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869B1 - 응축기 - Google Patents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869B1
KR101102869B1 KR1020060048822A KR20060048822A KR101102869B1 KR 101102869 B1 KR101102869 B1 KR 101102869B1 KR 1020060048822 A KR1020060048822 A KR 1020060048822A KR 20060048822 A KR20060048822 A KR 20060048822A KR 101102869 B1 KR101102869 B1 KR 101102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nd plate
condenser
tank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033A (ko
Inventor
민은기
윤종숙
장준일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869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5/00Reinforcing means
    • F28F2225/08Reinforcing means for header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 부분으로 각각 제작되어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헤더파이프에 있어서 조립 시 각 부분이 서로 규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돌기를 형성하되, 내구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응축기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튜브(120)와, 상기 튜브(120)들 사이에 개재되는 핀(130)과, 상기 튜브(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헤더파이프(11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헤더파이프(110)는, 상기 튜브(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엔드플레이트(112)와 상기 엔드플레이트(112)와 결합하여 내부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플레이트(111)를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엔드플레이트(112)가 규정된 위치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탱크플레이트(1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삽입규제리브가 탱크플레이트(1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삽입규제리브(115)는 탱크플레이트(111) 외측에서 함몰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싱하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삽입규제리브(115)는 탱크플레이트(111)의 길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응축기, 증발기, 헤더탱크, 헤더파이프, 결합, 조립, 삽입규제, 정지

Description

응축기 {A Condenser}
도 1은 기본적인 응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응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응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 헤더파이프 제작과정을 도시한 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응축기
110: 헤더파이프 111: 탱크플레이트
112: 엔드플레이트 113: 튜브삽입홈
114: 삽입규제돌기 115: 삽입규제리브
120: 튜브 130: 핀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 부분으로 각각 제작되어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헤더파이프에 있어서 조립 시 각 부분이 서로 규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돌기를 형성하되, 내구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응축기는, 압축기에 의해 고온 및 고압 상태가 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액화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증발기에서는 이와 반대로 팽창기에 의해 저온 및 저압 상태가 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냉매가 기화에 필요한 열을 흡수하여 냉매 자체는 기화되고 주변의 열은 흡수되게 하는 장치로서, 이와 같은 특성으로 알 수 있듯이 증발기와 응축기는 거의 그 기능과 구조가 비슷한 경향이 있다. 응축기나 증발기 모두, 그 내부로 냉매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주변과의 열교환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일반적으로 응축기 또는 증발기는 도 1과 같은 구조로 제작되어 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단에 헤더파이프(110)가 있고 그 사이를 다수 개의 튜브(120)로 연결하여 냉매를 유통시키며, 튜브(120)들 사이에는 핀(130)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서, 그 내부에서의 냉매의 흐름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 헤더파이프(110)에 냉매가 유입되면, 이 냉매는 헤더파이프(110) 일측에 개통된 다수 개의 얇은 튜브(120)를 따라 흘러가게 된다. 튜브(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얇은 납작관 형태를 가 지고 있으며 보통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튜브(120) 내를 흘러가는 냉매는 외부와의 열교환이 매우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열교환이 더욱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튜브(120)들 사이에 열전달면적을 넓히기 위한 핀(130)이 구비된다. 튜브(120)를 통해 흘러간 냉매는 타측 헤더파이프(110)로 유입된다. 도 1에서는 간단한 냉매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해 상하에 헤더파이프가 1개씩만 구비되어 있고, 상측 헤더파이프로 냉매가 유입되어 하측 헤더파이프로 냉매가 유출되도록 설계된 매우 간단한 응축기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실제 사용되는 응축기들은 헤더파이프(110)를 다열 가지며 헤더파이프(110) 내부에 배플이 구비되거나 헤더파이프(110)의 인접한 열끼리 서로 개통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서 보다 원활하게 흐르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게 할 수 있는 냉매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1(B)는 도 1(A)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파이프(110)는 탱크플레이트(111)와 엔드플레이트(112)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엔드플레이트(112)에 뚫려 있는 튜브삽입홈(113)으로 다수 개의 튜브(120)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태이다. 여기에서 상기 탱크플레이트(111) 및 엔드플레이트(112)의 결합 형태에 관한 기술 중, 일본특허공개 제2002-350089호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플레이트(도 2의 310)에 엔드플레이트(도 2의 320)가 삽입될 때 규정된 위치까지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규제돌기(도 2의 313)를 복수 개 형성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삽입규제돌기(도 2의 313)를 형성함으로써 엔드플레이트(도 2의 320)의 단부가 삽입규제돌기(도 2의 313)에 접촉 지지되게 된다.
