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923B1 - 차량용 엔진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923B1
KR101101923B1 KR1020110053296A KR20110053296A KR101101923B1 KR 101101923 B1 KR101101923 B1 KR 101101923B1 KR 1020110053296 A KR1020110053296 A KR 1020110053296A KR 20110053296 A KR20110053296 A KR 20110053296A KR 101101923 B1 KR101101923 B1 KR 10110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astening
frame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봉
Original Assignee
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커버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상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엔진커버에 있어서, 엔진의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선단부가 엔진의 표면까지 형성된 완충부; 몸체로부터 연장되면서 엔진측으로 형성된 체결부재; 몸체에 장착되면서 몸체와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재; 완충부가 관통하도록 흡음재에 형성된 관통홀; 및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걸림결합되도록 흡음재에 형성된 체결홀;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엔진커버의 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에 흡음재가 끼워져 완전 체결됨에 따라 종래의 본딩 및 스냅링 체결과 같은 작업이 제거되어 작업 공수가 감소함은 물론 작업시간 감소 및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커버{Engine cov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에 장착되어 엔진의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도록 된 차량용 엔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는 엔진을 비롯하여 자동차의 운행에 필요한 여러장치들이 설치된다.
엔진은 자동차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써, 대략 실린더 블럭과 실린더 헤드, 실린더 블럭에 삽입되어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과 연결된 크랭크축, 크랭크축이 장착된 크랭크 케이스가 포함된다.
이러한 엔진(20)은 일반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의 보닛(10) 하측에 위치되고, 엔진(20)의 상면, 좀 더 자세하게는 실린더 헤드의 상면에 엔진커버(30)가 장착된다. 이 엔진커버(30)에 의해 엔진의 소음과 진동이 감소됨으로써 승차감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엔진커버(30)는 대략 몸체(31)와 흡음재(32)를 포함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엔진커버(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커버(30) 몸체(31)의 내면 즉, 몸체(31)와 엔진(20) 사이에 흡음재(32)가 장착되어 이루어졌다. 여기서, 몸체(31)와 흡음재(32)의 장착은 흡음재(32)가 몸체(31) 내면에 밀착되어 본딩(bonding)된 다음, 몸체(3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연장부(31a)가 흡음재(32)를 관통한 상태에서 연장부(31a)와 흡음재(32)가 체결되었다. 이때, 연장부(31a)와 흡음재(32)가 장착부재(32a)에 의해 체결되었다.
하지만, 장시간 동안 엔진(20)으로부터 전도(傳導)된 열 또는 진동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본딩의 부착력이 저하되면 몸체(31)와 흡음재(32)의 밀착된 면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들뜸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들뜸 현상에 의해 종국(終局)에는 몸체(31)와 흡음재(32)의 밀착면이 완전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이로 인해 흡음재(32)의 형태가 변형되기도 하였다.
또한, 흡음재(32)와 몸체(31)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면서 흡음재(32)의 들뜸 현상 및 변형을 저지하기 위한 장착부재(32a)의 체결이 들뜸 현상 및 변형에 의해 해제되어 몸체(31)로부터 흡음재(32)가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체결부재가 엔진커버의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흡음재가 체결부재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체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몸체와 흡음재의 체결력이 향상되면서 영구적으로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차량용 엔진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상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엔진커버에 있어서, 엔진의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 몸체로부터 연장되면서 엔진측으로 형성된 체결부재; 몸체에 장착되면서 몸체와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재; 및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걸림결합되도록 흡음재에 형성된 체결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부재는 몸체에 일단부가 체결되고, 체결홀을 관통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통과한 체결홀의 종단 테두리부위에 걸림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프레임은 체결플레이트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과 직교하면서 체결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세로프레임;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로프레임의 폭은 체결플레이트의 일측단부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세로프레임의 폭은 체결플레이트에서 가로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또한, 몸체와 결합되는 프레임의 일단부에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에서 상호 연접하는 각각의 측면에 기타부위보다 두께가 더 얇은 결합부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체결플레이트에서 프레임이 연접된 일면의 반대측 타면에 다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된다.
