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074A -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074A
KR20100046074A KR1020080094331A KR20080094331A KR20100046074A KR 20100046074 A KR20100046074 A KR 20100046074A KR 1020080094331 A KR1020080094331 A KR 1020080094331A KR 20080094331 A KR20080094331 A KR 20080094331A KR 20100046074 A KR20100046074 A KR 20100046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advertisement
voice
data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523B1 (ko
Inventor
백승빈
Original Assignee
(주) 콜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콜게이트 filed Critical (주) 콜게이트
Priority to KR102008009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8Advertisemen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음성 호에 응답하여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고,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입력 설정에 따라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음성 안내부 및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데이터 호를 통해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호 전환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에 포함되는 광고 문구의 전송용량을 증대하여 광고 전달력을 향상시키고,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연결만을 실행하도록 하여 광고에 해당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를 심리적으로 거부하는 사용자의 성향이 있다고 하더라도 광고에 대한 회신율을 높일 수 있다.
광고, SMS, 데이터 호, 전환

Description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CALL CONVERSION-BASED ADVERTISEMENT SERVICE}
본 발명은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예컨대, SMS)를 수신하는 사용자가 회신 통화를 실행하는 것만으로 수신한 광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음성으로 안내받고, 이러한 음성 안내에 따라 광고의 대상이 되는 모바일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선택하여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해당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상적인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서비스는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의 새로운 정보나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들간에 상대방 사용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알리기 위해서 SMS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표 시부를 구비하여 동작 상태, 수신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SMS를 통한 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이점은 이동통신의 가장 큰 특징인 이동성과 휴대성에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이동성과 휴대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또는 어떤 이벤트가 일어났을 때 받을 수 있 도록 해주기 때문에 상품 구매를 원하는 고객에게는 주위의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광객에게는 지나고 있는 도시에 대한 정보와 유적에 대한 정보를 받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이동성과 휴대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미디어를 대체할 매체로써, 신문과 TV에서 제공되는 단방향적이고 일률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들 대신에,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광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MS는 일반적으로 통화채널과는 별도로 이동통신상에서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제한적이나, 사용자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아도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물론 모든 SMS가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채널을 이용한다.)
더구나 짧은 시간에 다수의 사용자에게 직접 정보가 전달된다는 점에서 상품을 알리는데 SMS의 이점이 있다.
SMS는 point-to-point방식과 cell-broadcast(point-to-omnipoint)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point-to-point모드는 개인간의 문자전송을 말하고, cell-broadcast 모드는 교통정보, 뉴스, 알람기능과 같이 주어진 셀 안에서 많은 가입자에게 문자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또한, SMS는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기 위한 용도로도 활용되며, 그 활용 방안의 예로 SMS에 URL 정보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후 전송받은 사용자로 하여금 SMS에 포함되는 URL 정보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80 바이트 정도로 한정적인 SMS 전송용량으로 인하여, URL 정보를 포함하는 SMS는 URL 정보로 인해 용량이 축소되어 메시지 문구를 입력하기 위한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도일 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SMS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광고 등을 위한 SMS에서 무선 인터넷의 특정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RL 정보가 주로 포함되고 있으며,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SMS에 URL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미 80 바이트 정도로 제한적인 전송용량이 더더욱 작아짐에 따라, SMS에 텍스트로 광고하기 위한 문구가 매우 한정되어 광고 전달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SMS의 광고를 수신하는 사용자가 SMS를 수신하여 단말화면을 통해 해당하는 광고문구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광고에 대한 데이터 접속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데이터 접속버튼 또는 접속과정을 실행하여야 하므로, 무선 인터넷 자 체에 대한 접속을 심리적으로 거부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라 광고에 대한 반응률이 지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예컨대, SMS)를 수신하는 사용자가 회신 통화를 실행하는 것만으로 수신한 광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음성으로 안내받고, 이러한 음성 안내에 따라 광고의 대상이 되는 모바일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선택하여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해당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에 URL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서도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광고에 대한 회신 통화 설정으로 인한 음성 안내를 거치지 않고, 통화 요청만으로 광고에 대한 모바일 페이지를 곧바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음성 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고, 상기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입력 설정에 따라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음성 안내부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호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를 위한 텍스트,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전화번호, 상기 회신번호 및 상기 모바일 페이지에 연결하기 위한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광고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문자메시지에 대한 전송을 설정하기 위한 광고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음성 안내서버는,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음성 호에 응답하기 위한 통화 연결부, 기 저장중인 대상 서비스 테이블을 토대로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는 대상 서비스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 서비스 판별부, 상기 대상 서비스가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인 경우, 상기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안내부 및 상기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입력 설정에 따라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의 제공을 위한 호 전환을 요청하는 호 전환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서버는 상기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입력 설정으로 상기 회신번호에 대한 수신거부가 있는 경우, 상기 음성 호에 포함되는 발신 번호에 대해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는 통신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수신거부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서버는 상기 광고 또는 사용자별로 상기 수신거부에 대한 내역을 누적하여 통계 처리하기 위한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디.