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371B1 -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371B1
KR101103371B1 KR1020110070290A KR20110070290A KR101103371B1 KR 101103371 B1 KR101103371 B1 KR 101103371B1 KR 1020110070290 A KR1020110070290 A KR 1020110070290A KR 20110070290 A KR20110070290 A KR 20110070290A KR 101103371 B1 KR101103371 B1 KR 10110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ear
driving
railway vehicl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엽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1007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출입문과 철도차량의 틈 사이로 눈이 들어가 발생될 수 있는 출입문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는 철도차량 출입문과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이 개방 시 수용되는 철도차량의 수용부의 틈 사이로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로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 사이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종동기어가 결합된 롤 브러시, 및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접촉되어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개방 또는 폐쇄시 상기 제1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a apparatus to prevent snow damage of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 출입문과 철도차량의 틈 사이로 눈이 들어가 발생될 수 있는 출입문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 출입문은 승객이 용이하게 내리고 탈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폐된다.
대표적으로 철도차량 중 전동차의 철도차량 출입문에 경우, 중앙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 쌍의 철도차량 출입문이 설치되고, 이 철도차량 출입문에 연결되어 있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가 각 철도차량 출입문을 밀거나 당기는 형태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철도차량 출입문을 가지는 철도차량은 출입구의 개방 시 철도차량 출입문이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데, 겨울 특히, 눈이 내릴 때에는 주행 중 눈이 철도차량 출입문과 철도차량의 사이의 틈으로 통해 수용부로 유입되거나 철도차량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철도차량 출입문에 쌓인 눈이 수용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수용부로 유입된 눈은 쉽게 녹지 않고 철도차량의 주행 중 온도가 낮아져 얼게 되고, 이로 인해 철도차량 출입문이 개방 또는 폐쇄 시 눈이 얼은 얼음으로 인해 철도차량 출입문이 개방 또는 폐쇄되지 못하는 출입문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수용부의 사이로 들어온 눈을 녹을 수 있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0-11786호(공개일자 2010.11.4)' 전동차 도어용 설해 방지장치가 개시되었다.
종래의 전도차 도어용 설해방지장치는 도어가 수납되는 도어포켓에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부에 열을 전도시키는 제1 전도발열부와, 제1 전도발열부의 열을 도어레일로 전달하는 제2 전도발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차 도어용 설해방지장치는 전기에 의해 발생된는 열로 도어포켓으로 유입되는 눈을 녹임으로써, 도어포켓으로 눈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출입문 고장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전동차 도어용 설해방지장치는 제1 전도발열부에 열선이 삽입되어 전기에 의해 제1 전도발열부가 가열되기 때문에 전동차 도어용 설해방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기 공급장치를 설치해야하고, 전기를 소모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포켓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는 외부로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출입문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철도차량 출입문과 수용부의 사이로 눈이 유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출입문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철도차량 출입문에 끼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기존의 철도차량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의 사용을 배제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는 철도차량 출입문과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이 개방 시 수용되는 철도차량의 수용부의 틈 사이로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로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 사이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종동기어가 결합된 롤 브러시, 및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접촉되어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개방 또는 폐쇄시 상기 제1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종동기어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구동기어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제2 구동기어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접촉되어 상기 제2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구동롤러, 상기 제2 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2 구동기구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기어, 및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2 구동롤러를 고정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종동기어에는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시 제1 구동기어 또는 상기 방향전환기어에 맞물려 상기 롤 브러시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제2 구동롤러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와 맞물리는 랙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를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의 외면에는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주행 시에는 롤 브러시가 철도차량 출입문과 수용부의 사이를 밀폐하여 철도차량 출입문과 수용부의 사이 틈으로 눈이 들어가 발생할 수 있는 출입문 고장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 브러시가 회전하여 철도차량 출입문에 눈을 제거함으로써, 철도차량 출입문에 쌓인 눈이 수용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출입문과 수용부의 틈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철도차량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의 사용을 배제하여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가 철도차량에 설치된 상태의 철도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의 개략적인 단면으로서,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철도차량 출입문이 개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철도차량 출입문이 폐쇄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제1 구동롤러 및 제2 구동롤러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철도차량 출입문(210)은 