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904B1 -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904B1
KR101101904B1 KR1020080073907A KR20080073907A KR101101904B1 KR 101101904 B1 KR101101904 B1 KR 101101904B1 KR 1020080073907 A KR1020080073907 A KR 1020080073907A KR 20080073907 A KR20080073907 A KR 20080073907A KR 101101904 B1 KR101101904 B1 KR 10110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s
far
washing
grain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492A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영 filed Critical 최재영
Priority to KR102008007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9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6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증숙에 이은 연속식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확된 곡물을 곡물의 알갱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건조시켜서 가공한 선식용 볶음곡물들을 유통시킴으로써 수요자가 원하는 볶음곡물들을 선택하여 선식용으로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입고 및 보관된 곡물을 세척하여 비중차에 의해 비중이 큰 돌들을 석발하는 세척 및 석발수단(10)과, 상기 세척 및 석발수단(10)을 거쳐 이송되어온 곡물을 침지시키는 침지수단(20)과, 상기 침지수단(20)에서 불려진 곡물을 이송하여 수증기를 2Kg∼4Kg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증숙하는 가압증숙수단(30)과, 상기 가압증숙수단(30)에서 증숙된 곡물을 이송하여 흡입팬(42)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1차 원적외선 가열기(43)에서 가열하여 흡입한 후, 본체(41) 내부에 형성된 2차 원적외선 가열기(44)로 가열하여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배기팬(45)이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여 곡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수단(40)과, 상기 원적외선 건조수단(40)을 거쳐 건조된 곡물을 이송하여 볶아 주는 볶음수단(50)과, 상기 볶음수단(50)에서 볶아진 곡물을 식혀서 이물질을 선별기(51)로 선별한 후, 클린룸으로 반입되는 곡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미립자를 고속의 에어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패스박스(60)와, 상기 패스박스(60)에서 위생적으로 선별된 곡물을 내포장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내포장된 곡물에 혼합된 미세한 금속을 선별하는 금속탐지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세척 및 석별수단, 가압증숙수단, 원적외선 건조수단

Description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UNSIK}
본 발명은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확된 곡물을 곡물의 알갱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건조시켜서 가공한 선식용 볶음곡물들을 유통시킴으로써 수요자가 원하는 볶음곡물들을 선택하여 선식용으로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식(禪食)은 신라시대의 화랑들이 풍류도를 수행하면서 명산대천을 찾아다닐 때에 휴대하기 간편하고 영양이 풍부한 자연건강 비법의 하나로 7가지 곡식을 섞어 만들어 먹었던 데에서 유래되었다. 7가지 곡식이란 현미, 찹쌀, 보리쌀, 검정콩, 검정깨, 들깨, 율무를 가리키는데, 이렇게 구성된 선식은 위에 부담이 적고 간편하며, 섬유질과 기름, 향미가 알맞게 혼합되어 포만감은 없어도 기력을 강화하고 유지시켜 맑고 총기 있는 정신건강을 지니게 해준다는 특징이 있다. 이후 선식은 승려나 수도자들이 오랜 기간 동안 토굴 참선 등 수도생활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하는 고단백 영양식으로 이어지다가 편리함과 영양가가 알려지면서 일반인들도 즐겨 먹는 식품으로 발전하였다. 지금은 7가지 곡식을 혼합한 일반 선식 외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미숫가루에 건조야채류, 버섯류, 구근류, 해산물, 과일 등을 첨가하여 즉석에서 가루로 만들어 판매하는 기능성 선식이 나와 현대인의 다양한 식생활에 변화를 주고 있다.