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호 전환서버는,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음성 호에 응답하여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음성 안내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연동부, 상기 광고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요청에 따라,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호 전환 개시부 및 상기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RL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호 전환 기반 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호 전환 방법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에 의한 통화 요청에 응답하는 통화연결 단계, 상기 통화 요청으로 형성되는 음성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안내 단계, 상기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입력 설정으로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설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호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전환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의 형성에 따라, 상기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호 전환 개시 단계, 상기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연결정보 조회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 호 설정 단계 및 상기 조회에 대한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URL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전환 단계는 상기 URL 정보를 토대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VM(Virtual Machin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왑(WAP) 접속에 의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되는 모바일 페이지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호 전환 기반 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음성 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호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를 위한 텍스트,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전화번호, 상기 회신번호 및 상기 모바일 페이지에 연결하기 위한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광고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문자메시지에 대한 전송을 설정하기 위한 광고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호 전환부는 상기 음성 호에 응답하여 호 연결을 실행하기 위한 음성 호 연결모듈,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호 연결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조건판별 모듈, 상기 호 연결조건이 상기 데이터 호로의 연결인 경우, 상기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상기 통화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호 전환 개시모듈 및 상기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RL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호 전환 기 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에 의한 통화 요청에 응답하는 통화연결 단계,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호 연결조건을 판별하는 조건판별 단계, 상기 호 연결조건이 데이터 호로의 전환인 경우, 상기 통화 요청으로 형성되는 음성 호를 상기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호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전환 단계는 상기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호 전환개시 단계, 상기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연결정보 조회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 호 설정 단계 및 상기 조회에 대한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URL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예컨대, SMS)를 수신하는 사용자가 회신 통화를 실행하는것 만으로 수신한 광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음성으로 안내받고, 이러한 음성 안내에 따라 광고의 대상이 되는 모바일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선택하여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해당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에 포함되는 광고 문구의 전송용량을 증대하여 광고 전달력을 향상시키고,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연결만을 실행하도록 하여 광고에 해당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를 심리적으로 거부하는 사용자의 성향이 있다고 하더라도 광고에 대한 회신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광고를 요청하는 광고주로부터 관련한 광고정보를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광고정보 중에서 광고문구를 나타내는 텍스트 및 회신번호를 포함하여 문자메시지를 형성하고, 형성한 문자메시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송한다.
이후로, 문자메시지에 대한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한 후, 음성 안내를 통해 설정된 사용자 설정정보에 따라 연결중인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여 전환한 데이터 호를 통해 광고에 대한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문자메시지에 광고문구의 전송용량을 증대하고 문자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통화 연결만으로 광고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단말화면에 자동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음악 컨텐츠 등의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 문자메시지에 대한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여 형성되는 음성 호에 응답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문자메시지에 나타난 광고를 상세하게 안내하는 음성 안내를 실행하고, 이러한 음성 안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으로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음성 안내부(300), 및 음성 안내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설정정보를 통해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전환한 데이터 호를 통해 광고에 대한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호 전환부(4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광고위탁을 받으며 설정되는 광고의 광고문구에 대한 텍스트,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전화번호,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후 사용자로부터 회신받기 위한 회신번호, 및 모바일 페이지에 연결하기 위한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저장하는 광고정보 저장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뿐 아니라,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의 SMS 센터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광고 전송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고 전송부(200)는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전달되는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에 URL 정보를 제외한 광고정보(예컨대, 광고문구를 나타내는 텍스트 및 회신번호)를 포함하게 된다.
