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946B1 - 베젤의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베젤의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946B1
KR101102946B1 KR1020090048185A KR20090048185A KR101102946B1 KR 101102946 B1 KR101102946 B1 KR 101102946B1 KR 1020090048185 A KR1020090048185 A KR 1020090048185A KR 20090048185 A KR20090048185 A KR 20090048185A KR 101102946 B1 KR101102946 B1 KR 10110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e
transfer
unit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560A (ko
Inventor
정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이
Priority to KR102009004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4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6Mandrels with non rotatable claws; Mandrels with internal clamping; Clamp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베젤의 가공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베젤의 가공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품을 가공 또는 연마하는 가공부와, 가공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가공부에 의해 가공 또는 연마되는 제품을 진공흡착하여 고정하는 진공흡착부와, 진공흡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품을 진공흡착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48185
베젤, 가공장치, 진공흡착부, 이송부, 검사부

Description

베젤의 가공장치{BEZEL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베젤의 가공장치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판형상의 베젤을 표면절삭 또는 연마하기 위해 베젤을 진공흡착시켜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베젤의 이송과 가공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젤은 주로 핸드폰의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하나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고정시켜주는 사각단면의 브래킷으로 상단면이 개방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납부에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수납되어 고정되게 된다.
종래의 베젤은 얇은 금속판에 바닥면과 각각의 측면을 제도하고, 필요없는 금속판의 각 모서리를 절단한 후, 수납부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내측으로 수직으로 굽혀 상단면이 개방된 수납부를 형성된다.
근래에는 보다 슬림한 핸드폰을 제공하기 위해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베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베젤의 내부에 펀칭으로 함몰시켜 FPCB가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형성하고, 후면으로 돌출된 안착홈부의 후면 표면을 가공, 연마하여 보다 얇은 베젤을 제공하는 추세이다.
종래에 의하면 얇은 베젤을 제공하기 위해서 얇은 베젤의 가공 연마시 얇은 베젤을 고정하지 못함으로 뒤틀림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련된 기능공이 작업해야하므로 인권비의 상승은 물론 균일한 가공이 불가능하며 대량생산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얇은 판형상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베젤을 표면절삭 또는 연마하기 위해 진공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베젤의 이송과 가공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완제품까지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베젤의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품을 가공 또는 연마하는 가공부와, 가공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가공부에 의해 가공 또는 연마되는 제품을 진공흡착하여 고정하는 진공흡착부 및 진공흡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품을 진공흡착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는 제품이 감겨 저장되는 저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와, 지지브라켓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제품의 폭만큼 함몰되어 제품이 감겨지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공부는 제품의 돌출된 부분을 절삭팁에 의해 절삭하는 절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공부는 제품의 돌출된 부분을 연마사포로 연마하는 연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공흡착부는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공다이와, 가공다이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흡착관로를 형성한 흡착블럭 및 흡착블럭의 흡착관로와 연결되고 제품을 흡착블럭에 흡착하여 고정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착블럭은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하부흡착블럭과 제품과 접하는 상부흡착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부흡착블럭의 흡착관로는 진공펌프의 흡입력을 배가하도록 모세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공흡착부에는 가공다이에 안착되는 제품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램프부는 가공다이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품의 가공부위가 노출되도록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와 연결되고, 가공다이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브라켓 및 연결브라켓에 연결되어 가압플레이트가 승하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클램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품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이송홀이 형성되고, 이송부는 제품이 안착되는 이송다이와, 이송다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다이의 상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축 연결되고, 하부에 제품의 이송홀에 삽입되는 파지축을 형성한 파지블럭과, 파지블럭이 승하강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 및 이송다이 하부에 구비되고 파지축이 이송홀에 삽입시 이송다이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구동부는 이송다이 하부에 구비되어 이송다이가 