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078B1 -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실내 기류 분포장치 - Google Patents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실내 기류 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078B1
KR101102078B1 KR1020110071740A KR20110071740A KR101102078B1 KR 101102078 B1 KR101102078 B1 KR 101102078B1 KR 1020110071740 A KR1020110071740 A KR 1020110071740A KR 20110071740 A KR20110071740 A KR 20110071740A KR 101102078 B1 KR101102078 B1 KR 10110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tent
storage
airflow
worksh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
Original Assignee
(주)시그마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그마파워 filed Critical (주)시그마파워
Priority to KR102011007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실내 냉각기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일정한 압력과 고른 풍량으로 안정적으로 저장고 또는 작업장 내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일측 끝단부는 개방되고 타측 끝단부는 폐쇄되어 저장고 또는 작업장에 설치된 실내 냉각기로부터 불어오는 기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방된 일측 끝단부가 상기 실내 냉각기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내부의 기류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 배출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막 덕트; 및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의 내부 상단부에 상기 천막 덕트를 취부시키는 덕트 행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실내 기류 분포장치{Distribution apparatus of an indoor air current for storeroom or workings}
본 발명은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냉각기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일정한 압력과 고른 풍량으로 안정적으로 저장고 또는 작업장 내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저장고는 내부에 각종 농산물을 파렛트를 사용하여 적재한 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농산물 저장고 내에는 적재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내 냉각기가 설치된다.
최근에는 상기 농산물 저장고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대규모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상기 농산물 저장고의 실내 높이도 3단으로 파렛트 적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농산물 저장고가 대규모화됨으로서 실내 냉각기만으로 농산물 저장고 전체의 강제통풍 대류를 통하여 농산물 저장고 내의 고른 온도 분포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움으로, 최근에는 농산물 저장고의 균일한 온도 분포를 위하여 상기 농산물 저장고 내에 덕트를 설치하여 상기 실내 냉각기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상기 덕트를 통해서 농산물 저장고 내로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농산물 저장고 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덕트는 일반적으로 목재 덕트를 사용함으로서 그 중량이 무거워 농산물 저장고의 천장 구조체에 많은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천장 구조체의 구조적 보강이나 목재 덕트의 하중을 감안한 농산물 저장고의 설계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재 덕트는 설치가 매우 어렵고 복잡하여 설치 공수가 매우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농산물 저장고의 제작비용 또한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습기가 많은 농산물 저장고의 특성상 상기 농산물 저장고 내 습도에 의한 곰팡이가 목재 덕트 내에 기생함으로써 2차 농산물 피해를 입히는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목재 덕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실내 높이가 낮은 농산물 저장고에서는 적재 농산물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생상의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일측 끝단부는 개방되고 타측 끝단부는 폐쇄되어 저장고 또는 작업장에 설치된 실내 냉각기로부터 불어오는 기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방된 일측 끝단부가 상기 실내 냉각기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내부의 기류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 배출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막 덕트; 및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의 내부 상단부에 상기 천막 덕트를 취부시키는 덕트 행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류 분포장치는, 상기 천막 덕트와 실내 냉각기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류 분포장치는, 상기 가이드 베인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류 분포장치는, 상기 천막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막 덕트는 방수 코팅처리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덕트 행거는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천막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배출구는, 상기 천막 덕트의 측면부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류 배출구는 상기 천막 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천막 덕트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와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천막 덕트 내측면에 부착되는 메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실내 냉각기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천막 덕트를 통해 균일한 풍량으로 고르게 안정적으로 저장고 또는 작업장 내로 공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물품에 기류가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여 적재물품의 직접적 냉해 등과 같은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벼운 천막 덕트를 사용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작 및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막 덕트를 방수 처리함으로써 습기가 많은 저장고나 작업장 내에서도 곰팡이가 생성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성과 청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베인과 균압기를 설치하여 천막 덕트 내에 균일한 압력과 풍량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음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막 덕트 내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어야만 개방되는 기류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고른 풍량과 