또한, 체결홀에서 일측단부의 테두리에는 체결부재에서 일단부의 테두리가 걸림결합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한편, 엔진의 표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다수의 완충부는 길이가 상호 상이하고, 진동 세기가 다른 엔진의 부위별 표면에 위치되는 각각의 완충부의 선단부에는 엔진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호 길이가 다른 진동흡수부재가 내장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커버의 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에 흡음재가 끼워져 완전 체결됨으로써, 종래의 본딩 및 스냅링 체결과 같은 작업이 제거되어 작업 공수가 감소함은 물론 작업시간 감소 및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진커버의 몸체와 흡음재의 체결력이 향상되고, 체결상태가 영구적으로 지속됨으로써, 사후 서비스의 부담 및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엔진커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커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몸체와 흡음재가 분리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체결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흡음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몸체의 체결부재와 흡음재의 체결홀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3에 도시된 몸체와 흡음재의 체결된 상태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커버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커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몸체와 흡음재가 분리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체결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몸체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흡음재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커버(100)는 몸체(200) 및 흡음재(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흡음재(300)는 몸체(200)와 엔진(20, 도 1 참조)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몸체(200)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엔진(20)측 측면에 다수의 리브(210)가 형성되고, 이 리브(210)는 몸체(200)의 강성을 강화하여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면서 흡음재(300)의 장착 공간을 확보하도록 다수 형성된다. 또한, 몸체(200)에는 흡음재(300)측 일면에 다수의 완충부(210)와 체결부재(22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200)는 강도 및 인성이 좋고, 흡음 및 전기 절연에 뛰어난 GF(Glass Fiber; 유리섬유), MF(멜라린 수지) 강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다. 물론, 완충부(210) 및 체결부재(220) 역시 몸체(200)와 동일한 재질이면서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완충부(210)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몸체(200)로부터 형성되어 흡음재(300)를 관통하여 엔진(20)의 표면까지 연장되고, 몸체(200)에서 형성되는 완충부(210)의 위치에 따라 완충부(210)의 길이가 상호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는 몸체(200)와 엔진(20)의 표면 간의 거리가 위치별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완충부(210)의 엔진(20)측 선단부에는 진동흡수부재(211)가 내장되고, 이 진동흡수부재(211)의 일단면이 엔진(20)의 표면과 접촉하게 배치된다. 이때, 진동흡수부재(211)에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길이는 완충부(210)의 형성 위치별, 달리 얘기하자면 완충부(210)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엔진(20)의 진동 세기 정도에 따라 상호 상이하다. 물론, 진동흡수부재(211)의 길이가 길수록 진동흡수 능력을 상승한다. 따라서, 엔진(20) 중 진동이 심한 부위에는 길이가 긴 진동흡수부재(211)가 설치되고, 다소 진동이 약한 부위에는 길이가 짧은 진동흡수부재(211)가 설치된다.
체결부재(2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흡음재(300)측 일면에 다수 설치되고, 몸체(200)와 체결부재(220)는 별도 제작되어 상호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220)는 흡음재(300)와 체결되는 부재로서, 설치 위치는 흡음재(300)와의 체결이 영구적으로 지속되고, 오랜 기간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에도 체결력에 의해 흡음재(300)와 몸체(200) 간의 접촉된 표면이 들뜨지 않는 최적의 위치를 선정한다. 물론, 몸체(200)의 표면에서의 오목한 부위와 볼록한 부위에 따른 흡음재(300)의 자중(自重)이 심각히 고려된다. 체결부재(220)의 형상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21) 및 체결플레이트(22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프레임(221)과 체결플레이트(222)는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에 따라 별도 제작되어 상호 부착될 수도 있다.