길이방향으로 안내되게 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 및 이송스크류상에 치압되고, 이송다이와 연결되어 이송스크류의 회전시 이송다이를 이송시키는 이송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공흡착부의 타측에는 보조이송부가 구비되고, 보조이송부는 제품이 안착되는 보조이송다이와, 보조이송다이의 상부에 구비되어 보조이송다이의 상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축 연결되고, 하부에 제품의 이송홀에 삽입되는 파지축을 형성한 보조파지블럭과, 보조파지블럭이 승하강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가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보조이송다이는 이송다이와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어 이송다이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상에는 제품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파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지부는 제품이 안착되는 파지다이와, 파지다이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축과, 푸쉬축의 끝단에 형성되어 제품의 이동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제품에 접하는 푸쉬플레이트 및 푸쉬플레이트와 고정대 사이에 개재되어 푸쉬플레이트가 제품측으로 가압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상에는 제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검사부는 제품이 안착되는 측정다이와, 측정다이 상부로 기립되어 형성되는 설치대와, 설치대의 전면에 구비되어 설치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블럭과, 슬라이드블럭이 설치대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실린더 및 슬라이드블럭의 전측에 구비되고, 측정다이측으로 측정침을 돌출 형성한 측정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블럭은 승하강실린더와 연결되고, 전면에 측정게이지가 연결된 상부슬라이드블럭과, 상부슬라이드블럭의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부슬라이드블럭 및 상부슬라이드블럭과 하부슬라이드블럭을 상호 연결하고, 하부슬라이드블럭이 이격거리만큼 이동되게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부슬라이드블럭과 하부슬라이드블럭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공흡착부의 후측에는 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제품에서 이물질을 제거 하는 이물질제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제거부는 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다이와, 안착다이의 외측을 감싸는 격벽 및 제품측으로 연장되어 공기를 불어 상기 제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얇은 판형상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베젤을 표면절삭 또는 연마하기 위해 진공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가공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개소에 파지부를 구비하고, 진공흡착부에 클램프부를 구비하여 더욱 견고히 고정하여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검사부에 의해 제품의 불량시 이송부를 통해 후퇴되어 재가공이 가능하므로서, 제품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베젤의 이송과 가공 등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완제품까지의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인건비를 절약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진공흡착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진공흡착부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진공흡착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흡착블럭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이송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이송부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보조이송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파지부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파지부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검사부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검사부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이물질제거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가공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100)는 크게, 프레임(110), 가공부(120), 진공흡착부(140) 및 이송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10)은 각 공정을 담당하는 장치들이 안착되는 테이블 형상이며, 외측에는 각 장치들의 작동시 내부를 밀폐하도록 도어(1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공부(12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품(10)을 가공 또는 연마한다.
여기서, 가공부(120)는 도 2에서 도시한 같이 제품(10)의 돌출된 부분을 절삭팁에 의해 절삭하는 절삭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10)의 돌출된 부분을 연마사포로 연마하는 연마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가공부(120)를 절삭기와 연마기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 다른 가공장치도 가능하다.
프레임(110)의 전측과 후측에는 제품(10)이 감겨 저장되는 저장부(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부(13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32) 및 지지브라켓(132)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제품(10)의 폭만큼 함몰되어 제품(10)이 감겨지는 롤러(134)를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프레임(1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데, 전측의 저장부(130)는 후술되는 이송부(160)에 의해 가공부(120)측으로 제품을 제공하게 되며, 후측의 저장부(130)는 가공이 끝난 제품이 감겨 저장되는 것이다.
진공흡착부(140)는 가공부(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가공부(120)에 의해 가공 또는 연마되는 제품을 진공흡착하여 고정시킨다.
진공흡착부(14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공다이(142)와, 가공다이(142)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흡착관로(145a)를 형성한 흡착블럭(145) 및 흡착블럭(145)의 흡착관로(145a)와 연결되고, 제품(10)을 흡착블럭(145)에 흡착하여 고정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147)를 포함한다.