압력으로 기류 배출구를 통해 실내 냉각기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저장고 또는 작업장 내로 배출시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저장고 또는 작업장 전체적으로 걸쳐 균일한 온도 분포를 형성할 수 있어 고품질의 신선 적재물품을 오랜 시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소음에 의하여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하여 작업 환경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막 덕트가 롤러를 통해 와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천막 덕트에 균압기를 설치하여 실내 냉각기로부터 공급되는 기류의 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파를 대폭 완충시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제작 및 설치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위생성과 청정성을 향상은 물론, 고품질의 신선 적재물품을 오랜 시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내구수명의 향상으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류 분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의 상세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덕트 행거에 의해 천막 덕트가 취부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1의 B의 상세도
도 6은 가이드 베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천막 덕트에 균압기가 설치된 예시도
도 8은 천막 덕트가 설치된 상태들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류 분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천막 덕트(100)와 덕트 행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막 덕트(100)는 일측 끝단부는 개방되고 타측 끝단부는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막 덕트(10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천막 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류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천막 덕트(100)는 개방된 일측면이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에 설치된 실내 냉각기(3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배출구(101)는 상기 실내 냉각기(30)로부터 천막 덕트(100) 내부로 유입된 기류가 상기 천막 덕트(100) 외부로 고른 분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천막 덕트(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걸이(102 : 도 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천막 덕트(100)는 방수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천막 덕트(100)는 가볍고 저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 코팅 처리됨으로써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습기에 강하여 내곰팡이성을 가지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상기 덕트 행거(110)는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부에 상기 천막 덕트(100)를 취부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기류 배출구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A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류 배출구(101)는 천막 덕트(100)의 측면부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류 배출구(101)를 천막 덕트(100)의 측면부 상단부에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기류 배출구(101)를 통해 천막 덕트(100) 외부로 배출되는 저온의 기류가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적재 물품의 직접적인 냉해 등과 같은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기류 배출구(101)의 일측 끝단부, 즉 실내 냉각기(30)와 인접한 기류 배출구(101)의 일측 끝단부는 천막 덕트(100)의 일측 끝단부가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기류 배출구(101)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실내 냉각기(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천막 덕트(100)의 일측 끝단부와 1m 내지 1.5m 정도 이격되도록 상기 기류 배출구(1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기류 배출구(101)의 일측 끝단부를 천막 덕트(100)의 일측 끝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기류 배출구(101)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기류 배출구(101)를 통해 배출되는 저온의 기류가 적재 물품과 충분히 열교환된 후 실내 냉각기(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류 배출구(101)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01a)와, 메시(Mesh)부재(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01a)는 상기 천막 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천막 덕트(100)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부재(101b)는 상기 절개부(101a)와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천막 덕트(100)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시부재(101b)는 상기 절개부(101a)와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천막 덕트(100) 내측면에 봉재 처리되어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류 배출구(101)는 실내 냉각기(30)의 팬 모터(300)가 작동되어 기류가 천막 덕트(100) 내로 유입되어 상기 천막 덕트(100)의 폐쇄된 타측 끝단부에서부터 기류가 서서히 차올라 천막 덕트(100) 내부 전체에 기류가 차게 되어 천막 덕트(1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메시부재(101b)를 통과한 기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절개부(101a)가 밀려 개방됨으로써 천막 덕트(100) 내부의 저온의 기류가 천막 덕트(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덕트 행거에 의해 천막 덕트가 취부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천막 덕트(1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에 1열로 설치된 덕트 행거(110)에 의해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부에 취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막 덕트(10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에 2열로 설치된 덕트 행거(110)에 의해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부에 취부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로 설치된 덕트 행거(110)에 의해 천막 덕트(100)를 저장고 또는 작업장(20) 내부 상단부에 취부시킬 경우에는 상기 천막 덕트(100)에 기류가 유입되면 상기 천막 덕트(100)의 단면형상이 원형 형태가 된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로 설치된 덕트 행거(110)에 의해 천막 덕트(100)를 저장고 또는 작업장(20) 내부 상단부에 취부시킬 경우에는 상기 천막 덕트(100)에 기류가 유입되면 상기 천막 덕트(100)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 형태가 된다.
