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324B1 - 모발성장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성장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324B1
KR101104324B1 KR1020090048183A KR20090048183A KR101104324B1 KR 101104324 B1 KR101104324 B1 KR 101104324B1 KR 1020090048183 A KR1020090048183 A KR 1020090048183A KR 20090048183 A KR20090048183 A KR 20090048183A KR 101104324 B1 KR101104324 B1 KR 10110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558A (ko
Inventor
박성민
박지영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09004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32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노화방지, 주름생성을 억제, 피부개선, 피부 미백 및 모발성장 촉진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기존의 여러 화학물질을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는 화장료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노화, 모발, 미백, 비비추, 조성물, 주름, 피부, 화장료

Description

미백, 노화, 주름 개선 또는 모발성장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emtics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Hosta longipes as active ingredient with a usage as whitening, anti-aging, anti-wrinkle or hairgrowth}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프리라디칼의 활성화 등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이 파괴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되어 성인병 및 노화가 촉진된다. 보다 구체적로 피부 노화현상은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아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피브로넥틴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화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비비추(Hosta longipes(Fr.et Sav.) Matsumura)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10cm 정도로서 밑부분은 얕은 심장형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화경(花莖)은 길이 30~35cm로서 세로줄이 있으며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모여 달린다. 포는 피침형이며 녹색이고 화관은 길이 5cm 정도로서 깔대기 같은 종형이며 끝이 6개로 갈라지고 화피 열편이 뒤로 젖혀진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화피보다 훨씬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식과로서 9월경에 결실한다.
한편, 비비추는 사포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종자 또는 식물체 전체를 한방이나 민간에서 이용하는데 생약명으로는 자옥잠(紫玉簪)이라 부른다. 잎은 즙을 짜서 젖앓이를 하거나 중이염을 앓을 때 쓰이고, 잎에서 추출한 기름은 만성피부궤양, 뿌리즙은 임파선 결핵 등에 바른다고 알려져 있다. 유사종으로는 흰좀비비추, 참비비추, 산옥잠화 등이 있다.
한편, 아스코르빈산(일본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일본특개평 6-192062), 코직산(일본특개소 56-7710), 알부틴(일본특개평 4-93150) 등을 사용한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화장품 제형 중에서의 안정성 이 나빠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하는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비비추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비비추의 추출물이 피부 주름 완화, 미백 효과 및 모발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한바,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자외선 조사 또는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이 미 손상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화시켜야 한다.
노화에는 프리라디칼 뿐만 아니라 MMP-1라는 효소가 관여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분해효소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활성화되기도 한다.
또한, 색소 침착에 의해 피부가 노화될 수 있는데, 피부색에 영향을 주는 색소로는 멜라닌, 멜라조이드,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이 있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멜라닌으로, 멜라닌의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외선과 체내 호르몬 분비 등이 있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데, 특별한 최대흡수파장은 없고, 전 영역의 빛을 흡수한다. 때로는 멜라닌 자체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기도 하고, 멜라닌 구조 내의 카테콜이나 퀴논에 의하여 다른 물질이 환원 또는 산화되며, 멜라닌 자체가 자유라디칼의 성질을 나타내기도 한다.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dihydroxy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과정을 거쳐 갈색(pheomelanin), 흑색(eumelanin)의 중합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생합성 과정은 멜라노좀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갈색 세포내 소기관에서 진행되며 멜라닌 과립을 포함한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 케라티노사이트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고 이들은 케라티노사이트의 핵 주변에 축적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프리라디칼, MMP-1, 멜라닌 등을 통해 야기되는 피부 노화를 예방 및 개선과 모발성장 촉진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반드시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비비추의 추출물은 피부의 탄력 저하 및 주름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의 활성과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모발성장 촉진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노화방지용, 주름개선용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함유되는 비비추의 추출물 함량은 특정한 범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화장료 조성물의 품질 적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비비추 추출물의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라면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 동결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1~30.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비비추의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 동결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첨가량 대비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비추의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비비추의 추출물은 특정 방법에 의 해 추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비비추를 70~85℃에서 10~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냉침하는 단계; 냉침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여과액을 50℃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감압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감압농출물을 동결하여 동결건조물을 수득하는 단계;및, 수득된 동결건조물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로 부터 수득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노화방지용,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형은 가장 바람직하게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연고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바람직하게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발모제 또는 속눈썹영양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것이 좋다.
