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92B1 - 전지용 가스켓과 격막 - Google Patents

전지용 가스켓과 격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92B1
KR101998092B1 KR1020187002344A KR20187002344A KR101998092B1 KR 101998092 B1 KR101998092 B1 KR 101998092B1 KR 1020187002344 A KR1020187002344 A KR 1020187002344A KR 20187002344 A KR20187002344 A KR 20187002344A KR 101998092 B1 KR101998092 B1 KR 10199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battery
gasket
insulator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842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밀
쿠니오 쓰루타
켄진 마스모토
Original Assignee
테슬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슬라, 인크. filed Critical 테슬라,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2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41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01M2/024
    • H01M2/0439
    • H01M2/046
    • H01M2/124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전지는, 전지의 하나의 전기적 접촉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활성재료를 함유하는 캔; 상기 전지의 대향하는 전기적 접촉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격막; 및 초기에 원통형상인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격막은 상기 캔의 개구에 있는 상기 가스켓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캔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가스켓 상에 크림핑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캔의 내측에 있는 내측 주변부와 상기 캔의 외측에 있는 외측 주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주변는 크림핑 이후에 상기 격막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지용 가스켓과 격막
본 출원은 2015년 8월 24일에 "전지용 가스켓"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U.S.Provisional Application) No.62/209,145; 2015년 8월 24일에 "전지용 격막"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No.62/209,163; 및 2016년 8월 23일에 "전지용 가스켓 및 격막"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실용신안출원 No.15/244,66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서에 포함되며, 모든 목적을 위한 본 출원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특히 배터리 전지의 구조와 구성에 관련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전지의 유형 중 하나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일반적으로 활성 재료(양극 및 음극)와 전해질을 포함한다. 이들 재료는 원통형이면서 종종 캔이고 불리는 하우징으로 둘러싸인다.
캔은 종종 상부 캡이라고 불리는 캡으로 밀폐되는 개구를 구비한다. 캡은 가스켓을 이용하여 실링된다. 이러한 전지의 구조는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비용면에서 효율적이어야 한다. 전기차용 적용과 같은 어떠한 적용에 있어서, 수천 개의 전지는 어레이로 형성되어 그 조합으로서 차량을 추진시키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어레이에 있는 수많은 전지로 인해, 전지는 생산하기에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야 하며, 그 크기와 무게에 비하여 가능한 한 큰 전기 용량을 제공해야 하고, 긴 제품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전지의 무게, 크기, 비용, 및 전지 용량에 있어서의 증대된 개선은 다른 어떤 사항 보다도 전기차에 대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전지 캡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전지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2의 전지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지의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3의 가스켓의 일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b는 도 3의 가스켓의 다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5는 전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5의 전지의 일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지의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전지의 전기적 상호 연결의 실시에를 도시한다.
도 9는 전지를 구성하는 방법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a는 전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의 전지의 일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조시의 격막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격막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전지를 구성하는 다른 방법의 플로우 챠트이다.
본 출원은 개선된 전지와 그 구성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지는 그 상부 캡을 실링하는 가스켓을 구비하고, 이 가스켓은 설치 후에 양극 접합부가 부착되는 장소인 전지의 상부 중앙면 상으로 퍼지는 립(leaves) 또는 다른 연장부를 구비하는 왕관 형상의 외관을 가진다. 예를 들면, 설치가 완료되어 음극 접합부가 전지의 상부에 부착될 때, 상부 캡이 아닌 캔 재료일지라도, 이러한 가스켓은 음극 접합부와 양극 단자 사이의 단락의 공산을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전지의 상부 캡에 형성된 격막은 전류 중단 장치(Current Interruption Device, CID) 기능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과열 또는 다른 유형의 전지의 고장에 기인하는 내부 압력의 심각한 증가의 경우에 통기를 용이하게 하는 재료 약화(material weakening)를 가진다. 격막은 유리하게는 단일 피스로된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몇몇 작업에 의해 그 최종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격막은, 그 주변부에서 크림핑을 지탱하는 충분한 두께를 제공하면서 비교적 용이한 방식으로 재료 약화를 허용하는 이점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캡은 전지의 양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된다. 격막은 따라서, 전기적으로 도체 재료로 만들어지는 반면, 가스켓은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격막은 전지의 활성 재료에 있는 음극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상호 연결은 전지로의 또는 전지로부터의 양극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격막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는 와이어 본드(wire-bond)(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시는 리튬 이온 전지(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지는 활성 재료를 유지하는 (종종 캔 형태인) 하우징을 가지는데, 이 하우징은 통상적으로 상부 캡으로 불리우는 것에 의해 밀폐된다. 그러나, 전지의 상부, 하부 및 측부는 통상적으로는 임의로 정의된다. 이러한 설명은 따라서 넓은 의미로 캡을 지칭하는데, 이 캡은 전지 상의 개구가 위치하는 곳에 관하여 제한 없이 캔에 있는 개구를 폐쇄한다. 이러한 이유로, 여기서 상부 또는 하부라는 언급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다. 또한, 원통 형상이 종종 사용되지만, 전지 하우징의 다른 형태가 다른 실시에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전지를 위한 캡(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캡은 격막(104)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가스켓(102)을 구비한다. 다른 구성이 캡의 일부분이 될 수 있으나 단순화를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캡은 전지를 위한 캔 또는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폐쇄는 전지로부터 (예를 들면, 전해질의 누출로서의) 유체가 유출되거나 (예를 들면, 오염물로서의) 유체가 전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실링을 제공한다.