따라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로 설치된 덕트 행거(110)에 의해 천막 덕트(100)를 저장고 또는 작업장(20) 내부 상단부에 취부시키는 경우가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적재 높이를 더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덕트 행거(11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 행거(110)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111), 적어도 하나의 롤러(112), 연결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덕트 행거(110)의 와이어(111)는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111)는 양측 끝단부가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와이어(111)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에 설치된 실내 냉각기(300)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부는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타측에 위치한 내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롤러(112)는 와이어(11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111)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112)는 상기 와이어(111)와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덕트 행거(110)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실내 냉각기(30)의 팬 모터(300)가 작동되어 천막 덕트(100) 내부에 기류가 유입되면 상기 천막 덕트(100)의 타측 끝단부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유체에 의한 충격파가 발생되어 롤러(112)가 와이어(111)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112)가 와이어(111)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마모 발생 현상을 줄여주게 되어 덕트 행거(110)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113)는 상기 롤러(112)에 상단부가 연결되며 하단부는 상기 천막 덕트(100)의 연결 걸이(10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13)로는 비너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 베인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B의 상세도이며, 도 6은 가이드 베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상기 천막 덕트(100)와 실내 냉각기(30)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베인(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20)은, 케이스(121), 정류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가이드 베인(120)의 케이스(121)는 일측 끝단부에 플랜지(121a)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21a)가 다수개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내 냉각기(30)에 플랜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천막 덕트(10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21)의 타측 끝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천막 덕트(100)의 일측 끝단부는 밴드(123)에 의해 상기 케이스(121)에 연결 고정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21)의 외주면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천막 덕트(100)를 케이스(121)에 연결 고정시키는 밴드(123)가 케이스(121)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턱(121b)이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류판(122)은 다수개의 기류 분배구(122a)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2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류판(122)은 실내 냉각기(30)의 팬 모터(300)가 작동됨에 따라 실내 냉각기(30)로부터 천막 덕트(100)로 공급되는 기류의 선회류 및 와류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팬 모터(300)에 의해 공급되는 기류가 천막 덕트(100) 내부로 안정적으로 더 멀리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기류에 의해 천막 덕트(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천막 덕트(100)의 내구년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기류가 공급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현격하게 줄여줄 수 있어 소음에 의하여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장 내에도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류 분포장치는 상기 가이드 베인(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 히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 히터(130)는 상기 가이드 베인(120) 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 냉각기(30)와 정류판(1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베인(120) 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류 분포장치는 가이드 베인(120)의 내부에 가열 히터(130)를 더 설치함으로써 실내의 열공급 또한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천막 덕트에 균압기가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상기 천막 덕트(100)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압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압기(140)는 상기 천막 덕트(100) 내부에 설치되되 중앙부에 기류 통과 홀(1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류 통과 홀(141)의 직경 단면적은 천막 덕트(100)의 직경 단면적의 1/2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균압기(14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균압기(140)는 천막 덕트(100)의 일정부위의 기류 유량의 통과 면적을 줄임으로써 실내 냉각기(30)에서부터 균압기(140)가 설치된 곳까지도 일정 이상의 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천막 덕트(100)의 폐쇄된 타측 끝단부에 풍량이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그리하여, 천막 덕트(100) 전체적으로 기류에 의한 고른 압력 분포를 가지게 됨으로써 일정한 압력으로 기류 배출구(101) 전체를 통해 천막 덕트(100) 내부의 기류가 천막 덕트(100) 외부로 안정적으로 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실내 냉각기(30)의 팬 모터(300) 가동 시 유체가 파동 형식으로 천막 덕트(100)의 폐쇄된 타측 끝단부 측으로 밀려가 상기 폐쇄된 천막 덕트(100)의 타측 끝단부에서 충격파로 전달되는데, 상기 균압기(140)는 천막 덕트(100)의 폐쇄된 타측 끝단부로 이동되는 기류의 통과 면적을 줄여줌으로써 상기 천막 덕트(100)의 폐쇄된 타측 끝단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균압기(140)는 팬 모터(300) 가동 시 기류에 의하여 천막 덕트(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 베인(120)과 천막 덕트(100)의 연결부의 밴드(123)와 덕트 행거(110)의 와이어(111)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천막 덕트가 설치된 상태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천막 덕트(100)가 평행하도록 실내 냉각기(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천막 덕트(100)가 실내 냉각기(30)와 연결되되, 실내 냉각기(30)에서부터 천막 덕트(100)의 폐쇄된 타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된 거리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실내 냉각기(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냉각기(30)와 한 쌍의 천막 덕트(100)가 'U'자 형태가 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실내 냉각기(30)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천막 덕트(100)를 통해 균일한 풍량으로 고르게 안정적으로 저장고 또는 작업장(20) 내로 공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물품에 