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427B1 - 마그네틱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427B1
KR101103427B1 KR1020110051329A KR20110051329A KR101103427B1 KR 101103427 B1 KR101103427 B1 KR 101103427B1 KR 1020110051329 A KR1020110051329 A KR 1020110051329A KR 20110051329 A KR20110051329 A KR 20110051329A KR 101103427 B1 KR101103427 B1 KR 10110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agnetic
belt portion
outer belt
inn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소라
Original Assignee
최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소라 filed Critical 최소라
Priority to KR102011005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427B1/ko
Priority to PCT/KR2012/003587 priority patent/WO201216576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18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3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 B03C1/2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 B03C1/247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obtained by a rotating magnetic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free fal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써, 비자성체인 외측벨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러부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기 롤러부가 발생시키는 자력의 영향을 받아 자성을 띄는 내측벨트부를 통해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벽체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에 각각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적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벽체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의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을 자주 비워줘야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컨베이어{MAGNETIC CONVEYER}
본 발명은 비자성체인 외측벨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러부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기 롤러부가 발생시키는 자력의 영향을 받아 자성을 띄는 내측벨트부를 통해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벽체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에 각각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적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벽체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의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을 자주 비워줘야할 필요가 없는 마그네틱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폐기물 등을 포함한 불순물을 각각 비자성체불순물과 자성체불순물로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베이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롤러(101)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타측롤러(102)로 구성되는 롤러부(100)와; 상기 롤러부(10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고무 등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벨트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롤러(101) 또는 상기 타측롤러(102)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200)의 타측 하부면 하부방향에는 지면에 수직고정되는 벽체(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미도시)가 상기 롤러부(100) 중 상기 일측롤러(101) 또는 상기 타측롤러(10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벨트부(200)는 상기 롤러부(100)를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벨트부(200)의 상부면에 안착된 불순물(5)은 상기 일측롤러(101)에서 상기 타측롤러(102)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타측롤러(102) 방향으로 이송된 불순물(5) 중 비자성체불순물(51)은 상기 벽체(300)의 타측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타측롤러(102) 방향으로 이송된 불순물(5) 중 자성체불순물(52)은 상기 타측롤러(102)가 발생시키는 자력에 의해 상기 벨트부(200)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벽체(300)의 일측방향으로 이송된다.
자성체불순물(52)이 상기 벽체(300)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롤러(101) 방향으로 이송될수록 상기 자성체불순물(52)에 미치는 상기 타측롤러(102)의 자력의 세기가 점차 약해지고, 이로 인해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은 상기 벽체(300)의 일측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벽체(300)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에 각각 상기 자성체불순물(52)과 상기 비자성체불순물(51)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적재됨으로 상기 벽체(300)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에 각각 적재된 상기 자성체불순물(52)과 비자성체불순물(51)을 자주 비워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비자성체인 외측벨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러부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기 롤러부가 발생시키는 자력의 영향을 받아 자성을 띄는 내측벨트부를 통해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벽체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에 각각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적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벽체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의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을 자주 비워줘야할 필요가 없는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측벨트부와; 상기 외측벨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내측벨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벨트부는 철, 코발트, 니켈을 포함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는 일측롤러와; 자력을 발생시키는 타측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측롤러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롤러부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일측롤러와; 자력을 발생시키는 타측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롤러와 타측롤러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롤러와 타측롤러의 외주면 중심부에 환형홈이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고, 상기 내측벨트부는 상기 일측롤러와 타측롤러의 상기 환형홈내에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측벨트부와 상기 내측벨트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격공간의 상하간격은 상기 타측롤러에서 상기 일측롤러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 중심부와 상기 내측벨트부의 하부 중심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측벨트부의 중심부 내측에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회전축은 상기 내측벨트부의 하부 중심부 일측과 접하는 일측회전축과; 상기 내측벨트부의 하부 중심부 타측과 접하는 타측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회전축은 상기 내측벨트부의 하부 중심부 일측 상부면과 접하는 제 1일측회전축과; 상기 내측벨트부의 하부 중심부 일측 하부면과 접하는 제 2일측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회전축은 