가능한 유동막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영자가 상기 제어패널(130)을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엔클로저(160)의 내부로 들어갔을 때 상기 엔진(110)이나 발전기(120)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유동막에 의해 분리된 제어패널 측 공간에는 에어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전기장치를 포함하는 제어패널 측 공간의 온도가 과다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각 전기장치가 손상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유닛(100)이 설치되는 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한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제어유닛(200)은 각 발전유닛(100)의 제어를 위한 저전압 제어부(210) 및 출력부(220)와 전력의 수분배와 기기보호를 고전압 제어부(230)가 변압기(240)의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발전유닛(100)의 8개인 표준모델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제어유닛(200)을 구성할 때 저전압 제어부(210)는 저전압 제어부(210')끼리, 고전압 제어부(230)는 고전압 제어부(230')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설치한다. 이에 따라 운영자가 각 발전유닛(100)을 제어하기 위하여 메인제어유닛(200)에 진입하였을 때 고전압 제어부(230)를 접촉하지 않고 저전압 제어부(210)에서만 제어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운영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종래기술에 비하여 40피트 컨테이너를 1기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때문에, 플랜트의 부지를 축소할 수 있고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원격 집중 제어 시스템을 배치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메인제어유닛(200)은 상대적으로 저전압 제어부(210)와 외부로 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20)와 변압기(240) 및 발전기에서 출력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고전압 제어부(230)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0)와 전력의 수분배를 위한 고전압 제어부(230)가 서로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작업자가 제어 작업을 위하여 메인제어유닛(200)에 접근할 때 인체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고압라인 영역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CPP, containerized power plant)는 예컨대 디젤과 같은 중유를 원료로 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분야에서 널리 이용가능하다.
1 :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3 : 연료유저장탱크 4 : 펌프유닛
5 : 연료유공급유닛 10, 100 : 발전유닛
11, 110 : 엔진 12, 120 : 발전기
13, 130 : 제어패널 14, 140 : 소음기
15, 150 : 라디에이터 16, 160 : 엔클로저
17, 170 : 유입구 18, 180 : 유출구
190 : 에어흡입구
200: 메인제어유닛(Main Control Unit)
210: 저전압 제어부 220: 저전압 출력부
230: 고전압 제어부 240: 변압기

Claims (8)

  1. 컨테이너 형태의 엔클로저(160) 내에 설치된 엔진(110)과, 상기 엔진의 출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120)와, 각부의 제어 및 전력전송과 기기보호를 위한 제어패널(130)을 포함하는 발전유닛(100)과; 다수의 발전유닛을 제어함과 아울러 전력 수분배를 위한 메인제어유닛(200);을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100)은, 상기 엔진(110)의 연소실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과급기(112)에 상기 엔클로저(160) 외부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엔클로저(160)의 외부와 상기 과급기(112)를 연통시키는 엔진용 에어흡입구(19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용 에어흡입구(190)에는 외부공기 중 불순물을 걸러 제거하기 위한 필터(19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진(110), 발전기(120), 및 제어패널(130)이 차례로 배치되며,
    상기 엔클로저(160)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70)는 상기 제어패널(130)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엔클로저(160)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출구(180)는 상기 엔진(110)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70)와 유출구(180)는, 각각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덕트(172, 182)와, 상기 덕트(172, 182) 내에서의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한 팬(174, 184) 및 상기 덕트(172, 182) 내에 설치되는 다공성 스플리트 구조의 필터부재(176, 18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160)는, 'ㄷ' 단면 구조의 리프팅 러그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165)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유닛(200)은, 각 발전유닛(100)의 제어를 위한 저전압 제어부(210) 및 저전압 출력부(220)와 전력의 수분배를 위한 고전압 제어부(230)가 변압기(240)의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120)와 제어패널(130)은 개폐 가능한 유동막에 의해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막에 의해 분리된 제어패널 측 공간에 에어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KR1020100013569A 2010-02-12 2010-02-12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KR10110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569A KR101104327B1 (ko) 2010-02-12 2010-02-12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CN2010800637630A CN102762839A (zh) 2010-02-12 2010-02-25 集装箱式发电装置
PCT/KR2010/001200 WO2011099668A1 (ko) 2010-02-12 2010-02-25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569A KR101104327B1 (ko) 2010-02-12 2010-02-12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487A KR20110093487A (ko) 2011-08-18
KR101104327B1 true KR101104327B1 (ko) 2012-01-16