그런데 탱크플레이트와 엔드플레이트를 삽입 결합시킬 때에는, 탱크플레이트의 엔드플레이트가 삽입되는 부분이 엔드플레이트보다 조금 좁게 제작하여 매우 강한 힘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엔드플레이트 단부가 꽉 눌리면서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삽입규제돌기는 이러한 과정에서 부러지는 등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삽입규제돌기는 일반적인 프레스 공정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른 부분보다 절곡부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취약점이 되게 된다. 헤드탱크에 이러한 취약점이 존재하게 되면 CO2와 같은 고압에서 운용되는 냉매를 사용할 경우 내구성 및 제품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응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축기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튜브(120)와, 상기 튜브(120)들 사이에 개재되는 핀(130)과, 상기 튜브(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헤더파이프(11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헤더파이프(110)는, 상기 튜브(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엔드플레이트(112)와 상기 엔드플레이트(112)와 결합하여 내부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플레 이트(111)를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엔드플레이트(112)가 규정된 위치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탱크플레이트(1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삽입규제리브가 탱크플레이트(1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삽입규제리브(115)는 탱크플레이트(111) 외측에서 함몰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싱하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삽입규제리브(115)는 탱크플레이트(111)의 길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내측 돌출부의 너비(w 1)는 외측 함몰부의 너비(w 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내측 돌출부의 너비(w 1)는 외측 함몰부의 너비(w 2)의 50% 이상 내지 9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내측 돌출부의 높이(h 1)는 엔드플레이트(112)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내측 돌출부의 높이(h 1)는 엔드플레이트(112) 두께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외측 함몰부의 높이(h 2)는 엔드플레이트(112) 두께의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를 첨부된 도 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삽입규제돌기가 형성된 응축기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는 탱크플레이트(111)의 외벽면에서 볼 때 반구형으로 함몰해 들어가서 내벽면에서 볼 때 역시 반구형으로 돌출해 올라오는 형태로 형성된다. 탱크플레이트(111) 위에는 이와 같은 삽입규제돌기(114)가 엔드플레이트(112)에 접촉되는 선을 따라 Z축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게 된다.
도 3(B)는 도 3(A)에서 헤더파이프(100)를 A-A' 선을 따라 Z축에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확대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탱크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게 되는데,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만들어지는 경우 외벽면에서 함몰된 부분과 내벽면에서 돌출된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 모양을 이루게 된다. 탱크플레이트(111)의 두께를 t라 하고,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 반원형 단면의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와 같은 삽입규제돌기(114)가 형성되었을 때 가장 얇아지는 부분의 두께 t'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112006038482173-pat00001
……… 식(1)
이 때, 삽입규제돌기(114)는 탱크플레이트(111)와 엔드플레이트(112)를 서로 조립하기 위해 엔드플레이트(112)를 삽입할 때 규정된 위치 이상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의 높이 r(돌기는 반구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돌기의 높이와 반지름은 같다)은 엔드플레이트(112)의 두께에 대해 최소한 50% 이상은 되어야 한다. 만일 엔드플레이트(112)의 두께와 탱크플레이트(111)의 두께가 같다고 하고, 삽입규제돌기(114)의 높이 r을 0.5t로 가정하면, 상기 식(1)에 의해 t'는 약 0.618t 정도의 값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끝단부가 반구형 형상을 가진 프레스를 사용하여 가공하게 되는데, 만일 반구형 형상까지가 아니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1만큼 더 깊이 프레싱하게 된다면, 상기 t' 값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38482173-pat00002
……… 식(2)
이러한 경우 종래 형태의 삽입규제돌기(114) 높이는 r+d 1이 되는데, 상기 도 3(B)의 조건과 같이 돌기 높이가 플레이트 두께의 50%가 된다는 조건을 사용하고, 상기 d 1r의 30%라고 가정할 때, 상기 식(2)에 의해 t'는 약 0.486t가 되어 더욱 얇아지게 된다.