또한, 캡의 도시된 구성은 후속하는 크림핑(crimping) 작동을 가지는 형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크림핑은, 캡이 캔 개구에 위치할 때 수행되지만, 캔은 명료성을 위해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캡은 전지의 양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된다. 격막은 따라서 전기적으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반면, 가스켓은 절연 재료로서 형성될 수 있다. 격막은 전지의 활성재료에 있는 음극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상호 연결(미도시)은 전지로의 또는 전지로부터의 양극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격막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는 와이어-본드(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스켓은 립(106)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립(106)은 제조되는 가스켓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립은 슬롯(108)에 의해 분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립(106)은 크림핑 이후에 평행한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슬롯에 의해 인접한 립(106)이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로서, 크림핑 전에 그리고 가스켓이 현재의 형상을 가지기 전에, 슬롯(108)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립들과 이들 사이의 슬롯은, 격막의 상부 면에 대향하여 놓일 때 더욱 균일한 면을 가스켓에 제공한다. 실시예로서, 가스켓의 주름짐(wrinkling)과 크리싱(creasing)은 방지되어야 한다. 이것은 립(106)의 외측 가장자리의 길이와 격막의 노출된 면 사이의 관계로서 표현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ID * π ≥≥ L1 + L2 + ··· + LN
여기서
ID = 노출된 격막 영역의 내경
Li = 립 i의 외측 가장자리의 길이 (여기서 i=1, 2, ... , N, 및 N은 립(106)의 개수)
도 2 는 전지(200)를 위한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지는 캔(202)을 구비하는데, 여기서는 명료성을 위해 일부분만을 도시하고, 캔은 전지의 활성 재료를 그 내부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로서, 이 캔은 소위 양극 및 음극 기판의 젤리 롤(jelly roll)과 액체 전해질을 포함한다. 캔은 원통형상(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과 같은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캔(202)은 전기 단자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전지를 위한 음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캔(202)은 그 단부의 어느 하나의 근방에 숄더(204)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숄더(204)는, 외측으로부터 전지의 내측을 실링하도록 전지의 크림핑 단부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원형의 개구(206)는 크림핑 이후에 캔 재료의 가장자리(208)에 의해 형성되어 존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숄더(204)는 전지로의 전기 단자의 부착을 위한 위치가 된다.
전지는 원형 엘리먼트와 같은 격막(210)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막(210)은 크림핑 부(210a), 중앙 영역(210b)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막(210)의 둘레로 연장하는 스코어(210c)를 구비한다. 격막(210)은 전지 작용을 위한 하나의 이상의 목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첫째로, 격막은 전지를 위한 전기 단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실시예로서, 캔(202)이 음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할 때 격막(210)은 양극 전기 단자일 수 있다. 둘째로, 격막(210)은 누출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캔(202) 내측을 페쇄하는 역할을 한다. 세 번째로,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 격막(210)은 CID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팝업(pop up)된다. 넷째로, 예를 들면 열폭주(thermal runaway)와 같은 전지에서의 원하지는 않는 반응에서 캔(202)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여 증가하게 되면, 격막(210)은 파열되어 유체가 전지로부터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지의 통풍을 촉진한다. 실시예로서, 스코어(Score)(210c) 또는 다른 재료 약화는 격막의 파열을 촉진할 수 있다.
전지는 격막(210)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파열판(212, rupture plate)을 구비한다. 파열판(212)은 격막의 파열 촉진에 있어서 하나의 이상의 목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실시예로서, 파열판(212)은 압력 증가시의 격막(210)의 내측에 가해지는 부하를 제어하고 이로써, 파열이 발생할 때의 파열의 패턴을 제어한다. 전지는 파열판(212)과 격막(21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절연체(214)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절연체(214)는 원형 엘리먼트 일 수 있다.