Family

ID=4436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569A KR101104327B1 (ko) 2010-02-12 2010-02-12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04327B1 (ko)
CN (1) CN102762839A (ko)
WO (1) WO2011099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57B1 (ko) * 2012-07-16 2014-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발전장치의 터보챠저 및 배기덕트 이송장치
CN103032160B (zh) * 2012-12-24 2015-06-24 南车玉柴四川发动机股份有限公司 大功率集装箱式柴油发电机组
CN103590895A (zh) * 2013-10-28 2014-02-19 南车玉柴四川发动机股份有限公司 一种箱式陆用双燃料发电机组
RU167363U1 (ru) * 2015-10-15 2017-01-1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азпром Электрогаз" Блочно-комплект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CN106545407B (zh) * 2016-12-19 2019-12-31 四川宏华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石油电动钻机的燃气发电站
CN107476881B (zh) * 2017-08-03 2021-02-05 无锡开普机械有限公司 集装箱发电机组的进风消音箱结构
RU2662800C1 (ru) * 2017-10-05 2018-07-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эйлТрансСервис" Блоч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контейнерного типа
RU2756597C1 (ru) * 2020-10-09 2021-10-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осковский Прожекторный Завод"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485A (ko) * 2007-06-28 2009-01-07 엔에이치엔(주) 폰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729B1 (ja) * 1999-03-30 2000-06-26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舶用独立型非常発電装置
US6895903B2 (en) * 2001-08-08 2005-05-24 General Electric Company Air provision systems for portable power modules
US7576442B2 (en) * 2004-03-29 2009-08-18 Gerhard Auer Mobile power plant
KR200377911Y1 (ko) * 2004-12-24 2005-03-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통합발전장치
CN2866854Y (zh) * 2006-01-06 2007-02-07 汤洪辉 垃圾填埋沼气发电装置
KR20090000485U (ko) * 2007-07-13 200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중유 발전기
CN101320890A (zh) * 2008-02-03 2008-12-10 科泰电源设备(上海)有限公司 组合式低噪声方舱电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485A (ko) * 2007-06-28 2009-01-07 엔에이치엔(주) 폰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487A (ko) 2011-08-18
CN102762839A (zh) 2012-10-31
WO2011099668A1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327B1 (ko) 컨테이너형 발전 플랜트
US20220259964A1 (en) Adaptive Mobile Power Generation System
US11560764B2 (en) Electric driven hydraulic fracking operation
US11982169B2 (en) Fracturing device driven by a variable-frequency adjustable-speed integrated machine and a well site layout
CN204152645U (zh) 用于增强燃气涡轮机功率输出的系统及燃气涡轮机
US8298025B2 (en) Cooling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marine propulsion systems
CN103696844A (zh) 一种发电机组
WO2023060945A1 (zh) 由变频调速一体机驱动的压裂设备及井场布局
US10227914B2 (en) Engine device
CN110829200A (zh) 一种内燃机车用高压电气柜
CN113700559A (zh) 一种海上设施的双燃料燃气轮机发电机组
CN106195975A (zh) 一种组合式外增压流量型蒸汽发生装置
US10903719B2 (en) Modular power system with mechanical cooling
CN204774868U (zh) 一种近海核电站用应急移动电源车
WO2022252769A1 (zh) 发电设备和电力系统
KR101005579B1 (ko) 선박의 비상 발전기 룸용 공기 순환 장치
CN102751817A (zh) 一种空冷发电机的补充冷却装置及方法
CN109403672A (zh) 一种燃气-蒸汽联合循环电厂主厂房布置结构
CN109689504A (zh) 用于起动和检修飞机喷气式发动机的地面起动装置
CN209814252U (zh) 机舱通风系统及船舶
CN208184974U (zh) 一种喷水空压机
CN103057727A (zh) 一种用于飞机地面通风的空气制冷装置
JP4131951B2 (ja) 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
CN204783740U (zh) 一种多级离心高压鼓风机
CN220235281U (zh) 一种风水冷散热的变频撬变压器用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