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297B1 -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4297B1 KR101104297B1 KR1020110027522A KR20110027522A KR101104297B1 KR 101104297 B1 KR101104297 B1 KR 101104297B1 KR 1020110027522 A KR1020110027522 A KR 1020110027522A KR 20110027522 A KR20110027522 A KR 20110027522A KR 101104297 B1 KR101104297 B1 KR 1011042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beam
- casing
- girder
- preflex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및 단경간과 다경간 프리플렉스 거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공종에 있어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정밀한 프리플렉션 도입이 가능하며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 및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lex girder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hort span and a multi span preflex girder.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ntroduce more stable and precise preflection in the preflex girder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a preflex girder that can be manufactured economically.
일반적으로 프리프렉스 거더는 강재의 특성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혼용하여 제작된 합성거더로서, 상향 캠버(camber)된 상태로 제작된 강거더의 양측에 하중을 가하여 프리플렉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이 강거더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거더에 가해진 프리플렉션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In general, preprex girders are a composite girder made by mix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el and the advantages of concrete, and these girders are applied with preflection by applying a load to both sides of the girder manufactured in an upward camber state. After curing by pouring concrete to the lower flange of the fabric, it is manufactured by removing the preflection applied to the girder.
이러한 프리프렉스 거더는 교량 또는 건물과 같은 구조물의 축조시 보의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스팬(span)이 비교적 긴 곳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프리플렉스 거더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작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Such preprex girders are installed to act as beams when constructing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or a building, and are particularly used where a span is relatively long. 1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to manufacture a conventional general preflex girder,
통상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2개의 프리플렉스 거더를 동시에 제작하게 된다.Typically, two preflex girde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produced simultaneously.
이러한 프리플렉스 거더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장치는, 서로 대향되는 상태로 일정한 간격과 거리를 유지하며 설치되는 2열의 포스트(100)와, 상기 각열의 포스트(100) 양측 소정위치(대략 L/4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프리플렉스 거더의 모체를 이루는 상부거더(G1) 및 하부거더(G2)가 지지되는 복수의 스탠드(102)와,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ch a preflex girder is provided with two rows of
상기 각열의 포스트(100) 상부내측에 고정된 지지대(104)에 수평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부거푸집(106)이 지지되는 상부레일(108)과, 상기 각열의 포스트(100) 내측바닥면에 설치되어 하부거푸집(110)이 지지되는 하부레일(112)을 포함한다.The
상기 상부거더(G1)는 스탠드(102)에 거치된 상태에서 일측이 스탠드(102)에 연결된 턴버클(114)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하부거더(G2)는 일측이 스탠드(102)에 연결된 턴버클(116)에 의하여 매달려 고정된다.The upper girder G1 is fixed to the
상기 상부거푸집(106)은 상부거더(G1)의 상부 플랜지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거푸집(110)은 도면에서 보아 하부거더(G2)의 하부 플랜지 부분에 설치된다.The
이러한 상,하부거푸집(106)(110)은 그 하부 양측면에 제공된 지지부재(118)에 의하여 상,하부레일(108)(112)에 각 각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The upper and
상기 지지부재(118)에는 길이조절 가능한 스크루잭(120)이 제공되어 상,하부거푸집(106)(110)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도록 되어있다.The
이와 같은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프리플렉스 거더를 제작하려면, 먼저 상부거더(G1) 및 하부거더(G2)를 캠버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스탠드(102)에 거치하거나 위치시킨 상태에서 턴버클(114)(116)을 이용하여 스탠드(102)에 고정한다.In order to manufacture a preflex girder using such a preflex girder manufacturing apparatus, first, the upper girder G1 and the lower girder G2 are mounted on the
그 다음 상부거더(G1) 및 하부거더(G2)의 양쪽 끝 단부를 유압잭 등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에서 가압하여 거더에 응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이들 상부거더(G1) 및 하부거더(G2) 일측 플랜지 부분에 상,하부거푸집(106)(110)을 조립 설치하고,Then, both ends of the upper girder G1 and the lower girder G2 are pressuriz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using a hydraulic jack or the like to stress the girder, and the upper girder G1 and the lower girder G2 one side flange Assemble and install the upper and
여기에 케이싱 콘크리트(C)를 각각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상,하부거푸집(106)(110)을 제거하고 거더에 가해진 응력을 제거하면 프리플렉스 거더의 제작이 완료된다.After the casing concrete (C) is poured and cured, respectively, the upper and
이렇게 제작된 상부거더(G1) 및 하부거더(G2)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제작장치에서 분리한 후,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설치장소로 운송하여 가설한 다음, 그 상부에 슬래브를 타설하여 일정구간의 교량이나 구조물을 축조하게 된다.The upper girder (G1) and the lower girder (G2) thus manufactured are separated from the production apparatus by using a crane, etc., then transported to the installation site by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n installed, and then slab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tion. To build bridges and structures.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장치는 매우 큰 설비로서 제작장 부지와 설비를 갖추기 위한 비용이 너무 많이 요구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프리플렉스 거더를 상하로 놓고 제작하기 때문에 길이가 긴 프리플렉스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 제작과정에 있어 실제 수직 및 수평변위가 너무 커져 설사 상부 및 하부거더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지지부재(118)를 이용한다 할지라도 실제 소요의 프리플렉스를 도입하는 정밀도가 아무래도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reflex girder fabricat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cost of equipping the production site and equipments is very large as a very large facility, and the preflex girders are placed up and down to make the long preflex In manufacturing the girder, the actual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 is too larg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even if the