상기 내측벨트부의 하부 중심부 타측 하부면과 접하는 제 1타측회전축과; 상기 내측벨트부의 하부 중심부 타측 상부면과 접하는 제 2타측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에 스크래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래치부는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크래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에 상기 스크래치판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에 상기 스크래치판을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스크래치판을 좌우이동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크래치부는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측방향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면과 접하는 스크래치판과; 상기 롤러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성체불순물을 세척하는 세척브러쉬와;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브러쉬에 의해 세척된 상기 자성체불순물을 상기 외측벨트부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비자성체인 외측벨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러부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기 롤러부가 발생시키는 자력의 영향을 받아 자성을 띄는 내측벨트부를 통해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외측벨트부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벽체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에 각각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적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벽체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의 자성체불순물과 비자성체불순물을 자주 비워줘야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비자성체불순물과 자성체불순물이 분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측롤러와 타측롤러에 내측벨트부가 감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외측벨트부의 하부에 스크래치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스크래치판을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회전축, 스크래치판 및 회전력전달부재로 구성되는 스크래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비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세척브러쉬와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비자성체불순물과 자성체불순물이 분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에 내측벨트부(30)가 감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마그네틱 컨베이어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롤러부(10), 외측벨트부(20) 및 내측벨트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롤러부(10)를 자력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벨트부(20)는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상기 외측벨트부(20)는 고무 등을 포함한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벨트부(30)는 상기 외측벨트부(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상기 내측벨트부(30)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롤러부(10)의 자력을 전달받아 자성을 띄는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자성범위를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내측벨트부(30)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을 포함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부(10)는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는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 전측과 후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지지판(140)의 일단부 내측과 타단부 내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140)은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의 전측에 수직구비되는 전측지지판(141)과;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의 후측에 수직구비되는 후측지지판(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롤러(110)의 전측은 상기 전측지지판(141)의 일단부 내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롤러(110)의 후측은 상기 후측지지판(142)의 일단부 내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롤러(120)의 전측은 상기 전측지지판(141)의 타단부 내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롤러(120)의 후측은 상기 후측지지판(142)의 타단부 내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롤러(110)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롤러(12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일측롤러(110) 또는 타측롤러(120)는 구동모터와 축결합될 수 있고,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일측롤러(110) 또는 타측롤러(120)는 정역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마그네틱 컨베이어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롤러부(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일측롤러(110)와; 자력을 발생시키는 타측롤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의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는 각각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2실시예에 있어,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의 외주면 중심부에는 환형홈(130)이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수직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벨트부(30)는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의 상기 환형홈(130)내에 감겨질 수 있다.
한편, 제 1실시예에 있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벨트부(20)와 상기 내측벨트부(30) 사이에는 이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하부방향에는 지면(3)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는 벽체(300)가 구비될 수 있다.(도 15 참조.)
상기 벽체(300)는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중심부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일측벽체(301)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타측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타측벽체(302);로 구성될 수 있다.(도 15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상부면에 산업폐기물 등을 포함한 불순물(도 15의 5)이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일측롤러(110) 또는 타측롤러(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외측벨트부(20)와 내측벨트부(30) 또한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불순물(5)을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도 15 참조.)
이때,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타측방향으로 이송된 불순물(5) 중 비자성체불순물(도 15의 51)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벽체(300)의 상기 타측벽체(302)의 타측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타측방향으로 이송된 불순물(5) 중 자성체불순물(도 15의 52)은 상기 타측롤러(120)로부터 자력을 전달받아 자성을 띄는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자성의 영향을 받아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내측벨트부(30)가 띄는 자성의 크기는 상기 타측롤러(120)와의 거리차에 따라 변화된다.