선식은 예전에 대개 미숫가루라고 불렸으며 전시에 비상식량으로 유용한 식품이었고 여름에는 더위를 피하는 거서식품으로, 또한 아기들을 위한 이유식으로 이용된 좋은 식품이다. 그리하여 어린이나 노인, 소화기가 약한 사람 등 모든 계층에서 일반 식품처럼 먹는 데 좋고, 소화기가 좋은 사람의 경우에도 다이어트나 특수 목적의 보조 영양섭취에 도움을 준다. 곡물 야채 등의 원재료는 풍부한 섬유질을 갖고 있는데, 섬유질은 소화를 지연시키고 음식물을 위장에 오래 머물게 하여 적게 먹고도 포만감을 느끼게 만든다. 또 콜레스테롤의 원료가 되는 담즙산을 흡착하여 함께 배설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낮추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런 까닭으로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고 이외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 변비 해소에 좋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식은 7가지 정도의 곡물을 선정하여 세척, 증숙, 건조, 볶음 공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곡물의 알갱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포장하거나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입자로 분말화 하여 포장한 후 수요자에게 판매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특허 10-0779808호의 "선식용 볶음 곡물의 제조방법"으로 공개되어 있지만, 볶음공정을 거치면서 곡물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거하지 않고 포장되므로 비위생적으로 제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볶음공정과 분쇄과정에서 마모되는 미세한 금속을 제거하지 않고 출하되므로 소비자의 건강을 해치는 폐단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곡물을 세척하여 증숙한 후, 건조하는 과정이 찬바람이나 열풍을 불어 넣어 건조하게 되므로 건조시간 오래 걸리거나 건조시 곡물 알갱이가 터지게 됨은 물론, 잘 건조되지 않아 복을 때 알갱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없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확한 곡물을 세척하여 증숙한 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곡물세척시 표면에 함유된 수분을 빨리 흡입하여 배출시켜서 건조하기 때문에, 곡물에 함유된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고, 또 터지지 않으므로 볶을 때 원형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볶을 수 있어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을 볶아서 포장하기 전에 볶음곡물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선별기와 패스박스에서 선별 및 제거한 후, 위생적으로 포장하여 출하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볶음곡물에 혼합된 미세한 금속을 선별과정에서 분리하지 못하고 내포장 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금속을 탐지하여 불량식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고 및 보관된 곡물을 세척하여 비중차에 의해 비중이 큰 돌들을 석발하는 세척 및 석발공정(S1)과,
상기 세척 및 석발공정(S1)을 거쳐 이송되어온 곡물을 침지시키는 침지공정(S2)과,
상기 침지공정(S2)에서 불려진 곡물을 이송하여 수증기로 가압, 증숙하는 가압증숙공정(S3)과,
상기 가압증숙공정(S3)에서 증숙된 곡물을 이송하여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공정(S4)과,
상기 원적외선 건조공정(S4)을 거쳐 건조된 곡물을 이송하여 볶아 주는 볶음공정(S5)과,
상기 볶음공정(S5)에서 볶아진 곡물을 식혀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공정(S6)과,
상기 이물질 분리공정(S6)을 거친 볶음곡물을 위생적으로 포장하기 위하여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미립자를 패스박스에서 고속의 에어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먼지제거공정(S7)과,
상기 먼지제거공정(S7)에서 위생적으로 선별된 곡물을 내포장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내포장된 곡물에 혼합된 미세한 금속을 선별하는 금속탐지공정(S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상기 먼지제거공정(S8)에서 위생적으로 선별된 볶음곡물을 분쇄하는 분쇄공정(S9)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고 및 보관된 곡물을 세척하여 비중차에 의해 비중이 큰 돌들을 석발하는 세척 및 석발수단(10)과,
상기 세척 및 석발수단(10)을 거쳐 이송되어온 곡물을 침지시키는 침지수단(20)과,
상기 침지수단(20)에서 불려진 곡물을 이송하여 수증기를 2Kg∼4Kg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증숙하는 가압증숙수단(30)과,
상기 가압증숙수단(30)에서 증숙된 곡물을 이송하여 흡입팬(42)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1차 원적외선 가열기(43)에서 가열하여 흡입한 후, 본체(41) 내부에 형성된 2차 원적외선 가열기(44)로 가열하여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배기팬(45)이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여 곡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수단(40)과,
상기 원적외선 건조수단(40)을 거쳐 건조된 곡물을 이송하여 볶아 주는 볶음수단(50)과,
상기 볶음수단(50)에서 볶아진 곡물을 식혀서 이물질을 선별기(51)로 선별한 후, 클린룸으로 반입되는 곡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미립자를 고속의 에어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패스박스(60)와,
상기 패스박스(60)에서 위생적으로 선별된 곡물을 내포장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내포장된 곡물에 혼합된 미세한 금속을 선별하는 금속탐지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원적외선 건조수단(40)의 1차 및 2차 원적외선 가열기의 온도를 100℃∼130℃로 가열하여 곡물을 20분 내지 60분 정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상기 패스박스(60)에서 위생적으로 선별된 볶음곡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확된 곡물을 위생적인 생산설비인 가압증자에 이은 연속식 원적외선 건조방법에 의해서 곡물이 터지지 않고 원형 그대로 건조되어 볶아 선식용으로 식품을 가공하고 때문에, 위생적이고 품질이 우수함은 물론 곡물의 맛을 배가시켜 주므로 소비자가 안심하고 구입하여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분쇄과정에서 발생 되어 곡물에 혼합된 금속을 선별과정에서 선별하지 못하고 내포장 되어 이송할 때 최종적으로 금속탐지수단에서 선별하기 때문에 보다 위생적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볶음곡물을 선식용으로 포장하기 위한 공정으로, 창고 등에 입고 및 보관된 곡물을 세척하여 비중차에 의해 비중이 큰 돌들을 석발하기 위한 세척 및 석발공정(S1)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세척 및 석발공정(S1)을 거쳐 이송되어온 곡물을 불리기 위하여 침지시키는 침지공정(S2)을 거친다.