이에 본 발명은 종래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설비를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과정에 있어 수직 및 수평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보더 정밀한 프리플렉스 거더를 제작할 수 있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conventional preflex girder manufacturing facilities, while ensuring sufficient economic feasibility, even if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ccu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easy to control the preflex girder that can produce a more precise preflex girder Providing a manufacturing method i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작과정에서 강재빔을 제작장치 또는 제작대에 세팅시킴에 있어 작업하중 및 자중과 콘크리트 타설 시 강재빔의 수평 및 수직변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단부프레임과 공기 또는 유압에 의하여 강재빔의 수평 및 수직도를 조절하는 강재빔 위치조정장치를 이용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setting the steel beam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r the manufacturing tab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end frame and the air or the end frame which can easily control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eel beam when concrete load Steel beam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gree of the steel beam by the hydraulic pressure is us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To this end,
강재빔을 제작대에 설치한 후 상기 강재빔에 프리플렉션을 가하는 단계; 상기 강재빔에 케이싱거푸집을 이용하여 케이싱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리플렉션을 제거하여 케이싱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프리플렉스 합성빔 제작방법에 있어서,Installing a steel beam on a workbench and then applying a preflection to the steel beam; Forming a casing concrete by using casing dies on the steel beam; In the pre-plex composite beam fabrication method comprising a; and the step of removing the pre-plexing to introduce pre-stress to the casing concrete;
상기 제작대는 강재빔에 작용하는 프리플렉션에 의하여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The fabrication table is to prevent the position is changed by the pre-flexion acting on the steel beam
강재빔의 양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강재빔의 양 단부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위치가 구속되도록 형성된 단부프레임; 및An end frame installed to surround both ends of the steel beams such that both ends of the steel beams are constrain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상기 단부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며 강재빔의 하부에서 공기에 의하여 강재빔의 수평 및 수직도를 조절하는 강재빔 위치조정장치;를 포함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를 제공한다.It is provided inside the end frame and the steel beam position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gree of the steel beam by the air at the bottom of the steel beam; provides a preflex girde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상기 강재빔에는 하향 만곡된 강재빔를 지지하는 역 “ㄱ” 형태의 상부받침대 및 바닥으로부터 상부받침대를 지지하는 하부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앙받침대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한다.The steel beam provides a preflex girder manufacturing method for installing at least one central support comprising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support from the bottom and a bottom support of the inverted "b" shape supporting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do.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상기 프리플렉션을 가하는 단계는 The step of applying the pre-fraction
강재빔을 상향 캠버가 형성되도록 제작한 후 상하로 뒤집어 하향 만곡된 상태로 단부프레임에 설치하고,After the steel beam is manufactured to form an upward camber, the steel beam is turned upside down and installed in the end frame in a downward curved state.
상기 하향 만곡된 강재빔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한 케이싱 거푸집에에 케이싱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케이싱거푸집를 해체하여 케이싱거푸집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한 강재빔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케이싱콘크리트에 자연스럽게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고,When the casing concrete is cured in the casing formwork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the casing formwork is dismantled to generate elastic resilience force of the steel beam deflect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casing formwork, thereby compressing prestress naturally to the casing concrete. Is introduced,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제작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하로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lex girder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preplex composite beam from the fabrication table and upside down.
즉, 하향 만곡된 강재빔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한 케이싱 거푸집에에 케이싱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케이싱거푸집를 해체하게 되면 케이싱거푸집 무게가 제거되므로 강재거더를 릴리즈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casing concrete is cured in the casing form form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the casing form is removed when the casing form is dismantled, and thus the steel girder is released.
즉 케이싱거푸집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하게 되고 케이싱거푸집을 해체하면 강재거더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케이싱콘크리트에 자연스럽게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deflection occurs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casing formwork, and when the casing formwork is dismantled,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teel girder is generated so that the compression prestress is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상기 프리플렉션을 가하는 단계는The step of applying the pre-fraction
강재빔을 상향 캠버가 형성되도록 제작한 후 상하로 뒤집어 하향 만곡된 상태로 단부프레임에 설치하고,After the steel beam is manufactured to form an upward camber, the steel beam is turned upside down and installed in the end frame in a downward curved state.