음성 안내부(300)는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통화 연결에 응답하기 위한 구성이며, 사용자 단말장치(500)와의 음성 호에 포함되는 회신번호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하기 위한 광고를 판별하고, 판별한 광고에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음성 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전달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해 광고를 통해 제공되기 위한 모바일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을지 여부 및 안내되는 모바일 페이지가 둘 이상인 경우 제공받기 위한 어느 하나를 선택할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사용자 설정정보를 설정한다.
사용자 설정정보에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기 위한 설정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음성 안내부(300)는 데이터 호 전환부(400)에 사용자 설정정보를 전달한다.
데이터 호 전환부(400)는 음성 안내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광고정보 저장부(100)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단말장치(500)와 연결된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여 전환한 데이터 호를 통해 제공받은 URL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전달한다.
이에, 사용자 단말장치(500)는 제공받은 URL 정보를 이용하는 VM(Virtual Machin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왑(WAP) 접속을 실행하여 해당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는 왑(WAP) 서버에 접속한 후, 왑(WAP) 서버(600)로부터 데이터 호를 통해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자동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500)는 URL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문자메시지에 포함되는 광고문구는 URL 정보 등이 포함되지 않음에 따라 SMS 전송용량이 한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보다 풍부한 내용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메시지의 광고에 흥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데이터 호 접속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문자메시지에 나타난 안내문구에 따라 통화 연결만을 실행하게 되면, 곧바로 원하는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과정을 거쳐 해당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으며, 모바일 페이지 중 원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성 안내부(300)에 포함되는 음성 안내서버(300)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안내서버(300)는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에 함께 설정된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음성 호에 응답하기 위한 통화 연결부(310), 기 저장중인 대상 서비스 테이블(예컨데, 다양한 종류의 음성 안내 서비스가 있는 경우, 각각의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테이블)을 토대로 회신번호에 상응하는 대상 서비스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 서비스 판별부(320), 판별결과 대상 서비스가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인 본 발명에서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인 경우,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음성 호로 연결중인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실행하기 위한 음성 안내부(330), 및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각 단계별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입력 설정에 따라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고, 형성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데이터 호 전환부(400)에 전달하여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의 제공을 위한 호 전환을 요청하는 호 전환 요청부(34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음성 안내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음성 안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 회신번호에 대한 수신거부가 설정되는 경우, 연결 중인 음성 호에 포함되는 발신 번호(즉, 사용자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대해 회신번호에 상응하는 대상(예컨대, 광고주 또는 해당하는 광고 등)에 대한 통신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수신거부 설정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음성 안내서버(300)는 고객인 사용자의 수신거부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어떠한 광고를 원하지 않는지 또는 어떠한 광고가 사용자에게 어필이 되는지 등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고객대상의 마케팅에도 활용하기 위한 통계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해, 광고 또는 사용자별로 수신거부에 대한 내역을 누적 형성하여 통계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통계 처리부(36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안내부(330)는 연결 중인 음성 호에 포함되는 단말정보 중 회신번호를 통해 음성 안내를 실행하기 위한 광고를 판별하고, 판별한 광고에 대해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음성 안내부(330)는 광고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데이터 호로 전환되어 광고에 대한 모바일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제공됨에 따르는 데이터 이용료의 과금 여부 또는 어떠한 방식으로 과금이 되는지 등을 안내함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무선인터넷에 대한 접속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서비스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대한 음성안내를 실행하지 않고 곧바로 데이터 호 전환부(400)에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장치(500)가 수신한 광고에 대한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호 전환 요청부(340)가 곧바로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할 수 있는지를 가름하는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여, 그 판별결과에 따라 음성 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 호 전환 부(400)에 호 전환을 요청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호 전환부(400)에 포함되는 데이터 호 전환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호 전환서버는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와 함께 수신하는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음성 호에 응답하여 관련하는 음성 안내를 실행한 후, 음성 안내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음성 안내서버(300)와 연동하기 위한 연동부(410),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데이터 호 연결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예컨데, Push SMS)를 광고 전송부(200)를 통해 전달하기 위한 호 전환 개시부(420), 및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응답하여 해당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RL 전송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장치(500)는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LVM과 같은 모듈을 구동하여 데이터 호 전환 서버와의 데이터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실행하고, 데이터 호의 채널이 설정된 후 URL 전송부(430)로부터 해당하는 광고의 URL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후로, 사용자 단말장치(500)는 제공받은 URL 정보를 이용하여 VM(Virtual Machin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하거나, 왑(WAP) 접속을 통해 해당하는 광고에 대한 모바일 페이지에 연결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5 및 6은 도 1에 도시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제공받아 형성하는 광고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
이후로, 광고정보 중 URL 정보를 제외하여 문자메시지를 형성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전달하면(S3 내지 S7), 사용자 단말장치(500)가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9).