즉,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타측은 상기 타측롤러(120)와 가깝기 때문에 상기 일측롤러(110)에서 타측롤러(12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자성의 크기는 점차 커지게 되고,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일측은 상기 타측롤러(120)와 멀기 때문에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자성의 크기는 점차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자성의 세기가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은 상기 일측벽체(301)와 상기 타측벽체(302) 사이 및 일측벽체(301)의 일측 방향으로 각각 낙하하게 되며,
상기 일측벽체(301)와 상기 타측벽체(302) 사이로 낙하한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의 무게는 상기 일측벽체(301)의 일측방향으로 낙하한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의 무게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겁다.
특히, 상기 외측벨트부(20)와 상기 내측벨트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s1)으로 인해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벨트부(30)가 자성체불순물(52)에 미치는 자성의 세기가 보다 더욱 큰 폭으로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일측에 부착된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이 상기 일측벽체(301)와 상기 타측벽체(302) 사이 및 상기 일측벽체(301)의 일측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 1실시예에 있어, 상기 이격공간(s1)의 상하간격(d)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일측롤러(110)의 환형홈(130)의 상하깊이(h1)는 상기 타측롤러(120)의 환형홈(130)의 상하깊이(h2)보다 더 깊을 수 있다.
상기 일측롤러(110)의 환형홈(130)의 상하깊이(h1)가 상기 타측롤러(120)의 환형홈(130)의 상하깊이(h2)보다 더 깊을 경우,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상부면은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경사지게 되고,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면은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경사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외측벨트부(20)와 상기 내측벨트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s1)의 상하간격(d)은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된다.
상기 외측벨트부(20)와 상기 내측벨트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s1)의 상하간격(d)이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벨트부(30)가 자성체불순물(52)에 미치는 자성의 세기가 보다 더더욱 큰 폭으로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일측에 부착된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이 상기 일측벽체(301)와 상기 타측벽체(302) 사이 및 상기 일측벽체(301)의 일측 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 2실시예에 있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중심부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면 중심부 사이에는 이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140)의 중심부 내측 하부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중심부 내측에 상기 이격공간(s2)을 형성하기 위한 회전축(40)이 축결합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0)은 일측회전축(410)과 타측회전축(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축(410)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일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축(420)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축(410)은 제 1일측회전축(411)과 제 2일측회전축(4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회전축(411)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일측 상부면(u1)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회전축(420)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일측 하부면(l1)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축(420)은 제 1타측회전축(421)과 제 2타측회전축(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회전축(421)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타측 하부면(l2)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회전축(422)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타측 상부면(u2)과 접할 수 있다.
한편, 지면(3)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 상기 벽체(300)는 상기 타측회전축(420)과 상기 타측롤러(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타측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도 16 참조.)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중심부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면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s2)으로 인해 특히,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중심부가 자성체불순물(52)에 미치는 자성의 세기가 보다 큰 폭으로 작아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일측롤러(110)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이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중심부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벽체(300)의 일측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스크래치부(5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판(140)의 일단부 내측 하부에는 스크래치부(50)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치부(50)는 상기 지지판(140)의 일단부 내측하부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되는 스크래치판(5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래치판(5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스크래치부(50)의 상단부는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일측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치부(50)로 인해 상기 벽체(300)의 일측방향으로 낙하하지 못한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일측에 부착된 상태인 일부 자성체불순물(52)이 상기 벽체(300)의 일측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스크래치판(510)을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는 상기 스크래치판(510)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일측하부에는 상기 스크래치판(510)을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60)는 상기 스크래치판(510)을 좌우이동시키는 실린더(6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610)는 상기 지지판(140)의 후측지지판(142)의 일단부 하측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610)의 로드(611)에는 상기 스크래치판(510)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610)의 로드(611)의 길이가 좌우로 신장될 시 상기 스크래치판(510)은 좌우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크래치판(510)의 위치가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회전축(520), 스크래치판(530) 및 회전력전달부재(540)로 구성되는 스크래치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래치부(50)는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축(520), 스크래치판(530) 및 회전력전달부재(5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20)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일측 하부방향에 구비되도록 상기 지지판(140)의 일단부 내측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치판(530)은 상기 회전축(52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회전축(520)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20)을 따라 정역회전하는 상기 스크래치판(530)의 상단부는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540)는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상기 일측롤러(110) 또는 상기 타측롤러(120)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회전축(52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회전력전달부재(540)가 상기 일측롤러(110)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회전축(520)으로 전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540)는 상측풀리(541) 또는 상측스프로켓(미도시), 하측풀리(542) 또는 하측스프로켓(미도시) 및 벨트(543) 또는 체인(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풀리(541) 또는 상측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일측롤러(110)의 축(111)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풀리(542) 또는 하측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회전축(520)의 축(521)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543) 또는 체인(미도시) 중 상기 벨트(543)는 상기 상측풀리(541)의 외주면 및 상기 하측풀리(542)의 외주면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체인(미도시)은 상기 상측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면 및 상기 하측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면에 감겨질 수 있다.