만일 반구형 형상의 끝단부를 가진 프레스로 가공하되 반구형 끝까지 프레싱하는 게 아니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2만큼 덜 깊이 프레싱하게 된다면, 상기 t'값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38482173-pat00003
……… 식(3)
이 경우에는 종래 형태의 삽입규제돌기(114) 높이는 r-d 2가 되고, 마찬가지 로 돌기 높이가 플레이트 두께의 50%가 된다는 조건을 사용하며, d 2r의 30%라고 가정할 때, 상기 식(3)에 의해 t'는 약 0.676t가 된다. 이와 같은 식으로 설계하면 프레싱 가공에 의해 절곡되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아지는 경향을 약간 감소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식으로 반구형의 끝까지 프레싱하지 않는 경우에는 끝부분의 경사가 완만하게 올라가게 되어, 엔드플레이트(112)가 종래 형태의 삽입규제돌기(114)에 걸려 멈추어야 하는데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엔드플레이트(112)가 그냥 밀려들어가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 형태를 사용하여 설계 시 완만한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이면 기능성(즉 엔드플레이트(112)가 규정된 위치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막는 기능)이 낮아지고, 기능성을 높이면 심한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플레이트 두께보다 매우 얇아지는 부분이 생기게 되어 내구성이 낮아지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플레이트(111) 위에 점점이 다수 개 형성되게 되는데, 결국은 엔드플레이트(112)가 삽입 조립될 때 각 삽입규제돌기(114), 즉 매우 적은 크기의 국소점에 삽입되는 힘이 모두 집중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는 절곡부의 두께가 플레이트의 원래 두께보다 심하게 얇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집중된 힘을 받게 되면 파괴될 가능성이 매우 커지게 된다. 따 라서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의 자체 형상 뿐 아니라 배열 형태 자체에 있어서도 내구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품 자체의 내구성, 조립성, 수명 등의 문제 뿐만 아니라, 실제 돌기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또한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삽입규제돌기(114)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설계에 의해 프레싱할 경우 프레스 펀치는 돌기의 크기와 같아야 하기 때문에 매우 가느다란 형상이 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가느다란 형상의 프레스 펀치로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프레스 펀치가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 프레스 펀치의 형상을 끝단이 반구형으로 된 원추형과 같은 형상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 정확하게 프레싱 깊이를 맞추지 않고 조금이라도 더 깊이 프레싱하게 되면 상기 도 3(D)에서와 같은 원리로 기능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돌기가 형성되게 된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삽입규제돌기(도 3의 114)의 단점을 개선한 삽입규제리브(115)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삽입규제리브(115)는 엔드플레이트(112)가 규정된 위치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하되, 종래의 삽입규제돌기(도 3의 114)에서처럼 국소점에 힘이 집중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라 장방형의 넓은 면적에 힘이 분산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 형태가 아니라 리브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처럼 돌기 형태일 경우 다수 개의 국소점에 엔드플레이트(112)의 강한 삽입력이 집중됨으로써 삽입규제 부가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삽입력이 삽입규제부의 전 면적에 걸쳐 넓게 분산되도록 하여 삽입규제부가 입는 충격을 줄이고 파손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4(B)와 같이 삽입규제리브(115)가 단속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삽입규제리브(115)가 도 4(B)와 같이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삽입규제리브(115)는 장방형, 즉 탱크플레이트(111)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긴 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삽입되는 엔드플레이트(112)를 지지하는 강성이 더 강해질 수 있다. 물론 이 때 삽입규제리브(115)의 단면이 장방형이라는 것은 상기 단면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인 것, 타원형인 것,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등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의 어떤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규제리브(115)는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만들어지는 형태와는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에서는, 프레싱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의 형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도 4(C)에 도시된 삽입규제리브(115)는 돌출부와 함몰부의 형상이 동일하지 않다. 도 5는 이와 같은 삽입규제리브(115)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를, 원하는 삽입규제리브(도 4의 115) 돌출부 너비 w 1만큼의 너비를 갖는 홈이 형성된 다이 위에 배치하고, 상기 w 1보다 넓은 펀치로 프레싱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에 의해 플 레이트가 강하게 눌려지면, 상기 다이에 형성된 홈으로 플레이트 자재가 밀려나와 돌출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다이 홈의 너비에 맞게 상기 돌출부의 너비는 w 1이 되게 된다. 도 5(C)를 보면, 돌출부 단면의 너비는 w 1, 높이는 h 1, 면적은 S 1으로 표시하였고, 함몰부 단면의 너비는 w 2, 높이는 h 2, 면적은 S 2으로 표시하였는데, 이 각각의 수치들이 이루는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38482173-pat00004
……… 식(4)
식(4)에서 보이고 있듯 돌출부 및 함몰부는 그 단면 형상이 다르다 하여도 면적은 동일하게 된다. 만일 종래의 삽입규제돌기(도 3의 114)와 같은 조건, 즉 플레이트 두께 t의 50%만큼의 높이 h 1을 갖는 삽입규제리브를 형성하게 하려고 한다면, 상기 식(4)를 이용하여 적절한 w 1, w 2, h 2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돌출부의 치수를 h 1은 0.5t로 하고 w 1은 0.7t로 하였을 때, 함몰부의 너비는 돌출부 너비의 2배로 설정하여 w 2를 1.4t로 설정하면 함몰부의 높이 h 2는 0.25t가 된다. 여기에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으로 삽입규제리브가 형성된 부분에서 원래 플레이트의 두께 t와 달라지는 부분의 두께는 t' 1t' 2가 되는데, 상기 t' 1t' 2의 수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6038482173-pat00005
……… 식(5)