사용자는 단말화면에 나타나는 문자메시지의 통화 안내에 따라 통화 연결을 실행하여 음성 안내부(예컨대, ARS, 300)로부터 대상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받아 안내에 따르는 서비스 설정을 실행한다(S11 내지 S17).
모바일 페이지 등을 제공받을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음성 안내부(300)는 형성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데이터 호 전환부(400)에 전달하여 호 전환을 통한 화면전환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하고(S19 및 S21), 이에 데이터 호 전환부(400)가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데이터 호 전환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전환 제어메시지(예컨대, Push SMS)을 광고 전송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전달한다(S23 및 S27).
이후로, 사용자 단말장치(500)는 수신한 화면전환 제어메시지를 통해 화면전환 제어 로직을 실행하여 데이터 호 전환부(400)에 데이터 호 연결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S29 및 S31), 이에 데이터 호 전환부(400)는 광고정보 저장부(100)에 저장된 DB를 조회하여 해당하는 URL 정보를 로딩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전달한다(S33 및 S37).
URL 정보를 전달받은 사용자 단말장치(500)는 VM(Virtual Machin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왑(WAP) 접속을 실행하여 해당하는 왑(WAP) 서버(600)에 데이터 접속함에 따라, 해당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39 내지 S45).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 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장치(900)에 대한 음성안내를 실행하지 않고 곧바로 데이터 호 전환부(910)에 사용자 단말장치(900)의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장치(900)가 수신한 광고에 대한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 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900)의 음성 호에 응답하여 연결된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전환한 데이터 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900)가 수신한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호 전환부(91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광고위탁을 받으며 설정되는 광고의 광고문구에 대한 텍스트,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전화번호,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후 사용자로부터 회신받기 위한 회신번호, 및 모바일 페이지에 연결하기 위한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저장하는 광고정보 저장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뿐 아니라,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의 SMS 센터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광고 전송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호 전환부(910)는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호 연결조건을 판별한 후, 판별한 호 연결조건이 데이터 호로 직접 전환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장치(900)가 수신하는 문자메시지에는 '데이터 호로 바로 전환된다' 또는 '데이터 요금 무료' 등과 같은 안내 문구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호 전환부(910)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호 전환부(910)는 사용자 단말장치(900)의 통화 요청으로 형성되는 음성 호에 응답하여 호 연결을 실행하기 위한 음성 호 연결모듈(911), 사용자 단말장치(900)가 통화 요청하는 데에 이용되는 회신번호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호 연결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조건판별 모듈(912), 호 연결조건이 데이터 호로의 연결인 경우,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장치(900)에 전달하는 호 전환 개시모듈(913) 및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장치(900)에 응답하여 해당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RL 전송모듈(914)을 포함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제공받아 형성하는 광고정보를 저장하고(S100), 광고정보 중 URL 정보를 제외하여 문자메시지를 형성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900)에 전달하면, 사용자 단말장치(900)가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02 내지 S108).