전지는, 캡을 제 자리에 유지시키고 캔(202)의 내용물에 실링을 하며 제조 공정시의 단락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켓(216)을 구비한다. 실시예로서, 가스켓(216)은 격막(210)과 캔(202)의 개구 사이를 실링한다. 다른 실시예, 가스켓(216)은 상호 연결 용접 시에 단락으로부터 보호한다. 가스켓(216)은, 크림핑 이후에 격막(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립 (218)을 구비한다. 립(218)은 전지가 크림핑된 이후에 가스켓 재료의 원하지 않는 축적을 방지한다. 실시예로서 립(218)은, 격막의 상부 상의 가스켓 재료가 크림핑 공정에서 압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웨이브(waves), 폴드(folds) 또는 번칭(bunching)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도 2a는 도 2의 전지(200)의 부분(20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캔은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이로써 격막(210)의 크림핑 부(210a)를 덮는 가스켓(216), 격막(210)의 상측면의 일부 위로 연장하는 립(218), 및 격막(210)과 파열판(212) 사이의 절연체(214)가 도시된다. 특히, 크림핑 부(210A)는 격막 두께의 두 배가 되는 되접은 부분(folded-back)을 구비한다. 실시예로서, 이러한 캔(202)은 크림핑 및/또는 실링이 더욱 효율적이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설계는 가스켓(216)으로부터 분리되는 절연체(214)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가스켓(216)과는 다른 공정에서 별개로 제조되고 설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은 도 2의 전지(200)를 위한 구성(3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성은 명료성을 위해 별개로 도시된다. 즉, 이러한 실시예는, 전지를 위한 캡으로의 최종 조립 전에 구성의 일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예시한다. 실시예로서, 강조를 위해 상부에 도시된 가스켓(216)은 이들 네 개의 구성의 최하측에 배치된 다음 다른 세 개의 엘리먼트(210, 214, 212)가 위로부터 가스켓(216)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조립시에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구성은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구성은, 격막이 크림핑 부(210a)를 형성하도록 그 외측 가장자리가 격막의 위로 접히는 경우와 같은 도시된 형태를 가지기 전에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스켓(216)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216)은, 다른 실시예에서 가스켓(216)의 본체 둘레로 연장하는 가장자리인, 제1 주변부(302)를 구비한다. 제1 주변부(302)는 조립 이후에 캔의 내측 상에 있게 된다. 반면, 가스켓(216)의 제2 주변부(304)는 전지가 제조된 이후에 캔(202)의 외측에 있게 된다. 립(218)은 조립 이후에 단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제2 주변부에 형성된다. 실시예로서, 립은 제2 주변부를 따라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립(218)은 상부 가장자리(308)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측부 가장자리(306)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부 가장자리(306)는 상부 가장자리(308)를 향하여 경사진다. 실시예로서, 이러한 설계는 크림핑 이후에, 인접한 립(218)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대향하는 측부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슬롯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확실히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크림핑 이전에 크림핑 상부 가장자리(308)는 제1 주변부(302)에 평행하다. 가스켓(2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308)가 노출된 격막 영역의 내경과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가스켓(216)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스켓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로서, 가스켓은 폴리프로필렌(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격막(210)은 설치시에 가스켓(216)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막(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부터 절단되어 그 중앙 부분에서 바람직한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스템프(stampled)된다. 실시예로서, 크림핑 부(210a)(도 2a)의 하부는 초기에 메인(main) 부분에 수직일 수 있고, 그 다음 하부는 도2a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도록 격막의 메일 부분의 아래로 구부러지거나 접힌다. 격막(210)은 알루미늄(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을 포함하는 적절한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절연체(214)는 파열판(212)의 일부와 격막(210)의 일부 사이에 끼워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별개의 절연체 엘리먼트가 사용된다. 실시예로서, 절연체(214)는 L 형상 단면을 가지는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연체(214)는 폴리프로필렌(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파열판(212)은 격막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파열판(212)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구비한다. 실시예로서, 파열판(212)은 각각 특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형의 세그먼트로서 형성된 홀을 구비한다. 탭(미도시)은, 상부 캡 조립체(예를 들면, 격막)를 캔(202) 내측의 활성 재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파열판(212)상에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탭은 음극 층을 파열판(212)에 연결한다. 격막(210)이 상당한 내부 압력에 기인하여 팝업되면, 이것은 활성재료의 탭 또는 다른 전기적 연결을 끊는다.
도 4a는 도 3의 가스켓(216)의 일부분의 단면(4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스켓(216)의 원통 형상은 부분(402, 404)을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부분(402)은 초기에 캔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부분(404)은 초기에 부분(40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부분(402)은 내측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환형 돌출부(406a)를 포함한다. 부분(402)은 또한 제2 환형 돌출부(408)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돌출부(408)는 격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406a)는 돌출부(408)보다 제2 주변부(304)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다. 격막이 크림핑 부(210a)(도 2a)가 종료하는 곳의 바로 내측에 두꺼운 부분을 가질 때, 돌출부(406a)는 크림핑 시에 크림핑 영역으로부터 두꺼운 부분에 이르는 경사진 부분에 접한다. 돌출부(406a)는 두 개의 실시예로서, 다각형 또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크림핑 공정시에, 돌출부(406a)는 가장자리(208)(도 2)에 가장 가까운 숄더(204)(도 2)의 부분이 과도하게 크림핑되어 비평면(nonplanar) 및/또는 비수평(non-level)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과 같은 경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전기적 상호 연결 (예를 들면, 음극 단자)이 전지 숄더 상에 형성될 때, 비평면 또는 비수평 면은 부착 공정을 복잡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406a)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4b는 가스켓의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단면(400)은, 가스켓(216)이 부분들(404, 404)과 돌출부(408)를 가지고 립이 제2 주변부(304)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가스켓은 돌출부(408)에 대하여 대향하는 측상에 환형 돌출부(406b)를 구비한다. 돌출부(406b)는 두 개의 실시예로서, 다각형 또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로서, 돌출부(408b)는 크림핑 이후에 캔(예를 들면, 숄더) 평면의 크림핑된 부분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5는 전지(500)의 제2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 (예를 들면, 도 2)와 비교할 때 전지(500)의 특징 중 하나는, 전지(500)가 일체로 된 절연체(504)를 구비하는 가스켓(502)을 가진다는 점이다.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전지(500)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로서, 전지(500)는 캔(202)을 구비하고, 캔은 가장자리(208)의 숄더(204)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206)를 가지며, 전지는 크림핑 부(210a), 중앙 영역(210b) 및 스코어(210c)를 가지는 격막(210)을 구비하며, 전지는 파열판(212)을 가지고, 가스켓(502)은 립(218)을 구비한다.
도 5a는 도 5의 전지의 부분(500')의 사시도이다. 크림핑 공정 시에, 크림핑 힘은 크림핑 부(210a)에 또는 그 근방에 있는 가스켓과 격막에 가해진다. 이러한 힘은 화살표(506)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캔과 관련하여 축방향의 성분을 가진다. 화살표(508)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힘은 또한 캔과 관련하여 반경방향의 성분을 가진다.
