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104B1 -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104B1
KR101104104B1 KR1020100047434A KR20100047434A KR101104104B1 KR 101104104 B1 KR101104104 B1 KR 101104104B1 KR 1020100047434 A KR1020100047434 A KR 1020100047434A KR 20100047434 A KR20100047434 A KR 20100047434A KR 101104104 B1 KR101104104 B1 KR 101104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r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916A (ko
Inventor
황종익
조민
Original Assignee
인크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크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크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10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자 통신단말기에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자에게 알리고, 수신자가 호 연결을 허용하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을 제공하여,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를 연결하기 위해 요청을 함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사용자들에게 능동적으로 다양하고 많은 정보나 콘텐츠 등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능동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DATA COMMUNI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들의 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초기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통화만 이루어지고 있다가 점차 단문 텍스트 및 장문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발전하였다가 사진이나 음악 파일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발전이 이루어졌다.
더군다나 이동통신의 규격이 3G로 넘어오면서 음성통화나 문자메시지 등 이 외에도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작은 컴퓨터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까지도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자들은 컴퓨터를 통해서만이 가능했던 다양한 기능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새로운 정보 등을 전달하는 방식은 기존과 크게 달라지지 않고, 음성통화를 통한 정보의 전달이나 단문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전달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는데, 단문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성통화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텔레마케팅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고객들은 이에 상당한 거부감을 가지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더군다나 텔레마케팅으로 인한 시장규모는 커지면서 그에 따른 인건비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으며, 한 사람의 텔레마케터가 고객과의 통화도 한계가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나 효율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가 제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하여, 특정 이동통신업체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브라우저(Browser)를 실행시켜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고객센터를 운영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들이 필요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모바일 고객센터로 접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역으로 이동통신업체에서 고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는 경우에는 많은 고객들에 명확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은 수신자 통신단말기에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자에게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호 수신 알림단계;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호 연결이 허용되는 호 연결 허용단계;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 호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회선 연결단계; 및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면,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호 수신 알림단계는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임을 알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한 발신자 측의 정보가 포함된 통신기록이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 저장되는 데이터 통신기록 저장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은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호 연결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호 연결 시도단계;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호 연결에 대한 허용이 이루어지면,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회선 연결단계; 및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면,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 시도가 이루어지면,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의 번호가 포함된 통신기록이 저장되는 데이터 통신기록 저장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 연결 시도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기록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수신자 통신단말기의 번호가 선택됨에 따라 호 연결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 연결 시도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호 연결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면,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호 연결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임을 알리는 호 연결 알림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통신회선 연결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서 호 연결이 허용되면, 상기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단계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를 연결하기 위해 요청을 함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사용자들에게 능동적으로 다양하고 많은 정보나 콘텐츠 등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능동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보의 전달을 위해 텔레마케팅 등의 음성통화를 이용한 정보의 전달에 비하여 인건비 절감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기업체 등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호 연결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서비스 자체에 대한 호기심과 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사용자들의 데이터 통신을 통한 비용을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체 등에서 부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은 비용에 대한 부담이 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데이터 통신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텔레마케팅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가 수신되었을 때와 그때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가 수신되었을 때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발신이 이루어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서비스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통신단말기(110),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 기지국(130), 수신자 통신단말기(140) 및 데이터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자 통신단말기(110)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와 통신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수신자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단말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업체 등에서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 측으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단말기이다. 즉, 기업체 등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이다.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는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 측으로 이루어지는 호 연결에 대한 요청을 받으며,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호 연결의 요청에 대하여 수신자 통신단말기(140) 측으로 호 연결을 하기 위해 기지국(130)으로 수신자 단말기에 대하여 확인을 한 이후에 발신자 단말기에서 요청된 번호와 수신자 단말기에 대한 확인 이루어지면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지국(130)은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와 수신자 통신단말기(140) 간에 호 연결을 하면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이루어지는 요청이나 호 연결을 제어한다. 즉,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에서 수신자 단말기와 발신자 단말기 측에서 요청된 호 연결이 정상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확인이 이루어지고, 확인이 이루어지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로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신자 통신단말기(140)는 기지국(130)에서 호 연결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어, 수신자가 발신자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데이터 서버(150)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와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으며, 수신자 단말기나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자료를 기지국(130) 측으로 전송하고,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결과를 모니터링한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중 수신자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에 대하여 도6의 (a)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호 연결 요청<S601>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 측으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위한 요청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 요청은 음성/영상 통화를 위한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로 호 연결을 요청한다.
