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116B1 - 겸자 방식 문합장치 - Google Patents

겸자 방식 문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116B1
KR101101116B1 KR1020100033134A KR20100033134A KR101101116B1 KR 101101116 B1 KR101101116 B1 KR 101101116B1 KR 1020100033134 A KR1020100033134 A KR 1020100033134A KR 20100033134 A KR20100033134 A KR 20100033134A KR 101101116 B1 KR101101116 B1 KR 10110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s
rod
distal
anastomosis
driv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836A (ko
Inventor
김철웅
장광석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3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1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25Forcep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or assisting anastom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개방된 근위부 및 원위부, 그리고 상기 근위부 및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는 중공부(hollow)를 가지는 바디; 상기 중공부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원위부를 통해 원위 단부가 인출되는 회동로드; 제1 및 제2 문합링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회동로드의 상기 원위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대기위치 및 문합위치로 전환가능한 제1 및 제2 클램프; 상기 중공부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원위부를 통해 원위 단부가 인출되는 구동로드; 상기 바디의 상기 원위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구동로드의 상기 원위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로드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를 지지하고 상기 원위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를 상기 문합위치로 전환시키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바디의 상기 근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핸들; 그리고 상기 구동로드의 근위 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구동로드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겸자 방식 문합장치{FORCEPS-FORM ANASTOMOSIS APPARATUS}
본 발명은 겸자 방식 문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문합링을 체결할 수 있는 겸자 방식 문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관이나 장과 같은 관상기관은 단부들을 봉합하는 방법을 통해 서로 접속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정교한 봉합기술의 습득은 장기간의 수련기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 중 하나가 문합링을 이용한 문합방법이다. 예를 들어, 문합링을 문합하고자 하는 혈관에 끼워 혈관의 단부에 각각 고정하고, 문합링과 문합링을 서로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혈관을 문합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문합링은 암수관계에 있으며, 문합링이 정확하고 단단하게 체결되어야만 혈액의 원활하고 안전한 흐름이 이루어지고 수술의 성공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합링을 정확하고 단단하게 체결할 수 있는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합링을 안전하게 체결할 수 있는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개방된 근위부 및 원위부, 그리고 상기 근위부 및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는 중공부(hollow)를 가지는 바디; 상기 중공부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원위부를 통해 원위 단부가 인출되는 회동로드; 제1 및 제2 문합링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회동로드의 상기 원위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대기위치 및 문합위치로 전환가능한 제1 및 제2 클램프; 상기 중공부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원위부를 통해 원위 단부가 인출되는 구동로드; 상기 바디의 상기 원위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구동로드의 상기 원위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로드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를 지지하고 상기 원위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를 상기 문합위치로 전환시키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바디의 상기 근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핸들; 그리고 상기 구동로드의 근위 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구동로드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의 원위 단부는 상기 구동로드의 상기 원위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핸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링크가 이루는 각도는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구동로드의 상기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구동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회동로드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로드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로드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문합위치로 전환되는 전환면 및 상기 문합위치로 전환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가 이동하는 이동면을 가지며,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면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의 외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구동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위치홈들을 가지며,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헤드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시 상기 위치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로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링을 정확하고 단단하게 체결하여 혈액의 원활한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문합링을 안전하게 체결하여 시술오류로 인한 환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클램프 및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헤드의 동작에 따른 클램프의 전환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바디와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로드 및 구동로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핸들의 회동에 따른 구동로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이동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클램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구동로드의 동작에 따른 홀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근위(近位, proximal)" 및 "원위(遠位, distal)"는 임상의가 도구의 핸들을 잡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된 것이다. 