상기 하향 만곡된 강재빔의 상부를 감싸도록 케이싱콘크리트를 형성시켜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제작하고,A casing concrete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to manufacture a preflex composite beam,
상기 제작된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제작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하로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lex girder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prepared preplex composite beam from the fabrication table upside down.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상기 제작된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제작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하로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 이후에,After separating the fabricated preflex composite beam from the fabrication stage and then upside down and disposed,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케이싱콘크리트 내부에 배치된 포스트 텐션용 긴장재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지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preflex girder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troducing the prestress to the casing concrete using a post tension tension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casing concrete of the preflex composite beam.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상기 단부프레임은 제작장 바닥에 설치된 저판; 및 상기 저판 상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된 양 수직측벽판; 및 에어백의 전면 및 배면에 수직마감판;을 포함하도록 제작하여 상기 양 수직측벽판 내부에 강재빔 위치조정장치가 설치된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한다.The end frame is a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roduction site; And two vertical side wall plates which are set to face each oth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a vertical finishing plate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bag to provide a preflex girder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steel beam positioning devices are installed in both vertical side wall plates.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상기 강재빔 위치조정장치는The steel beam positioning device
상기 양 수직측벽판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Airbags installed in both vertical sidewall plates;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컴프레셔가 연결된 호스;A hose connected to the air bag, the compressor being capable of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에어백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호스;A discharge hose for discharging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bag;
상기 에어백 내부는 격벽;The air bag inside the partition wall;
하향 만곡된 강재빔의 양 단부에 만곡된 형태에 대응하는 상부절곡판과 상기 상부절곡판 하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구를 포함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lex girder comprising a supporter including an upper bent plate corresponding to a curved shape at both ends of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and a support frame installed below the upper bent plate.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제작된 프리플렉스 합성빔(1차 프리플렉션 도입)을 교량하부구조에 설치하는 단계; 및Installing the fabricated preplex composite beam (primary preflection introduced) in the bridge substructure; And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상부플랜지 및 복부에 피복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단계;Forming a coated concrete on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of the preplex composite beam;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Forming a slab on top of the preplex composite beam; And
상기 교량하부구조에 설치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케이싱콘크리트 내부에 배치된 긴장재를 이용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2차 프리플렉션 도입)를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경간 프리플렉스 거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short-span preflex girder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troducing a compression prestress (secondary pre-flection introduced) to the casing concrete using a tension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casing concrete of the preflex composite beam installed in the bridge substructure. .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제작된 프리플렉스 합성빔(1차 프리플렉션 도입)을 교량하부구조에 설치하는 단계; 및Installing the fabricated preplex composite beam (primary preflection introduced) in the bridge substructure; And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상부플랜지 및 복부에 피복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단계;Forming a coated concrete on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of the preplex composite beam;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서로 종방향으로 지점부 연결재(900)를 이용하여 연속되도록 연결시키되, 상기 지점부 연결재(900)는 “역 ㄷ자” 형태의 연결재를 노출된 강재빔(200)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에 끼워넣고 상기 “역 ㄷ자” 형태의 연결재를 강거더의 노출된 복부(220)에 연결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시켜 강재빔(200)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The preplex composite beam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using the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Forming a slab on top of the preplex composite beam; And
상기 교량하부구조에 설치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케이싱콘크리트 내부에 배치된 긴장재를 이용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2차 프리플렉션 도입)를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경간 프리플렉스 거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ulti-span preflex girder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troducing a compressive prestress (secondary preflection introduced) to the casing concrete using a tension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casing concrete of the preflex composite beam installed in the bridge substructure. .
본 발명은 간단한 설비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고 경제적인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roduction of more precise and economical preflex girders using a simple equipment.
이에 복잡하고 큰 규모의 제작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보다 용이하게 프리플렉스 거더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easier to manufacture preflex girders without the need for complex and large-scale production facilities.
결국 본 발명은 강재빔의 세팅과정에서 안정적인 세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프리플렉션 재하를 위하여 별도의 재하장치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stable setting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steel beam,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very efficient and economical preflex girder because it does not use a separate loading device for pre-loading loading.
또한 본 발명의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하여 단경간 및 다경간 교량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hort span and multi span bridg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preflex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종래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대 상세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공종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한 단경간 교량시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한 다경간(연속교) 교량시공사시도이다.1 is a detailed view of a conventional preflex girder fabrication table,
Figures 2a, 2b and 2c is a manufacturing plan of the preflex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s a construction of a short span bridg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multi-span (continuous bridge) bridg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기준으로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 공종을 살펴본다.Hereinafter, a preflex girder fabrication model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2A to 2C.
먼저 도 2a와 같이 강재빔(200)를 제작하게 되며 이는 상부플랜지(210), 복부(220) 및 하부플랜지(230)로 횡단면이 I형으로 형성되며 I형 형강을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First, the
또한 상기 강재빔(200)는 빌트-업(BUILT-UP) 제작방식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하부플랜지(230)는 상부플랜지(210)의 횡방향 폭 보다 작은 강재빔(20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강재빔(200)는 종방향으로 상향 캠버(CAMBER)를 가지도록 미리 단면을 정하게 되며, 상향 캠버의 정도는 종방향으로 직선형태의 프리플렉스 거더(강재빔+케이싱콘크리트+케이싱거푸집)의 양 단부가 단순지지형태로 세팅하였을때 자중에 의한 처짐값에 해당하는 만큼의 상향캠버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이에 도 2a에서는 상기 처짐값에 해당하는 상향변위(δ)를 가질 수 있는 상향캠버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n FIG. 2A, it can be seen that an up camber which has an up displacement δ corresponding to the deflection value is formed.
이는 프리플렉션 재하 및 강재빔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 보면 된다.This may be regarded as securing the prestress to be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by the pre-loading load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teel beam.