도 13은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비드(52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세척브러쉬(70)와 공급부(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다음으로, 제 2실시예에 있어,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성체불순물(52)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브러쉬(70)와; 상기 세척브러쉬(70)에 의해 세척된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을 상기 외측벨트부(20)로 공급하는 공급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브러쉬(70)는 상기 자성체불순불(52) 중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구형상의 비드(522)를 세척할 수도 있다.
상기 비드(522)는 코어부(522a)와 보호층(5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522a)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을 포함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522b)은 상기 코어부(522a)의 외주면에 일정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522b)은 강화유리재질, 플라스틱 재질,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척브러쉬(70)는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중심부 내측에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s2)의 타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판(140)의 내측에 축결합된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세척브러쉬(70)는 상기 세척브러쉬(70)와 축결합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타측에 부착된 상기 자성체불순물(52)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구형상의 상기 비드(522)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브러쉬(70)가 상기 자성체불순물(52)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구형상의 상기 비드(522)를 보다 더욱 높은효율로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브러쉬(7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분사부(100)는 세척수저장탱크(101), 분사관(102), 펌프(103) 및 분사노즐(10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저장탱크(101)내에는 상기 세척브러쉬(70)로 분사될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세척수가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102)의 타측은 상기 세척수저장탱크(101)의 일측면 하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102)의 일측은 후술할 경사판(810)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펌프(103)는 상기 분사관(102)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저장탱크(101)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관(102)내로 펌핑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04)은 상기 분사관(10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관(102)내로 상기 펌프(103)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브러쉬(70)로 스프레이식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80)는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일측 하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브러쉬(70)에 의해 세척된 상기 자성체불순물(52)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구형상의 상기 비드(522)를 상기 외측벨트부(2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80)는 경사판(810), 회전축(820) 및 공급판(8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판(810)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판(140)의 내측에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810)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질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불순물(51)은 상기 타측롤러(120)의 하부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된다.
반면, 자성체불순물(52)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구형상의 상기 비드(522)는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자성에 의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일측롤러(110)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상기 이격공간(s2)으로 인해 상기 경사판(810)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810)의 일측에는 상기 경사판(810)으로 낙하한 자성체불순물(52)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구형상의 상기 비드(522)가 상기 경사판(810)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811)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판(811)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경사판(810)의 표면에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공(8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820)은 상기 경사판(810)의 일측 상부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일측 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판(140)의 일단부 내측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820)은 상기 회전축(820)과 축결합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공급판(830)은 상기 회전축(82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회전축(820)을 따라 정역회전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판(830)은 정역회전하여 상기 경사판(810)으로 낙하하여 상기 경사판(810)의 일측으로 이동된 세척된 자성체불순물(52)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구형상의 상기 비드(522)를 퍼서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일측하부로 공급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일측롤러(110)의 자력에 의해 세척된 자성체불순물(52)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구형상의 상기 비드(522)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일측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세척된 자성체불순물(52) 특히, 애완동물 배설유도용 모래로 사용될 수 있는 구형상의 상기 비드(522)는 상기 외측벨트부(20)를 따라 순환이동되어 2회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재차 세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실시예에 있어,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상측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상부에 안착된 불순물(5)에 미치는 자성의 세기가 큰 폭으로 작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상부면과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사이에 이격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s3)의 형성을 위해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상부면과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판(140)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축(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90)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상부면 일측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상부면 일측과 접하는 일측회전축(910)과;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상부면 타측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상기 내측벨트부(30)의 상부면 타측과 접하는 타측회전축(9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비자성체불순물(51)과 자성체불순물(52)이 분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자성체인 상기 외측벨트부(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기 롤러부(10)가 발생시키는 자력의 영향을 받아 자성을 띄는 상기 내측벨트부(30)를 통해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성체불순물(52)과 비자성체불순물(51)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상기 벽체(300)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에 각각 자성체불순물(52)과 비자성체불순물(51)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적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벽체(300)의 일측면 주변과 타측면 주변의 자성체불순물(52)과 비자성체불순물(51)을 자주 비워줘야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10; 롤러부, 20; 외측벨트부,
30; 내측벨트부.

