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663B1 -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 Google Patents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663B1
KR101099663B1 KR1020090082930A KR20090082930A KR101099663B1 KR 101099663 B1 KR101099663 B1 KR 101099663B1 KR 1020090082930 A KR1020090082930 A KR 1020090082930A KR 20090082930 A KR20090082930 A KR 20090082930A KR 101099663 B1 KR101099663 B1 KR 101099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transmission line
power transmiss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791A (ko
Inventor
이상원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Priority to KR102009008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663B1/ko
Priority to CN201080035070.0A priority patent/CN102472777B/zh
Priority to PCT/KR2010/005617 priority patent/WO2011027984A2/ko
Priority to JP2012527812A priority patent/JP2013504059A/ja
Publication of KR2011002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663B1/ko
Priority to US13/409,684 priority patent/US201202236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1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coils without a magnetic core, e.g. Rogowski c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capacitive devices
    • G01R15/165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capacitive devices measuring electrostatic potential, e.g. with electrostatic voltmeters or electrometers, when the design of the sensor is essent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42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several parameters employing techniques covered by groups G01R15/14 - G01R15/2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전송선이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전력 전송선에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어 고정되는 링 형상의 전극(Electrode)과, 일단이 전극의 일측과 접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전압 센서 및 유도 전류에 의해 전력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처럼 감기면서 관통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평면상 도우넛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인쇄회로기판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픽업 코일(Pick up coil)과, 픽업 코일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에 전극과 픽업 코일을 일체화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균일한 품질을 가질 수 있고, 전력 전송선의 전기적 특성을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전력 전송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전류 센서와 전압 센서를 배치하기 때문에 전력 전송선 내부의 코어 도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품이 전혀 없는 완벽한 비접촉식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센서, 인쇄회로기판, 전압 센서, 전류 센서, 전극, 픽업 코일

Description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Sensor for meas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 전압 등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전력 공급 및 신호 전송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교류는 전송선의 부식 문제가 낮으며 변압이 용이하기 때문에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력을 부하(Load)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통신 및 의료 장비 등의 신호 또는 전력 공급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교류는 플라즈마 식각 챔버 등과 같은 반도체 제조 설비에서 플라즈마 생성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부 전자 장치들의 동작 특성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의 전기적 특성에 매우 민감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전력의 전기적 특성들은 세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세밀한 제어를 위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전기적 특성들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플라즈마 식각 챔버의 경우 전원과, 이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즉, 플라즈마 전극) 사이에는 전력 전달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임피던스 정합 시스템(Impedance matching system)이 배치된다. 이때, 임피던스 정합은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전송선의 주변에는 여러 가지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센서는 전송선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인덕터(즉, 코일)를 구비한다. 전송선을 흐르는 교류는 인덕터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송선에서의 전류는 인덕터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덕터는 도넛형의 구조물을 감는 도전선을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센서에 사용되는 인덕터는 사람의 손 또는 기계에 의해 도전선을 도넛형의 구조물에 감는 방법을 통해 제작되고 있다. 이렇게 감는 방법으로 인덕터를 제작할 경우 각 권선들(Winding wire)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하기 어렵기 때문에, 센서 자체도 요구되는 높은 정밀도를 갖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품별로 다른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공급되는 전력의 세밀한 제어(즉, 임피던스의 정밀한 정합)를 위해서는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더 높은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품별로 균일한 품질을 가질 수 있고, 보다 정밀한 전기적 특성의 측정이 가능한 센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전력 전송선이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전력 전송선에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어 고정되는 링 형상의 전극(Electrode)과, 일단이 상기 전극의 일측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전압 센서; 및 유도 전류에 의해 상기 전력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처럼 감기면서 상기 관통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평면상 도우넛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픽업 코일(Pick up coil)과, 상기 픽업 코일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일측에서 전력 전송선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전력 전송선에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의 일부를 따라 밀착되어 고정되는 원호 형상의 전극(Electrode)과, 일단이 상기 전극의 일측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전압 센서; 및 유도 전류에 의해 상기 전력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처럼 감기면서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의 외측 일부를 따라 평면상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픽업 코일(Pick up coil)과, 상기 픽업 코일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전력 전송선에 의해 형성된 전압이 상기 픽업 코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픽업코일과 상기 삽입홈의 사이에 배치된 패러데이 쉴드(Faraday shiel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패러데이 쉴드를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패러데이 쉴드와 상기 전력 전송선 사이에 배치되어 접지되는 쉴드 케이스(Shield ca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패러데이 쉴드는, 상기 전력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슬릿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업 코일은, 상기 도우넛 또는 원호 형상의 종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픽업 코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으로 노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매립,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으로 노출, 다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매립되도록 반복적으로 감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따르면,
첫째, 인쇄회로기판에 전극과 픽업 코일을 일체화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균일한 품질을 가질 수 있고, 전력 전송선의 전기적 특성을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둘째, 전력 전송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전류 센서와 전압 센서를 배치하기 때문에 전력 전송선 내부의 코어 도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품이 전혀 없는 완벽한 비접촉식 구조를 제공한다.
셋째, 인쇄회로기판이 전력 전송선을 모두 감싸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구조와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구조 모두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센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넷째, 패러데이 쉴드(Faraday shield)를 사용할 경우, 전력 전송선에서 형성된 전압이 픽업 코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값의 측정이 가능하다.
다섯째, 패러데이 쉴드와 더불어 쉴드 케이스를 사용할 경우, 패러데이 쉴드의 접지가 가능하여 더욱 정밀한 값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에서 인쇄회로기판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100)는 인쇄회로기판(110), 전압 센서(120) 및 전류 센서(130)를 포함한다.