다음으로 상기 상향캠버가 형성된 강재빔(200)의 양 단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된 단부프레임(300)에 강재빔(200)를 상하 뒤집어 안착시키게 된다.Next, the steel beams 200 are placed upside down on the
이로서 상하 뒤집어진 상태에서는 상향 캠버가 형성된 강재빔(200)의 상부플랜지(210)는 하부플랜지로 하부플랜지(230)는 상부플랜지로 세팅됨을 알 수 있다.Thus, in the upside down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이때 상기 단부프레임(300)의 역할은 강재빔(200)를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면서 위치를 구속시켜 주기 위함인데 기능적으로만 보면 도 1에 있어 지지부재(180)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role of the
이러한 단부프레임(300)은This
제작장 바닥에 설치된 저판(310); 및 상기 저판 상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된 양 수직측벽판(320);을 포함하도록 하되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이러한 단부프레임(300)은 제작장 바닥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면 된다.A
이때 상기 양 수직측벽판(320)과 저판(310)에 의한 내측공간(S)에는 본 발명의 공기 또는 유압에 의하여 강재빔의 수평 및 수직도를 조절하는 강재빔 위치조정장치(40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teel beam
예컨대 에어백(410)과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호스(420)가 연결된 것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n
말하자면 공기를 컴프레셔(430)를 이용하여 에어백(410)에 주입하고, 배출호스(440)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이러한 에어백(410)은 상기 양 수직측벽판(320)과 저판(310)에 의한 내측공간(S)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공간에 맞는 형태로 세팅하면 된다.The
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백(410)의 전면 및 배면에 수직마감판(330)이 장착되도록 하여 에어백의 위치를 세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이러한 에어백(410)을 설치하게 되면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킴에 따라 에어백(410)은 팽창하거나 수축하게 된다. 에어백의 양 측면부는 양 수직측벽판(320)에 의하여 막혀져 있으므로 에어백의 팽창 및 수축은 상하방향으로 제어됨을 알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에어백(410) 내부는 격벽(450)이 더 형성되어 있어 격벽(450)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에어백(410)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에어백(410)의 상하방향도 격벽에 의하여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이와 같은 에어백(410)의 상부에는 지지구(460)를 더 설치하여 에어백(410)과 강재빔(200)의 접촉면적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이러한 지지구(460)는 하향 만곡된 강재빔(200)의 양 단부에 만곡된 형태에 대응하는 상부절곡판(461)과 상기 상부절곡판(461) 하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462)를 형성시켜 지지프레임(462)이 에어백(410)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에 상기 양 수직측벽판(320) 사이에 강재빔(200)의 양 단부가 상부로부터 삽입되도록 한다.Therefore, both ends of the
이때 상기 지지구(460)의 상부절곡판(461)에 강재빔(200)의 양 단부 저면이 접하여 세팅되도록 설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이 강재빔(200)를 단부프레임(300)에 안착시키더라도 종방향 길이가 상당히 연장된 강재빔(200)를 설치하게 되면 강재빔(200)의 중앙부는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강재빔(200)의 중앙하부에는 중앙받침대(500)를 설치하여 안정적인 강재빔(200) 세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Even when the
이러한 중앙받침대(500)는 하향 만곡된 강재빔(200)를 지지하는 역 “ㄱ” 형태의 상부받침대(510)과 바닥으로부터 상부받침대(510)를 지지하는 하부받침대(520)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결국, 본 발명은 강재빔(200)의 안정적인 세팅을 매우 중시하게 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케이싱거푸집(600)과 케이싱콘크리트(240) 타설시 그 자중 및 타설하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러한 자중 등에 의하여 강재빔(200)의 수직 및 수평변위에 의하여 강재빔(200)의 세팅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stable setting of the
이러한 강재빔(200)의 종방향 연장길이가 길면 길수록 종방향 수평변위, 수직변위는 자중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변위들은 강재빔(200)의 세팅초기 상태를 벗어나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고 정확한 프리플렉션 도입에 장애가 될 수 밖에 없다.The longer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나아가 상기 중앙받침대(500)는 장지간의 프리플렉스 거더를 제작할 때는 2개 이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wo or more center pedestals 500 when manufacturing the preflex girders between the limbs.
이에 기본적으로 단부프레임(300), 강재빔 위치조정장치(400) 및 중앙받침대(500)의 위치, 개수 등을 조정하여 강재빔(200)의 변위를 정확하게 세팅되도록 한다.Basically, by adjusting the position, the number, etc. of the
이때, 상기 강재빔(200)를 단부프레임(300)에 강재빔 위치조정장치(400)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부플랜지가 단부프레임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플랜지에 케이싱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케이싱거푸집(6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이에 도 2b와 같이 먼저 상부플랜지 주위에는 긴장재 삽입용 쉬스(610), 철근조립체(620)를 먼저 세팅하고, 상기 쉬스, 철근조립체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싱거푸집(600)을 강재빔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B, first, the tension
이러한 케이싱거푸집(600)은 도 1의 1차 프리플렉션 지지대(630)에 의하여 강재빔(200)의 하부에서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케이싱거푸집(600) 및 케이싱콘크리트(240)의 자중이 강재빔(200)에 직접 전달되도록 하게 된다.The casing die 60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1차 프리플렉션 지지대(630)는 관 형태의 부재를 이용하되 중간에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한 길이조정이 가능한 부재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싱거푸집(600)의 설치 위치에 변동이 있을 경우 이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정하기 위함이다.The
이로서 상기 긴장재 삽입용 쉬스(610), 철근조립체(620), 케이싱거푸집(600)의 무게는 강재빔(200)를 하방으로 처지도록 하는 기능을 가져 일종의 프리플렉션 재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the weight of the tension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거푸집(60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쉬스와 철근조립체가 매립되도록 하면서 상부플랜지 주위에 사각구체 형태의 케이싱콘크리트(240)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Next, concrete (C) is poured into the
이러한 케이싱콘크리트(240)는 무게가 상당히 크다. 이에 강재빔(200)에 충분한 프리플렉션이 재하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is
이러한 프리플렉션 재하 과정에서 강재빔(200)는 수평변위와 수직변위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변위들은 강재빔(200)의 세팅초기 상태를 벗어나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고 정확한 프리플렉션 도입에 장애가 된다.In the pre-loading process, the
이에 상기 케이싱거푸집의 설치, 케이싱콘크리트의 설치과정에서 강재빔(200)의 수직 및 수평변위는 기본적으로 단부프레임(3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이는 강재빔(200)의 양 단부가 단부프레임에 삽입되어 있어 강재빔(200)의 위치를 충분히 구속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This is possible because both ends of the