Claims (19)

  1. 자력을 발생시키는 롤러부(10)와;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측벨트부(20)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내측벨트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부(10)는 일측롤러(110)와; 자력을 발생시키는 타측롤러(120);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벨트부(20)와 상기 내측벨트부(30) 사이에 이격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s1)의 상하간격은 상기 타측롤러(120)에서 상기 일측롤러(110)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벨트부(30)는 철, 코발트, 니켈을 포함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롤러(120)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마그네틱 컨베이어.
  4. 자력을 발생시키는 롤러부(10)와;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측벨트부(20)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내측벨트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부(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일측롤러(110)와; 자력을 발생시키는 타측롤러(120);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성체불순물(52)을 세척하는 세척브러쉬(70)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브러쉬(70)에 의해 세척된 상기 자성체불순물(52)을 상기 외측벨트부(20)로 공급하는 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의 외주면 중심부에 환형홈(130)이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고,
    상기 내측벨트부(30)는 상기 일측롤러(110)와 타측롤러(120)의 상기 환형홈(130)내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 중심부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사이에 이격공간(s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벨트부(20)의 중심부 내측에 상기 이격공간(s2)을 형성하기 위한 회전축(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일측과 접하는 일측회전축(410)과;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타측과 접하는 타측회전축(4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회전축(410)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일측 상부면과 접하는 제 1일측회전축(411)과;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일측 하부면과 접하는 제 2일측회전축(4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회전축(420)은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타측 하부면과 접하는 제 1타측회전축(421)과;
    상기 내측벨트부(30)의 하부 중심부 타측 상부면과 접하는 제 2타측회전축(4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10. 자력을 발생시키는 롤러부(10)와;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측벨트부(20)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내측벨트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스크래치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래치부(50)는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크래치판(5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상기 스크래치판(510)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상기 스크래치판(510)을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60)는 상기 스크래치판(510)을 좌우이동시키는 실린더(6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13. 자력을 발생시키는 롤러부(10)와;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측벨트부(20)와;
    상기 외측벨트부(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부(1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내측벨트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에 스크래치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래치부(50)는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측방향에 구비되는 회전축(520)과;
    상기 회전축(52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외측벨트부(20)의 하부면과 접하는 스크래치판(530)과;
    상기 롤러부(1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520)으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5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10051329A 2011-05-30 2011-05-30 마그네틱 컨베이어 KR10110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29A KR101103427B1 (ko) 2011-05-30 2011-05-30 마그네틱 컨베이어
