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290B1 -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 Google Patents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290B1
KR101103290B1 KR1020110099170A KR20110099170A KR101103290B1 KR 101103290 B1 KR101103290 B1 KR 101103290B1 KR 1020110099170 A KR1020110099170 A KR 1020110099170A KR 20110099170 A KR20110099170 A KR 20110099170A KR 101103290 B1 KR101103290 B1 KR 10110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ess
strength
workabil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태
박상우
임송철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양강철
주식회사 고강알루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양강철, 주식회사 고강알루미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to KR102011009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290B1/ko
Priority to PCT/KR2012/005513 priority patent/WO20130479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22C21/08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with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이나 난간, 펜스, 핸드 레일 등과 같은 도시 경관재로 제작되기에 적합하도록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을 향상시킨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Si 0.95∼1.05wt%, Mg 0.85∼0.95wt%, Mn 0.65∼0.75wt%, Cu 0.1∼0.2wt%, Zn 0.1∼0.2wt%, Cr 0.13∼0.18wt%, Fe 0.25wt% 이하, Ti 0.001∼0.03wt%,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각 성분별로 0.02wt%이하이되 그 합이 0.10wt% 이하, 그리고 잔부의 A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인장강도가 최소 310MPa 이상이고, 연신율이 최소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6000계열 알루미늄 합금과 차별화되는 조성으로 Mg와 Mn 및 Cu의 함량이 조절됨으로써,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이 크게 향상된 특성을 보인다.

Description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Aluminium alloy for extrusion forming having enhanced strength and workability}
본 발명은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등이나 난간, 펜스, 핸드 레일 등과 같은 도시 경관재로 제작되기에 적합하도록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을 향상시킨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은 중량이 가볍고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항공기, 건축, 기계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금이다. 특히, 알루미늄 합금 분류상 6000계열의 알루미늄 합금(Al-Mg-Si계 합금)은 용접성과 압출 가공성이 양호하여 자동차 부품과 건축용 소재로서 그 적용 비율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6000계열 알루미늄 합금 중,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하고 특허 등록을 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2195호는, Si 0.95∼1.05wt%, Mg 0.5∼0.6wt%, Mn 0.5∼0.6wt%, Fe 0.15∼0.25wt%, Cr 0.13∼0.18wt%, Cu 0.05wt% 이하, Ti 0.03wt% 이하, Zn 0.05wt% 이하 및 기타 불가피한 성분 각 0.02wt% 이하이되 그 합이 0.10wt% 이하, 그리고 잔부의 Al으로 조성되는 성형성이 우수한 압출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제시하고 있다. 이 등록특허는 규소(Si)와 마그네슘(Mg)의 결합에 따른 Mg2Si의 석출을 통해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고, 망간(Mn)의 첨가로 침상의 β-AlFeSi가 입상의 α-AlFeSi로 변태하는 것을 촉진시켜 압출성을 향상시킨 특징을 갖고 있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181770은, 주요 첨가 성분으로서 0.6∼2.0 중량%의 Mg, 0.6∼3.0 중량%의 Si, 0.6∼1.5 중량%의 Sn, 0.4∼1.0 중량%의 Mn, 그리고 임의 선택 성분으로서 각각 최대 0.25 중량%의 Cr, 0.1 중량%의 Ti, 모체 성분으로서 Al을 함유하고,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최대 0.4 중량%의 Fe, 최대 0.1 중량%의 Cu, 최대 0.2 중량%의 Zn을 함유하는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을 제시하고 있다. 이 공개특허의 경우 그 공보에 기재된 바로는 자동가공에 적합한 강도와 절삭성을 가지며 압출 성형의 가공 온도 범위를 확대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2195호(등록일자 : 2007. 6. 