즉, 발신자가 발신자 통신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의 번호로 호를 연결하기 위해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로 요청을 하는데, 실제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회선으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이용하여 호 연결을 요청한다.
이때, 발신자 통신단말기(110)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일 수도 있고, 컴퓨터일 수도 있다. 즉,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 측으로 호 연결의 요청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이면 어떤 통신단말기든 무관하다.
2. 수신자 확인<S602>
단계 S601에서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호 연결에 대한 요청이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로 수신되면,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에서는 기지국(130)으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는데,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요청된 호 연결에 대하여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의 번호가 맞는지 등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3. 수신자 통신단말기 호 연결 요청<S603>
단계 S602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의 번호가 맞는지 등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면, 기지국(130)에서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 호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는 해당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에도 단계 S601에서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위해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호를 요청하지만, 호의 요청은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연결을 요청한다.
물론, 본 단계에서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것이 가능할건데,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음성이나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신자 단말기로 수신되는 신호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되는 것이 아니라, 음성이나 영상통화를 위한 호 연결과 마찬가지로 음성이나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4. 데이터 통신기록 저장<S604>
단계 S603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로 데이터 통신을 위해 호 연결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위해 신호가 수신되었음에 대한 통신기록을 저장하는데, 이는 음성/영상통화의 기록과 마찬가지의 형태로 저장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위해 신호가 수신되었음에 대한 통신기록에는 발신자 측의 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되는데, 이러한 발신자 측의 정보는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의 번호일 수 있다.
5. 수신자 호 수신 알림<S605>
단계 S603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로 호 연결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는 호 연결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수신자에게 알리기 위해 도2의 (a) 및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호 연결에 대한 요청이 있음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때,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인 경우, 해당 호 연결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단계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이루어지고자 기지국(130)에서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하여 수신자에게 알리고자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는 음성/영상통화에 대한 호 연결과 마찬가지로 수신자에게 알리는 단계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벨소리 등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6. 수신자 통신단말기 호 연결 허용<S606>
본 단계에서는 수신자가 단계 S603에서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이를 허용하는 단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2의 (a) 및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연결에 대한 허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수신자는 단계 S605를 통해 수신되는 호 연결에 대한 신호가 음성통화를 위한 것인지, 영상통화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단계에서는 데이터 통신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호 연결을 허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도2의 (a) 및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키버튼을 선택하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져 단계 S603으로 넘어가고, '거절' 키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호 연결이 그대로 종료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데이터 통신에 대한 호 연결을 허용하여,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호 연결을 허용한다.
물론, 단계 S604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기록이 저장되는 것은 수신자 통신단말기(140)로 데이터 통신을 위해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저장이 이루어져도 되지만, 본 단계에서 수신자 단말기(140)에서 호 연결이 허용되는 시점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7. 호 전환 요청<S607>
단계 S606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호 연결에 대하여 호 연결이 허용되면, 기지국(130)에서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의 호 연결에 대하여 호의 전환을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로 요청하는데, 이때, 호 전환의 요청은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으로 전환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에 대하여 허용을 하면, 기지국(130)에서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가 연결된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즉시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 측으로 호 전환 요청을 한다.
