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113B1 - 제거형 앵커 - Google Patents

제거형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113B1
KR101101113B1 KR1020090008219A KR20090008219A KR101101113B1 KR 101101113 B1 KR101101113 B1 KR 101101113B1 KR 1020090008219 A KR1020090008219 A KR 1020090008219A KR 20090008219 A KR20090008219 A KR 20090008219A KR 101101113 B1 KR101101113 B1 KR 10110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wedge
casing
locking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127A (ko
Inventor
송태훈
Original Assignee
송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훈 filed Critical 송태훈
Priority to KR102009000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1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흙막 공법 등에 널리 이용되는 앵커에 있어서, 공사 종료 후 타인의 대지에 설치된 앵커의 강선을 제거할 수 있는 앵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는 강선 제거시에 웨지가 강선을 고정하지 않으므로 강선의 제거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앵커, 강선, 제거, 웨지

Description

제거형 앵커{Removable anchor}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흙막이 등에 널리 이용되는 앵커 공법에 있어서, 공사 종료 후 타인 대지의 지하에 설치된 앵커체에서 강선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앵커체에 관한 것이다.
약 20여년 전부터 국내 도심지 공사에서는 강선의 제거가 가능한 제거형 앵커를 빈번하게 이용하고 있으며, 몇 가지 형태의 성공적인 제거형 앵커가 개발되어 있다.
초기에는 일본에서 개발된 U-턴식 앵커를 주로 이용하였으며, 이어서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강선이 필요하고 4개 이상의 강선을 동시에 결합하고 해체하는 형태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비교적 근래에 개발된 제거형 앵커는 제거를 위하여 나사결합 혹은 타격에 의하여 웨지를 고정시킨 후 강선을 인발하는 형태의 제거형 앵커가 개발되었다. 현장의 작업성과 제조시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웨지가 강선에서 자동으로 분리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강선을 제거할 때, 강선의 절단시 혹은 절단 후 압입 혹은 타격에 의하여 웨지가 지하에 고정됨으로써 강선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강선과 웨지가 자동으로 분리되어 강선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형 앵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는,
일단부는 지상에서 정착되고 타단부는 지하에 고정되는 강선;
상기 강선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강선의 타단부쪽의 내주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웨지;
상기 강선의 타단부 및 웨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선에 인장력을 가할 때 상기 강선 및 웨지가 일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웨지수용체;
상기 케이싱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밀봉수단;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견인자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강선의 중심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쐐기 형태의 걸림편이 마련된 할열지렛대;
상기 웨지와 상기 밀봉수단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편이 상기 강선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변형한 상태로만 관통이 가능한 걸림공이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강선에 타단부 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웨지 및 할열지렛대가 타단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할열지렛대의 걸림편이 탄성변형에 의하여 걸림공을 관통한 후 탄성복원에 의해 걸림공에 걸림으로써 강선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할열지렛대는 복수 개의 "걸림편+견인자" 일체형 부재 및 걸림편과 견인자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로 구성함으로써, 걸림편이 탄성변형하여 관통공을 통과하여 관통공에 걸리면서 상기 강선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 견인자는 강선의 중심 방향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벌어져서 강선에서 웨지를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걸림편+견인자" 일체형 부재와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웨지와 걸림부 혹은 웨지와 밀봉수단 사이에 웨지를 일단부 측으로 밀어주는 탄성수단을 더 추가하면 초기 긴장시에 강선과 웨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웨지의 각 조각을 일체화하고 웨지 조각들을 강선쪽으로 조여주는 O-링을 더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밀봉수단과 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는 공사 종료 후 외부에서 강선을 절단하거나 절단 후 타격 혹은 압입 할 때, 할열지렛대의 각 걸림편이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부의 걸림공을 통과하고 탄성복원에 의해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웨지가 강선의 일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강선의 제거가 가능하게된다. 