또한, 상기 침지공정(S2)에서 불려진 곡물을 이송하여 수증기로 가압, 증숙하는 가압증숙공정(S3)을 거치고, 또 상기 증숙된 곡물을 이송하여 원적외선 건조공정(S4)에서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킨다.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 건조공정(S4)에서 건조된 곡물을 이송하여 볶음공정(S5)에서 볶아진 볶음곡물을 차가운 바람으로 식혀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공정(S6)을 거친다. 또 상기 이물질 분리공정(S6)을 거친 볶음곡물을 위생적으로 포장하기 위하여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미립자를 패스박스에서 고속의 에어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먼지제거공정(S7)을 거친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공정(S7)에서 위생적으로 선별된 곡물을 내포장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내포장된 곡물에 혼합된 미세한 금속을 선별하는 금속탐지공정(S8)을 거치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수요자의 취향에 따라서 곡물의 알갱이가 아닌 미분으로 포장 하여 출하하기 위해서는 먼지제거공정(S7)인 패스박스에서 위생적으로 먼지제거를 하여 이송하는 볶음곡물을 분쇄공정(S9)에서 분쇄하여 내포장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확된 곡물을 위생적인 설비시설에 의해 선식으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확한 곡물을 입고하여 보관창고에 보관하여 둔다. 보관된 곡물을 교반세척기(11)에서 교반하여 세척한 후, 하부로 배출되는 곡물을 비중 차로 이송시키는 조리스크류(12)에서 비중이 큰 돌 등을 석발하는 세척 및 석발수단(10)이 설치된다. 석발된 곡물을 이송하여 침지하는 침지수단(20)과, 침지된 곡물을 수증기로 가압여 증숙시키는 가압증숙수단(30)이 구성된다.
또한, 가압증숙수단(30)에서 증숙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수단(40)이 구성된다. 상기 원적외선 건조수단(40)은 본체(41)의 입구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42)이 형성되어 있고,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1차 원적외선 가열기(43)가 흡입팬(42)의 후방에 형성됨과 동시에 1차 원적외선 가열기(43)에 의해 가열된 공기와 다시 내부에서 가열된 열로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기 위한 2차 원적외선 가열기(44)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킨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45)이 본체(41)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적외선 건조수단(40)에서 건조된 곡물을 이송하여 볶아주는 볶음수 단(50)이 형성된다. 상기 볶음수단(50)은 직화식 스텐주물로스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음수단(50)에서 볶아진 볶음곡물을 다시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하여 식힌 후 선별기(51)에서 다시 이물질을 선별한 후, 클린룸으로 이송하여 곡물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미립자를 에어콤프레셔로 제거하는 패스박스(60)가 구성된다. 상기 패스박스(60)에서 위생적으로 처리된 볶음곡물을 이송하여 이송한 후, 내포장된 곡물에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금속을 감지하여 선별하기 위한 금속탐지수단(70)이 구성되고, 금속탐지수단(70)을 통과한 내포장된 곡물을 다시 외포장하여 출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수요자의 취향에 따라 분쇄된 볶음곡물을 출하고자 할 때에는 분쇄수단(80) 더 거쳐서 소포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 1의 블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수확된 여러 종류의 곡물들을 보관창고에 입고하여 다량 보관한다.
보관된 곡물을 세척 및 석발수단(10)에 투입하여 세척 및 석발한다. 즉, 세척및 석발수단에 투입된 곡물은 교반세척기(11)에 의해 곡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되는데, 이때 곡물의 종류에 따라 세척시간이 다르지만 대략 10분에서 20분 정도 세척한다. 또한, 세척된 곡물은 교반세척기(11)의 하부에 설치된 조리스크류(12)에서 비중차로 곡물에 혼합된 돌들을 석발한다.