크림핑 힘(예를 들면, 반경방향 화살표(508))에 기인하여, 크림핑 공정시에 절연체(504)가 그 의도된 위치로부터 변위되거나 그 의도된 형상으로부터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가스켓은 변위/변형의 발생을 확실히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을 가진다. 가스켓은 따라서 충격 흡수 구성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만곡부가 절연체(504)와 가스켓의 메인 본체 사이에 제공된다. 실시예로서, 부분(510)은 변위와 변형에 대응하도록 사용된다.
절연체(504)는 융기부(512)를 가진다. 실시예로서, 융기부는 파열판(212)과 격막(210)의 메인 부분 사이의 축방향으로 절연체가 확실히 있도록 설계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융기부는 파열판과 크림핑 부(210a)사이의 반경방향으로 절연체가 확실히 있도록 설계된다.
도 6은 도 5의 전지에 대한 구성(6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구성은 절연체가 그 내부에 일체로 된 가스켓(502), 격막(210) 및 파열판(212)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별개의 절연체는 보이지 않는다. 도 3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가스켓(502)은 이들 세 개의 구성의 가장 아래에 있을 수 있으며, 다른 두 개의 요소(210, 212)는 위로부터 가스켓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가스켓(502)의 단면(700)을 도시한다.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가스켓의 몇몇 측면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로서, 가스켓(502)은 주변부(304), 립(218), 돌출부(406, 408), 및 메인부(402, 404)를 포함한다. 또한, 가스켓은 부분(510)과 융기부(512)를 가진다.
도 8은 전지(802)를 위한 전기적 상호 연결(8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지(802)는 립(106)을 가지는 가스켓을 구비하는 캡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스켓은(예를 들면, 도 5의 전지(500)에서와 같은) 일체로된 절연체를 구비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가스켓은 (예를 들면, 도 2의 전지(200)에서와 같은) 일체로 된 절연체를 구비하지 않는다. 전지(802)는 숄더(806)가 형성된 캔(804)을 가진다. 캔(804)은 전지를 위한 전지 단자(예를 들면, 음극 단자)의 하나로서의 역할을 한다. 전지(802)는 또한 다른 전기 단자(예를 들면, 양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격막(808)을 가진다. 전지(802)는 격막으로 연장하는 립(810)을 가지는 가스켓을 구비한다.
도 8은, 원통형 전지의 대향하는 단부 상에 형성되는 경우와는 반대로, 전지를 위한 전기적 상호 연결이 전지 상에서 서로 근접하여 형성된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많은 전지들이 (종종 배터리 팩이라 불리우는) 배터리를 형성하는 모듈 또는 하우징 내에 그룹지어진다. 전지의 각각의 그룹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바람직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직렬로 또는 평행하게 연결된다. 모듈에서, 각각의 전지는 전기적 접촉을 위한 그 각각의 상호 연결을 가진다. 각각의 하우징 내에 많은 수의 전지가 있고 (모듈을 사용하는 특정한 시스템에 대한 생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경우와 같이) 하우징이 많이 조립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기적 상호 연결의 형성은, 이상적으로는 짧은 시간 동안에 수 많은 상호 연결이 형성되는 대량 제조 공정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로봇 용접에 의한 것과 같이 공정의 적어도 일부분은 자동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실시예로서, 각각의 전기 단자가 전지 상에 상호 근접하여 가능한 한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로서, 전지(802)에서 숄더(806) 상에 또는 그 근방에 전기적 상호 연결(8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다른 상호 연결 (미도시)은 격막(808) 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숄더에 장착되는 상호 연결(800)은 격막 (즉, 대향하는 전기 단자) 근방에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캔은 단락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전지(802)의 캡은 립(810)을 가지는 가스켓이 제공된다. 립(810)은 격막(808)의 면을 따라 연장하고 따라서, 대향하는 전기 단자로부터 상호 연결(800)을 분리시킨다. 실시예로서, 이러한 캔은 단락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러한 캔은 무엇보다도 대량 조립 기술의 여러 유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호 연결(800)의 크기와 형상은 단지 실시예로서만 제시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호 연결의 다른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격막은 상호 연결(800)과 동일하거나 다른 유형의 상호 연결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방법(900)의 실시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다. 우선 (예를 들면, 도 2의 전지(200)에서와 같은) 일체화된 절연체를 가지지 않는 가스켓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계 910에서, 절연체와 격막은 함께 조립된다. 접착재를 도포하는 것(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파열판이 절연체/격막 조립체에 조립된다. 용접 또는 접착재를 도포하는 것(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930에서, 가스켓이 파열판/절연체/격막 조립체에 조립된다. 이전 단계에서의 조립체가 가스켓의 내측에 밀착하는 것(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을 포함하는 적절한 임의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제 위치에 유지된다. 이 단계에서의 조립체는 종종 전지의 캡이라 불리우는 것을 생산한다.