특히, 걸림편이 걸림공에 걸리면서 강선의 중심 쪽으로 모이게 되면 견인자는 강선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면서 웨지를 강선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강선에서 웨지가 이탈됨으로써 일단부 측에서 강선을 당겨서 제거할 때 강선을 구속하는 요소가 완전히 제거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강선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강선(11), 웨지수용체(12), 웨지(13), 케이싱(14), 할열지렛대(15), 걸림부(16), 밀봉수단(17), 탄성수단(18), O-링(19)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중 필수 구성요소는 긴장재의 역할을 하는 강선(11), 웨지를 수용하여 고정하고 힘을 앵커체 외부로 전달하는 웨지수용체(12), 강선을 고정시키는 웨지(13), 물과 시멘트로 부터 내부의 부재를 보호하는 케이싱(14), 강선이 타단부 측으로 이동하면 강선과 함께 이동하면서 웨지를 강선에서 이탈시켜주는 할열지렛대(15), 할열지렛대의 걸림편(23)이 탄성변형하여 걸림공(161)을 통과하고 탄성복원에 의해 걸리게 되는 걸림부(16), 케이싱의 타단부측 끝에 결합하여 물과 시멘트의 침입을 방지하는 밀봉수단(17)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할열지렛대(15)의 모범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가)와 (나)는 걸림편(23)과 견인자(21)를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부(22a, 22b)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한 모습이다. 이때 걸림편(23)과 견인자(21)를 일체로 형성한 부품은 웨지(13)와 마찬가지로 강선의 중심축을 축으로 2조각, 3조각, 4조각 이상 등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지(13)는 통상 3개의 절편으로 구성되는 데, 할열지렛대(15) 역시 3개의 "걸림편(23)+견인자(21)"가 일체로 형성된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의 (다)는 걸림편(23)과 견인자(21) 및 지지부(22c)를 일체로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라)는 (다)의 AA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가운데 부분은 결합되어 지지부의 역할을 하고, 외측은 3조각으로 분할된 걸림편(23)과 견인자(21)를 가진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할열지렛대(15)의 걸림편(23)과 견인자(21) 사이에 지지부(22)를 형성한 경우 걸림편(23)이 탄성변형하여 강선의 중심축 쪽으로 이동하면 견인자(21)는 강선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므로, 강선을 고정시키고 있던 웨지(13)가 강선에서 이탈되어 강선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도 2에서 예시한 부품들은 선반가공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성형 등으로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도 3은 웨지(13)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강선의 타단부측 안쪽에 견인자(2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웨지의 각 조각들을 강선의 중심축 쪽으로 조여주는 역할을 하는 O-링(19)을 수용할 수 있는 O-링홈(3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거형앵커의 강선 제거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 (가)는 강선을 제거하기 전의 모습이다. (나)는 일단부 측에서 강선을 절단하거나 절단 후 압입 혹은 타격할 때 강선과 할열지렛대(15)가 밀봉수단(17)쪽으로 이동하고 걸림편(23)이 탄성변형하면서 걸림공(161)을 통과한 후 탄성복원하여 걸림부(16)에 걸려있는 모습이며, 이때 걸림편(23)은 강선의 중심축 쪽으로 모이고 견인자(21)는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벌어지면서 웨지(13)를 강선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걸림공(161)의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나)의 상태는 웨지(13)가 강선(11)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강선을 구속하는 요소가 제거됨으로써 용이하게 강선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의 (다)는 (나)의 상태에서 강선의 일단부 측에서 강선을 당겨서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1의 밀봉수단(17)과 걸림부(16)를 일체로 형성한 실시예로, 케이싱(14)과의 연결을 위한 나사부(51)가 형성되고, 그 일단부 측에 걸림부(52)를 형성하고 걸림부(52)에 걸림공(53)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의 부품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성형 하는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탄성수단(18)은 웨지(13)를 웨지수용체(12) 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데, 강선(11)의 긴장 초기에 강선과 웨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나선형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O-링(19)은 통상 3조각으로 분할된 웨지(13)를 일체화하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부재이며, 웨지 조각들을 강선에 밀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케이싱(14)과 밀봉수단(17)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타격 혹은 압입 등의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일단부 측에서 강선을 인발하여 제거할 수 있는 제거형 앵커를 제공하였다. 특히, 할열지렛대, 걸림부, 밀봉수단 혹은 걸림부와 밀봉수단의 일체화된 부품 등은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성형에 의하여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 본 발명의 할열지렛대의 실시예
도 3 : 웨지의 단면도
도 4 :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의 작동 과정 순서도
도 5 : 밀봉수단과 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한 실시예