기류가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여 적재물품의 직접적 냉해 등과 같은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벼운 천막 덕트(100)를 사용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작 및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실내 높이가 낮은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에도 무리 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막 덕트(100)를 방수 처리함으로써 습기가 많은 저장고 또는 작업장(20) 내에서도 곰팡이가 생성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성과 청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 베인(120)과 균압기(140)를 설치하여 천막 덕트(100) 내에 균일한 압력과 풍량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천막 덕트(100) 내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어야만 개방되는 기류 배출구(101)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고른 풍량과 압력으로 기류 배출구(101)를 통해 실내 냉각기(30)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저장고 또는 작업장(20) 내로 배출시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저장고 또는 작업장(20) 전체적으로 걸쳐 균일한 온도 분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는 천막 덕트(100)가 롤러(112)를 통해 와이어(11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111)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천막 덕트(100)에 균압기(140)를 설치하여 실내 냉각기(30)로부터 공급되는 기류의 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파를 대폭 완충시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천막 덕트 (110) : 덕트 행거
(120) : 가이드 베인 (130) : 가열 히터
(140) : 균압기

Claims (8)

  1. 일측 끝단부는 개방되고 타측 끝단부는 폐쇄되어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에 설치된 실내 냉각기(30)로부터 불어오는 기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방된 일측 끝단부가 상기 실내 냉각기(30)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내부의 기류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 배출구(101)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막 덕트(100);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부에 상기 천막 덕트(100)를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 형태가 되도록 취부시키는 덕트 행거(110); 및
    상기 천막 덕트(100)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압기(140);를 포함하며,
    상기 기류 배출구(101)는, 상기 천막 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천막 덕트(100)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01a); 및 상기 절개부(101a)와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천막 덕트(100) 내측면에 부착되는 메시부재(101b);를 포함하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 덕트(100)와 실내 냉각기(30)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베인(120)을 더 포함하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120)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 히터(130)를 더 포함하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 덕트(100)는 방수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행거(110)는,
    상기 저장고 또는 작업장(20)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111);
    상기 와이어(11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111)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12); 및
    상기 롤러(112)에 천막 덕트(1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3);를 포함하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배출구(101)는,
    상기 천막 덕트(100)의 측면부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기류 분포장치.
  8. 삭제
KR1020110071740A 2011-07-20 2011-07-20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실내 기류 분포장치 KR10110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40A KR101102078B1 (ko) 2011-07-20 2011-07-20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실내 기류 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40A KR101102078B1 (ko) 2011-07-20 2011-07-20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실내 기류 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078B1 true KR101102078B1 (ko) 2012-01-04

Family

ID=4561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740A KR101102078B1 (ko) 2011-07-20 2011-07-20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실내 기류 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0368U (ko) * 1978-03-01 1979-09-10
JPS54130368A (en) * 1978-03-31 1979-10-09 Nittan Co Ltd Production of granular fertilizer containing organic substance
JP2008096086A (ja) * 2006-10-16 2008-04-24 Ootsuka:Kk 空調用空気吹出し装置
JP2008281276A (ja) 2007-05-10 2008-11-20 Fujimori Sangyo Kk 空調ダクト又は空調ダクト用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0368U (ko) * 1978-03-01 1979-09-10
JPS54130368A (en) * 1978-03-31 1979-10-09 Nittan Co Ltd Production of granular fertilizer containing organic substance
JP2008096086A (ja) * 2006-10-16 2008-04-24 Ootsuka:Kk 空調用空気吹出し装置
JP2008281276A (ja) 2007-05-10 2008-11-20 Fujimori Sangyo Kk 空調ダクト又は空調ダクト用部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84413A1 (en) Centrifugal Blower
KR101102078B1 (ko) 저장고 또는 작업장용 실내 기류 분포장치
US7022010B1 (en) Air conditioner with a circular air diffuser system
US10544949B1 (en) Air circulation apparatus for building
CN101624158B (zh) 电梯用吊索的供油装置以及具有该供油装置的电梯
ITPN960009U1 (it) Apparecchio frigorifero dotato di basamento perfezionato.
JP2015014445A (ja) 低温倉庫
EP3042881A1 (en) Glass tempering method and apparatus
CA3013610A1 (en) Grain storage bin with aeration system
JP4970454B2 (ja) 空気コンベア
US10302359B2 (en) Column narrowing divider for a grain dryer
US4841701A (en) Drying bin floors
KR101799824B1 (ko) 인서트 몰딩 롤러
WO2011026727A2 (de) Kältegerät mit einem luftstromteiler
US20110306286A1 (en) Grain bin aeration duct
KR20190047272A (ko) 유선형 그릴을 포함하는 환풍기
JP4584968B2 (ja) 貯蔵庫
KR101565771B1 (ko) 환기용 또는 냉.난방 공조장치용 그릴
CN205853227U (zh) 一种负压真空箱的匀风结构
CN203837121U (zh) 组合式空调机组
CN216072548U (zh) 盘具
US20210156579A1 (en) Air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platform
CN107747558B (zh) 挡风结构、网罩圈组件及包括网罩圈组件的风扇
CN208832920U (zh) 一种透气管带用烘干器
DE70555C (de) Trockenvorrichtung für Thonwaa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