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329B1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329B1
KR101101329B1 KR1020100083786A KR20100083786A KR101101329B1 KR 101101329 B1 KR101101329 B1 KR 101101329B1 KR 1020100083786 A KR1020100083786 A KR 1020100083786A KR 20100083786 A KR20100083786 A KR 20100083786A KR 101101329 B1 KR101101329 B1 KR 10110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ver
guide
insertion groov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텍 filed Critical (주)포스텍
Priority to KR102010008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index-matching medium between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2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being a coupling medium interposed therebetween, e.g. epoxy resin, refractive index matching material, index grease, matching liquid or g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섬유가 절단된 현장에서 광섬유를 정렬시켜 연결하기 위해 광커넥터를 이용할 때 광섬유를 고정하는 덮개가 탄성구조를 가져서 광섬유를 탄성지지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단된 광섬유를 삽입하여 장착하도록 상부면의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삽입홈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와, 상기 가이드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에 씌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부면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의 내측으로는 상기 탄성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고정캡의 회전시 탄성돌출부가 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덮개가 탄성력을 가지고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섬유가 절단된 현장에서 광섬유를 정렬시켜 연결하기 위해 광커넥터를 이용할 때 광섬유를 고정하는 덮개가 탄성구조를 가져서 광섬유를 탄성지지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통신신호를 에러없이 장거리 전송하기 위하여 광섬유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광섬유가 절단이 발생한 경우 전체를 교체하게 되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므로, 현장에서 절단된 부위만을 연결하기 위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09-000000호(2009년 12월 00일자 출원)에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의 개선된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구조를 도1 및 도2에 나타내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된 광섬유를 접속하기 위하여 가이드(100)와 덮개(110), 고정캡(130)으로 구성되는데, 가이드(100)는 길이가 긴 평편한 바형태로 되고, 상부면 가운데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삽입홈(101)이 일단부터 타단까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덮개(110)의 상부면 가운데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돌출부(111)는 그 단면의 일측이 덮개(110)의 상부면과 수직하도록 하며, 그 타측은 돌출부(111)의 첨단부위로부터 덮개(110)의 상부면까지 곡선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캡(130)은 타원형태의 편심구멍(13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편심구멍(131)의 폭이 짧은 부위는 가이드(100)의 광섬유 삽입공(101)에 광섬유가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110)가 덮혔을 때 가이드(100)와 덮개(110)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폭을 가지며, 폭이 긴 부위는 가이드(100)와 덮개(110)가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광섬유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절단된 광섬유(140)를 광섬유 삽입홈(101)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각각 인입시켜 그 단부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한 다음, 굴절률 정합겔을 그 맞닿은 단부에 바른다.
이후, 덮개(110)를 덮은 다음 고정캡(130)을 그 외측으로 씌우게 되는데, 이때 편심구멍(131)이 폭이 긴 방향이 가이드(100)와 덮개(110)의 높이방향으로 하여 씌우게 된다.
이때, 도2(a)의 단면도와 같이 편심구멍(131)의 내측에서 가이드(100)와 덮개(110)가 약간의 유동이 있으므로, 손가락이나 기구 등으로 돌출부(111)를 측부로 젖히게 되면 덮개(110)가 옆으로 기울어져서 광섬유(140)의 전후 이동이 수월하게 된다.
이로인해, 광섬유(140)의 인입시 광섬유 삽입홈(101)의 내벽이나 덮개(110)의 하단에서 긁힘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광섬유(140)의 손상이 방지되고, 또한 파편이 발생되지 않아 정확한 굴절률을 가지면서 절단된 광섬유가 연결되는 것이다.