이때, 흡착블럭(145)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펌프(147)와 연결되는 하부흡착블럭(143)과 제품(10)과 접하는 상부흡착블럭(144)으로 이루어지고, 상부흡착블럭(144)의 흡착관로(145a)는 진공펌프(147)의 흡입력을 배가하도록 모세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부흡착블럭(143)의 측면에는 진공펌프(147)와 흡착관로(145a)가 연결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진공펌프(147)의 흡입력은 상부흡착블럭(144)에 형성된 모세관 형상의 흡착관로(145a)에 의해 흡입력이 배가된다.
따라서, 흡착관로(145a)의 흡입력에 의해 얇은 판 형상의 제품은 상부흡착블럭(144)에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된다.
진공흡착부(140)에는 가공다이(142)에 안착되는 제품(10)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부(150)가 더 구비된다.
클램프부(150)는 가공다이(142)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품(10)의 가공부위가 노출되도록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152)와, 가압플레이트(152)와 연결 되고, 가공다이(14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브라켓(154) 및 연결브라켓(154)에 연결되어 가압플레이트(152)가 승하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클램프실린더(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브라켓(154)은 가압플레이트(15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클램프실린더(155)와 연결되어 클램프실린더(155)의 동력에 의해 연결브라켓(154)의 승하강되므로 가압플레이트(152)는 제품(10)의 가공부위 주위를 가압하여 제품을 고정한다.
이송부(160)는 진공흡착부(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품(10)을 진공흡착부(140)로 이송시킨다.
먼저, 제품(10)은 얇은 판 형상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품(10)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이송홀(12)이 형성된다.
이송부(160)는 제품(10)이 안착되는 이송다이(161)와, 이송다이(161)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다이(161)의 상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축 연결되고, 하부에 제품(10)의 이송홀(12)에 삽입되는 파지축(162a)을 형성한 파지블럭(162)과, 파지블럭(162)이 승하강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163) 및 이송다이(161) 하부에 구비되고, 파지축(162a)이 이송홀(12)에 삽입시 이송다이(161)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송구동부(165)는 이송다이(161) 하부에 구비되어 이송다이(161)가 길이방향으로 안내되게 하는 지지대(166)와, 지지대(166)에 구비되는 구동모 터(167)와, 구동모터(167)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167)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68) 및 이송스크류(168)상에 치합되고, 이송다이(161)와 연결되어 이송스크류(168)의 회전시 이송다이(161)를 이송시키는 이송브라켓(16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송다이(161)가 지지대(166)상에서 원활히 이송되도록 이송다이(161)와 지지대(166) 사이에는 LM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공흡착부(140)의 타측에는 보조이송부(170)가 구비된다.
보조이송부(17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6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제품(10)이 안착되는 보조이송다이(171), 보조이송다이(171)의 상부에 구비되어 보조이송다이(171)의 상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축 연결되고, 하부에 제품(10)의 이송홀(12)에 삽입되는 파지축(미도시)을 형성한 보조파지블럭(172) 및 보조파지블럭(172)이 승하강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가압실린더(173)로 이루어지며, 보조이송다이(171)는 이송다이(161)와 연결바(174)에 의해 연결되어 이송구동부(165)의 작동에 의해 이송다이(161)와 함께 연동된다.
이때, 보조이송다이(171)은 보조지지대(166')상에서 슬라이드되고, 보조이송다이(171)와 보조지지대(166') 사이에는 LM가이드가 구비된다.
보조이송부(170)는 이송부(160)와 연결바(174)에 의해 연동되지 않고 자체구동되도록 별도의 이송구동부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프레임(110)상에는 제품(10)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파지부(175)가 더 구비된다.