상기 수치들(h 1=0.5t, w 1=0.7t, h 2=0.25t, w 2=1.4t)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t' 1은 0.75t, t' 2는 1.25t가 되어, 도 3에서 보인 삽입규제돌기(114)와 비교하였을 때 삽입규제부 형성 부위에서 생기는 두께의 감소 경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3에서 보인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에서는 굴곡에 의해 그 두께가 계속 변화하는데 반해, 도 4 및 도 5에 보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삽입규제리브(115)는 탱크플레이트(111) 내측에 대하여 돌출부 및 외측에 대하여 함몰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고르게 유지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어떤 충격이 가해졌을 때 힘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삽입규제리브(115)는 또한,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삽입규제돌기(114)는 적당한 크기와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해 가느다란 형성의 프레스 펀치를 사용하여야 하며, 가공재인 플레이트 자체가 금속 재질로서 강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 과정에서 상기 프레스 펀치가 손상되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의 너비 w 1만큼 얇은 너비의 펀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보다 넓은 w 2만큼의 너비를 갖는 펀치를 사용함으로써, 펀치 자체의 강도가 강화되어 가공 중에 손상될 가능성을 훨씬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가공의 용이성과 공구교체비용 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 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더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탱크플레이트에 엔드플레이트를 삽입 결합시킬 때, 본 발명에 의한 삽입규제리브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엔드플레이트가 규정된 위치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규제리브의 형상의 특징점에 의하여 엔드플레이트 삽입 힘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시 손상을 방지하고, 절곡부의 두께가 심하게 얇아지는 것을 피할 수 있는 형상 설계로서 내구성 향상 및 제품 수명 연장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튜브(120)와, 상기 튜브(120)들 사이에 개재되는 핀(130)과, 상기 튜브(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헤더파이프(11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헤더파이프(110)는, 상기 튜브(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엔드플레이트(112)와 상기 엔드플레이트(112)와 결합하여 내부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플레이트(111)를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엔드플레이트(112)가 규정된 위치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탱크플레이트(1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삽입규제리브가 탱크플레이트(1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규제리브(115)는 탱크플레이트(111) 외측에서 함몰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싱하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내측 돌출부의 너비(w 1)는 외측 함몰부의 너비(w 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는
    탱크플레이트(111)의 길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내측 돌출부의 너비(w 1)는 외측 함몰부의 너비(w 2)의 50% 이상 내지 9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내측 돌출부의 높이(h 1)는 엔드플레이트(112)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내측 돌출부의 높이(h 1)는 엔드플레이트(112) 두께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규제리브(115)의 외측 함몰부의 높이(h 2)는 엔드플레이트(112) 두께의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KR1020060048822A 2006-05-30 2006-05-30 응축기 KR101102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822A KR101102869B1 (ko) 2006-05-30 2006-05-30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822A KR101102869B1 (ko) 2006-05-30 2006-05-30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033A KR20070115033A (ko) 2007-12-05
KR101102869B1 true KR101102869B1 (ko) 2012-01-11

Family

ID=3914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822A KR101102869B1 (ko) 2006-05-30 2006-05-30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07B1 (ko) * 2009-09-28 2015-06-1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스켓 씹힘에 의한 불량을 확인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795A (ja) * 1992-04-16 1994-04-28 Valeo Thermique Moteur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の管状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795A (ja) * 1992-04-16 1994-04-28 Valeo Thermique Moteur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の管状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033A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1258B2 (ja) 熱交換器
US7749609B2 (en) Metal plate for producing flat tube, flat tub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flat tube
JP5139661B2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マニホールドの製造方法
JP2006522306A (ja) 熱伝達体
JP5861549B2 (ja) チューブ及び該チューブを備えた熱交換器
JP2007147172A (ja) 熱交換器
JP2007163040A (ja) 熱交換器用ヘッダタンクおよびこれに用いる外側プレートの製造方法
US20010018970A1 (en) Heat exchanger
WO2019056951A1 (zh) 微通道换热器的扁管以及微通道换热器
KR20040082571A (ko) 핀-튜브 일체형 열교환기
KR101102869B1 (ko) 응축기
JP2005265356A (ja) 熱交換器
EP1857763A2 (en) Header for high pressure heat exchanger
JP2017129302A (ja)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188564B2 (ja) 熱交換器
KR101497368B1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구조
KR101353314B1 (ko) 열교환기
US20240011721A1 (e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manufacturing method
JP2010032128A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
WO2003008891A1 (fr) Echangeur de chaleur
JP2006017442A (ja) 熱交換器
JP2002357395A5 (ko)
JP4334266B2 (ja) 熱交換器のヘッダ構造
KR100517925B1 (ko) 핀-튜브 일체형 열교환기
EP1744116A2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