또한, 이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는 피부용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인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1 내지 20중량%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의 저해, 자외선 조사에 의한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 발현 억제, 멜라민 생성 억제, 모발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한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모발성장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재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기존의 여러 화학물질을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는 화장료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비비추의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비비추를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농축물 및 동결건조물이 15 중량% 함유되게 정제를 사용하여 분산/용해하여 비비추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in vitro 에서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의 저해율 측정
노화가 진행되면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합성이 감소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주름도 형성된다. 본 실험예 1에서는 in vitro에서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에 대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비비추 추출물의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저해율은 생화학적 모델에서 측정하였는데, 이는 정제된 콜라게나제 및 이의 기질인 플루오레세인에 접합된 콜라겐과 젤라틴의 이용을 기초로 한다(EnzChek(상표명)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 몰큘라 프루브).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컴으로부터 정제된 콜라게나제를 상기 EnzChek(상표명)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 내에 공급하였다.
돼지 피부로부터 콜라젠을 정제하였고, 플로오레세인에 접합된 DQ-콜라겐과 0.05M 트리스-HCl, 0.15M NaCl, 5mM CaCl2 및 0.2mM 나트륨 아지드(pH 7.6)로 이루어지는 반응 완충액은 EnzChek(상표명)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몰큘라 프로브스)를 이용하였다. 비비추의 추출물을 상기 반응 완충액 내에 용해시켜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추출물의 희석액은 25ug/ml의 DQ-콜라겐 및 0.1U/ml의 콜라게나제와 함께 실온에서 15분, 45분, 12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시료농도 0.02%(v/v)와 0.04%(v/v)에서 MMP-1의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MMP-1에 대한 비비추 추출물의 우수한 저해율이 나타났다.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콜라게나제와 DQ-콜라겐 혼합물에 상응하는 대조용 혼합물(control; 상기 실험구와 동일한 조성이나, 시료만 첨가 안 된 것)도 동일하게 항온처리하였으며, 블랭크(Blank; 이하 효소 비함유 blank)라고 칭하는 샘플은 DQ-콜라겐의 존재 및 콜라게나제의 부재하에서 항온처리하였고, 각각의 실험은 3회 수행하였다. 15분, 45분, 120분 경과 후 DQ-콜라겐의 분해에 상응하는 신호는 형광측정기(여기:485nm, 방출 505nm)로 측정하였고, '효소 비함유 blank' 형광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샘플의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샘플당 형광 단위 및 대조군에 대한 변이율(%)로 나타냈다.
실험샘플 MMP-1의 저해율(%)
처리농도 0.02% 처리농도 0.04%
실시예 1(비비추의 추출물) 60 85
레티놀 0 7
녹차추출물 55 68
in vitro에서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의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표 1), 테스트된 비비추의 추출물은 투여량 의존성으로 항콜라게나제/젤라티나제 활성을 보유하였다.
그리고 비비추의 추출물은 0.02%와 0.04% 처리시 클로스트리디움 콜라게나제의 콜라겐 분해활성을 각각 60%, 85%를 억제하였으며 이는 각각의 처리농도에서 레티놀, 녹차추출물보다 우수한 MMP-1의 저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금속단백질분해효소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피부의 탄력 저하 및 주름 형성을 예방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자외선 조사 후 금속단백질분해효소 ( MMP -1) 발현억제 정도 측정
콜라겐을 분해하여 피부의 탄력 저하 및 주름이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활성화되기도 하는데, 본 실험예 2에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비추의 추출물이 자외선 조사 후,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 발현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지 측정하였다.