예를 들어, 헤드(20)는 제1 및 제2 핸들(42,44)에 대하여 원위에 위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클램프 및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클램프(12,14)와 회동축(16), 그리고 회동로드(18)를 포함한다. 회동축(16)은 회동로드(18)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며, 회동로드(18)의 회전시 회동축(16)은 회동로드(18)와 함께 회전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12,14)는 회동축(16)에 연결되며, 회동축(16)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클램프(12,14)는 별도의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도시안함)에 의해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며('대기위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12,14)는 헤드(20)의 이동에 의해 상호 접근한다. 제1 및 제2 클램프(12,14) 상에는 제1 및 제2 문합링(도시안함)이 각각 삽입설치되며, 이후, 문합하고자 하는 관상기관의 단부가 제1 및 제2 문합링에 각각 고정된다. 제1 및 제2 문합링은 제1 및 제2 클램프(12,14)가 상호 접근함에 따라 체결되며, 제1 및 제2 문합링의 체결에 의해 관상기관의 단부는 문합된다. 문합링의 체결에 관한 내용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로드(18)의 회전시 회동축(16)은 회동로드(18)와 함께 회전하며, 이때, 회동축(16)에 연결된 제1 및 제2 클램프(12,14)도 회동축(16)과 함께 회전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문합링을 제1 및 제2 클램프(12,14)에 고정할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로드(18)를 회전시켜 제2 클램프(14)를 대체로 수평한 상태로 전환한 후, 제2 문합링을 손쉽게 제2 클램프(14)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로드(18)를 반대로 회전시켜 제1 클램프(12)를 대체로 수평한 상태로 전환한 후, 제1 문합링을 손쉽게 제1 클램프(12)에 고정할 수 있다. 즉, 회동로드(18)의 회전을 통해 제1 및 제2 문합링을 제1 및 제2 클램프(12,14)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장치는 헤드(20)를 더 포함한다. 헤드(20)는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클램프(12,14)의 근위 방향에 위치하며('대기위치'), 제1 및 제2 클램프(12,14)를 향해 이동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12,14)를 상호 접근하도록 구동한다. 헤드(20)는 제1 및 제2 클램프(12,14)를 지지하는 가이드면(21,22,23,24)을 가지며, 헤드(20)가 제1 및 제2 클램프(12,14)를 향해 이동할 경우, 제1 및 제2 클램프(12,14)는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호 접근한다. 헤드(20)가 이동하는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은 제1 및 제2 전환면(21,23)과 제1 및 제2 이동면(22,24)을 가진다. 제1 및 제2 전환면(21,23)은 각각 헤드(20)의 근위부를 향해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회동로드(18)를 중심으로 대체로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이동면(22,24)은 제1 및 제2 전환면(21,23)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마찬가지로, 회동로드(18)를 중심으로 대체로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20)는 제1 및 제2 지지바(26,28)를 더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바(26,28)는 제1 및 제2 이동면(22,24)의 상부에 각각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지지바(26,28)는 회동로드(18)를 중심으로 대체로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젝트핀(29)은 제1 지지바(26)와 제2 지지바(28) 사이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지지바(26,28)와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헤드의 동작에 따른 클램프의 전환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클램프(1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제2 클램프(14)는 제1 클램프(12)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제2 클램프(14)의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20)는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제1 클램프(12)의 근위 방향에 위치하며, 제1 클램프(12)는 헤드(20)의 가이드면(또는 제1 전환면(21)) 상에 위치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20)가 제1 클램프(12)를 향해 전진할 경우, 제1 클램프(12)는 헤드(20)의 제1 전환면(21)을 따라 움직이며(상대적인 이동을 의미함), 이때, 제1 클램프(12)는 제2 클램프(14)를 향해 접근한다. 마찬가지로, 제2 클램프(14)도 헤드(20)의 제2 전환면(23)을 따라 움직이며(상대적인 이동을 의미함), 이때, 제2 클램프(14)도 제1 클램프(12)를 향해 접근한다. 이후,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12,14)가 제1 및 제2 전환면(21,23)의 근위 단부를 통과하면, 제1 및 제2 클램프(12,14)는 최대한으로 접근하며('문합위치'), 제1 및 제2 클램프(12,14)에 각각 고정된 제1 및 제2 문합링은 서로 체결된다.
제1 클램프(12)가 제2 클램프(14)를 향해 접근하는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드(20)가 이동함에 따라, 제1 클램프(12)는 제1 전환면(21)을 따라 미끄럼 접촉(sliding contact)하며, 제1 전환면(21)과 접촉하는 제1 클램프(12)의 위치가 회동축(16)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면서 제1 클램프(12)의 위치는 제1 전환면(21)에 의해 제한을 받으므로, 제1 클램프(12)는 제2 클램프(14)를 향해 접근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바디와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로드 및 구동로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장치는 바디(30) 및 구동로드(32)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30)는 헤드(20)의 근위 방향에 위치하고, 바디(30)는 개방된 근위부 및 원위부, 그리고 근위부 및 원위부를 연결하는 중공부(hollow)를 가진다. 구동로드(32)는 바디(30)의 중공부 내에 삽입설치되며, 바디(30)와 마찬가지로, 구동로드(32)는 개방된 근위부 및 원위부, 그리고 근위부 및 원위부를 연결하는 중공부(hollow)를 가진다. 앞서 설명한 헤드(20)는 구동로드(32)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며, 구동로드(32)가 바디(30)의 중공부 내에서 바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경우 헤드(20)는 구동로드(32)와 함께 이동한다. 