19, 명칭 : 성형성이 우수한 압출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급)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181770(공개일자 : 2001.7.3, 명칭 : 알루미늄 합금)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2195호의 경우,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들이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가로등이나 난간, 펜스, 핸드 레일 등과 같은 도시 경관재로 제작되기에 적합한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을 만족하는지를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압출 후 완제품 제작을 위한 기계 가공시 버(burr) 및 칩(chip) 말림에 의한 공구 파손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결국 압출 성형성은 양호하지만 기계적 강도와 가공성이 미흡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전술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181770의 경우에는, 6000계열의 Al-Mg-Si계 합금이라고는 하지만 Mg의 함량을 0.6∼2.0 중량%로 매우 넓게 설정하고 있다. 이처럼 Mg의 함량이 5000계열 알루미늄 합금(Al-Mg계 합금)의 Mg 함량과 거의 동등한 2.0중량%에 이르게 되면 압출 공정 중 고온에서 플로우 스트레스(flow stress)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과도한 압출 압력이 요구되어 압출성과 생산성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 공개특허에서는 Si의 함량 역시 0.6∼3.0 중량%에 이르고 있는데, 과잉의 Si로 인해 연신율이 감소하여 충격에 취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의 6000계열 알루미늄 합금에 비하여 양호한 압출 성형성을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와 가공성이 충분히 향상되는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Si 0.95∼1.05wt%, Mg 0.85∼0.95wt%, Mn 0.65∼0.75wt%, Cu 0.1∼0.2wt%, Zn 0.1∼0.2wt%, Cr 0.13∼0.18wt%, Fe 0.25wt% 이하, Ti 0.001∼0.03wt%,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각 성분별로 0.02wt%이하이되 그 합이 0.10wt% 이하, 그리고 잔부의 A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인장강도가 최소 310MPa 이상이고, 연신율이 최소 10% 이상인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기존의 6000계열 알루미늄 합금과 차별화되는 조성으로 Mg와 Mn 및 Cu의 함량이 조절됨으로써,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이 크게 향상된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목적으로 하는 가로등이나 난간, 펜스, 핸드 레일 등과 같은 도시 경관재로 제작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동일계 합금을 대체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됨으로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예상된다.
도 1은 Si의 함량별로 Mg의 첨가량에 따른 인장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Mg의 함량별로 Si의 첨가량에 따른 연신율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 대비 Si 함량 초과 소재 및 Mg 함량 초과 소재의 표면 경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Mn의 첨가량에 따른 인장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적정량의 Mn이 첨가된 발명재 및 과소/과량의 Mn이 첨가된 비교재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6은 Cu의 첨가량에 따른 그레인 사이즈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6의 Cu 첨가량 소재(No.1∼No.4)에 대한 조직 사진이다.
도 8은 도 6의 Cu 첨가량 소재(No.1∼No.4)에 대한 기계적 특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적정량의 Cu가 첨가된 발명재 및 과량의 Cu가 첨가된 비교재에 대한 내부식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발명재와 등록특허 제10-0732195호에 대한 공정능력지수(Cpk)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기재사항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은 Mg와 Mn 및 Cu의 함량 조절을 통해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이 향상됨으로써, 가로등이나 난간, 펜스, 핸드 레일 등과 같은 도시 경관재로 제작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갖추게 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들에 의해 '6082M'이라는 합금 명칭으로 명명이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성분과 조성으로 한정된다. 즉, Si 0.95∼1.05wt%, Mg 0.85∼0.95wt%, Mn 0.65∼0.75wt%, Cu 0.1∼0.2wt%, Zn 0.1∼0.2wt%, Cr 0.13∼0.18wt%, Fe 0.25wt% 이하, Ti 0.001∼0.03wt%,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각 성분별로 0.02wt%이하이되 그 합이 0.10wt% 이하, 그리고 잔부는 Al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인장강도가 최소 310MPa 이상이고, 연신율이 최소 10% 이상인 특징을 갖는다. 상기 각 성분별 첨가 이유와 조성 범위에 대한 한정 이유는 다음과 같으며, 그 도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Si는 Mg와 결합하여 시효처리에 따라 Mg2Si로 석출됨으로써 기계적 성질을 좌우하는데, Mg와 결합하고 남는 잔류 Si는 단독으로 석출되어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다. Si의 함량이 0.95wt% 미만일 경우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되고, 1.05wt%를 초과하면 압출성이 떨어짐은 물론 압출품의 표면품질을 저하하게 된다.