파지부(175)는 각 공정으로 진행되는 제품(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필요개소에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175)는 제품(10)이 안착되는 파지다이(176)와, 파지다이(176)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고정대(177)와, 고정대(177)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축(178)과, 푸쉬축(178)의 끝단에 형성되어 제품(10)의 이동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제품(10)에 접하는 푸쉬플레이트(178a) 및 푸쉬플레이트(178a)와 고정대(177) 사이에 개재되어 푸쉬플레이트(178a)가 제품(10)측으로 가압되게 하는 탄성부재(17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79)는 푸쉬축(178)에 권취되어 일측은 푸쉬플레이트(178a)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고정대(177)의 하면에 지지되어 푸쉬플레이트(178a)를 제품(10)측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푸쉬플레이트(178a)는 제품(10)을 직접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10)의 상면에 접하게 되어 제품(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프레임(110)상에는 제품(10)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180)가 더 구비된다.
검사부(180)는 진공흡착부(140)의 후측에 마련되어 가공이 끝난 제품(10)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제품(10)이 안착되는 측정다이(181)와, 측정다이(181) 상부로 기립되어 형성되는 설치대(182)와, 설치대(182)의 전면에 구비되어 설치대(18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블럭(183)과, 슬라이드블럭(183)이 설치대(182)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실린더(188) 및 슬라이드블럭(183)의 전측에 구비되고, 측정다이(181)측으로 측정침(189a)을 돌출 형성한 측정게이지(1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드블럭(183)은 승하강실린더(188)와 연결되고 전면에 측정게이지(189)가 연결된 상부슬라이드블럭(184)과, 상부슬라이드블럭(184)의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부슬라이드블럭(185)과, 상부슬라이드블럭(184)과 하부슬라이드블럭(185)을 상호 연결하고, 하부슬라이드블럭(185)이 상부슬라이드블럭(184)과의 이격거리 만큼 이동되게 하는 연결부재(186)로 이루어지고, 상부슬라이드블럭(184)과 하부슬라이드블럭(185) 사이에는 완충부재(187)가 구비된다.
측정게이지(189)의 측정침(189a)은 가공부(120)에서 가공된 제품(10)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품(10)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때, 승하강실린더(188)의 동력에 의해 측정게이지(189) 하강시 측정침(189a)이 제품(10)의 상부를 가압하여 불량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블럭(183)을 상부슬라이드블럭(184)과 하부슬라이드블럭(185)으로 분할시키고, 그 사이에 완충부재(187)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연결부재(186)는 상부슬라이드블럭(184)과 하부슬라이드블럭(185)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부슬라이드블럭(184)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슬라이드블럭(185)에는 걸림턱(186a)에 의해 구속하여 하부슬라이드블럭(186a)이 이격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된다.
완충부재(187)는 코일스크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블럭(183)과 설치대(182) 사이에는 LM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흡착부(140)의 후측에는 가공부(120)에 의해 가공된 제품(10)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190)가 더 구비된다.
이물질제거부(190)는 진공흡착부(140)와 검사부(18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제품(10) 불량검사 전에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물질제거부(190)는 가공부(120)에 의해 가공된 제품(10)이 안착되는 안착다이(191)와, 안착다이(191)의 외측을 감싸는 격벽(192) 및 제품(10)측으로 연장되어 공기를 불어 제품(1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토출부(1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어토출부(195)는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콘프레셔(196)와 에어콘프레셔(196)의 공기를 전달하는 연결관(197)과, 연결관(197)의 끝단에 형성되어 제품(10)에 공기를 토출시키는 노즐(198)로 이루어진다.
노즐(198)은 제품(10)의 전체면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넙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작업자는 프레임(110)의 전측 저장부(130)에 말려있는 제품을 끌어 이송부(160)의 이송다이(161)에 안착시킨다.
이어 가공장치(100)가 작동되면, 파지블럭(162)이 가압실린더(163)에 의해 하강되고 파지블럭(162)의 하강에 의해 파지축(162a)이 제품(10)의 이송홀(12)에 삽입되며, 이송구동부(165)에 의해 이송다이(161)가 이동되어 이송다이(161)에 안착된 제품(10) 또한 일측으로 이동된다.