8. 데이터 통신 회선 연결<S608>
단계 S607에서 기지국(130)에서 호 전환 요청이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로 수신되면,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에서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가 기지국(130)을 통해 데이터 서버(15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전환시킨다. 즉, 통신사 통신제어서버(120)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자료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와 데이터 서버(150)에 연결함으로써,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은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가 데이터 서버(15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와 데이터 서버(150)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면, 그 즉시 호 연결을 위해 이용했던,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이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차단하여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9. 어플리케이션 구동<S609>
단계 S608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와 데이터 서버(150)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데,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웹(Web)이나 왑(Wap)에 접속을 위한 브라우저(Browser)가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이벤트에 참가를 하거나, 청구서의 결제를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학습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단계에는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그에 맞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로 수신되는 신호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브라우저가 접속할 수 있는 URL 정보가 포함되어, 단계 S608에서 데이터 통신 회선이 연결될 때, 해당되는 웹/왑 페이지가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의 브라우저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신자 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의 요청이 표시되어, 수신자가 이를 허용하면, 단계 S608에서는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이 차단되면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고,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 호 연결 요청과 함께 수신된 URL 정보에 따라 해당 웹/왑 페이지가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브라우저의 구동으로 보여 진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통화나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키버튼 등이 선택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런 경우, 데이터 통신 회선과 음성/영상통신 회선이 동시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과 음성/영상통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수신자 통신단말기(140)가 모바일 통신단말기인 경우에 모바일 게임을 접속하여 게임이 이루어지는 상태인 경우에도,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게임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다른 사용자를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와중에서 동시에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로 하여금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단계 S601에서 단계 S609까지의 과정을 통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면, 그에 대한 기록이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에 저장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렇게 데이터 통신에 대한 기록이 저장된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다시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6의 (b)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데이터 통신기록 저장<S611>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거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에 대한 시도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이루어질 때, 혹은 발신자 통신단말기(110)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위해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데이터 통신에 대한 기록이 저장된다. 이때, 데이터 통신에 대한 기록이 저장되는 것은 음성/영상통화의 기록과 같은 방식으로 저장되면 된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에 대한 기록에는 상대측인 수신자 통신단말기(140)의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번호일지라도 음성통화/영상통화/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번호가 별도로 지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2. 호 연결 알림<S612>
단계 S611에서 데이터 통신기록이 저장된 상태에서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데이터 통신 기록이 선택되면, 발신 통신단말기에서는 발신자에게 데이터 통신을 위해 호가 연결되는 것을 알리는 안내가 이루어진다.
즉, 발신자 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은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위해 호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므로, 별도의 안내를 주어 발신자로 하여금 음성통화와는 달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짐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물론,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른 별도의 통신비용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3. 호 연결 시도<S613>
단계 S612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이 이루어짐을 발신자 단말기에서 안내가 이루어지면, 본 단계에서는 단계 S601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호 연결이 시도된다. 그리고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의 호 연결 시도는 단계 S601에서와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 데이터 통신 회선 연결<S614>
단계 S613에서 호 연결 시도가 이루어져, 호 연결이 이루어지면, 단계 S608에서와 같이,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차단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는데, 본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 회선의 연결은 단계 S601 내지 단계 S608의 과정을 동일하게 거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데이터 서버(150)로의 직접 데이터 통신회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단계 S611 내지 단계 S613의 과정을 거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시도할 때, 호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에는 데이터 서버(150)를 통해 웹/왑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가 연결됨과 동시에 데이터 서버(150)와 바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통신회선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5. 어플리케이션 구동<S615>
단계 S614에서 발신자 통신단말기(110)에서 데이터 서버(15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면, 단계 S609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은 웹이나 왑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가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단계 S60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우저가 구동되어 웹/왑에 접속된 상태에서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통화나 영상통화로의 연결이 가능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호 연결을 다시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2의 (b), 도2의 (c), 도3의 (b), 도3의 (c) 및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왑 페이지를 통해 결제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회사 등에서 카드 회사의 고객에게 이벤트의 안내나 설문 등의 조사를 위해 텔레마케팅을 하는 대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고객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사 등의 기업에서 고객에게 청구서의 발송을 위해 이메일이나 지로용지 대신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바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고객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업은 미납율을 줄이고, 고객은 편리하게 요금을 납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에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결제가 필요한 서버 등의 접속이 URL을 기억하는 것에 비하여 더욱 편리하고 쉽게 접속이 가능하며, 매장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경우에도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더욱 간편하게 결제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10: 발신자 통신단말기 120: 통신사 통신제어서버
