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206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206B1
KR101104206B1 KR1020110051106A KR20110051106A KR101104206B1 KR 101104206 B1 KR101104206 B1 KR 101104206B1 KR 1020110051106 A KR1020110051106 A KR 1020110051106A KR 20110051106 A KR20110051106 A KR 20110051106A KR 101104206 B1 KR101104206 B1 KR 10110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late
safety
safety valve
battery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닉스소재
주식회사 범천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닉스소재, 주식회사 범천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닉스소재
Priority to KR102011005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전지의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이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지의 내압을 감지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변형되도록 형성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두께가 얇게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수평부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경사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중앙만곡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Safety valve structure of electric car battery cap plat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전지의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이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지의 내압을 감지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변형되도록 형성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많은 방안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그 중, 전지내에 발생된 가스를 소정의 압력이상에서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전지에 안전변을 채용한 것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일본특개평9-223490호에 개시된 전지가 있다. 개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스의 뚜껑부에 안전변소자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안전변 소자는 관통공을 형성한 금속 기판에 대해 관통공을 폐색(閉塞)하도록 금속박판을 적층시킨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전지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가장 약한 부분인 안전변이 파단됨으로써,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 밖의 관련 기술로, 안전변을 구비하는 전지가 일본특개평11-7393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에 있어서, 안전변은 별개로 제조되어 전지의 뚜껑부에 설치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안전변은 파단되는 지점인 관통공을 가지는 금속판에 다른 금속박판을 레이저 접합시켜 제조하게 되는데, 관통공 이외의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금속박판을 접합시킬 경우, 공정은 단순해질지 모르나 접합되는 금속박판이 과다하게 사용됨으로써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변을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으며 생산비용도 저감될 수 있는 이차전지와 이에 채용되는 안전변을 구비하는 캡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이 하기와 같이 국내에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번호 10-0484104호 개시되어 있다.
이차전지는, 발전요소인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캔과;
상기 캔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단자 통공이 형성된 캡플레이트와, 상기 단자 통공을 통하여 캔의 내부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그 외면에 상기 캡플레이트와의 절연을 위하여 가스켓이 개재된 전극단자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캡플레이트의 일측에 통공으로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만을 폐색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상기 캡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금속박판으로 레이저 접합되어 형성된 파단부를 구비하는 안전변;을 포함한 것이다.
이에 따른 안전변을 구비하는 캡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캡플레이트용 금속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판에 관통공들을 소정 패턴으로 천공하여 안전변들의 각 배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공들만을 폐색시키기 위하여 금속판의 일측면에 부분적으로 다수의 금속박판들을 접합시켜 안전변들의 각 파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배출부와 파단부로 이루어진 안전변을 각각 구비하며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캡플레이트들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캡플레이트는 도 1,2와 같이 캡플레이트(100)와 안전변(200)을 각각 별도 공정에서 제조하여 안전변(200)을 캡플레이트(100)상에 형성한 관통공(110)에 고정 후 레이저 용접을 통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용접부위 재료조직의 변이 발생 가능 및 소둔처리로 완성하기 때문에 안전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정증가로 인한 제조설비 및 가격부담 증가와 특히 용접부위 밀봉파열의 우려로 인한 배터리 누액현상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전지의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이 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전지의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이 상부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지의 내압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을 종래의 용접방법이 아닌 캡플레이트에 안전변을 일체로 형성하여 안전변이 상부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두께가 얇게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수평부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경사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중앙만곡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두께가 얇게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경사부와, 상기 하향경사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부와, 상기 상향경사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하향경사부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경사부와 상향경사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경사부와 중앙만곡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두께가 얇게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 중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하향만곡부와, 상기 하향만곡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수평부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일체로된 하향만곡부에 일정간격으로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두께가 얇게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 중심방향으로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수평부의 상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일체로된 만곡부에 물결모양으로 상,하부가 볼록면과 오목면이 연속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전지의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이 상부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지의 내압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을 종래의 용접방법이 아닌 캡플레이트에 안전변을 일체로 형성하여 안전변이 상부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용접부위 밀봉파열의 우려로 인한 배터리 누액현상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안전변을 갖는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안전변을 갖는 배터리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분리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
도 4의 (a)(b)(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
도 6의 (a)(b)(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
도 8의 (a)(b)(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
도 10의 (a)(b)(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이고, 도 4의 (a)(b)(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이고, 도 6의 (a)(b)(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이고, 도 8의 (a)(b)(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 사시도이고, 도 10의 (a)(b)(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전지의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이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지의 내압을 감지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이 변형되도록 형성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3과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10)에는 하단에 공간부(11)를 이룬 상측에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된 안전변(20)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20)은 캡플레이트(10)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15)와, 상기 수평부(15)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4)와, 상기 경사부(14)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만곡부(1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캡플레이트(10)와 안전변(20)이 일체로된 수평부(15)의 상,하부에 노치(15a,15b)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5)와 경사부(14)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14a,14b)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4)와 중앙만곡부(13)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13a,13b)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캡플레이트(10)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20)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10)에 마련되는 단자 통공 및 전해액 주입공은 블랭킹 가공과 동시에, 또는 추후 개별적인 성형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안전변(20)은 중심의 중앙만곡부(13)와, 외곽의 경사부(14)와 수평부(15)를 가진다. 상기 안전변(20)의 경사부(14)와 중앙만곡부(13)는 캡플레이트(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만곡부(13)는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안전변(20)은 수평부(15)의 상,하부에 노치(15a,15b)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5)와 경사부(14)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14a,14b)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4)와 중앙만곡부(13)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13a,13b)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캡플레이트(10)와 일체로된 안전변(20)은 도 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 전지의 내압이 증가할 때 도 4의 (b)와 같이 안전변(20)이 노치(13a,13b,14a,14b,15a,15b)들에 의해 꺽어지고 펴지면서 상향으로 변형되며,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20)이 도 4의 (c)와 같이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된다.