또한 강재빔(200)의 수직변위 및 수평변위에 차이가 발생되면 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로 에어백(410)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강재빔(200)의 상기 변위들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difference occurs in the vertical displacement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강재빔(200)의 수직 및 수평변위 여부는 미도시된 수평계 등을 이용하면 된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미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강재빔은 매우 안정적인 세팅이 가능하여 프리텐션용 긴장재를 미리 상기 강재빔(200)의 상부플랜지 주위에 더 설치하고 프리텐션을 가한 상태에서 사각구체 형태의 케이싱콘크리트(24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강재빔을 바닥에서 가까운 위치에 세팅되며 단부프레임등에 의하여 안정적인 세팅이 가능하므로 프리텐션 긴장재의 설치, 긴장 및 릴리즈가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Although not shown, the steel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in a very stable manner, and the tensioning material for pretension is further installed around the upper flange of the
다음으로 도 2c와 같이 상기 케이싱콘크리트(240)가 경화되면 케이싱거푸집(600)를 해체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싱거푸집(600) 해체를 하게 되면 거푸집 무게가 제거되므로 강재빔(200)를 릴리즈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2C, when the
즉, 케이싱거푸집(600)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하게 되고 케이싱거푸집을 해체하면 강재빔(200)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케이싱콘크리트에 자연스럽게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deflection occurs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casing die 600, and when the casing die is dismantled,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이와 같이 케이싱콘크리트(240)가 상부플랜지에 형성된 상태가 되면 제작대에 있어 프리플렉션 거더(A)가 제작된다.As such, when the
다음으로는 미도시된 기중기 등의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프리플렉션 거더(A)를 인양하면서 상하로 다시 뒤집어 세팅하면 케이싱콘크리트(240)가 형성된 하부플랜지는 상부플랜지(210)로, 상부플랜지는 하부플랜지(230)로 세팅됨을 알 수있다.Next, using a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not shown, when the pre-flection girders A are lifted up and down again and set up, the lower flange on which the
나아가 상기 프리플렉션 거더(A)의 노출된 강재빔의 복부 및 상부플랜지에 피복콘크리트(B)를 미리 타설하여 최종 상기 프리플렉션 거더(A)를 완성시키게 되며 상기 피복콘크리트는 도 4와 같이 교량하부구조에 설치 후 형성시켜도 상관은 없다.Furthermore, the coated concrete (B) is pre-poured on the abdomen and the upper flange of the exposed steel beam of the pre-glare girder (A) to complete the final fold girder (A), the coated concrete as shown in FIG. It may be formed after installation in the structure.
또한 프리플렉션 거더(A)의 케이싱콘크리트(240)에 배치된 쉬스(610)에 PC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700)를 삽입하여 긴장 후 케이싱콘크리트 단부면 등에서 긴장후 정착되도록 함으로서, 최종 케이싱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게 되며 물론 이러한 긴장재에 의한 압축 프리스트레스 전부 또는 일부는 교량하부구조에 설치 후 도입시켜도 상관은 없다.In addition, by inserting a
이에 최종 본 발명의 프리플렉션 거더(A)가 완성됨을 알 수 있으며 프리플렉션 재하에 따라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되는 압축프리스트레스의 경우 본 발명은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preflection gird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and in the case of the compression prestress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flection load,
첫째, 제작대에 있어 강재빔에 케이싱거푸집, 쉬스, 철근조립체, 케이싱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된 상태에서 케이싱거푸집(600)를 해체할 때 강재빔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First, when the casing formwork, sheath, reinforcing bar assembly, casing concrete is placed and cured in the steel beam, when the
둘째, 제작대에 있어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된 프리텐션용 긴장재에 의한 압축프리스트레스가 케이싱거푸집(600)를 해체할 때 강재빔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Second, when the compression prestress by the pre-tensioning tension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in the manufacturing table dismantles the casing die 60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teel beam,
셋째, 제작대에서 프리플렉션 거더(A)를 인양하여 상하 뒤집었을 때Third, when lifting the Pre-Flation Girder (A) from the workbench and turning it upside down
넷째, 거치된 프리플렉션 거더(A)의 케이싱콘크리트에 포스트텐션용 긴장재를 이용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완성됨을 알 수있다.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of the mounted pre-flexion girders (A) using a post tension tension material.
이에 제작대에서 분리되어 상하로 뒤집어진 과정까지 도입되는 프리플렉션을 1차 프리플렉션, 교량하부구조에서 거치되어 도입되는 2차 프리프렉션이라 할 수 있다.Thus, the pre-fraction separated from the fabrication table and introduced up to the upside-down process may be referred to as the primary pre-fraction and the secondary pre-fraction introduced through the bridge substructure.
이로서 본 발명은 케이싱거푸집(600)을 지지하는 관 형태의 부재를 특히 1차 프리플렉션 지지대(630)라 지칭하게 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tubular member supporting the
따라서 달리 종래 프리플렉션 거더 제작과정에서 필요한 프리플렉션 재하장치를 별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대 설비의 경제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economics of the fabrication equipment because it does not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pre-loading device necessar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preflection girder.
< 본 발명의 프리플렉션 거더(A)를 이용한 단경간 교량시공방법 ><Short Spa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flection Gird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작대에서 본 발명의 프리플렉션 거더(A, 1차 프리플렉션 도입)가 완성되면 도 3a와 같이 미리 시공된 교량하부구조(800)에 상,하를 뒤집어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거치시키게 되며,When the pre-flexion girders (A, primary pre-in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in the manufacturing tabl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re-constructed bridge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상기 프리플렉션 거더(A) 상부에 슬래브(C)를 시공함으로서 교량을 완성시키되,Next, as shown in FIG. 3b, the bridge is completed by constructing the slab (C) on the preflection girder (A),
프리플렉션 거더(A)의 케이싱콘크리트(240)에 배치된 쉬스(610)에 PC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700a)를 삽입하여 긴장 후 케이싱콘크리트 단부면 등에서 긴장후 정착되도록 함으로서, 케이싱콘크리트에 추가 프리스트레스(2차 프리플렉션)가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By inserting a
또한 상기 긴장재중 일부(700b)는 케이싱콘크리트의 상면에서 인출되도록 하여 추후 유지관리용으로 긴장후 정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tension member (700b) can be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can be settled after the tension for future maintenance.