후술하는 커넥터(45)는 구동로드(32)의 근위 단부에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회동로드(18)는 구동로드(32)의 중공부 내에 삽입설치되며, 회동로드(18)는 고정구(36)를 통해 구동로드(32)의 중공부 내에 고정설치된다. 고정구(36)의 일단은 바디(30)를 관통하여 회동로드(18)의 가이드홈(18a)에 삽입되며, 회동로드(18)는 고정구(36)의 일단이 가이드홈(18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구동로드(32)의 이동시 고정구(36) 및 회동로드(18)는 이동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회동로드(18)의 회전시 구동로드(32)는 회전하지 않는다. 후술하는 회전레버(19)는 커넥터(45)의 중공부를 통해 노출된 회동로드(18)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며, 회동로드(18)는 회전레버(19)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도 5a 및 도 5b는 핸들의 회동에 따른 구동로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핸들(42,44)과 제1 및 제2 핑거링(46,48), 그리고 제1 및 제2 링크(41,43)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핸들(42,44)은 바디(30)의 근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제1 및 제2 핑거링(46,48)은 제1 및 제2 핸들(42,44)의 근위부에 고정설치된다. 시술자는 제1 및 제2 핑거링(46,48)에 각각 손가락을 삽입한 후, 겸자의 사용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제1 및 제2 핸들(42,44)을 오므렸다 폈다 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및 제2 핸들(42,44)은 바디(3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핸들(42,44)은 제1 및 제2 설치홈(42a,44a)을 각각 가지며, 제1 및 제2 링크(41,43)는 제1 및 제2 설치홈(42a,44a) 상에 일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 및 제2 링크(41,43)의 타단은 커넥터(45)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위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핑거링(46,48)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핸들(42,44)을 화살표 방향으로 오므리면, 제1 및 제2 핸들(42,44)이 이루는 각도가 줄어들면서 제1 및 제2 링크(41,43)는 바디(30)를 향해 커넥터(45)를 밀며, 커넥터(45)는 바디(30)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구동로드(32)는 커넥터(45)와 함께 이동하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로드(32)는 바디(30)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로드(18) 및 회전레버(19)는 이동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로드(32)가 이동할 경우, 헤드(20)는 구동로드(32)의 원위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구동로드(32)와 함께 이동한다. 헤드(20)가 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12,14)는 문합위치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문합링은 완전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이동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클램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12,14)가 제1 및 제2 전환면(21,2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문합링이 상호 체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1 및 제2 전환면(21,23)이 제1 및 제2 클램프(12,14)에 대하여 충분한 힘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제1 및 제2 클램프(12,14)가 충분히 접근하지 못하거나 제1 및 제2 문합링이 안전하게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및 제2 문합링이 안전하게 체결되지 않을 경우, 관상기관 내의 원활한 흐름을 실현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지지바(26,28)는 제1 및 제2 클램프(12,14)가 충분히 접근하여 제1 및 제2 문합링이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환면(21)의 근위 단부에 도달한 제1 클램프(12)는 제1 전환면(21)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이동면(22)을 따라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환면(23)의 근위 단부에 도달한 제2 클램프(14)는 제2 전환면(23)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이동면(24)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접근한 제1 및 제2 클램프(12,14)는 제1 지지바(26)와 제2 지지바(28)의 사이에 삽입되며, 제1 및 제2 지지바(26,28)는 제1 및 제2 클램프(12,14)의 외측을 지지(또는 가압)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12,14)가 충분히 접근함으로써 제1 및 제2 문합링이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면(22,24)은 제1 및 제2 클램프(12,14)의 아래쪽을 가압하며, 제1 및 제2 지지바(26,28)는 제1 및 제2 클램프(12,14)의 위쪽을 가압하여 제1 및 제2 문합링이 완전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제1 및 제2 문합링은 체결 후 제1 및 제2 클램프(12,14)와 함께 이젝트핀(29)을 향해 이동(상대적인 이동을 의미함) 하며, 제1 및 제2 클램프(12,14)가 이동함에 따라 이젝트핀(29)은 제1 및 제2 클램프(12,14) 사이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 문합링을 제1 및 제2 클램프(12,14)로부터 분리한다. 이로써 제1 및 제2 문합링을 이용한 관상기관의 문합은 종료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구동로드의 동작에 따른 홀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로드(32)는 구동로드(32) 외주면에 구동로드(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위치홈들(39)을 가진다. 위치홈들(39)은 구동로드(32)의 근위 단부를 향해 경사진 형상이다. 또한, 홀더(38)가 바디(30)의 근위 단부에 설치되어 회동가능하며, 홀더(38)의 하단은 첨단 형상으로 위치홈들(39)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핸들(42,44)을 오므림으로써 구동로드(32)가 이동할 때, 홀더(38)의 하단은 위치홈들(39)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동로드(32)의 근위 단부를 향해 이동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구동로드(3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고 할 경우, 홀더(38)의 하단이 위치홈들(39)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이때 홀더(38)는 바디(3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구동로드(32)의 복귀는 제한된다. 따라서, 구동로드(32)(또는 헤드(20))의 이동에 의해 문합링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구동로드(32)(또는 헤드(20))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술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문합링의 체결이 완료하여 구동로드(32)(또는 헤드(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8)를 가압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홀더(38)의 하단을 위치홈(39)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구동로드(32)(또는 헤드(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2,14 : 클램프 16 : 회동축