도 4의 (c)와 같이 안전변(20)이 상부로 변형되면 도시하지 않은 상부 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상태에서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으면 내압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경사부(14)와 중앙만곡부(13)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13a,13b)가 파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중앙만곡부(13)가 파단된 부분으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며 배터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10)에는 하단에 공간부(11)를 이룬 상측에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된 안전변(20)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20)은 캡플레이트(10)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경사부(25)와, 상기 하향경사부(25)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부(24)와, 상기 상향경사부(24)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만곡부(2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캡플레이트(10)와 안전변(20)이 일체로된 하향경사부(25)의 상,하부에 노치(25a,25b)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경사부(25)와 상향경사부(24)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24a,24b)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경사부(24)와 중앙만곡부(23)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23a,23b)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캡플레이트(10)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20)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 6과 같이 안전변(20)은 중심의 중앙만곡부(23)와, 외곽의 상향경사부(24)와 하향경사부(25)를 가진다. 상기 안전변(20)의 상향경사부(24)와 중앙만곡부(23)는 캡플레이트(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만곡부(23)는 하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안전변(20)은 하향경사부(25)의 상,하부에 노치(25a,25b)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경사부(25)와 상향경사부(24)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24a,24b)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경사부(24)와 중앙만곡부(23)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23a,23b)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캡플레이트(10)와 일체로된 안전변(20)은 도 6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 전지의 내압이 증가할 때 도 6의 (b)와 같이 안전변(20)이 노치(23a,23b,24a,24b,25a,25b)들에 의해 꺽어지고 펴지면서 상향으로 변형되며,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20)이 도 6의 (c)와 같이 상부로 변형된다.
도 6의 (c)와 같이 안전변(20)이 상부로 변형되면 도시하지 않은 상부 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상태에서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으면 내압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상향경사부(24)와 중앙만곡부(23)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23a,23b)가 파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중앙만곡부(23)가 파단된 부분으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며 배터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10)에는 하단에 공간부(11)를 이룬 상측에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된 안전변(20)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20)은 캡플레이트(10)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35)와, 상기 수평부(35)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 중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하향만곡부(34)와, 상기 하향만곡부(34)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만곡된 중앙만곡부(3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캡플레이트(10)와 안전변(20)이 일체로된 수평부(35)의 상,하부에 노치(35a,35b)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35)와 일체로된 하향만곡부(34)에 일정간격으로 상,하부에 노치(34a,34b)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캡플레이트(10)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20)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 8과 같이 안전변(20)은 중심의 중앙만곡부(33)와, 외곽의 하향만곡부(34)와 수평부(35)를 가진다. 상기 안전변(20)의 하향만곡부(34)와 중앙만곡부(33)는 캡플레이트(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만곡부(33)는 상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안전변(20)은 수평부(35)의 상,하부에 노치(35a,35b)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35)와 일체로된 하향만곡부(34)에 일정간격으로 상,하부에 노치(34a,34b)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캡플레이트(10)와 일체로된 안전변(20)은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 전지의 내압이 증가할때 도 8의 (b)와 같이 안전변(20)이 노치(34a,34b,35a,35b)들에 의해 꺽어지고 펴지면서 상향으로 변형되며,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20)이 도 8의 (c)와 같이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된다.