이로서 본 발명의 긴장재(700:700a,700b)는 케이싱콘크리트 내부에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케이싱콘크리트 단부면에 긴장후 정착되도록 하거나, 케이싱콘크리트 상면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정착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tension members 700: 700a and 700b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osed in a straight shape inside the casing concrete so as to be fixed after tension on the casing concrete end surface or to be pulled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
또한, 상기 프리플렉션 거더(A)에 있어 외부로 노출된 복부, 상부플랜지는 미도시 하였지만 도 4와 같이 피복콘크리트(B)를 더 형성시켜 강재빔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식되지 않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상부플랜지 상면에는 전단연결재가 더 설치되어 피복콘크리트 위쪽으로 연장되어 돌출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abdomen and the upper flang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pre-girder girder (A) is not shown, but as shown in Figure 4 to form a coated concrete (B) it can be seen that the steel beam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prevent corros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hear connection material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flange upper surface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oated concrete.
나아가 긴장재를 제작 및 시공단계별로 긴장 및 정착(1,2차 프리플렉션 도입)시킴으로서 효율적인 프리플렉션 거더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ension material is tensioned and fixed at each stage of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introduced 1st and 2nd preflec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n efficient preflection girder.
< 본 발명의 프리플렉션 거더(A)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시공방법 ><Multi-Spa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flection Gird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2경간 이상의 교량시공방법에 대한 것을 도시한 것인데 이러한 다경간 교량 즉 연속교에서는 교량하부구조에 설치된 프리플렉스 거더(A)를 서로 연결시켜 주어야 한다.4 illustrat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over two spans. In the multi-span bridge, that is, a continuous bridge, the preflex girders A installed in the bridge substructure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점부(교각,810)에 있어 프리플렉스 거더(A)의 양 단부는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복부가 노출되도록 하되 하부플랜지를 감싸는 케이싱콘크리트도 일정 길이 배제되도록 하여 하부플랜지가 노출되도록 하게 되며 이는 케이싱거푸집의 연장길이를 조정하면 제작이 가능하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preflex girder (A) in the branch portion (pier, 810) is exposed to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of the steel beam, but the casing concrete surrounding the lower flange also excludes a certain length of the lower flange It can be exposed and it can be manufactured by adjusting the extension length of casing formwork.
이러한 프리플렉스 거더(A)를 지점부에 있어 서로 단부면이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지점부 연결재(900)를 이용하여 프리플렉스 거더(A)를 서로 연속화시키게 되며, 상기 프리플렉션 거더(A)의 노출된 강재빔의 복부(220) 및 상부플랜지(230)에 피복콘크리트(B)를 미리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The preflex girder A is connected to the preflex girder A by the
이때, 상기 지점부 연결재(900)는 “역 ㄷ자” 형태의 연결재를 노출된 강재빔(200)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에 끼워넣고 상기 “역 ㄷ자” 형태의 연결재를 강거더의 노출된 복부(220)에 연결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시켜 간단하게 강재빔(200)를 서로 연속화 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강개거더의 상부플랜지도 덧댐판(910)을 이용하여 서로 확실하게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girder is to be sur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이에 지점부에 있어 강재빔은 지점부 연결재(900)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되기도 하지만 그 형태에 의하여 지점부에 있어 강재빔에 작용하는 휨 부모멘트, 좌굴 등에 매우 유리한 보강구조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The steel beam in the point portion may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y the
이와 같이 지점부 연결재(900)에 의한 강재빔의 연속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최종 강개거더의 노출된 하부플랜지에 지점부 콘크리트(920)을 더 타설하여 최종 케이싱거푸집도 지점부에 있어 연속화되도록 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steel beam is made continuous by the
물론 제작대에서 본 발명의 프리플렉션 거더(A, 1차 프리플렉션 도입)가 완성되면 미리 시공된 교량하부구조(800)에 상,하를 뒤집어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거치시키게 되며,Of course, when the pre-flexion gird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 1st pre-introduction) is completed in the fabrication platform, it is mounted on the bridge
다음으로는 상기 프리플렉션 거더(A) 상부에 슬래브(C)를 시공함으로서 교량을 완성시키되,Next, to complete the bridge by installing a slab (C) on the pre-flection girder (A),
프리플렉션 거더(A)의 케이싱콘크리트(240)에 배치된 쉬스(610)에 PC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700a)를 삽입하여 긴장 후 케이싱콘크리트 단부면 등에서 긴장후 정착되도록 함으로서, 케이싱콘크리트에 추가 프리스트레스(2차 프리플렉션)가 도입되도록 함은 동일하다.By inserting a
또한 상기 긴장재중 일부(700b)는 케이싱콘크리트의 상면에서 인출되도록 하여 추후 유지관리용으로 긴장후 정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tension member (700b) can be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can be settled after the tension for future maintenance.