단계 940에서, 캡은 캔의 개구 내측 (예를 들면, 상부 개구, 이런 이유로 상부 캡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에 위치한다. 캡을 구비하는 캔은 캔 상의 캡을 고정하도록 크림핑되고 전지를 실링한다. 크림핑은 캔 상에 숄더를 생성한다. 단계 95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상호 연결이 전지 상에 형성된다. 이것은 격막 근방에 있는 전지의 숄더 상에 상호 연결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호 연결은 캔에 용접된다. 실시예로서, 레이저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들이 수정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별개의 절연체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단계 910은 생략된다. 반면, 절연체가 가스켓과 일체로 될 경우 다른 구성에 대해 일체로된 절연체를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다른 단계가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이러한 작업은 다른 단계들과 별개로 될 수 있다. 작업은 자동화 작업(예를 들면, 로봇 조작)에 의해 수행되고 및/또는 수동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종종 필요한 몇몇 단계가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실시예로서,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활성 재료(예를 들면, 젤리 롤)를 준비하고; 젤리 롤 상에 바닥 절연체를 제공하고; 캔에 젤리 롤을 삽입하고; 상부 절연체를 제공하고; 캔을 그루빙(grooving)하고; 젤리 롤과 캔 사이에 음극 전기 커넥터를 형성하고; 전기 커넥터의 길이를 조절하고; 캔에 전해질을 첨가하고; 초기 충전을 수행하고; 캔을 클리닝 하고; 전지의 무게를 측정하고 필요할 경우 전해질의 양을 조절하고; 캔 개구 상에 실링 재료를 도포하고; 캡과 젤리 롤사이에 전기 연결을 형성하고; 크림핑 단계를 수행하고; 전지를 압접(pressure bonding)하고; 및/또는 조립된 전지를 클리닝하는 것;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방법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단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두 개 이상의 단계는 다른 순서로 실시된다.
도 10은 전지(1000)의 제 1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전지는 전지의 활성 재료를 그 내부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캔(1002)을 가지는데, 명료성을 위해 여기에서는 일부분만 도시한다. 실시예로서, 이러한 캔은 소위 양극 및 음극 기판의 젤리 롤과 액체 전해질을 포함한다. 캔(1002)은 실린더 형상(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진다. 캔(1002)은 전기 단자의 하나 예를 들면 전지를 위한 음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캔(1002)은 그 단부의 어느 하나의 근방에 숄더(1004)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숄더(1004)는 외측으로부터 전지의 내측을 실링 하도록 전지의 크림핑 단부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원형 개구(1006)는 크림핑 이후에 캔 재료의 가장자리(1008)에 의해 형성되어 존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숄더(1004)는 전지에 전기 단자를 부착하기 위한 위치로서 의도된다.
전지(1000)는 원형 엘리먼트와 같은 격막(1100)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막은 크림핑 부(1100A), 중앙 영역(1100B),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막 둘레로 연장하는 스코어(1100C) 및 중앙 영역과 크림핑 부 사이의 더 얇은 부분(1100D)을 구비한다. 격막(1100)은 전지 작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목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첫째로, 격막(1100)은 전지를 위한 전기 단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실시예로서, 캔(1002)이 음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할 때, 격막(1100)은 양극 전기 단자 일 수 있다. 둘째로, 격막(1100)은 노출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캔(1002) 내측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 격막(1100)은 CID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팝업된다. 넷째, 열폭주와 같은 전지에서의 원하지는 않는 반응이 일어나서 캔(1002) 내부에 압력이 한계점을 초과하게 되면, 격막은 파열되어 유체가 전지로부터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지의 통풍을 촉진한다. 실시예로서, 스코어(1100C) 또는 다른 재료 약화는 격막의 파열을 촉진할 수 있다.
전지는 격막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파열판(1012)을 구비한다. 파열판(1012)은 격막(1100)의 파열 촉진에 있어서 하나의 이상의 목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실시예로서, 파열판(1012)은 압력 증가시의 격막(1100)의 내측에 가해지는 부하를 제어하고 이로써, 파열이 발생할 때의 파열의 패턴을 제어한다. 전지는 파열판(1012)과 격막(110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절연체(1014)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절연체(1014)는 원형 엘리먼트 일 수 있다.
전지는, 캡을 제 자리에 유지시키고 캔(1002)의 내용물에 실링을 하며 제조 공정시의 단락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켓(1016)을 구비한다. 실시예로서, 가스켓(1016)은 격막(1100)과 캔(1002)의 개구 사이를 실링한다. 가스켓(1016)은 크림핑 이후에 격막(210)의 상부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립(1108)을 가진다.
도 10b는 도 10a의 전지(100)의 부분(100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캔(1002)은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이로써 격막(1100)의 크림핑 부(1100A)를 덮는 가스켓(1016), 격막(1100)의 상측면의 일부 위로 연장하는 립(1108), 및 격막(1100)과 파열판(1012) 사이의 절연체(1014)를 도시한다. 크림핑 부(1100A)는 격막 두께의 두 배가 되는 뒤집어 되접힌 부분을 구비한다. 여기서, 크림핑 부(1100A)는 폴드(1020), 턴(turn, 1022) 및 폴드백(fold backing, 1024)을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이러한 증가한 두께는 크림핑 및/또는 실링을 더욱 효율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폴드백부의 절반 두께를 가지는 격막의 나머지는 격막 상에 스코어(1100C) 또는 더 얇은 부분(1100D)과 같은, 다른 구성의 형성을 지나치게 복잡하게하지 않는다.