광섬유(140)를 이동시키면서 정렬이 이루어지면, 덮개(110)를 원위치로 다시 복귀시킨 다음 도2(b)와 같이 고정캡(130)을 돌리게 되면, 편심구멍(131)의 좁은 폭이 가이드(100)와 덮개(11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100)와 덮개(110)가 고정되어 광섬유(140) 또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서 가이드(100)와 덮개(110) 구조물은 광섬유를 정확히 지지하기 위해서 정밀도가 높아야 되지만 플라스틱 사출물로 되어 있어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인해 덮개(110)가 광섬유(140)를 너무 눌러 광섬유(14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캡의 회전에 의해 덮개가 가이드의 광섬유 삽입홈에 놓인 광섬유를 가압할 때 덮개가 상하 누름 텐션을 가지도록 하여 적당한 힘에 의해 광섬유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큰 가압력에 의한 광섬유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절단된 광섬유를 삽입하여 장착하도록 상부면의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삽입홈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와, 상기 가이드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에 씌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부면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의 내측으로는 상기 탄성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고정캡의 회전시 탄성돌출부가 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덮개가 탄성력을 가지고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삽입시에 고정캡을 돌려 덮개를 고정할 때 덮개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하므로 누름 압력에 의한 광섬유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현장에서의 조립이 쉽고, 또한 조립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의 분해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2의 조립된 상태의 동작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의 동작 단면도.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로서, 가이드(200)는 길이방향으로 덮개(210)가 삽입되는 크기의 덮개 삽입홈(20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덮개 삽입홈(202)의 바닥면 가운데 부분에는 광섬유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삽입홈(2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삽입홈(202)의 바닥부위의 한쪽에는 그 단면이 반원형태의 돌기삽입홈(20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삽입홈(203)이 형성된 부위의 덮개 삽입홈(202)의 측벽부위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210)는 가이드(200)의 덮개 삽입홈(202)에 수용되는 크기를 가지면서 하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삽입홈(203)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하부돌기(2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210)의 상측으로는 탄성돌출부(211)가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돌출부(211)는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그 상측 끝부분이 측방향으로 굴절되어 연장됨으로써 굴절연장부(212)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탄성돌출부(211)의 연장된 부분과 덮개(210)의 상부면의 사이에는 간격부(213)가 형성됨으로써 굴절연장부(212)가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게 된다.
고정캡(220)은 관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가이드(200)와 덮개(210)가 결합되었을 때 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측벽으로는 탄성돌출부(211)의 굴절연장부(212)를 수용하는 홈부(2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캡(220)의 회전시 그 회전각도가 일정각도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내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토퍼(222)가 형성되고, 고정캡(220)의 외측으로는 고정캡(220)을 작업자가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레버(2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가이드(200)의 광섬유삽입홈(201)에 광섬유(230)를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각각 인입시켜 그 단부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한 다음, 굴절률 정합겔을 그 맞닿은 단부에 바른다.
이후, 도4(a)와 같이 덮개(210)를 가이드(200)의 상측으로부터 덮은 다음 고정캡(220)을 그 외측으로 씌우게 되는데, 이때 탄성돌출부(211)의 굴절연장부(212)가 도4(a)와 같이 고정캡(220)의 홈부(221)에 삽입되도록 씌우게 된다.
따라서, 덮개(210)는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하부돌기(214)가 돌기삽입홈(203)에 삽입되어 이 하부돌기(214)를 축으로 하여 기울어져 그 반대편이 상하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덮개(210)가 하부돌기(214)를 축으로 기울어질 때 가이드(200)의 경사부(204)와 덮개(210)의 측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덮개(210)를 손가락이나 기구 등으로 측부로 젖힐 수 있어서 광섬유(230)의 전후 이동에 따른 정렬이 수월하게 된다.
이로인해, 광섬유(230)의 인입시 광섬유 삽입홈(201)의 내벽이나 덮개(210)의 하단에서 긁힘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광섬유(230)의 손상이 방지되고, 또한 파편이 발생되지 않아 정확한 굴절률을 가지면서 절단된 광섬유가 연결되는 것이다.