Claims (6)

  1. 일단부는 지상에서 정착되고 타단부는 지하에 고정되는 강선;
    상기 강선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강선의 타단부쪽의 내주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웨지;
    상기 강선의 타단부 및 웨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강선에 인장력을 가할 때 상기 강선 및 웨지가 일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웨지수용체;
    상기 케이싱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물과 시멘트의 침입을 방지하는 밀봉수단;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견인자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강선의 중심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쐐기 형태의 걸림편이 마련된 할열지렛대;
    상기 웨지와 상기 밀봉수단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편이 상기 강선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변형한 상태로만 관통이 가능한 걸림공이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강선에 타단부 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웨지 및 할열지렛대가 타단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할열지렛대의 걸림편이 탄성변형에 의하여 걸림공을 관통한 후 탄성복원에 의해 걸림공에 걸림으로써 강선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제거형 앵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할열지렛대는 복수 개의 걸림편과 견인자 일체형 부재와 걸림편과 견인자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08219A 2009-02-03 2009-02-03 제거형 앵커 KR101101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219A KR101101113B1 (ko) 2009-02-03 2009-02-03 제거형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219A KR101101113B1 (ko) 2009-02-03 2009-02-03 제거형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27A KR20100089127A (ko) 2010-08-12
KR101101113B1 true KR101101113B1 (ko) 2012-01-04

Family

ID=4275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219A KR101101113B1 (ko) 2009-02-03 2009-02-03 제거형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298B1 (ko) * 2018-02-01 2020-02-18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제거식 앵커
KR102067623B1 (ko) * 2018-02-01 2020-01-17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제거식 앵커
KR102067624B1 (ko) * 2018-02-01 2020-01-17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제거식 앵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52B1 (ko) * 2006-10-27 2008-03-25 김현택 제거식 앵커
KR100847080B1 (ko) * 2006-07-20 2008-07-17 서병운 재 인장이 가능한 인장선 제거식 앵커 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80B1 (ko) * 2006-07-20 2008-07-17 서병운 재 인장이 가능한 인장선 제거식 앵커 헤드
KR100816952B1 (ko) * 2006-10-27 2008-03-25 김현택 제거식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27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088B1 (ko)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US9926698B2 (en) Cap for anchor of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KR101713525B1 (ko)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KR101101113B1 (ko) 제거형 앵커
AU2015200447B2 (en) Ground anchor body having rotation release structure
JP2007186946A (ja) 地中アンカー打設工法
KR100671927B1 (ko) 네일 긴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공법
KR101178043B1 (ko) 케이블 볼트 및 케이블 볼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JP2015145607A (ja) 地盤アンカー締付け装置の復元工法
KR100472135B1 (ko)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101632285B1 (ko) 재인장이 용이한 영구 앵커 및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JP4020316B2 (ja) アンカー支持体
KR101809443B1 (ko) 타격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 분리 및 회수공법
KR100483011B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KR100956606B1 (ko) 제거형 앵커
KR200428250Y1 (ko) 인장재 제거용 앵커체
KR101774869B1 (ko) 제거식 앵커용 정착구
KR20020014647A (ko) 제거식 앙카체용 쐐기를 이용한 앙카체 및 이를 이용한 제거 앙카 공법
KR100413550B1 (ko)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KR102051553B1 (ko)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729661B1 (ko) 지반개량앵커 시공방법
KR200443047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체
KR200400676Y1 (ko)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KR100494011B1 (ko)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