여기서, 턴(1022)은 격막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격막의 외측 주변부인 폴드(1020)를 접어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접음은 아래쪽으로 이루어지는데, 캔의 내측이 위치하는 쪽으로 향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격막(1100)은, 폴드(1020)가 격막(1100)의 상측 부에 위치하도록 대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스켓(1016)은 설치 후에 격막(1100)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서 연장하는 립(1018)을 가진다. 실시예로서, 전기적 상호 연결이 캔의 숄더에 부착되는 구성에서, 립(1018)은 상호 연결과 격막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가스켓은 립을 가지지 않는다. 선(1026)은, 가스켓(1016)이 격막(1100)의 외측면 상에서 종료하는 곳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로서, 이러한 가스켓(1100)은 전기적 상호 연결이 캔의 숄더 상에 장착되지 않고 대신에 하우징의 임의의 곳(예를 들면, 원통형 캔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에 사용된다.
도 11은 제조 시의 격막(110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격막은 하나 이상의 구성이 제공되는 상측면(1110)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막(1100)은 초기에 균일한 두께를 가진 후,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얇아진다. 실시예로서 격막(1100)은, CID 작업을 위한 팝업 작동을 촉진하기 위해 테이퍼진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스탬프된다. 다른 실시에로서, 격막이 파열되록 함으로써 통기를 촉진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코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막은 상측면에 직각으로 배향된 면(1120)을 가진다. 격막은 초기에 평면 디스크일 수 있지만, 면(1120)이 이후에 중간 단계에서 현재의 위치로 폴드 된다. 실시예로서, 면(1120)의 현재 배향은, 스탬핑 및/또는 스코링(scoring)을 수행하도록 격막을 유지할 때와 같이 격막을 취급 또는 가공함에 있어 유용하다.
도 12는 도 11의 격막(1100)의 단면을 도시한다. 상측면(1110)은 여기서 평면 중앙 부분(1110A), 테이퍼부(1110B), 폴드백(1110C), 및 내측면(1110D)을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면(1120)의 일부분은 나중에 폴드백(1110C)을 향하여 접힐 수 있다.
도 13은 방법에 관한 실시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다. 단계 1310에서, 격막 판이 형성되고, 예를 들면, 블랭크(blank)가 (예를 들면, 알루미늄) 금속판으로부터 절단된다. 단계 1320에서, 격막 판은 원하는 형상으로 스탬프된다. 일 실시예에서, 테이퍼 부(1110B)(도 12) 및/또는 스코어(1100C)(도 10a 및 도 10b)가 형성된다. 격막은 단계 1320에서의 작업을 수행할 시의 초기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폴드 면(1120)(도 11)에 의해서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 준비될 수 있다. 1330에서, 격막은 최종 형태로 접힌다. 실시예로서, 턴(1022)을 형성하도록, 폴드(1020)(도 10b)는 폴드백(1024)을 향하여 접힐 수 있다. 단계 1340에서 절연체와 격막은 함께 조립된다.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350에서, 파열판은 절연체/격막 조립체에 조립된다. 용접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360에서 가스켓은 파열판/절연체/격막 조립체에 조립된다. 이전 단계에서의 조립체가 가스켓 내측에 밀착되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의 조립체는 전지의 캡이라고 종종 불리우는 것을 생산한다.
단계 1370에서, 캡은 캔의 개구 내측(예를 들면, 상부 개구, 이러한 이유로 상부 캡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에 위치한다. 캡을 구비한 캔은 크림핑되어 캔 상에 캡을 고정하고 전지를 실링한다. 크림핑은 캔 상에 숄더를 형성한다. 실시예로서, 전지의 중심을 향하여 외측 주변부를 접어서 두께가 형성된다.
단계 138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상호 연결이 전지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캔은 격막 근방의 전지의 숄더 상에 상호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호 연결은 캔에 용접된다. 실시예로서, 레이저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는 적절히 수정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별개의 절연체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단계(1340)는 생략될 수 있다. 반면, 절연체가 가스켓과 일체로 되는 경우 다른 구성에 대해 일체로 된 절연체의 적절한 위치결정을 완수하도록 다른 단계가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무엇보다도 그러한 작업은 별개의 단계일 수 있다. 작업은 수동으로 실시되거나 및/또는 자동화 작업(예를 들면, 로보트 조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위에서는 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종종 필요한 몇몇 단계가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실시예로서,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활성 재료(예를 들면, 젤리 롤)를 준비하고; 젤리 롤 상에 하부 절연체를 제공하고; 캔에 젤리 롤을 삽입하고; 상부 절연체를 제공하고; 캔을 그루빙하고; 젤리 롤과 캔 사이에 음극 전기 커넥터를 형성하고; 전기 커넥터의 길이를 조절하고; 캔에 전해질을 첨가하고; 초기 충전을 수행하고; 캔을 클리닝하고; 전지의 무게를 측정하고 필요할 경우 전해질의 양을 조절하고; 캔 개구 상에 실링 재료를 도포하고; 캡과 젤리 롤사이에 전기 연결을 형성하고; 프리-크림핑(pre-crimping) 단계를 수행하고; 전지를 압접하고; 및/또는 조립된 전지를 클리닝하는 것;의 하나 이상의 단계 포함한다. 따라서, 방법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단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두 개 이상의 단계는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여러 실행방법이 실시예로서 설명되었다.