이후로, 사용자는 단말화면에 나타나는 문자메시지와 함께 전달되는 회신 번호를 통해 데이터 호 전환부(910)에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S110).
이에, 데이터 호 전환부(910)는 사용자 단말장치(900)와의 음성 호를 판별하여 데이터 호로의 직접 전환을 위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12),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900)에 데이터 호 전환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전환 제어메시지(예컨대, Push SMS)을 광고 전송부(8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900)에 전달한다(S114 내지 S118).
이후로, 사용자 단말장치(900)는 수신한 화면전환 제어메시지를 통해 화면전환 제어 로직을 실행하여 데이터 호 전환부(910)에 데이터 호 연결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S120 및 S122), 이에 데이터 호 전환부(910)는 광고정보 저장부(700)에 저장된 DB를 조회하여 해당하는 URL 정보를 로딩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900)에 전달한다(S124 내지 S128).
URL 정보를 전달받은 사용자 단말장치(900)는 VM(Virtual Machin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왑(WAP) 접속을 실행하여 해당하는 왑(WAP) 서버(920)에 데이터 접속함에 따라, 해당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30 내지 S136).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예컨대, SMS)를 수신하는 사용자가 회신 통화를 실행하는 것만으로 수신한 광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음성으로 안내받고, 이러한 음성 안내에 따라 광고의 대상이 되는 모바일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선택하여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해당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장치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자동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성 안내부에 포함되는 음성 안내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호 전환부에 포함되는 데이터 호 전환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일부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의 나머지 부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호 전환부의 구성도이다. 및
도 9은 도 7에 도시된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700 : 광고정보 저장부 200, 800 : 광고 전송부
300 : 음성 안내서버 310 : 통화 연결부
320 : 대상 서비스 판별부 330 : 음성 안내부
340 : 호 전환 요청부 350 : 수신거부 설정부
360 : 통계 처리부 400, 910 : 데이터 호 전환부
410 : 연동부 420 : 호 전환 개시부
430 : URL 전송부 500, 900 : 사용자 단말장치
600, 920 : 왑 서버 911 : 음성 호 연결모듈
912 : 조건판별 모듈 913 : 호 전환 개시모듈
914 : URL 전송모듈

Claims (24)

  1.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음성 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고, 상기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입력 설정에 따라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음성 안내부;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호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를 위한 텍스트,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전화번호, 상기 회신번호 및 상기 모바일 페이지에 연결하기 위한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광고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문자메시지에 대한 전송을 설정하기 위한 광고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전송부는
    상기 광고를 위한 텍스트 및 상기 회신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문자메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전송부는
    상기 전화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입력하여 상기 문자메시지의 수신대상을 지정한 후, 상기 문자메시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부는
    상기 음성 호에 포함되는 상기 회신번호를 토대로 상기 음성 안내를 위한 상기 광고를 판별하고, 상기 광고에 기 설정된 안내 멘트의 전달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부는
    상기 안내 멘트 중 상기 모바일 페이지의 제공 여부에 대한 안내에 상응하는 입력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부는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상기 모바일 페이지가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입력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호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광고정보 저장부와 연동하여 상기 URL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 호로 전환한 후 상기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음성 호에 응답하기 위한 통화 연결부;
    기 저장중인 대상 서비스 테이블을 토대로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는 대상 서비스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 서비스 판별부;
    상기 대상 서비스가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인 경우, 상기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안내부; 및
    상기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입력 설정에 따라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의 제공을 위한 호 전환을 요청하는 호 전환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음성 안내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서버는
    상기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입력 설정으로 상기 회신번호에 대한 수신거부가 있는 경우, 상기 음성 호에 포함되는 발신 번호에 대해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는 통신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수신거부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음성 안내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서버는
    상기 광고 또는 사용자별로 상기 수신거부에 대한 내역을 누적하여 통계 처리하기 위한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음성 안내서버.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부는
    상기 회신번호를 통해 상기 음성 안내를 위한 상기 광고를 판별하고, 상기 광고에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음성 안내서버.