양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입구(250)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전동차의 출입문을 의미하지만, 전동차의 출입문과 같이 양개형 슬라이딩 형태의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설치되는 모든 철도차량(2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철도차량 출입문(210)은 철도차량(200)에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시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수용되는 수용부(230)가 구비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도차량 출입문(210) 설해방지장치(100)는 철도차량 출입문(210)과 수용부(230)의 틈(220) 사이로 눈이 들어가 얾으로써,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개방 또는 폐쇄되지 않는 출입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철도차량 출입문(210) 설해방지장치(100)는 눈이 수용부(2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출입문(210)과 수용부(230)의 틈(220) 사이로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또는 폐쇄되지 않는 출입문 고장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설해방지장치(100)는 롤 브러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롤 브러시(110)는 수용부(230)와 철도차량 출입문(210) 사이의 틈(220)을 밀폐하여 그 사이로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 브러시(110)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개방 또는 폐쇄 시 회전하여 철도차량 출입문(210)을 쓸어내 듯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부착된 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롤 브러시(110)는 종동기어(115), 회전축(111), 브러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11)은 막대형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브러시부(113)는 짐승의 털, 합성수지, 가는 철사 등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방사상 및 상하로 배치되어 마치 회전축(111)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막대 형상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시부(113)는 롤 브러시(110)의 회전 시 철도차량(200)에 붙은 이물질을 쓸어 내리거나 올리도록 짐승의 털, 합성수지, 가는 철사 등이 회전축(111)의 상하 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꼬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종동기어(115)는 회전축(111)에 결합되어 종동기어(115)의 회전 시 롤 브러시(110) 전체가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종동기어(115)는 공지된 평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종동기어(115)는 회전축(111)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전축(111)의 상단 및 하단 그리고, 회전축(111)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과 같이 종동기어(115)는 다양한 위치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롤 브러시(110)는 철도차량 출입문(210)과 수용부(230)의 틈(220) 더 구체적으로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외측면과,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수용부(230)의 끝단 부분의 사이에 수직한 상태로 철도차량(200)에 설치됨으로써, 철도차량 출입문(210)과 수용부(230)의 틈(220) 사이를 밀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설해방지장치(100)는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부(130)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또는 폐쇄시 롤 브러시(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부(130)는 제1 구동롤러(131)와 제1 구동기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구동롤러(131)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철도차량(2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기어(132)는 제1 구동롤러(131)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제1 구동롤러(131)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1 구동롤러(13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롤러(131)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1 구동롤러(131)에 결합된 제1 구동기어(132)가 롤 브러시(110)의 종동기어(115)와 맞물리는 철도차량(200)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롤러(131)의 외면에는 마찰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마찰층은 철도차량 출입문(210)과 제1 구동롤러(131)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또는 폐쇄시 제1 구동롤러(13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마찰층은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우레탄 등과 같은 철도차량 출입문(210)과 마찰력이 큰 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구동롤러(131)의 제1 구동기어(132)가 롤 브러시(110)의 종동기어(115)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면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개폐시 제1 구동롤러(131)가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1 구동롤러(131)에 결합된 제1 구동기어(132)가 함께 회전하여 종동기어(115)를 회전시킴으로써, 롤 브러시(110)를 회전시켜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 낼 수 있다.
즉,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눈이 쌓인 상태로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수용부(230)의 내부로 눈이 유입되어 수용부(230)에서 눈이 떨어져 얼 수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개방되어 수용부(230)에 수용되기 전 롤 브러시(110)가 회전하여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붙은 눈을 털어냄으로써, 눈에 의한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30)는 제2 구동롤러(135), 제2 구동기어(136), 방향전환기어(137) 및 연결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롤러(135)는 제1 구동롤러(131)와 마찬가지로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밀착되어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또는 폐쇄시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 구동롤러(135)는 제1 구동롤러(131)와 마찬가지로 롤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구동롤러(135)는 롤 브러시(110)에 구비된 종동기어(115)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 구동롤러(131)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2 구동롤러(135)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동롤러(135)의 외면에는 마찰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마찰층은 제1 구동롤러(131)에 구비되는 마찰층과 동일하게 철도차량 출입문(210)과 제1 구동롤러(131)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또는 폐쇄시 제1 구동롤러(13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기어(136)는 제2 구동롤러(135)와 함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 구동롤러(135)에 