130: 기지국 140: 수신자 통신단말기
150: 데이터 서버

Claims (8)

  1. 발신자 통신단말기가 수신자 통신단말기로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통신사 통신제어서버로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 번호로의 호 연결을 요청하는 호 연결 요청단계;
    상기 통신사 통신제어서버가 기지국으로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호 연결 요청된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 번호와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를 확인하는 수신자 확인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상기 호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자 통신단말기 호 연결 요청단계;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가 상기 호 연결을 허용하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수신자 통신단말기 호 연결 허용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가 연결된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통신사 통신제어서버에 요청하는 호 전환 요청단계;
    상기 통신사 통신제어서버는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호 전환시켜 데이터 통신 회선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신 회선 연결단계; 및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통신회선 연결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서 호 연결이 허용되면, 상기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 호 연결 요청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 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한 발신자 측의 정보가 포함된 통신기록이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 저장되는 수신자 통신단말기 데이터 통신기록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 호 연결 요청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기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수신자에게 알리는 수신자 호 수신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요청단계,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 호 연결 요청단계 또는 상기 데이터 통신 회선 연결단계는,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의 번호가 포함된 통신기록이 저장되는 발신자 통신단말기 데이터 통신기록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5. 제 4항의 데이터 통신방법에 의해 발신자 통신단말기에 데이터 통신기록이 저장된 경우의 데이터 통신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통해 호 연결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호 연결 시도단계;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호 연결에 대한 허용이 이루어지면,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회선 연결단계; 및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면,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 연결 시도단계는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수신자 통신단말기의 번호가 선택됨에 따라 호 연결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통신회선 연결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에서 호 연결이 허용되면, 상기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회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시도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통신단말기로 호 연결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면, 상기 발신자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호 연결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연결임을 알리는 호 연결 알림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7. 삭제
  8. 제1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단계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20100047434A 2010-05-20 2010-05-20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110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434A KR101104104B1 (ko) 2010-05-20 2010-05-20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434A KR101104104B1 (ko) 2010-05-20 2010-05-20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916A KR20110127916A (ko) 2011-11-28
KR101104104B1 true KR101104104B1 (ko) 2012-01-12

Family

ID=4539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434A KR101104104B1 (ko) 2010-05-20 2010-05-20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1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467A (ko) * 2004-05-29 2005-12-02 주식회사 엠닥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의 웹사이트 접속방법
KR20100046074A (ko) * 2008-09-25 2010-05-06 (주) 콜게이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467A (ko) * 2004-05-29 2005-12-02 주식회사 엠닥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의 웹사이트 접속방법
KR20100046074A (ko) * 2008-09-25 2010-05-06 (주) 콜게이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916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2301A1 (en) Mobile services
US8280418B2 (en) System for supporting video message service and method thereof
US8041342B2 (en) Moving notification message
CN102932760A (zh) 一种建立通话的方法、装置及设备
KR20050074059A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KR101104104B1 (ko)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0565440B1 (ko) 대화형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장치에서의음성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989225B1 (ko) 이동 단말에서 메시지 처리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 단말
JP4627520B2 (ja) 電話着信時文字表示システム
KR100928872B1 (ko) 무선 푸시 기반 청구서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47847B1 (ko) 전화 통화 정보에 기초한 네트워크 상의 광고 실행 방법, 및 전화 통화 정보에 기초한 네트워크 상의 광고 실행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0776031B1 (ko) 통화중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711469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92210A (ko) 통화 내역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0794414B1 (ko)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20100063985A (ko)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0001772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KR100724581B1 (ko) Sms 문자 메시지 읽을 시의 배경 컨텐츠 실현 방법 및 시스템
KR101742818B1 (ko) 통화 유형 문자 안내 연결 시스템 및 방법
JP2002142023A (ja) サーバシステム及び通信データ送出方法
KR100668454B1 (ko)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2113A (ko)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JP2003274015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100606608B1 (ko) Ci 이미지가 삽입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0863A (ko) 인터넷 전화의 부재중 착신호 통지 시스템 및 서비스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