즉, 구동모터(167)의 구동에 의해 이송스크류(168)는 회전되고 이송스크류(168)에 치합되고 이송다이(161)와 연결된 이송브라켓(169)에 의해 이송다이(161)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송다이(161)와 지지대(166) 사이에는 LM가이드가 구비되어 이송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이처럼 이송부(160)에 의해 제품(10)은 가공부(120) 하부, 즉 진공흡착부(14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송부(160)에 의해 제품(10)이 진공흡착부(140)에 도달하면 진공펌프(147)의 작동에 의해 흡착블럭(145)의 흡착관로(145a)의 흡입력에 의해 제품(10)은 흡착블럭(145) 상면에 흡착되어 고정된다.
흡착블럭(145)은 상부흡착블럭(144)과 하부흡착블럭(143)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흡착블럭(144)의 흡입관로(145a)는 모세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흡입력을 배가시킴으로써, 제품(10)을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와 동시에 클램프부(150)에 의해 제품(10)을 고정하여 가공부(120)의 작동시 제품(10)이 흔들림없이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다.
클램프부(150)의 작동은 클램프실린더(155)의 작동에 의해 연결브라켓(154)의 하강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152)가 제품의 가공부위의 주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처럼 가공부(120)의 가공이 완료되면, 가압플레이트(152)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흡착관로(145a)의 흡입력도 해제되며, 이송부(160)의 구동에 의해 이송홀(12) 간격만큼 제품(10)이 이동된다.
가공부(120)를 지난 제품(10)은 이물질제거부(190)에 의해 가공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시켜준다.
이물질제거부(190)의 안착다이(191)를 지나는 제품(10)은 에어토출부(195)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는데, 에어콘프레셔(196)의 공기를 노즐(198)을 통해 제품(10)으로 강하게 분사됨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안착다이(191)의 외측에는 격벽(192)이 형성되어 타공정측으로 이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이물질제거부(191)의 후측에는 이송부(160)와 연결바(174)에 의해 연동되는 보조이송부(170)가 구비되어 이물질제거부(190)를 통과한 제품(10)을 이송시킨다.
이송부(160)와 보조이송부(170)에 의해 제품(10)은 이동되어 검사부(180)에서 불량여부를 검사받는다.
이물질제거부(190)에서 제품(10)상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임으로 검사부(180)에서 정밀한 검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검사부(180)의 측정다이(181)에 제품(10)이 도달하면, 승하강실린더(188)의 동력에 의해 측정게이지(189)가 구비된 슬라이드블럭(183)이 하강하여 측정게이지(189)의 측정침(189a)이 제품(10)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불량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슬라이드블럭(183)은 상부슬라이드블럭(184)과 하부슬라이드블럭(185) 으로 이루어지고, 사이에 완충부재(187)가 구비됨으로써, 승하강실린더(188)의 동력에 의해 측정게이지(189)의 측정침(189a)이 제품(10)을 가압하여 발생되는 제품불량 및 측정침(189a)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검사부(180)에서 불량여부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송부(160)와 보조이송부(170)가 제품(10)을 파지하여 후퇴시켜 불량인 제품(10)을 가공부(120)에서 재가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파지부(175)는 각 공정 사이사이에 즉, 필요개소에 다수개 구비되어 이동되는 제품(10)이 흔들림없이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검사부(180)에서 불량여부를 검사하여 통과한 제품(10)은 프레임(110)의 후측에 구비된 저장부(130)에 말려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품은 이송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동되어 각 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공급, 가공 및 검사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필요개소에 파지부를 구비하여 흔들림없는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가공시에도 진공흡착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클램프부에 의해 또 한번 고정함으로써, 정밀하고, 안정된 가공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진공흡착부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진공흡착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진공흡착부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흡착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이송부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이송부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보조이송부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파지부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파지부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검사부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검사부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이물질제거부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가공장치의 가공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젤의 가공장치 110 : 프레임
112 : 도어 120 : 가공부
130 : 저장부 132 : 지지브라켓
134 : 롤러 140 : 진공흡착부
142 : 가공다이 143 : 하부흡착블럭
144 : 상부흡착블럭 145 : 흡착블럭
145a : 흡착관로 147 : 진공펌프
150 : 클램프부 152 : 가압플레이트
154 : 연결브라켓 155 : 클램프실린더
160 : 이송부 161 : 이송다이
162 : 파지블럭 162a : 파지축
163 : 가압실린더 165 : 이송구동부
166 : 지지대 167 : 구동모터
168 : 이송스크류 169 : 이송브라켓
170 : 보조이송부 171 : 보조이송다이
172 : 보조파지블럭 173 : 보조가압실린더
175 : 파지부 176 : 파지다이
177 : 고정대 178 : 푸쉬축
178a : 푸쉬플레이트 179 : 탄성부재
180 : 검사부 181 : 측정다이
182 : 설치대 183 : 슬라이드블럭
184 : 상부슬라이드블럭 185 : 하부슬라이드블럭
186 : 연결부재 187 : 완충부재