결합되고, 제2 구동기어(136)는 공지된 평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기어(137)는 제2 구동기어(136)와 종동기어(115)의 사이에 서로 맞물려 종동기어(115)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구동기어(136)가 종동기어(115)와 직접연결되면 제2 구동기어(136)의 회전시 종동기어(115)가 제2 구동기어(136)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제2 구동기어(136)와 종동기어(115)의 사이에 방향전환기어(137)가 설치됨으로써, 제2 구동기어(136)의 회전시 방향전환기어(137)를 통해 종동기어(115)가 제2 구동기어(136)의 회전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방향전환기어(137)도 제2 구동기어(136)와 마찬가지로 평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대(150)는 제1 구동롤러(131)와 제2 구동롤러(135)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 구동롤러(131)와 제2 구동롤러(135)를 고정시키며, 연결대(150)는 한 쌍이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의 양측단에 위치되는 형태로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롤러(131)에 결합되는 제1 구동기어(132)와 제2 구동롤러(135)에 결합되는 제2 구동기어(136)는 한 쌍의 연결대(150)의 외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제1 구동기어(132)와 제2 구동기어(136)의 사이에 위치되는 종동기어(115)와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연결대(150)의 중앙부분에는 롤 브러시(110)의 회전축(111)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가이드공(153)이 장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가이드공(153)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장공형상의 슬라이딩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공(151)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55)가 관통하여 철도차량(200)에 체결됨으로써, 구동부(130)를 철도차량(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대(150)는 장공형상의 슬라이딩공(151)에 체결부재(155)가 관통되는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철도차량(200)의 좌,우 더 구체적으로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30)는 탄성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부재(170)는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 각각을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밀착되도록 연결대(150)에서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를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170)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스프링의 일단은 연결대(150)에 지지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제1 구동롤러(131)의 축 또는 제2 구동롤러(135)의 축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연결대(150)에서 제1 구동롤러(131) 및 제 구동롤러가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밀착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롤 브러시(110)에 종동기어(115)가 복수 개가 구비된 경우, 각각의 종동기어(115)가 위치되는 부분에 각각의 구동부(130)가 구비되어 복수의 종동기어(115)를 각각의 구동부(130)가 구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는 외면이 톱니 형상 예컨대,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가 접촉되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를 기어형상으로 형성하고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개방 또는 폐쇄 시 랙기어에 의해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 출입문(210)에서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의 미끄러짐 없이 정확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210) 설해방지장치(100)는 롤 브러시(110)의 회전축(111)의 상단 부분에 종동기어(115)가 구비되며, 롤 브러시(110)의 회전축(111)의 양단은 철도차량(20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롤 브러시(110)의 종동기어(115)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구동부(130)가 설치되는데, 구동부(130)는 연결대(150)의 슬라이딩공(151)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55)에 의해 철도차량(20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고, 연결대(150)의 가이드공(153)에는 회전축(111)의 상단부분이 관통하여 철도차량(20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된다.
이때, 구동부(130)의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는 롤 브러시(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되어 연결대(150)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70)에 의해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연결대(150)의 하부에는 종동기어(115)를 중심으로 종동기어(115)의 일측에는 제1 구동롤러(131)에 결합된 제1 구동기어(132)가 위치되고, 타측에는 제2 구동롤러(135)에 결합된 제2 구동기어(136)가 방향전환기와 맞물린 상태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철도차량 출입문(210) 설해방지장치(100)는 철도차량(200)이 주행할 때에는 롤 브러시(110)가 수용부(230)와 철도차량(200)의 출입문 사이를 밀폐하기 때문에 눈이 바람에 휩쓸려 수용부(230)와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틈(22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시에는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가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최초 구동부(130)의 전체가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부(130)가 이동하여 제1 구동기어(132)가 롤 브러시(110)의 종동기어(115)에 맞물리게 되면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개방되면서, 제1 구동롤러(131)를 회전시켜 제1 구동기어(132)에 맞물린 종동기어(115)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롤 브러시(1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종동기어(115)를 중심으로 제1 구동기어(132)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개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롤 브러시(110)가 회전 시 수용부(230)의 내부가 아닌 수용부(230)가 위치되는 반대방향 즉, 철도차량(200)의 출입구(25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눈을 털어내도록 회전한다.
그리고,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완전히 개방되어 작동을 멈추면 제1 구동롤러(131)도 더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롤 브러시(110)의 회전이 정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폐쇄 시에는 제1 구동롤러(131) 및 제2 구동롤러(135)가 철도차량 출입문(210)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최초 구동부(130)의 전체가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부(130)가 이동하여 제2 구동기어(136)에 맞물린 방향전환기어(137)가 롤 브러시(110)의 종동기어(115)에 맞물리게 되면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폐쇄되면서, 제2 구동롤러(135)를 회전시켜 제2 구동기어(136)에 맞물린 방향전환기어(137)를 회전시키고, 방향전환기어(137)는 종동기어(115)를 회전시켜 롤 브러시(110)클 회전시킨다.