Mg은 Si와 결합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Mg2Si의 석출량과 석출형태가 우선적으로 제어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성 범위를 0.85∼0.95wt%로 하고 있다. Mg의 함량이 0.5∼0.6wt%인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732195호와 같이 Mg의 함량이 0.85wt% 미만일 경우에는 잔류 Si가 비평형상인 β-AlFeSi상으로 석출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비해 Mg 함량이 0.85∼0.95wt%의 범위로 첨가되면 Mg의 함량 증가에 따라 Mg2Si의 석출량이 증가하고 β-Mg2Si를 형성하여 기지에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특성 향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Mg의 함량 증가로 Mg와 Si의 결합량이 증가하여 잔류 Si가 β-AlFeSi상으로 석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Mg 함량이 상한치인 0.95wt%를 초과하게 되면 Si와 결합하지 못한 여분의 Mg가 오히려 Mg2Si의 결합을 억제하여 기계적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Mn은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기계적 강도와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상기 등록특허 제10-0732195호와 같이 0.65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균질화 처리 후 냉각 중에 Mg2Si가 입계에 편석됨으로써 기계적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 0.75wt%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연신율이 저하되어 소재의 취성파괴가 유발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Mn의 함량을 0.65∼0.75wt%로 함으로써, 균질화 처리 후 냉각 중에 Mg2Si가 입계에 편석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조직 내에 분산 석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결정립 크기를 미세화하여 기계적 강도와 가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Mn은 침상의 β-AlFeSi가 입상의 α-AlFeSi로 변태하는 것을 촉진시켜 압출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u는 기계적 특성과 압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인데, Cu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와 항복강도 및 연신율이 증가하지만 0.2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0.2wt% 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0.1wt%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특성과 압출성이 미흡해지므로 0.1wt%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Zn은 소재의 기계적 특성과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0.1∼0.2wt%의 범위에서 첨가하는데, 0.1wt%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특성과 내식성 개선의 효과가 미흡해지고, 0.2wt%를 초과하면 소재의 압출성을 저하하게 된다.
Cr은 재결정층의 생성과 성장을 억제함과 아울러 Al 및 Fe와 함께 화합물을 형성하여 입계에 분포함으로써 시효처리시 석출을 억제하여 소재의 연신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Cr의 첨가량이 0.13wt% 미만이 되면 재결정층의 생성 및 성장 억제 효과가 미미해지고 피로강도가 저하되는 한편, 0.18wt%를 초과하면 압출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0.13∼0.18wt%의 범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e은 불순물로서 0.25wt%를 초과하면 소재의 연성을 저하시키고 압출성을 떨어뜨리므로 0.25wt%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는 결정립 미세화에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서, 0.03wt%를 초과하게 되면 소재의 압출성이 저하되므로,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유지하면서 압출성을 고려하여 0.001∼0.03wt%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성분과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에 대하여 성분 및 조성 범위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확인함과 아울러 기존의 6000계열 알루미늄 합금과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Si의 함량별로 Mg의 첨가량에 따른 인장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Mg의 함량별로 Si의 첨가량에 따른 연신율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Si의 함량별로 Si가 일정한 조성에서 Mg의 함량이 0.85wt%가 되면 인장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반면에 0.95wt%를 초과하면 인장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Mg의 함량이 일정한 조성에서는 Si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는 증가하되, Mg이 0.95wt%를 초과하는 지점에서 Si의 함량이 1.05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Si의 경우 0.95∼1.05wt% 범위에서 대체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연신율이 저하하지만 Mg의 함량 차이로 인해 기존의 등록특허 제10-0732195호에 비하면 10% 이상의 연신율 상승 효과가 있으며, 1.05wt%를 초과할 경우 Mg 함량이 0.95wt%에서 기계적 특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연신율 감소 폭이 다소 커지기 때문에 1.05wt% 이하로 제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강도와 연신율을 함께 고려하면 Si는 0.95∼1.05wt%, Mg은 0.85∼0.95wt%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발명재와 Si 함량 초과 소재 및 Mg 함량 초과 소재의 조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표 1의 발명재 대비 Si 함량 초과 소재(비교재1) 및 Mg 함량 초과 소재(비교재2)의 표면 경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Si Mg Mn Cu Zn Cr Fe Ti Al