18 : 회동로드 19 : 회전레버
20 : 헤드 21,23 : 전환면
22,24 : 이동면 26,28 : 지지바
30 : 바디 32 : 구동로드
38 : 홀더 41,43 : 링크
42,44 : 핸들 45 : 커넥터
46,48 : 핑거링

Claims (6)

  1. 개방된 근위부 및 원위부, 그리고 상기 근위부 및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는 중공부(hollow)를 가지는 바디;
    상기 중공부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원위부를 통해 원위 단부가 인출되는 회동로드;
    제1 및 제2 문합링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회동로드의 상기 원위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대기위치 및 문합위치로 전환가능한 제1 및 제2 클램프;
    상기 중공부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원위부를 통해 원위 단부가 인출되는 구동로드;
    상기 바디의 상기 원위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구동로드의 상기 원위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로드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를 지지하고 상기 원위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를 상기 문합위치로 전환시키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바디의 상기 근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핸들; 및
    상기 구동로드의 근위 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구동로드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의 원위 단부는 상기 구동로드의 상기 원위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핸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링크가 이루는 각도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구동로드의 상기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구동로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회동로드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로드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로드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는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문합위치로 전환되는 전환면 및 상기 문합위치로 전환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가 이동하는 이동면을 가지며,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면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의 외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구동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위치홈들을 가지며,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헤드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시 상기 위치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로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KR1020100033134A 2010-04-12 2010-04-12 겸자 방식 문합장치 KR10110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34A KR101101116B1 (ko) 2010-04-12 2010-04-12 겸자 방식 문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34A KR101101116B1 (ko) 2010-04-12 2010-04-12 겸자 방식 문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36A KR20110113836A (ko) 2011-10-19
KR101101116B1 true KR101101116B1 (ko) 2011-12-30

Family

ID=4502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34A KR101101116B1 (ko) 2010-04-12 2010-04-12 겸자 방식 문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86B1 (ko) * 2013-12-02 2015-04-10 국립암센터 속집게가 내장된 폐루프형 지혈클립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902A (en) 1978-05-11 1981-01-06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clip applicator
US20060047306A1 (en) 2004-07-28 2006-03-02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active polymer-based actuation mechanism for multi-fire surgical fastening instrument
EP1842495A2 (en) 2006-04-06 2007-10-10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ssembly for anastomonsis
KR100994112B1 (ko) 2008-09-23 2010-11-12 (주)트리플씨메디칼 구동체 및 종동체를 구비하는 관상기관 문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902A (en) 1978-05-11 1981-01-06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clip applicator
US20060047306A1 (en) 2004-07-28 2006-03-02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active polymer-based actuation mechanism for multi-fire surgical fastening instrument
EP1842495A2 (en) 2006-04-06 2007-10-10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ssembly for anastomonsis
KR100994112B1 (ko) 2008-09-23 2010-11-12 (주)트리플씨메디칼 구동체 및 종동체를 구비하는 관상기관 문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36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94293B (zh) 血管施夹器的枪把装置
JP3791893B2 (ja) 外科用処置具
JP2010505523A5 (ko)
EP2823775B1 (en) Aortic cross clamp
CA2843973A1 (en) Anvil grasper
JP2014507169A (ja) 遠隔マニピュレータ装置
JP2012075604A (ja) 処置具
KR101101116B1 (ko) 겸자 방식 문합장치
CN101467911B (zh) 带有螺旋弹簧的外科手术夹钳
BR102021021776A2 (pt) Instrumento eletrocirúrgico
EP2455016A2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CN115252142B (zh) 手术导航定位机器人及其快速释放型末端执行器
CN116369996A (zh) 用于微创手术的缝合装置
CN210673387U (zh) 一种施夹钳
CN219207173U (zh) 枪型双关节无损伤抓持钳
CN208355531U (zh) 一种应用在微创手术中的可弯折手术钳
CN215129362U (zh) 切割吻合器的钳口方向调节机构
CN209734050U (zh) 小儿心脏手术用开胸器
CN209437307U (zh) 一种腔镜下荷包缝合器的钳合装置
CN205493941U (zh) 多角度可调节关节镜篮钳
US20230200814A1 (en) Vascular anastomosis device
CN212261496U (zh) 一种骨科平行加压定位器
CN218165333U (zh) 可转动调节的手术钳
CN219250316U (zh) 一种胃部手术用手术夹
CN218589079U (zh) 抵钉座夹持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