200: 강재빔
210: 상부플랜지 220: 복부
230: 하부플랜지 240: 케이싱콘크리트
300: 단부프레임
310: 저판 320: 양 수직측벽판
330: 수직마감판
400: 강재빔 위치조정장치
410: 에어백 420: 호스
430: 컴프레셔 440: 배출호스
450: 격벽 460: 지지구
500: 중앙받침대
510: 상부받침대 520: 하부받침대
600: 케이싱거푸집
610: 쉬스 620: 철근조립체
630: 1차 프리플렉션 지지대
700,700a,700b: 긴장재
800: 교량하부구조
900: 지점부 연결재 910: 덧댐판
920: 지점부 콘크리트200: steel beam
210: upper flange 220: abdomen
230: lower flange 240: casing concrete
300: end frame
310: bottom plate 320: both vertical side wall
330: vertical finish plate
400: steel beam positioning device
410: airbag 420: hose
430: compressor 440: discharge hose
450: bulkhead 460: support
500: center stand
510: upper stand 520: lower stand
600: casing dies
610: sheath 620: rebar assembly
630: primary preflection support
700,700a, 700b: tension material
800: bridge undercarriage
900: branch connection member 910: backing plate
920: branch concrete
Claims (9)
상기 제작대는
강재빔(200)의 양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부프레임(300); 및 상기 단부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는 강재빔 위치조정장치(400);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프레임(300)은 제작장 바닥에 설치된 저판(310); 및 상기 저판 상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된 양 수직측벽판(320); 및 에어백(410)의 전면 및 배면에 수직마감판(330);을 포함하도록 제작하여 상기 양 수직측벽판(320) 내부에 강재빔 위치조정장치(400)가 설치도록 하며,
상기 강재빔 위치조정장치(400)는 상기 양 수직측벽판(320)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410);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컴프레셔(430)가 연결된 호스(420); 에어백(410)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호스(440); 상기 에어백(410) 내부는 격벽(450); 하향 만곡된 강재빔(200)의 양 단부에 만곡된 형태에 대응하는 상부절곡판(461)과 상기 상부절곡판(461) 하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462)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구(46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Installing a steel beam (200) on a workbench and then applying a preflection to the steel beam; Forming a casing concrete 240 using the casing die 600 in the steel beam; In the pre-plex composite beam fabrication method comprising a; and the step of removing the pre-plexing to introduce pre-stress to the casing concrete;
The production stand
An end frame 300 installed to surround both ends of the steel beam 200; And a steel beam positioning device 400 disposed inside the end frame.
The end frame 300 is the bottom plate 3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roduction site; And both vertical side wall plates 320 set to face each other on the bottom plate upper surface. And a vertical finishing plate 330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bag 410, so that the steel beam positioning device 400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side wall plate 320,
The steel beam positioning device 400 is an air bag 410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side wall plate 320; A hose 420 connected to the air bag, to which a compressor 430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is connected; A discharge hose 440 for discharging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bag 410; Inside the air bag 410, the partition wall 450; A support tool 460 including an upper bending plate 461 corresponding to a curved shape at both ends of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200 and a support frame 462 installed below the upper bending plate 461. Preflex girde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강재빔(200)에는 하향 만곡된 강재빔(200)를 지지하는 역 “ㄱ” 형태의 상부받침대(510) 및 바닥으로부터 상부받침대(510)를 지지하는 하부받침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앙받침대(500)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steel beam 200 includes an upper stand 510 having an inverted “a” shape for supporting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200 and a lower stand 520 for supporting the upper stand 510 from the bottom.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lex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nstallation of the central support (500).
강재빔을 상향 캠버가 형성되도록 제작한 후 상하로 뒤집어 하향 만곡된 상태로 단부프레임(300)에 설치하고,
상기 하향 만곡된 강재빔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한 케이싱 거푸집에에 케이싱콘크리트(240)가 경화되면 케이싱거푸집(600)를 해체하여 케이싱거푸집(600)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한 강재빔(200)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케이싱콘크리트에 자연스럽게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고,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제작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하로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pplying the prefraction
After the steel beam is manufactured to form an upward camber, upside down and installed in an end frame 300 in a downward curved state,
When the casing concrete 240 is cured in a casing formwork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the casing formwork 600 is dismantled to deflect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casing formwork 600.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so that compression prestress is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And separating the preplex composite beam from the fabrication table and upside down to arrange the preplex girder beam.
강재빔을 상향 캠버가 형성되도록 제작한 후 상하로 뒤집어 하향 만곡된 상태로 단부프레임(300)에 설치하고,
상기 하향 만곡된 강재빔의 상부를 감싸도록 케이싱콘크리트를 형성시켜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제작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하로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pplying the prefraction
After the steel beam is manufactured to form an upward camber, upside down and installed in an end frame 300 in a downward curved state,
A casing concrete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downwardly curved steel beam to manufacture a preflex composite beam,
Prefab girde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prepared preplex composite beam from the fabrication stand upside down.