광섬유(230)를 이동시키면서 정렬이 이루어진 다음 덮개(210)를 가이드(200)의 상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고정캡(200)의 회전레버(223)를 도4(b)와 같이 회전시키게 되면, 굴절연장부(212)가 홈부(221)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이로인해 덮개(210)가 가이드(200)쪽으로 가압되어 광섬유(230)가 광섬유 삽입홈(201)의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굴절연장부(212)는 스토퍼(222)에 의해 걸리게 됨으로써 고정캡(220)이 일정각도만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굴절연장부(212)가 간격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가짐으로써 덮개(210)가 광섬유(230)를 무리하게 가압하지 않게 됨으로써 광섬유(230)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국가연구사업개발지원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C09090410
[부처명] 경기도
[연구사업명] 산업산업혁신클러스터기술개발
[연구과제명] 현장조립형광커넥터 기술개발
[주관기관] (주)포스텍
[연구기간] 2009.6.1. ~ 2010.7.31.
200 : 가이드 201 : 광섬유삽입홈
202 : 덮개삽입홈 203 : 돌기삽입홈
204 : 경사부
210 : 덮개 211 : 탄성돌출부
212 : 굴절연장부 213 : 간격부
214 : 하부돌기
220 : 고정캡 221 : 홈부
222 : 스토퍼 223 : 회전레버

Claims (2)

  1. 절단된 광섬유를 삽입하여 장착하도록 상부면의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삽입홈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와, 상기 가이드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에 씌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부면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의 내측으로는 상기 탄성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고정캡의 회전시 탄성돌출부가 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덮개가 탄성력을 가지고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출부는 상측 끝부위가 측방향으로 굴절연장되어 상하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20100083786A 2010-08-30 2010-08-30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10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86A KR101101329B1 (ko) 2010-08-30 2010-08-30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86A KR101101329B1 (ko) 2010-08-30 2010-08-30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329B1 true KR101101329B1 (ko) 2011-12-30

Family

ID=4550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786A KR101101329B1 (ko) 2010-08-30 2010-08-30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8417A (zh) * 2022-01-28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光纤连接头以及光纤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809A (en) 1974-07-17 1977-06-21 Hitachi, Ltd. Optical connector
JPS5699309A (en) 1980-01-09 1981-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fiber connector
JPS61116303A (ja) 1984-11-12 1986-06-03 Dai Ichi Seiko Co Ltd 光フアイバ−カプ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809A (en) 1974-07-17 1977-06-21 Hitachi, Ltd. Optical connector
JPS5699309A (en) 1980-01-09 1981-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fiber connector
JPS61116303A (ja) 1984-11-12 1986-06-03 Dai Ichi Seiko Co Ltd 光フアイバ−カプ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8417A (zh) * 2022-01-28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光纤连接头以及光纤连接器
CN114488417B (zh) * 2022-01-28 2024-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光纤连接头以及光纤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6712B2 (ja) 光フェルール及びコネクタ
JP5798245B2 (ja) ファイバー水平挿入タイプフェルールアセンブリ
JP2016075951A (ja) 光レセプタクル
JP2014521996A (ja) レンズプレートを有するマルチファイバーフェルール
US8942524B2 (en) Optical coupling lens and optical fiber coupling connector
TWI494626B (zh) 光纖耦合連接器
US9195016B2 (en) Optical connector
KR101101329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8622636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TWI454766B (zh) 光纖耦合連接器及光傳輸裝置
TWI539192B (zh) 光耦合透鏡
JP2017203897A (ja) 光コネクタ及び光結合構造
US9519112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102353432B1 (ko) 광송수신용 조립체
JP4284650B2 (ja) 光学検出装置
JP2010151901A (ja) 光コネクタ
US9151911B2 (en) Photoelectric coupling module having cover
CN110050213B (zh) 光插座、光模块以及光模块的制造方法
TWI506316B (zh) 光纖耦合連接器
JP5186048B2 (ja) 光学素子モジュール
TWI504957B (zh) 光纖耦合連接器
KR101011137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20230296849A1 (en) Ferrule,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module
TWI642981B (zh) 整合式基座設計高效能光纖切換裝置
JP2014095861A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学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