188 : 승하강실린더 189 : 측정게이지
189a : 측정침 190 : 이물질제거부
191 : 안착다이 192 : 격벽
195 : 에어토출부 196 : 에어콘프레셔
197 : 연결관 198 : 노즐

Claims (1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품을 가공 또는 연마하는 가공부;
    상기 가공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공부에 의해 가공 또는 연마되는 제품을 진공흡착하여 고정하는 진공흡착부; 및
    상기 진공흡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품을 상기 진공흡착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흡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공다이;
    상기 가공다이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흡착관로를 형성한 흡착블럭; 및
    상기 흡착블럭의 흡착관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품을 상기 흡착블럭에 흡착하여 고정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블럭은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하부흡착블럭과 상기 제품과 접하는 상부흡착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흡착블럭의 흡착관로는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력을 배가하도록 모세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는 상기 제품이 감겨 저장되는 저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상기 제품의 폭만큼 함몰되어 상기 제품이 감겨지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제품의 돌출된 부분을 절삭팁에 의해 절삭하는 절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제품의 돌출된 부분을 연마사포로 연마하는 연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부에는 상기 가공다이에 안착되는 상기 제품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가공다이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품의 가공부위가 노출되도록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가공다이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승하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클램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이송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품이 안착되는 이송다이;
    상기 이송다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다이의 상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축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제품의 이송홀에 삽입되는 파지축을 형성한 파지블럭;
    상기 파지블럭이 승하강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 및
    상기 이송다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축이 상기 이송홀에 삽입시 상기 이송다이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동부는 상기 이송다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다이가 길이방향으로 안내되게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상에 치압되고, 상기 이송다이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이송다이를 이송시키는 이송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부의 타측에는 보조이송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이송부는 상기 제품이 안착되는 보조이송다이;
    상기 보조이송다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이송다이의 상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축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제품의 이송홀에 삽입되는 파지축을 형성한 보조파지블럭; 및
    상기 보조파지블럭이 승하강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가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이송다이는 상기 이송다이와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송다이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상에는 상기 제품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파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품이 안착되는 파지다이;
    상기 파지다이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축;
    상기 푸쉬축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품의 이동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품에 접하는 푸쉬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제품측으로 가압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상에는 상기 제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품이 안착되는 측정다이;
    상기 측정다이 상부로 기립되어 형성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블럭;
    상기 슬라이드블럭이 상기 설치대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실린더; 및
    상기 슬라이드블럭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다이측으로 측정침을 돌출 형성한 측정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럭은 상기 승하강실린더와 연결되고, 전면에 상기 측정게이지가 연결된 상부슬라이드블럭;
    상기 상부슬라이드블럭의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부슬라이드블럭;
    상기 상부슬라이드블럭과 상기 하부슬라이드블럭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하부슬라이드블럭이 이격거리만큼 이동되게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슬라이드블럭과 상기 하부슬라이드블럭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부의 후측에는 상기 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제품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다이;
    상기 안착다이의 외측을 감싸는 격벽; 및
    상기 제품측으로 연장되어 공기를 불어 상기 제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토출부를 포함하는 베젤의 가공장치.