발명재 0.956 0.91 0.732 0.189 0.152 0.141 0.174 0.03 잔부
비교재1(Si 함량초과) 2.819 0.766 0.544 0.092 0.012 0.001 0.122 0.015 잔부
비교재2(Mg 함량초과) 1.025 1.994 0.637 0.026 0.027 0.021 0.214 0.034 잔부
각 성분 : wt%
표 1과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i 및 Mg의 함량이 본 발명의 한정 범위를 벗어나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 경도가 저하하게 되는데, 이는 곧 가공성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Mg의 함량이 2.0wt%에 가까운 경우(이는, 전술한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1-181770에 해당한다)에는 표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압출 압력이 과다하게 요구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표 1의 발명재 표 1의 비교재1 표 1의 비교재2

온도(℃)
빌렛 480 480 480
금형 460 460 460
컨테이너 420 420 420
압출 압력
(kgf/㎠)
초압 185∼195 190∼200 230∼240
중압 160∼170 170∼180 200∼210
도 4는 Mn의 첨가량에 따른 인장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적정량의 Mn이 첨가된 발명재 및 과소/과량의 Mn이 첨가된 비교재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4에서 확인되듯이, Mn의 함량이 0.65∼0.75wt%일 때 인장강도가 가장 높고, 0.65wt 미만이거나 0.75wt% 초과일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떨어진다.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Mn의 함량이 0.65wt%보다 적은 0.637wt%인 경우(좌측 사진) 및 0.75wt%보다 많은 0.751wt%인 경우(우측 사진)에는 각각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된 0.715wt%인 경우(가운데 사진)에 비해 결정립이 조대화하였다. 따라서, 압출재의 기계적 특성과 미세조직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서 Mn의 함량을 0.65∼0.75wt%로 한정한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Cu의 첨가량에 따른 그레인 사이즈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6의 Cu 첨가량 소재(No.1∼No.4)에 대한 조직 사진이며, 도 8은 도 6의 Cu 첨가량 소재(No.1∼No.4)에 대한 기계적 특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6을 보면, Cu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그레인 사이즈(Grain Size)가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시편 No.1∼No.4에 대한 미세 조직을 촬영한 도 7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각 시편 No.1∼No.4에 대하여 인장강도와 항복강도 및 연신율을 시험한 결과,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Cu 함량의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와 항복강도 및 연신율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Cu 함량이 증가할수록 그레인 사이즈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소재의 내부식성을 고려할 때 그 함량의 상한치는 한정되어야 한다. 즉, 도 9는 적정량의 Cu가 첨가된 발명재 및 과량의 Cu가 첨가된 비교재에 대하여 KS D 9502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내부식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인데, 본 발명의 함량 범위인 Cu 0.2wt%의 발명재는 720시간 경과 후에도 백청의 발생이 없었으나, Cu가 0.25wt%로 과량 첨가된 비교재의 경우에는 720시간 경과 후 백청이 발생하여 표면품질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재의 기계적 특성과 내부식성을 함께 고려하면 본 발명과 같이 Cu의 함량은 0.1∼0.2wt%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표 3은 표 1의 발명재와 등록특허 제10-0732195호에 대한 기계적 특성을 시험한 결과를 정리한 것으로서, 발명재가 등록특허에 비하여 인장강도와 항복강도가 월등히 향상되었고 연신율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인장강도(MPa) 항복강도(MPa) 연신율(%)
표 1의 발명재
1차 테스트 381 332 16.03
2차 테스트 372 325 16.07
등록특허
제10-0732195호
시편 1 338 281 16
시편 2 337 281 16
또, 표 4는 표 1의 발명재와 등록특허 제10-0732195호에 대한 경도 물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인데, 앞의 도 3에서도 확인되지만, 본 발명의 발명재는 기존의 등록특허와 비교하더라도 경도가 양호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표 1의 발명재 105 104 104 107 106 104 105 105 105
등록특허 제10-0732195호 104 105 104 104 105 102 104 100 104
스펙(spec) HB 92∼112
도 10은 상기 표 1의 발명재와 등록특허 제10-0732195호에 대한 공정능력지수(Cpk)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Cpk는 그 값이 클수록 기계적 특성의 편차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곧 소재의 품질과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0에 보이는 것처럼, 기존의 등록특허 제10-0732195호는 공정능력지수(Cpk)가 1.78인데 비해, 발명재의 공정능력지수는 2.99로서 발명재는 소재의 부위별로 기계적 특성을 시험하였을 때 그 값의 편차가 적으며, 따라서 발명재는 모든 부위에 걸쳐 기계적 특성에 대한 신뢰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Mg와 Mn 및 Cu의 함량이 기존의 6000계열 알루미늄 합금과 차별화되는 조성으로 조절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압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을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계적 특성들은 공정능력지수(Cpk)의 평가를 통해 소재의 전 부위에서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기존의 동일계 합금을 대체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