이때, 종동기어(115)를 중심으로 제1 구동기어(132)의 반대방향 즉, 제2 구동기어(136)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개방되는 방향에 위치되고, 제2 구동기어(136)와 종동기어(115)의 사이에는 방향전환기어(137)가 맞물림으로써, 롤 브러시(110)가 회전 시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개방 시와 마찬가지로 수용부(230)의 내부가 아닌 수용부(230)가 위치되는 반대방향, 즉, 철도차량(200)의 출입구(25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눈을 털어내도록 회전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210) 설해방지장치(100)는 한 쌍의 철도차량 출입문(210) 각각의 외측뿐만 아니라 내측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210) 설해방지장치(100)는 철도차량 출입문(210)이 출몰하는 수용부(230)로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용부(230)에 눈이 얼어 철도차량 출입문(21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지 못하는 출입문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 브러시(110)가 회전함으로써, 철도차량 출입문(210)과 수용부(230)의 사이의 틈(220)으로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틈(2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인 것도 수용부(23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철도차량(200)의 수용부(23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철도차량(200)에도 설계변경 없이 용이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 출입문(210)의 동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의 사용을 배제하여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110: 롤 브러시
111: 회전축 113: 브러시부
115: 종동기어 130: 구동부
131: 제1 구동롤러 132: 제1 구동기어
135: 제2 구동롤러 136: 제2 구동기어
137: 방향회전기어 150: 연결대
151: 슬라이딩공 153: 가이드공
155: 체결부재 170: 탄성부재
200: 철도차량 210: 철도차량 출입문
215: 랙기어부 220: 틈
230: 수용부 250: 출입구

Claims (5)

  1. 철도차량 출입문과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이 개방 시 수용되는 철도차량의 수용부의 틈 사이로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로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 사이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종동기어가 결합된 롤 브러시, 및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접촉되어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개방 또는 폐쇄시 상기 제1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종동기어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구동기어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제2 구동기어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접촉되어 상기 제2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구동롤러,
    상기 제2 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2 구동기구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기어, 및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2 구동롤러를 고정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종동기어에는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시 제1 구동기어 또는 상기 방향전환기어에 맞물려 상기 롤 브러시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제2 구동롤러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와 맞물리는 랙기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를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의 외면에는 상기 제1 구동롤러 및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의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KR1020110070290A 2011-07-15 2011-07-15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KR10110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90A KR101103371B1 (ko) 2011-07-15 2011-07-15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90A KR101103371B1 (ko) 2011-07-15 2011-07-15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371B1 true KR101103371B1 (ko) 2012-01-05

Family

ID=4561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290A KR101103371B1 (ko) 2011-07-15 2011-07-15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1634A (zh) * 2018-05-29 2019-12-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塞拉门的锁闭机构、塞拉门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102A (ja) 1998-11-25 2000-06-13 Atsumi Michishige 車両扉における指詰防止装置
JP2005272017A (ja) 2004-03-22 2005-10-06 Asendo:Kk 巻き込み防止機構
KR100742649B1 (ko) 2006-05-11 2007-07-25 오동하 발포수지 시트의 홈형성 장치
JP2010043510A (ja) 2008-08-18 2010-02-25 Hiroshi Uchida 巻き込み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102A (ja) 1998-11-25 2000-06-13 Atsumi Michishige 車両扉における指詰防止装置
JP2005272017A (ja) 2004-03-22 2005-10-06 Asendo:Kk 巻き込み防止機構
KR100742649B1 (ko) 2006-05-11 2007-07-25 오동하 발포수지 시트의 홈형성 장치
JP2010043510A (ja) 2008-08-18 2010-02-25 Hiroshi Uchida 巻き込み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1634A (zh) * 2018-05-29 2019-12-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塞拉门的锁闭机构、塞拉门及车辆
CN110541634B (zh) * 2018-05-29 2021-06-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塞拉门的锁闭机构、塞拉门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0159B1 (ru) Запор двери
JP5417671B2 (ja) 地下鉄乗り場の安全足場
CN101117876B (zh) 轨道列车电动双开塞拉门系统
CN206205663U (zh) 电动单开塞拉门驱动机构
KR101103371B1 (ko) 철도차량 출입문 설해방지장치
KR101390113B1 (ko) 플러그 도어 시스템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102126500A (zh) 可旋转开启的半高安全门
JP5947012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装置
KR20120050776A (ko) 전동차 출입문 설해 방지장치
KR101428853B1 (ko) 세미플러그형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JP2013092048A (ja) 引き戸式ドア装置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DE19902559A1 (de) Stromzuführung für einen Türflügel
KR101374711B1 (ko) 차량용 상부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장착부 개폐장치
JP5851176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装置
JP5216746B2 (ja) 可動ホーム柵
CN216444419U (zh) 导轨开合机构及导轨
CN206888888U (zh) 月台门装置
KR101262149B1 (ko) 플러그 아웃 도어 시스템
KR200426905Y1 (ko)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
CN109080651B (zh) 轨道车辆的侧门门槛组件及轨道车辆
CN211038280U (zh) 一种平移门机芯
WO2011078598A3 (ko) 미닫이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