세척된 곡물은 다시 이송수단에 의해 침지수단(30)으로 이송된다. 침지수 단(30)에 침지되는 곡물 역시 곡물의 종류에 따라 침지 시간이 다르지만 대략 6시간에서 18시간 침지시킨다.
침지된 곡물을 건져서 다시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하여 가압증숙수단(30)에서 2Kg 내지 4Kg의 압력을 가한 수증기로 가압증숙한다. 이때 가압증숙시간 역시 곡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15분 내지 50분 정도로 가압하면 된다. 즉, 무른 곡물은 가압증숙시간을 짧게 하고 단단한 곡물은 가압증숙시간을 길게 한다.
이와 같이 가압증숙된 곡물은 다시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원적외선 건조수단(40)으로 이송된다. 원적외선 건조수단(40)의 본체(41) 내부로 투입된 곡물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원적외선 건조수단(40)의 본체(41) 입구측에 설치된 흡입팬(42)이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1차 원적외선 가열기(43)로 가열하여 내부로 흡입시킨다. 이때 1차 원적외선 가열기(43)의 온도는 개략 100℃내지 115℃를 유지한다.
그리고 본체(41) 내부의 2차 원적외선 가열기(44)에서 발생되는 120℃ 내지 130℃의 열과 1차 원적외선 가열기(43)에 의해 가열된 흡입공기는 서로 혼합되면서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하여 건조시킨다. 이때 본체(41)의 내부에서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킨 공기는 출구측에 설치된 배기팬(45)이 작동하면서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곡물은 터지지 않고 원형 그대로 건조되는 것이다. 건조시간 역시 곡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20분 내지 60분 정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된 곡물을 이송수단에 의해 볶음수단(50)으로 이송하여 볶는다. 이때 곡물은 직화식 스텐주물로스터에 의해 볶아지기 때문에 곡물의 맛을 배가시킬 수 있다.
볶음수단(50)에서 볶아진 볶음곡물을 식혀서 곡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선별기(51)에서 선별한 후, 곡물이송 패스박스(60)로 이송한다. 패스박스(60)로 이송된 볶음곡물은 에어컴프레셔에서 발생되는 고속의 에어로 곡물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미립자를 제거하여 위생 처리하여 내포장한다.
그리고 내포장된 볶음곡물이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하는 도중에 최종적으로 내포장된 볶음곡물에 혼합된 미세한 금속물질을 금속탐지수단(70)에서 검사하여 외포장하여 출하시킨다. 상기 이송수단으로 이송되면서 금속탐지수단(70)에 의해 내포장된 볶음곡물에 혼합된 금속을 타지하게 되면 이송수단은 정지가 된다. 이때 금속이 탐지된 내포장된 복음곡물을 선별하게 되면, 다시 이송수단이 가동하면서 상기의 금속 탐지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선식용 가공은 위생적으로 곡물의 알갱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볶음곡물 형태이지만, 수요자의 식성에 따라 선식용 분말을 가공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패스박스(60)에서 위생처리된 볶음곡물을 분쇄수단(80)으로 이송하여 분쇄한 후 내포장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요자의 취향에 맞추어 위생적이고 독특한 맛을 갖춘 곡물 알갱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분말로 포장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식가공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식가공장치의 원적외선 건조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식가공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부호설명
10. 세척 및 침지수단 11. 교반세척기
12. 조리스크류 20. 침지수단
30. 가압증숙수단 40. 원적외선 건조수단
41. 본체 42. 흡입팬]
43. 1차 원적외선 가열기 44. 2차 원적외선 가열기
45. 배기팬 50. 볶음수단
51. 선별기 60. 패스박스
70. 금속탐지수단 80. 분쇄수단

Claims (5)

  1. 입고 및 보관된 곡물을 세척하여 비중차에 의해 비중이 큰 돌들을 석발하는 세척 및 석발공정(S1)과,
    상기 세척 및 석발공정(S1)을 거쳐 이송되어온 곡물을 침지시키는 침지공정(S2)과,
    상기 침지공정(S2)에서 불려진 곡물을 이송하여 수증기로 가압, 증숙하는 가압증숙공정(S3)과,
    상기 가압증숙공정(S3)에서 증숙된 곡물을 이송하여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공정(S4)과,
    상기 원적외선 건조공정(S4)을 거쳐 건조된 곡물을 이송하여 볶아 주는 볶음공정(S5)과,
    상기 볶음공정(S5)에서 볶아진 곡물을 식혀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공정(S6)과,
    상기 이물질 분리공정(S6)을 거친 볶음곡물을 위생적으로 포장하기 위하여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미립자를 패스박스에서 고속의 에어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먼지제거공정(S7)과,
    상기 먼지제거공정(S7)에서 위생적으로 선별된 곡물을 내포장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내포장된 곡물에 혼합된 미세한 금속을 선별하는 금속탐지공정(S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공정(S7)에서 위생적으로 선별된 볶음곡물을 분쇄하는 분쇄공정(S9)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73907A 2008-07-29 2008-07-29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KR10110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907A KR101101904B1 (ko) 2008-07-29 2008-07-29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907A KR101101904B1 (ko) 2008-07-29 2008-07-29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92A KR20100012492A (ko) 2010-02-08