KR1020090048185A 2009-06-01 2009-06-01 베젤의 가공장치 KR10110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85A KR101102946B1 (ko) 2009-06-01 2009-06-01 베젤의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85A KR101102946B1 (ko) 2009-06-01 2009-06-01 베젤의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60A KR20100129560A (ko) 2010-12-09
KR101102946B1 true KR101102946B1 (ko) 2012-01-10

Family

ID=4350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85A KR101102946B1 (ko) 2009-06-01 2009-06-01 베젤의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7509A (zh) * 2018-09-03 2018-11-06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光伏板边框双向倒角压紧装置
CN108942338A (zh) * 2018-09-03 2018-12-07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自动式光伏板边框倒角调正压紧机构
CN115401486B (zh) * 2022-09-27 2024-02-20 江苏神通核能装备有限公司 一种核电站用阀门密封件的加工工装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697A (ja) * 1996-10-31 1998-05-19 U H T Kk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フレキシブル基板等の軟質シートの穿孔装置
JPH11103005A (ja) * 1997-09-29 1999-04-13 Hitachi Cable Ltd 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KR20040021129A (ko) * 2002-09-02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신호 입력장치
KR200421129Y1 (ko) 2006-04-25 2006-07-07 김창수 Fpcb용 핫프레스 장치
KR100789979B1 (ko) * 2006-07-24 2008-01-02 최정곤 스텝메탈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697A (ja) * 1996-10-31 1998-05-19 U H T Kk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フレキシブル基板等の軟質シートの穿孔装置
JPH11103005A (ja) * 1997-09-29 1999-04-13 Hitachi Cable Ltd 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KR20040021129A (ko) * 2002-09-02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신호 입력장치
KR200421129Y1 (ko) 2006-04-25 2006-07-07 김창수 Fpcb용 핫프레스 장치
KR100789979B1 (ko) * 2006-07-24 2008-01-02 최정곤 스텝메탈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60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52335B (zh) 一种节流阀组装线
KR100575272B1 (ko) 배터리팩 자동용접장치 및 그 방법
CN207139496U (zh) 一种应用于3c行业的打磨工作站
CN112045531A (zh) 一种可对芯片进行测试和平整度检测的芯片打磨机构
KR20130010366A (ko) 사출제품의 게이트 사상장치
KR101102946B1 (ko) 베젤의 가공장치
KR20150044364A (ko) 반도체 스트립 그라인더
KR101873664B1 (ko) 워크 반전 지원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로봇 셀
JP5908757B2 (ja) 保持テーブルの良否判断方法
CN212683463U (zh) 一种可对芯片进行测试和平整度检测的芯片打磨机构
KR20060055055A (ko) 배터리셀 자동용접장치
CN108655904B (zh) 一种自动量测式上下槽体打磨线
CN101961886B (zh) 切削装置
CN217387095U (zh) 一种激光芯片测试分选机的顶针机构
JP5129681B2 (ja) 基板固定機構およびこれによる基板固定方法
CN116020779B (zh) 一种钢管检测机构、无缝钢管加工系统及其检测方法
CN107695846A (zh) 一种自动打磨、检测设备
JPWO2015001801A1 (ja) ガラス板の研削加工装置
CN108214120B (zh) 一种斧头打磨机器人
JP2009251529A (ja) 点灯検査装置
CN216442317U (zh) 自动更换砂纸机构
CN207139500U (zh) 一种自动打磨、检测设备
CN214503709U (zh) 可安装多种探针卡的测试探针台
JP5889025B2 (ja) 研削装置
CN207623165U (zh) 一种洛氏硬度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