특정한 기능과 그 관계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는 방법의 단계들의 도움으로, 위에서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이들 기능적인 빌딩 블록(building blocks)과 방법 단계의 경계와 순서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특정한 기능 및 관계가 적절히 수행될 수 있는 한, 대안적인 경계 및 순서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이러한 대안적인 경계 또는 순서는 본 발명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적 빌딩 블록의 경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임의의 중요한 기능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는 한, 대안적인 경계가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흐름도 블록이 임의의 중요한 기능을 예시하도록 임의로 정의되었다.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흐름도 블록 경계 및 순서가 달리 정의되어 여전히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능적인 빌딩 블록 및 플로우 흐름도 블록의 대안적인 정의 및 순서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기술자라면 기능적인 빌딩 블록 및 다른 예시적인 블록, 모듈 및 구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될 수 있거나 또는 별개의 구성, 애플리케이션이 특정된 집적회로,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등이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측면, 하나 이상의 구성, 하나 이상의 개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예를 예시하도록 사용되었다. 장치, 제조품, 기계 및/또는 공정의 물리적인 실시예는 여기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측면, 구성, 개념, 실시예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실시예들은 동일하거나 다른 참조번호를 사용하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 단계, 모듈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기능, 단계, 모듈 등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단계, 모듈 등이거나 다른 것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다양한 기능과 구성의 특정한 조합들이 개시되었지만, 이들 기능 및 구성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시는 여기에서 개시한 특정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조합들이 포함할 수도 있음이 명백하다.
202: 캔 204: 숄더
210: 격막 212: 파열판
214: 절연체 216: 가스켓
218: 립

Claims (20)

  1. 전지의 하나의 전기적 접촉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활성재료를 함유하는 캔;
    상기 전지의 대향하는 전기적 접촉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격막; 및
    초기에 원통형상인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격막은 상기 캔의 개구에 있는 상기 가스켓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캔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가스켓 상에 크림핑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캔의 내측에 있는 내측 주변부와 상기 캔의 외측에 있는 외측 주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주변는 크림핑 이후에 상기 격막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립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격막 두께의 두 배가 되는 되접은 부분(folded back)을 포함하는 크림핑 부를 포함하는,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 이후에, 상기 립은 상기 격막의 상기 외측면에 대향하여 평평하게 놓이는,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은 상기 외측 주변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은 상기 크림핑 이후에 인접한 립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슬롯에 의해 분리되는,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의 측부 가장자리는 상기 립의 상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내측으로 각각 경사진,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 전에 각각의 립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내측 주변부에 평행한,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상에 제1 환형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환형 돌출부는 상기 격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환형 돌출부보다 상기 외측 주변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돌출부는 상기 가스켓 상에 내측으로 향하는,
    전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돌출부는 상기 가스켓 상에 외측으로 향하는,
    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내측에 있는 파열판과, 상기 파열판과 상기 격막 사이에 있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가스켓과 일체로 되는,
    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와 상기 가스켓의 메인 본체 사이에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의 리세스부 내측에 끼워지는 상기 절연체 상에 융기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
  14. 전지의 하나의 전기적 접촉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활성재료를 함유하는 캔;
    상기 전지의 대향하는 전기적 접촉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격막; 및
    상기 격막과 상기 캔의 개구 사이를 실링하고 상호 연결 용접 동안 단락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격막 두께의 두 배가 되는 되접은 부분(folded back)을 포함하는 크림핑 부를 포함하는,
    전지.
  15. 활성재료를 포함하며 전지의 전기적 접촉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캔의 개구 상에 캡을 장착하되, 상기 캡은: i) 상기 전지의 대향하는 전기적 접촉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격막과 ii) 초기에 원통형상인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상기 캔의 상기 개구에 있는 상기 가스켓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캔 상에 숄더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스켓 상에 상기 캔의 외측 가장자리를 크림핑하되, 상기 가스켓은 상기 캔의 내측에 내측 주변부를 가지며 상기 캔의 외측에 외측 주변부를 가지고, 상기 외측 주변부는 크림핑 이후에 상기 격막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립을 포함하고; 및
    상기 격막의 상기 외측면에 제1 전기적 상호 연결을 형성하되, 상기 캔의 상기 숄더에 제2 전기적 상호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립은 상기 제1 및 제2 전기적 상호 연결의 형성시에 단락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격막 두께의 두 배가 되는 되접은 부분(folded back)을 포함하는 크림핑 부를 포함하는,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파열판을 적어도 상기 격막에 조립하고, 그 후에 상기 격막 파열판 조립체와 상기 가스켓을 함께 조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절연체가 상기 가스켓에 일체로 되고, 상기 가스켓과 상기 격막 파열판 조립체를 함께 조립하는 것은 상기 파열판과 상기 격막 사이에 상기 절연체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판을 적어도 상기 격막에 조립하기 전에, 절연체를 상기 격막에 조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판을 적어도 상기 격막에 용접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인,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7002344A 2015-08-24 2016-08-24 전지용 가스켓과 격막 KR101998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9145P 2015-08-24 2015-08-24
US201562209163P 2015-08-24 2015-08-24
US62/209,145 2015-08-24
US62/209,163 2015-08-24
US15/244,663 US10673033B2 (en) 2015-08-24 2016-08-23 Gasket and diaphragm for electrochemical cell
US15/244,663 2016-08-23
PCT/US2016/048262 WO2017035173A1 (en) 2015-08-24 2016-08-24 Gasket and diaphragm for electrochemical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842A KR20180021842A (ko) 2018-03-05
KR101998092B1 true KR101998092B1 (ko) 2019-07-09

Family