PCT/KR2012/003587 WO2012165769A2 (ko) 2011-05-30 2012-05-08 마그네틱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29A KR101103427B1 (ko) 2011-05-30 2011-05-30 마그네틱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427B1 true KR101103427B1 (ko) 2012-01-09

Family

ID=4561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329A KR101103427B1 (ko) 2011-05-30 2011-05-30 마그네틱 컨베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3427B1 (ko)
WO (1) WO2012165769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8642A1 (en) * 2013-09-30 2015-04-02 Laitram, L.L.C. Magnetic conveyor belt module
KR101627339B1 (ko) 2015-07-15 2016-06-07 (주)대봉기연 자력 및 진공을 이용한 흡착 이송 장치
CN106276248A (zh) * 2016-08-09 2017-01-04 宿州市威菱耐火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耐火材料传送设备
US10138065B2 (en) 2013-09-30 2018-11-27 Laitram, L.L.C. Magnetic conveyor belt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1314B1 (en) * 2016-02-01 2022-07-27 Laitram, LLC Magnetic conveyor belt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0475A (en) * 1975-04-16 1976-10-21 Nec Corp Apparatus for separating a magnetic suspended matter
JPS57151511A (en) 1981-03-16 1982-09-18 Mitsubishi Seikou Jizai Kk Sloping conveyer of ferromagnetic material
JPS57180442A (en) 1981-04-28 1982-11-06 Mitsubishi Seikou Jizai Kk Belt type magnetic separator having high magnetic force and high magnetism gradient
KR19990083255A (ko) * 1998-04-24 1999-11-25 월포드 크래그 고자력고온자석을사용한자력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25B2 (ja) * 1993-11-18 1996-01-31 三晃技研株式会社 廃棄物分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0475A (en) * 1975-04-16 1976-10-21 Nec Corp Apparatus for separating a magnetic suspended matter
JPS57151511A (en) 1981-03-16 1982-09-18 Mitsubishi Seikou Jizai Kk Sloping conveyer of ferromagnetic material
JPS57180442A (en) 1981-04-28 1982-11-06 Mitsubishi Seikou Jizai Kk Belt type magnetic separator having high magnetic force and high magnetism gradient
KR19990083255A (ko) * 1998-04-24 1999-11-25 월포드 크래그 고자력고온자석을사용한자력분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8642A1 (en) * 2013-09-30 2015-04-02 Laitram, L.L.C. Magnetic conveyor belt module
US9764901B2 (en) 2013-09-30 2017-09-19 Laitram, L.L.C. Magnetic conveyor belt module
US10138065B2 (en) 2013-09-30 2018-11-27 Laitram, L.L.C. Magnetic conveyor belt module
KR101627339B1 (ko) 2015-07-15 2016-06-07 (주)대봉기연 자력 및 진공을 이용한 흡착 이송 장치
CN106276248A (zh) * 2016-08-09 2017-01-04 宿州市威菱耐火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耐火材料传送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5769A3 (ko) 2013-03-28
WO2012165769A2 (ko)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427B1 (ko) 마그네틱 컨베이어
CN109747275B (zh) 一种喷码设备
CN105752660A (zh) 一种磁性零件整理输送机
CN203897231U (zh) 一种滚筒式清洗机
KR101699285B1 (ko) 이중 브러쉬 농산물 세척기
JP2007138285A (ja) 連続式部品処理装置
KR20130081597A (ko) 고추 세척장치
CN206464963U (zh) 磁力研磨抛光机
CN204888676U (zh) 一种具有自动夹持和卸料清洗功能的装置
CN209302939U (zh) 一种新型叶轮洗砂机
KR20150101654A (ko) 철분 회수 장치
CN203884643U (zh) 用于榨菜深度除杂装置
CN216368313U (zh) 一种噪声小的冲击式破碎机
CN204191537U (zh) 一种清洗抛光设备
KR20190029152A (ko) 건식 자갈세척장치
CN110370508A (zh) 一种橡胶和塑料颗粒的分区多腔室连续式双螺旋裂解设备
CN108069199A (zh) 一种轴承滚动体清洗出料装置
CN210646807U (zh) Abs塑料回收清洗再生产用磁选装置
CN219092344U (zh) 一种具有自清理功能的磁选机
TWI620637B (zh) Washing machine structure
CN210790594U (zh) 自动喷砂机
CN210552378U (zh) 一种塑料颗粒生产连续除铁装置
CN109201304A (zh) 一种新型叶轮洗砂机
CN214419416U (zh) 一种具有金属异物检测功能的食品包装盒生产用注塑机
CN212711429U (zh) 一种可集中传送的煤矿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