프레임(221)은 몸체(200)로부터 엔진(20)측으로 연장되어 흡음재(3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부재로서, 가로프레임(221a)과 세로프레임(221b)으로 분류된다. 가로프레임(221a)은 체결플레이트(22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세로프레임(221b)은 가로프레임(221a)과 직교하도록 체결플레이트(222)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가로프레임(221a)과 세로프레임(221b)은 상호 대략 "T"자 형상을 갖는다. 가로프레임(221a)과 세로프레임(221b)은 접촉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상호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가로프레임(221a)은 체결플레이트(222)의 일측단부의 길이보다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플레이트(222)의 일측단부는 가로프레임(221a)과 접촉된 부위를 일컫는다. 또한, 세로프레임(221b)은 체결플레이트(222)의 부착된 부위, 즉 가로프레임(221a)과 직교되는 부위의 길이보다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렇듯,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221b)의 폭은 체결플레이트(222)의 비교 부위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체결플레이트(222)에서 가로프레임(221a)과 세로프레임(221b)이 접촉된 부위 이외의 부위가 후술된 흡음재(300)의 체결홀(320)의 걸림턱(321)에 걸림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221)에는 몸체(200)와의 장착을 위해 몸체(200)와 결합되는 일단부이면서 가로프레임(221a)과 세로프레임(221b)이 연접(連接)하는 각각의 측면에 결합부(221c)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221c)는 타 부위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된 것으로, 경계부위에 일종이 결합단(段, 221d)이 형성된다. 물론, 결합부(221c)의 두께는 기타부위보다 약간 얇아 몸체(200)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을 정도이면 되고, 엔진(20)의 진동에 의해 파단(破斷)되지 않으며, 일정 외력 이하에서도 파단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체결플레이트(222)는 흡음재(300)가 몸체(200)에 견고히 밀착되고, 밀착된 상태가 영구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평면상에서의 형상은 원형에서 일측은 길이가 길게 절단되고, 타측은 일측보다 길이가 더 짧게 절단된 형상이다. 물론, 체결플레이트(222)의 평면 형상은 원형은 물론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222)의 길이가 긴 일측단부에 가로프레임(221a)이 연접되고, 길이가 긴 일측단부에서 길이가 짧은 타측단부까지 세로프레임(221b)이 연접된다. 물론 상술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221a)의 폭은 길이가 긴 일측단부의 길이보다 짧고, 세로프레임(221b)의 폭은 길이가 긴 일측단부에서 길이가 짧은 타측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체결플레이트(222)의 테두리는 가로프레임(221a) 및 세로프레임(221b)의 간섭없이 흡음재(300)의 체결홀(320)의 걸림턱(321)과 걸림결합하게 된다. 또한, 체결플레이트(222)에서 프레임(221)이 연접된 일면의 반대측 타면에 다수의 보강리브(222a)가 형성된다. 이 보강리브(222a)는 대략 "+"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교차되는 부위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교차부위에서 벗어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이다. 물론, 보강리브(222a)는 필요에 따라 방사상형태로 더 많은 개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흡음재(300)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몸체(200)와 밀착하도록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반대측 타면이 엔진(20)의 표면과 밀착하도록 형성된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또한, 흡음재(300)에는 몸체(200)에 형성된 완충부(210)와 체결부재(220)가 각각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310)과 체결홀(320)이 형성된다.