ID=5809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344A KR101998092B1 (ko) 2015-08-24 2016-08-24 전지용 가스켓과 격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73033B2 (ko)
EP (1) EP3341984A4 (ko)
JP (1) JP6742401B2 (ko)
KR (1) KR101998092B1 (ko)
CN (1) CN107925020A (ko)
HK (1) HK1254179A1 (ko)
WO (1) WO2017035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0912B2 (en) 2017-06-14 2021-03-1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rrangements for inhibiting intrusion into battery pack electrical components
WO2019026526A1 (ja) * 2017-07-31 2019-0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円筒形電池
KR102203249B1 (ko) 2017-10-10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JP7021506B2 (ja) * 2017-11-09 2022-02-17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CN111630679A (zh) * 2017-12-13 2020-09-04 三星Sdi株式会社 圆柱形锂离子二次电池
US10930900B2 (en) * 2018-03-23 2021-02-23 Sf Motors, Inc. Battery cell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CA3105863A1 (fr) 2018-07-13 2020-01-16 Hydro-Quebec Ensemble event de securite de batterie
EP3850683A1 (en) 2018-09-11 2021-07-21 Energizer Brands, LLC Hearing aid battery with slotted grommet
JP7055982B2 (ja) * 2018-09-28 2022-04-19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7055983B2 (ja) * 2018-09-28 2022-04-19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7055981B2 (ja) * 2018-09-28 2022-04-19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WO2020137776A1 (ja) * 2018-12-28 2020-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
CN113228377A (zh) * 2018-12-28 2021-08-06 三洋电机株式会社 圆筒形电池
EP3913701B1 (en) 2019-01-18 2023-08-16 Panasonic Energy Co., Ltd. Sealed battery
JP7274877B2 (ja) * 2019-01-25 2023-05-17 Fdk株式会社 封口ガスケット、および筒形電池
WO2021200439A1 (ja) * 2020-03-30 2021-10-07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形電池
EP4131592A1 (en) * 2020-03-31 2023-02-08 SANYO Electric Co., Ltd. Cylindrical battery
US11641044B1 (en) 2020-04-14 2023-05-02 Energizer Brands, Llc Battery housing and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CN116420258A (zh) * 2020-09-21 2023-07-11 特斯拉公司 储能电池
DE102022108964A1 (de) 2022-04-12 2023-10-12 Volker Seefeldt Akkumulatorzellengehäuse und Batterie oder Batteriemodul aus einer Vielzahl von Sekundärzellen auf der Basis eines einheitlichen Akkumulatorzellengehäuseaufba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8939A (en) 1987-06-01 1989-05-09 Eltech Systems Corporation Bipolar metal/air battery
US20100136387A1 (en) * 2009-06-12 2010-06-03 Tesla Motors, Inc. Cell cap assembly with recessed terminal and enlarged insulating gasket
US20130059181A1 (en) * 2011-09-07 2013-03-07 Tesla Motors, Inc. Battery Cap Assembly with High Efficiency V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9011A (en) 1973-01-05 1976-02-17 P. R. Mallory & Co. Inc. Lithium cell with internal automatic safety controls
US4725515A (en) * 1987-05-07 1988-02-16 Eveready Battery Company Button cell construction with internally compressed gasket
JP2748539B2 (ja) 1989-04-26 1998-05-06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の安全装置
KR20060037595A (ko)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1897059A (zh) * 2008-01-31 2010-11-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二次电池
KR101094937B1 (ko) * 2009-02-16 2011-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DE102009022477A1 (de) 2009-05-25 2010-12-16 Universität Konstanz Verfahren zum Texturieren einer Oberfläche eines Halbleitersubstrates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S20130236757A1 (en) * 2012-03-07 2013-09-12 Leyden Energy Cell assemblies with neutral cases
US9692038B2 (en) * 2013-11-25 2017-06-27 Tesla, Inc. Cap for electrochemical ce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8939A (en) 1987-06-01 1989-05-09 Eltech Systems Corporation Bipolar metal/air battery
US20100136387A1 (en) * 2009-06-12 2010-06-03 Tesla Motors, Inc. Cell cap assembly with recessed terminal and enlarged insulating gasket
US20130059181A1 (en) * 2011-09-07 2013-03-07 Tesla Motors, Inc. Battery Cap Assembly with High Efficiency 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73033B2 (en) 2020-06-02
JP2018525793A (ja) 2018-09-06
CN107925020A (zh) 2018-04-17
HK1254179A1 (zh) 2019-07-12
JP6742401B2 (ja) 2020-08-19
KR20180021842A (ko) 2018-03-05
EP3341984A4 (en) 2019-02-27
WO2017035173A1 (en) 2017-03-02
US20170062778A1 (en) 2017-03-02
EP3341984A1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092B1 (ko) 전지용 가스켓과 격막
KR102540837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7704631B2 (en)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hock resistance
US11923558B2 (en)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EP2930764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692038B2 (en) Cap for electrochemical cell
US20210296746A1 (en) Secondary battery
KR20190042801A (ko)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실링 블록,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 방법
CN110770956A (zh) 电化学电池单元的堆叠式棱柱形架构
KR101416520B1 (ko) 벤트 구조를 갖는 2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1367933B2 (en) Secondary battery
US11404754B2 (en) Secondary battery
KR101520064B1 (ko)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의 제조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캡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2047542B1 (ko) 캡조립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캡조립체
JP7299816B2 (ja) 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及び積層型電池
KR101175008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2250195B1 (ko) 이차 전지용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JP5650567B2 (ja) 扁平形電池及び封口缶
KR100667944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안전밸브 설치 방법
US20230299397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207933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EP4175031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147563A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92100A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06936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