도 8의 (c)와 같이 안전변(20)이 상부로 변형되면 도시하지 않은 상부 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상태에서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으면 내압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하향만곡부(34)의 상,하부에 형성된 노치(34a,34b)의 한부분이 파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향만곡부(34)와 중앙만곡부(33)가 파단된 부분으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며 배터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10)에는 하단에 공간부(11)를 이룬 상측에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된 안전변(20)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20)은 캡플레이트(10)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45)와, 상기 수평부(45)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 중심방향으로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만곡부(44)와, 상기 만곡부(44)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만곡된 중앙만곡부(4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캡플레이트(10)와 안전변(20)이 일체로된 수평부(45)의 상부에 노치(45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45)와 일체로된 만곡부(44)에 물결모양으로 상,하부가 볼록면(44a)과 오목면(44b)이 연속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캡플레이트(10)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20)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 10과 같이 안전변(20)은 중심의 중앙만곡부(43)와,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만곡부(44)와 수평부(45)를 가진다. 상기 안전변(20)의 만곡부(44)와 중앙만곡부(43)는 캡플레이트(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만곡부(43)는 상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안전변(20)은 수평부(45)의 상부에 노치(45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45)와 일체로된 만곡부(44)에 물결모양으로 상,하부가 볼록면(44a)과 오목면(44b)이 연속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캡플레이트(10)와 일체로된 안전변(20)은 도 10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 전지의 내압이 증가할 때 도 10의 (b)와 같이 안전변(20)이 노치(45a)의해 꺽기면서 상향으로 변형되며,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시 안전변(20)이 도 10의 (c)와 같이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된다.
도 10의 (c)와 같이 안전변(20)이 상부로 변형되면 도시하지 않은 상부 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상태에서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으면 내압 상승으로 인하여 수평부(45)의 노치(45a)가 파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부(45)가 파단된 부분으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며 배터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캡플레이트 11:공간부
20:안전변

Claims (12)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수평부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경사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중앙만곡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4.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경사부와, 상기 하향경사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부와, 상기 상향경사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하향경사부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경사부와 상향경사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경사부와 중앙만곡부 사이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7.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 중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하향만곡부와, 상기 하향만곡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수평부의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일체로된 하향만곡부에 일정간격으로 상,하부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1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단에 공간부를 이룬 상측에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된 안전변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변은 캡플레이트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를 이룬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하향 중심방향으로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만곡된 중앙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와 안전변이 일체로된 수평부의 상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일체로된 만곡부에 물결모양으로 상,하부가 볼록면과 오목면이 연속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안전변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변은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KR1020110051106A 2011-05-30 2011-05-3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KR10110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06A KR101104206B1 (ko) 2011-05-30 2011-05-3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06A KR101104206B1 (ko) 2011-05-30 2011-05-3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206B1 true KR101104206B1 (ko) 2012-01-10

Family

ID=4561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106A KR101104206B1 (ko) 2011-05-30 2011-05-3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226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비씨젠 차량용 배터리의 가스배출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98A (ko) * 1998-07-28 2000-02-15 손욱 이차전지의 전류 차단기
KR20080050642A (ko) * 2006-12-04 2008-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량이 증가된 원통형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98A (ko) * 1998-07-28 2000-02-15 손욱 이차전지의 전류 차단기
KR20080050642A (ko) * 2006-12-04 2008-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량이 증가된 원통형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226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비씨젠 차량용 배터리의 가스배출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9064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668933B1 (ko) 밀폐형 전지
KR101998092B1 (ko) 전지용 가스켓과 격막
KR101015834B1 (ko) 전지 모듈
KR100917742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2487217B1 (ko) 리벳을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딩부/클림핑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
KR102618120B1 (ko) 이차전지
US20170373303A1 (en) Energy storage device
JP5456967B2 (ja) アルミ角形2次電池ケース
JP5979607B2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201111B1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KR20160096417A (ko) 2차 전지의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KR20190045150A (ko) 이차 전지
KR102493946B1 (ko) 이차전지
KR101104206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캡플레이트의 안전변 구조
KR101043577B1 (ko) 전기자동차용 안전변을 갖는 배터리 캡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87057B1 (ko) 전기자동차용 안전변을 갖는 배터리 캡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182B1 (ko) 용접에 의해 탑 캡이 결합된 원통형 전지
KR101106403B1 (ko) 이차 전지
CN107305936A (zh) 二次电池
KR20130028384A (ko)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의 제조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캡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US20220077526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Gasket Having Recess Formed Therein
JP2008262744A (ja) 密閉型電池
KR101175008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2538690B1 (ko) 이차전지용 탑 캡,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