  14.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음성 호에 응답하여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음성 안내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연동부;
    상기 광고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요청에 따라,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호 전 환 개시부; 및
    상기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RL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호 전환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URL 정보를 토대로 하는 VM(Virtual Machin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왑(WAP) 접속을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받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호 전환서버.
  16.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에 의한 통화 요청에 응답하는 통화연결 단계;
    상기 통화 요청으로 형성되는 음성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안내 단계;
    상기 음성 안내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입력 설정으로 사용자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설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호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호 전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설정정보의 형성에 따라, 상기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호 전환 개시 단계;
    상기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연결정보 조회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 호 설정 단계; 및
    상기 조회에 대한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URL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호 전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단계는
    상기 URL 정보를 토대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VM(Virtual Machin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왑(WAP) 접속에 의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되는 모바일 페이지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호 전환 방법.
  19.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를 통해 통화 요청하는 음성 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호를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호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를 위한 텍스트,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전화번호, 상기 회신번호 및 상기 모바일 페이지에 연결하기 위한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광고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문자메시지에 대한 전송을 설정하기 위한 광고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호 전환부는
    상기 음성 호에 응답하여 호 연결을 실행하기 위한 음성 호 연결모듈;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호 연결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조건판별 모듈;
    상기 호 연결조건이 상기 데이터 호로의 연결인 경우, 상기 데이터 호에 기 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상기 통화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호 전환 개시모듈; 및
    상기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환 로직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RL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3. 광고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의 회신번호에 의한 통화 요청에 응답하는 통화연결 단계;
    상기 회신번호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호 연결조건을 판별하는 조건판별 단계;
    상기 호 연결조건이 데이터 호로의 전환인 경우, 상기 통화 요청으로 형성되는 음성 호를 상기 데이터 호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호를 통해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모바일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호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단계는
    상기 데이터 호에 기반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호 전환개시 단계;
    상기 화면전환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호에 연결하기 위한 호 전 환 로직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연결정보 조회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 호 설정 단계; 및
    상기 조회에 대한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URL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80094331A 2008-09-25 2008-09-25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7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31A KR100974523B1 (ko) 2008-09-25 2008-09-25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31A KR100974523B1 (ko) 2008-09-25 2008-09-25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074A true KR20100046074A (ko) 2010-05-06
KR100974523B1 KR100974523B1 (ko) 2010-08-10

Family

ID=4227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331A KR100974523B1 (ko) 2008-09-25 2008-09-25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04B1 (ko) * 2010-05-20 2012-01-12 인크로스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629A (ko) * 2000-10-11 2002-04-17 김경선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쇼핑 방법
KR20040024344A (ko) * 2002-09-13 2004-03-20 한경구 기획된 전화번호를 이용한 피피엘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62071A (ko) * 2002-12-31 2004-07-07 황후 모바일 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04B1 (ko) * 2010-05-20 2012-01-12 인크로스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523B1 (ko) 201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197B1 (ko) 수신 메시지 도착 알림 시 유휴 공간 내의 광고 표현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65683A (ko) 네트웍을 통해 광고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560439B1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KR20030031938A (ko) 이동 단말의 바탕 화면을 통한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4523B1 (ko) 호 전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609B1 (ko) 통화 상담 중 화면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0351679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가입자에게 과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21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 넘버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41921A (ko) 휴대폰을 이용한 택시호출시스템
KR20160016227A (ko) 통화연결 중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0748001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쉬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정보서비스방법
KR100678174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fota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3985A (ko)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801137B1 (ko) 쌍방향 방송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2001283093A (ja) メール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課金システム
KR101022372B1 (ko) 문자 기반의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N102486859A (zh) 一种智能信息交互系统和方法
RU2007107478A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рекламных сообщений рекламодателей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с учетом параметров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0861235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선물 시스템 및 방법
KR100878804B1 (ko)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223260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719522B1 (ko) 서비스 안내메시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0446A (ko)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단말기의 호처리 대기시간을 이용한광고방법
KR101104104B1 (ko)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