UV 조사 및 시료 첨가(실시예 1, 레티놀) 후,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ELISA를 실시하였다.
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UVA를 5J/㎠의 에너지로 조사하였고, 자외선 조사량과 배양시간은 예비 실험을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MMP-1 발현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UVA의 환경에 같은 시간 유지하였고, UVA 방출량은 UV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UVA가 조사되는 동안의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 그대로이고 UVA를 조사한 후, 샘플이 들어간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96-웰 플레이트에 코팅하였다. 일차항체(MMP-1 (Ab-5) 단일클론항체와 MMP-2(Ab-3) 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60분 반응시켰다. 이차항체인 안티마우스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다시 6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1mg/mlρ-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완충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05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군 처리농도(%) MMP-1 발현억제율(%)
대조군 - -
실시예 1(비비추의 추출물) 0.1 29
레티놀 0.1 21
자외선을 조사한 후 각각의 시료에 대한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의 발현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표 2),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1은 25%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특히, 레티놀보다 우수한 억제율을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 후에도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의 탄력이 저하 및 주름이 형성을 예방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B16F1 멜라노싸이트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본 실험예 3에서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비비추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B16F1 멜라노싸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예 3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 중에 각각의 시료(실시예 1,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 유용성 감초 추출물)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예 3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 x 106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각각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trypsin-EDTA'로 떼어 낸 후, 세포 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 ml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파쇄된 세포를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여 수득한 세포 여액에 1N NaOH (10% DMSO)를 첨가하고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다음,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 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후, 멜라닌을 정량하여 각각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멜라닌 생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율(%) = [(A-B)/A]x 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시료명 처리농도(%) 멜라닌 생성 억제율(IC50)
실시예 1(비비추의 추출물) 0.1 0.05%
하이드로퀴논 0.1 0.05%
알부틴 0.1 0.2%
상백피 추출물 0.1 0.06%
유용성 감초 추출물 0.1 0.03%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표 3), 실시예 1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냈는데, 특히 유용성 감초 추출물보다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미백제로 사용되는 하이드로퀴논, 상백피 추출물과는 비슷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우수한 미백효과를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모발성장 촉진 정도 측정
본 실험예 4에서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비비추 추출물에 의한 모발성장 촉진 정도를 측정하였다.
모발성장 촉진 시험은 검은 마우스(C57BL/6, male), 주령 6주령인 것을 사용하여 애니멀 크립퍼(Animal clipper)를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쥐 등판의 털을 깎아내고, 1군에 6마리씩에 대하여 다음날 등 중앙 부위의 깎은 부위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비비추 추출물을 붓을 사용하여 200㎕의 시료를 충분히 도포한 후 약 3분간 마사지를 한 다음 증류수로 충분히 헹궈 주었다. 시료 처리는 매일 1회씩 실시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서 털이 자라 등을 완전히 덮은 상태인 3주 동안 관찰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모발의 길이 및 모발 생장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에는 시험물질을 도포하지 않고 자연 생장 상태를 관찰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3% 미녹시딜(Minoxidil)을 이용하였다.
시료명 지표 경과일수
0일 7일 14일 21일
대조군 모발길이(mm) 4.22±0.45 0.63±0.18 1.51±0.23 2.72±0.41
성장율(%) 100.0 14.9 35.9 63.5
3% 미녹시딜 모발길이(mm) 4.23±0.42 1.45±0.21 2.96±0.33 3.82±0.40
성장율(%) 100.0 34.3 70.0 90.3
실시예 1(비비추의 추출물) 모발길이(mm) 4.20±0.42 1.17±0.15 2.57±0.25 3.75±0.45
성장율(%) 100.0 27.9 61.2 89.3
비비추 추출물에 의한 모발성장 촉진 정도를 측정한 결과(표 4), 실시예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발성장 촉진제인 미녹시딜과 비슷한 모발성장 촉진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우수한 모발성장 촉진효과를 추론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화장료 제조
본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비비추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5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 에 보존하였고, 보존된 '나'상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를 시킨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다음 서서히 냉각하여 각각의 크림(실시예 2,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원료 실시예 2 비교예 1
스테아릴 알콜 8 8
스테아린산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스쿠알란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아스테르 2 2
실시예 1(비비추의 추출물) 2 -
프로필렌글리콜 5 5
정제수 100에 대해 나머지 100에 대해 나머지
실험예 4: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측정
본 실험예 4는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에 대한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자는 20세~35세의 여성 15명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2의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 동안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잔주름 완화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안면 눈꼬리 주위의 주름을 실리콘 수지 복사물(레플리카)로 채취하고, 이것을 피부 미세 주름 장치와 피부 영상 분석기로 눈가 잔주름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표 6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눈가 평균 잔주름 깊이 및 주름 감소율을 비교예 1의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와 비교한 것이다.