  1. Si 0.95∼1.05wt%, Mg 0.85∼0.95wt%, Mn 0.65∼0.75wt%, Cu 0.1∼0.2wt%, Zn 0.1∼0.2wt%, Cr 0.13∼0.18wt%, Fe 0.25wt% 이하, Ti 0.001∼0.03wt%,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각 성분별로 0.02wt%이하이되 그 합이 0.10wt% 이하, 그리고 잔부의 A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인장강도가 최소 310MPa 이상이고, 연신율이 최소 10% 이상인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2. 삭제
KR1020110099170A 2011-09-29 2011-09-29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KR10110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170A KR101103290B1 (ko) 2011-09-29 2011-09-29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PCT/KR2012/005513 WO2013047986A1 (ko) 2011-09-29 2012-07-11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170A KR101103290B1 (ko) 2011-09-29 2011-09-29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290B1 true KR101103290B1 (ko) 2012-01-11

Family

ID=4561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170A KR101103290B1 (ko) 2011-09-29 2011-09-29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3290B1 (ko)
WO (1) WO20130479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9457B1 (en) 2012-04-25 2020-03-11 Norsk Hydro ASA Extruded al-mg-si aluminium alloy profile with improved propert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038A (zh) * 2016-07-29 2016-12-21 余姚市婉珍五金厂 一种锥形件液态挤压成型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1770A (ja) * 1999-11-05 2001-07-03 Otto Fuchs アルミニウム系合金
JP2006022405A (ja) 2004-07-05 2006-01-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からなる複合材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3993B2 (ja) * 2002-03-20 2011-02-16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曲げ加工性および塗装焼付硬化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製造方法
CN101365818B (zh) * 2006-03-31 2011-03-23 株式会社神户制钢所 铝合金锻造构件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1770A (ja) * 1999-11-05 2001-07-03 Otto Fuchs アルミニウム系合金
JP2006022405A (ja) 2004-07-05 2006-01-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からなる複合材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9457B1 (en) 2012-04-25 2020-03-11 Norsk Hydro ASA Extruded al-mg-si aluminium alloy profile with improved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7986A1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5416B1 (en) Aluminum alloy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5588170B2 (ja) 7000系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432262B2 (ja) 自動車用クラッドシート製品
EP1802782B1 (en) High hardness aluminium mould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plate
KR101511544B1 (ko) 열간단조용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단조품의 제조방법
KR101642850B1 (ko) 강도와 압출성 및 광택도가 우수한 7000계 알루미늄합금 압출재
KR20140041285A (ko) 고강도 Al-Mg-Si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N115053008A (zh) 高强度铝合金挤出材料的制造方法
KR101103290B1 (ko)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용 알루미늄 합금
KR20090030871A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JP2006257505A (ja) 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2016138317A (ja) 耐衝撃性に優れる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99096B1 (ko) 스칸듐을 첨가한 알루미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2001115227A (ja) 表面性状に優れた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および前記押出材を用いた二輪車用フレーム
KR100909699B1 (ko) 충격에너지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이로부터 제조된압출재
JP2012201923A (ja) アルミ押出形材及びその押出成形方法
KR101744457B1 (ko)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KR20170133774A (ko) 외관 피막 특성이 우수한 알루미늄합금
KR20120020406A (ko) 고강도 비열처리 주조용 알루미늄-아연 합금
KR20090028954A (ko) 열간단조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KR20130109238A (ko) 고강도 동합금 단조재
KR102566343B1 (ko) 인장성이 우수한 6000계 알루미늄 합금의 제조방법
JP7543161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
JP2013108124A (ja) Al−Mg−Si系合金押出材
KR101476284B1 (ko) 성형 및 가공성이 우수한 Si-Mg계 알루미늄 합금(A6061 RD)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