관통홀(310)은 완충부(210)가 끼워져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310)의 길이는 관통홀(310)의 종단이 완충부(210)의 진동흡수부재(211)가 내장된 선단부의 종단과 대략 일치하는 정도이다. 완충부(210)와 관통홀(310)이 상호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완충부(210)가 관통홀(310)에 끼워질 때 약간의 면접촉에 의한 마찰이 발생되지만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홀(320)은 체결부재(220)가 끼워져 삽입되어 걸림결합된다. 이때, 체결부재(220)의 체결플레이트(222) 테두리가 걸림결합되도록 체결홀(320)의 종단 테두리에 걸림턱(321)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턱(321)은 체결홀(320)의 종단 테두리에 전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5b에서와 같이, 체결플레이트(222)의 일단부에 가로프레임(221a)이 형성되어 체결플레이트(222)와 체결홀(320)이 걸리지 않는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체결플레이트(222)의 결합방향과 무관하게 어느 부위에서든 체결플레이트(222)와 걸림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몸체의 체결부재와 흡음재의 체결홀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면, 몸체(200)에 일단부가 연접된 체결부재(220)와 흡음재(300)에 형성된 체결홀(320)의 다른 실시예로서, 체결홀(320)이 흡음재(300)에 관통되지 않고 중간 부위까지만 형성된다. 물론, 체결홀(320)의 종단에 형성된 걸림턱(321) 역시 흡음재(300)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흡음재(300)에서 체결홀(320) 종단에서 엔진(20)측 외면까지의 부위에서도 흡음기능이 수행되므로 흡음재(300)의 흡음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체결부재(220)의 길이 역시 체결홀(320)의 길이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자세하게는 체결플레이트(222)는 크기는 동일하나 프레임(221)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물론, 체결부재(220)는 프레임(221)이 체결홀(320)에 마찰되면서 끼워지고, 체결플레이트(222)가 걸림턱(321)에 걸림되는 크기 및 길이를 갖는다.
한편, 완충부(210)와 관통홀(310)의 형상이 꼭 들어맞도록 상응하는 형상이 아닌 약간의 비정합(非整合)한 형상, 예를 들어 관통홀(310)은 상부와 하부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형상이고, 완충부(210)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더 큰 원기동형상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완충부(210)가 관통홀(310)에 끼워질 때는 약간의 마찰과 더불어 원할하게 삽입되지만 삽입 정도가 깊어지면 마찰력이 극대화되어 체결된 상태에서의 체결력이 상승됨으로써, 완충부(210)의 외면과 관통홀(310)의 내면 간의 마찰력에 의해 상호 이탈이 억제되도록 제작된다.
<조립 및 해제>
도 9a 및 도 9b는 도 3에 도시된 몸체와 흡음재의 체결된 상태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먼저, 9b에서와 같이 몸체(200)와 흡음재(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200)와 흡음재(300)가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결합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몸체(200)에 형성된 완충부(210) 및 체결부재(220)는 각각 흡음재(300)에 형성된 관통홀(310) 및 체결홀(320)에 끼워지도록 삽입한다. 따라서, 체결부재(220)의 체결플레이트(222)와 체결홀(320)의 걸림턱(321)의 걸림결합력에 의해 흡음재(300)는 체결홀(320)에 완전 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완충부(210)와 관통홀(310)의 면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몸체(200)와 흡음재(300) 간의 체결력을 조력하게 된다.