실시예 2 비교예 1
사용 전 2개월 사용 후 사용 전 2개월 사용 후
평균 잔주름 깊이 0.189 0.154 0.191 0.183
사용전 대비 주름 감소율(%) 18.51% 4.19%
n=15, p<0.05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6), 비비추의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인 실시예 2는 비교예 1에 비해 실험자들의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피부미백효과 측정
본 실험예 6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각각의 크림에 대한 피부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자는 20세~35세의 여성 15명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2의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시험 완료 후,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 부위 피부를 화상분석기 및 크로마메타(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 변화(ΔL)를 측정하였고,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안 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관찰을 실시하여 하기 등급 분류에 따라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미백효능 정도를 7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3: 매우 악화, -2: 악화, -1: 약간 악화, 0: 변화 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피부색의 밝기 변화(ΔL)
숙력자의 객관적 평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실시예 2 비교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평균값 3.4 2.7 1.8 2.8 1.6
ΔL= 시험 후 피부 밝기 - 시험 전 피부 밝기
피부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7), 비비추의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인 실시예 2는 피부색의 밝기 변화,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및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모두 비교예 1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미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비비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비비추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 동결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1~3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비비추의 추출물은,
    비비추를 70~85℃에서 10~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냉침하는 단계;
    냉침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여과액을 50℃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감압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감압농출물을 동결하여 동결건조물을 수득하는 단계;및,
    수득된 동결건조물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로 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발모제 또는 속눈썹영양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48183A 2009-06-01 2009-06-01 모발성장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83A KR101104324B1 (ko) 2009-06-01 2009-06-01 모발성장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83A KR101104324B1 (ko) 2009-06-01 2009-06-01 모발성장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58A KR20100129558A (ko) 2010-12-09
KR101104324B1 true KR101104324B1 (ko) 2012-01-13

Family

ID=4350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83A KR101104324B1 (ko) 2009-06-01 2009-06-01 모발성장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545B1 (ko) * 2020-05-27 2024-03-13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비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030A (ja) * 2001-09-28 2003-04-18 Ts Aasu:Kk 皮膚外用剤
JP2009057309A (ja) * 2007-08-31 2009-03-19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及び保湿剤
KR20100004531A (ko) * 2008-07-04 2010-01-1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잠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9390B1 (ko) * 2009-05-15 2010-03-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030A (ja) * 2001-09-28 2003-04-18 Ts Aasu:Kk 皮膚外用剤
JP2009057309A (ja) * 2007-08-31 2009-03-19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及び保湿剤
KR20100004531A (ko) * 2008-07-04 2010-01-1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잠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9390B1 (ko) * 2009-05-15 2010-03-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58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58B1 (ko) 광독성이 낮은 모자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4595B1 (ko)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32564B1 (ko) 진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74114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21585A (ko)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027113B1 (ko) 해송의 송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EP2519223A1 (en) An agent for stimulating the expression of loxl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04324B1 (ko) 모발성장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3547B1 (ko) 싸리나무 및/또는 까마중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4531A (ko) 옥잠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1918B1 (ko) 발아 황기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