상기 제작된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제작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하로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케이싱콘크리트 내부에 배치된 포스트 텐션용 긴장재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fter separating the fabricated preflex composite beam from the fabrication stage and then upside down and disposed,
And a step of introducing a prestress into the casing concrete using a post-tensioning tension member disposed inside the casing concrete of the preflex composite beam.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상부플랜지 및 복부에 피복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교량하부구조에 설치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케이싱콘크리트 내부에 배치된 긴장재를 이용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경간 프리플렉스 거더 시공방법.Installing the preplex composite beam fabricated in accordance with claim 1 on a bridge substructure; And
Forming a coated concrete on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of the preplex composite beam;
Forming a slab on top of the preplex composite beam; And
A short span preflex girder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troducing a compression prestress into the casing concrete using a tension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casing concrete of the preflex composite beam installed in the bridge substructure.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상부플랜지 및 복부에 피복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을 서로 종방향으로 지점부 연결재(900)를 이용하여 연속되도록 연결시키되, 상기 지점부 연결재(900)는 “역 ㄷ자” 형태의 연결재를 노출된 강재빔(200)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에 끼워넣고 상기 “역 ㄷ자” 형태의 연결재를 강거더의 노출된 복부(220)에 연결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시켜 강재빔(200)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빔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교량하부구조에 설치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케이싱콘크리트 내부에 배치된 긴장재를 이용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케이싱콘크리트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경간 프리플렉스 거더 시공방법.Installing the preplex composite beam fabricated in accordance with claim 1 on a bridge substructure; And
Forming a coated concrete on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of the preplex composite beam;
The preplex composite beam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using the branch connecting member 900, wherein the branch connecting member 900 is an upper flange of the steel beam 200 exposed to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inverted c" shape. Inserting into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and fixing the "inverted U-shape" type of connecting material to the exposed abdomen 220 of the girder with fasteners such as connecting bolts and nuts to be installed in the steel beam 200;
Forming a slab on top of the preplex composite beam; And
And a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using a tension member disposed inside the casing concrete of the preflex composite beam installed in the bridge sub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7522A KR101104297B1 (en) | 2011-03-28 | 2011-03-28 |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7522A KR101104297B1 (en) | 2011-03-28 | 2011-03-28 |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4297B1 true KR101104297B1 (en) | 2012-01-11 |
Family
ID=4561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7522A KR101104297B1 (en) | 2011-03-28 | 2011-03-28 |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429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9044B1 (en) * | 2013-07-19 | 2014-04-23 | (주)나우기술 | Steel girders for bridges and its production method |
KR101615320B1 (en) * | 2015-10-01 | 2016-05-11 |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 The construct ability and safety improvements with footbridge |
KR101682528B1 (en) * | 2016-05-11 | 2016-12-05 | 오종훈 | Method for constructing girder using pre-flex load |
KR101703820B1 (en) * | 2016-08-17 | 2017-02-08 | 이경표 | 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filled box girder using the type channel the concrete-filled box girder for the bridge by the same |
KR101824874B1 (en) | 2017-05-10 | 2018-02-02 | 우경기술주식회사 | Free rotating prefraction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efraction gir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2267A (en) * | 2001-11-22 | 2003-05-28 | (주)스틸엔콘크리트 |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by division mode |
KR100793157B1 (en) * | 2006-12-21 | 2008-01-10 | 주식회사 포스코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inuous bridge with prestressed negative moment girder |
KR100974305B1 (en) * | 2009-11-25 | 2010-08-06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Continuous beam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multi-span |
-
2011
- 2011-03-28 KR KR1020110027522A patent/KR10110429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2267A (en) * | 2001-11-22 | 2003-05-28 | (주)스틸엔콘크리트 |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by division mode |
KR100476837B1 (en) * | 2001-11-22 | 2005-03-18 |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by division mode |
KR100793157B1 (en) * | 2006-12-21 | 2008-01-10 | 주식회사 포스코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inuous bridge with prestressed negative moment girder |
KR100974305B1 (en) * | 2009-11-25 | 2010-08-06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Continuous beam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multi-spa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9044B1 (en) * | 2013-07-19 | 2014-04-23 | (주)나우기술 | Steel girders for bridges and its production method |
KR101615320B1 (en) * | 2015-10-01 | 2016-05-11 |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 The construct ability and safety improvements with footbridge |
KR101682528B1 (en) * | 2016-05-11 | 2016-12-05 | 오종훈 | Method for constructing girder using pre-flex load |
KR101703820B1 (en) * | 2016-08-17 | 2017-02-08 | 이경표 | 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filled box girder using the type channel the concrete-filled box girder for the bridge by the same |
KR101824874B1 (en) | 2017-05-10 | 2018-02-02 | 우경기술주식회사 | Free rotating prefraction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efraction gir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36489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thereby | |
CA2687832C (en) | Girder element for concrete formwork comprising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compensating bending strains | |
KR101319993B1 (en) | Girder making method using rotation preventing appratus | |
KR101104297B1 (en) |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63744B1 (en) | Segmental type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for uniform preflexion | |
KR101885634B1 (en) |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45462B1 (en) | Precast crossing beam manufacturing method for bridge and precast crossing beam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 |
KR10098297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pan continuous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 |
KR101527782B1 (en) | Management and reverse displacement of composite bridge composite inclined support installation method | |
KR101237000B1 (en) | Precast concrete panel construction technique | |
KR20060114163A (en) | Continuous structure system type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single slab girder bridge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ame bridge with one point supporting structure or strongly coupled integrated structure | |
KR101335382B1 (en) | Constrution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with internal hinge structure | |
JP4336659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upper-floor type suspension floor slab bridge | |
KR101451877B1 (en) | Execution structure for concrete slab | |
KR20100136796A (en) | Precast concrete plate for bridge slab and bridge slab using this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slab using the same | |
KR101607485B1 (en) | Curved-psc girder with outrigger and curved-psc gird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1291517B1 (en) |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 shape steel plate | |
JP4056540B2 (en) | Bridge girder construction method | |
KR101324982B1 (en) | Walking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sc girder with connecting anchor block | |
KR20150032499A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bridge | |
JP3877995B2 (en) | How to build a string string bridge | |
KR100791991B1 (en) | Temporary bridge cons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slab girder | |
JP2012255301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upper road type suspended slab bridge | |
KR20110093158A (en) | Concrete forming load steel complex girder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 |
KR10173430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Efficien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s using such Composite Girder, and Continuous Bridges constructed by such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