KR101101904B1 true KR101101904B1 (ko) 2012-01-18

Family

ID=4208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907A KR101101904B1 (ko) 2008-07-29 2008-07-29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9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871B1 (ko) 2013-01-14 2014-05-29 서동열 들깨가루의 제조 방법
CN104939286A (zh) * 2015-07-06 2015-09-30 常州市诺金精密机械有限公司 板栗烘干装置
KR20180128769A (ko) 2017-05-24 2018-12-04 이청기 볶음 곡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14B1 (ko) * 2018-10-26 2019-05-21 유연희 대두의 로스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로스팅 대두
KR102117374B1 (ko) * 2019-07-30 2020-06-01 대구농산 주식회사 곡물 로스팅방법
KR102324532B1 (ko) * 2019-11-14 2021-11-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동의보굼 기능성 식용 곤충 분말과 곡물을 혼합한 미숫가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8007B1 (ko) * 2019-11-14 2022-02-24 이한음 미네랄 함량이 증가된 탈지호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KR102347221B1 (ko) * 2021-06-24 2022-01-03 유민경 서리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068A (ko) * 2000-11-07 2002-05-16 김고정 곡물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0779808B1 (ko) 2006-11-07 2007-11-29 소선섭 곡물 고유의 알갱이 형태를 갖는 선식용 볶음 곡물의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선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068A (ko) * 2000-11-07 2002-05-16 김고정 곡물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0779808B1 (ko) 2006-11-07 2007-11-29 소선섭 곡물 고유의 알갱이 형태를 갖는 선식용 볶음 곡물의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선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871B1 (ko) 2013-01-14 2014-05-29 서동열 들깨가루의 제조 방법
CN104939286A (zh) * 2015-07-06 2015-09-30 常州市诺金精密机械有限公司 板栗烘干装置
KR20180128769A (ko) 2017-05-24 2018-12-04 이청기 볶음 곡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92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904B1 (ko) 원적외선으로 건조된 선식용 볶음곡물의 제조방법
Luh et al. Parboiled rice
US20070202786A1 (en) Automated apparatus and system for cooking, drying, peeling and processing shellfish products
JP2004505602A (ja) 水を用いない乾燥ポテ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WO2014158266A1 (en) Coffee cherry particulat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JP3103600B2 (ja) 脱水エンドウ豆スープを調製する方法及び装置
CN103156126A (zh) 一种燕麦片生产方法
CN109793218A (zh) 麻辣天麻片生产方法及系统
CN107372744A (zh) 一种蔬菜饼及其加工工艺
CN104148134A (zh) 苦荞麦脱壳方法
Milligan et al. Processing for production of edible soya flour
WO2011107760A2 (en) High value edible products from bra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US2898210A (en) Process for producing rolled oats
US2884327A (en) Method of processing wheat
CN100375600C (zh) 一种生产玉米面粉的方法
KR20030008597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 곡물 처리방법
CN100448368C (zh) 无菌去皮大豆和无菌全脂大豆粉的制造方法
US7087262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ehydrated precooked flaked pinto beans
KR102597052B1 (ko) 세척 곡물의 제조방법
CN105876046A (zh) 一种制作糖渍青梅的设备
CN111357941A (zh) 一种豆浆专用大豆的处理方法
KR101951103B1 (ko) 볶음 곡물 제조방법
EP0957693B1 (en) Process for producing dehydrated whole lentils
JP2002291457A (ja) 緑色農産品の冷凍品の製造用ブランチング処理装置
Dangi et al. Rice Processing and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