한편, 9a에서와 같이 몸체(200)와 흡음재(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20)의 체결플레이트(222)와 체결홀(320)의 걸림턱(321)의 걸린 상태를 해제하여 상호 분리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체결홀(320)의 걸림턱(321) 부위를 외향으로 늘린 다음 흡음재(300)를 약간 당겨 체결플레이트(222)와 체결홀(320)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를 반복하여, 각각의 체결플레이트(222)와 걸림턱(321)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몸체(200)와 흡음재(300)를 이격되도록 잡아당겨 상호 분리시킨다. 물론, 몸체(200)와 흡음재(300)는 평상시에서는 절대 분리되지 않아야 함이 당연하고, 필요한 경우 외력을 가해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엔진커버
200...몸체
210...완충부
211...충격흡수부재
220...체결부재
221...프레임
221a...가로프레임
221b...세로프레임
221c...결합부
221d...결합턱
222...체결플레이트
222a...보강리브
300...흡음재
310...관통홀
320...체결홀
321...걸림턱

Claims (8)

  1. 엔진(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엔진커버(100)에 있어서,
    상기 엔진(20)의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200);
    상기 몸체(200)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엔진(20)측으로 형성된 체결부재(220);
    상기 몸체(200)에 장착되면서 상기 몸체(200)와 상기 엔진(20)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재(300); 및
    상기 체결부재(220)가 관통하여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흡음재(300)에 형성된 체결홀(320)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220)는,
    상기 몸체(200)에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320)을 관통하는 프레임(221);
    상기 프레임(221)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통과한 상기 체결홀(320)의 종단 테두리부위에 걸림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22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21)은,
    상기 체결플레이트(222)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로프레임(221a); 및
    상기 가로프레임(221a)과 직교하면서 상기 체결플레이트(222)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세로프레임(221b);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221a)의 폭은 상기 체결플레이트(222)의 일측단부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세로프레임(221b)의 폭은 상기 체결플레이트(222)에서 상기 가로프레임(221a)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커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221)의 일단부에서 상기 가로프레임(221a)과 상기 세로프레임(221b)에서 상호 연접하는 각각의 측면에 기타부위보다 두께가 더 얇은 결합부(221c)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플레이트(222)에서 상기 프레임(221)이 연접된 일면의 반대측 타면에 다수의 보강리브(22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320)에서 일측단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체결부재(220)에서 일단부의 테두리가 걸림결합되도록 걸림턱(3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20)의 표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구비된 다수의 완충부(210)는 길이가 상호 상이하고, 진동 세기가 다른 상기 엔진(20)의 부위별 표면에 위치되는 각각의 상기 완충부(2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엔진(20)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호 길이가 다른 진동흡수부재(211)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커버.
KR1020110053296A 2011-06-02 2011-06-02 차량용 엔진커버 KR101101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96A KR101101923B1 (ko) 2011-06-02 2011-06-02 차량용 엔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96A KR101101923B1 (ko) 2011-06-02 2011-06-02 차량용 엔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923B1 true KR101101923B1 (ko) 2012-01-02

Family

ID=4561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296A KR101101923B1 (ko) 2011-06-02 2011-06-02 차량용 엔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9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6026A (ja) * 1998-07-24 2000-02-15 Tennex Corp プッシュナットによる部品締結構造
KR20040042458A (ko) * 2002-11-14 2004-05-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엔진커버
KR20090046238A (ko) * 2007-11-05 2009-05-11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엔진커버의 차체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6026A (ja) * 1998-07-24 2000-02-15 Tennex Corp プッシュナットによる部品締結構造
KR20040042458A (ko) * 2002-11-14 2004-05-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엔진커버
KR20090046238A (ko) * 2007-11-05 2009-05-11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엔진커버의 차체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76B1 (ko)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KR101096158B1 (ko) 콤프레서 마운팅 구조
JP6328476B2 (ja) クリップ
US10981441B2 (en) Torque rod
JP6157000B2 (ja) 防振装置
JP6545505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471758B1 (ko) 프로펠러샤프트용 장착장치
KR101101923B1 (ko) 차량용 엔진커버
KR101488645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JP5657265B2 (ja) 部材の固定構造
JP3195936U (ja) 階段板
KR102540927B1 (ko) 차량용 클립
JP2017214958A (ja) クリップ
CN105882365A (zh) 汽车天窗遮阳板限位块与天窗导轨的安装结构
CN103225663B (zh) 振动控制设备
CN110230684A (zh) 保持环
KR100654977B1 (ko) 후드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 구조
CN217872322U (zh) 一种尾门门锁加强板、尾门结构和车辆
CN216180282U (zh) 一种在电池安装口增加减震结构的电动工具
JP2010174586A (ja) 床構造及び床支持具
CN218000242U (zh) 缓冲垫以及车辆
KR101913116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어셈블리
KR20120069928A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탱크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JP2014055613A (ja) 緩衝装置用バンプストッパ
JP2009174609A (ja) 筒型防振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