먼저, 인쇄회로기판(110)은 일면 또는 양면에 인쇄 회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전력 전송선(10)이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홀(110a)이 형성된 기판이다. 전력 전송선(10)은 일반적으로 코어 도체(11)와 유전체(12)로 이루어져 있다. 전력 전송선에는 다양한 전기적 특성을 지닌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특히 고주파(Radio Friquency; RF) 대전류 등이 흐를 수 있다.
전압 센서(120)는 전력 전송선(10)에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링 형상의 전극(Electrode; 120a)과 제1 단자부(120b)를 구비한다. 전압 센서(120)의 전극(120a)은 인쇄회로기판(110)의 관통홀(110a)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어 고정된다. 제1 단자부(120b)는 그 일단이 전극(120a)의 일측면에 접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11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노출된 제1 단자부(120b)의 타단에는 상용 커패시터, 저항, 인덕터 등이 연결되어 커패시터, 저항, 인덕터 등에 의해 전압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단자부(120b)는 인쇄회로기판(110)의 내측에 매립될 수도 있고, 인쇄회로기판(110)의 윗면 또는 아랫면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전류 센서(130)는 픽업 코일(Pick up coil; 130a)과 제2 단자부(130b)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픽업 코일(130a)은 유도 전류에 의해 전력 전송선(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처럼 감기면서 관통홀(110a)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평면상 도우넛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픽업 코일(130a)은 도우넛 형상의 종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물론 사각형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이 사용가능하지만, 후술하는 것처럼 인쇄회로기판(110)과 맞닿아 노출되는 것을 감안할 때 사각형의 형상이 더 안정적이다.
이때, 픽업 코일(130a)은 인쇄회로기판(110)의 상측으로 노출되었다가 인쇄회로기판(110)에 매립되고, 다시 인쇄회로기판(110)의 하측으로 노출되었다가 인쇄회로기판(110)에 매립됨을 반복하면서 감겨져 있다. 즉, 픽업 코일(130a)의 수직으로 절곡된 부위는 인쇄회로기판(110)에 매립되지만, 상측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절곡부(131)는 인쇄회로기판(110)의 상측과 맞닿은 채로 노출되고, 하측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수직절곡부(132)는 인쇄회로기판(110)의 하측과 맞닿은 채로 노출되게 된다. 제2 단자부(130b)는 픽업 코일(130a)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전력 전송 선(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11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제거한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서에 쉴드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200)는 인쇄회로기판(210), 전압 센서(220) 및 전류 센서(23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210)은 일측에 전력 전송선(10)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삽입홈(210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10a)의 일단은 전력 전송선(10)이 삽입가능하도록 개방되고, 타단은 전력 전송선(1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전압 센서(220)는 원호 형상의 전극(electrode; 220a)과 제1 단자부(220b)를 구비한다. 전극(electrode; 220a)은 전력 전송선(10)에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삽입홈(210a)의 내주면의 일부를 따라 밀착되어 고정된다. 제1 단자부(220b)는 일단이 전극(220a)의 일측과 접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21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여기서의 제1 단자부(220b)도 역시 인쇄회로기판(210)의 내측에 매립될 수 도 있고, 인쇄회로기판(210)의 윗면 또는 아랫면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전류 센서(230)는 픽업 코일(Pick up coil; 230a)과 제2 단자부(230b)를 구비한다. 픽업 코일(230a)은 유도 전류에 의해 전력 전송선(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처럼 감기면서 삽입홈(210a)의 내주면의 외측 일부를 따라 평면상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인쇄회로기판(210)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센서(100)의 픽업 코일(130a)과 같이 픽업 코일(230a)은 원호 형상의 종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물론 사각형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이 사용가능하지만, 후술하는 것처럼 인쇄회로기판(210)과 맞닿아 노출되는 것을 감안할 때 사각형의 형상이 더 안정적이다.
이때, 픽업 코일(230a)은 인쇄회로기판(210)의 상측으로 노출되었다가 인쇄회로기판(210)에 매립되고, 다시 인쇄회로기판(210)의 하측으로 노출되었다가 인쇄회로기판(210)에 매립됨을 반복하면서 감겨져 있다. 즉, 픽업 코일(230a)의 수직으로 절곡된 부위는 인쇄회로기판(210)에 매립되지만, 상측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부위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상측과 맞닿은 채로 노출되고, 하측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부위는 인쇄회로기판(210)의 하측과 맞닿은 채로 노출되게 된다. 제2 단자부(230b)는 픽업 코일(230a)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전력 전송선(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21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210)에는 전력 전송선(10)에 의해 형성된 전압이 픽업 코일(230a)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픽업코일(230a)과 삽입홈(210a)의 사 이에 패러데이 쉴드(Faraday shield; 240)가 더 배치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10)은 패러데이 쉴드(240)를 접지시키기 위해, 패러데이 쉴드(240)와 전력 전송선(10) 사이에 배치되어 접지되는 쉴드 케이스(Shield case; 2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패러데이 쉴드(240)에는 전력 전송선(1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슬릿(240a)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패러데이 쉴드(240)에 슬릿(240a)이 형성되면 전력 전송선(10)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이 픽업 코일(230a)에 전달되는 것은 막아주고, 자기장은 픽업 코일(230a)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픽업 코일(230a)의 전류 측정을 더욱 정확하게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110, 210)에 전극(120a, 220a)과 픽업 코일(130a, 230a)을 일체화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균일한 품질을 가질 수 있고, 전력 전송선(10)의 전기적 특성을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선(10)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전압 센서(120, 220)와 전류 센서(130, 230)를 배치하기 때문에 전력 전송선(10) 내부의 코어 도체(11)와 직접 접촉하는 부품이 전혀 없는 완벽한 비접촉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10, 210)이 전력 전송선(10)을 모두 감싸도록 관통홀(110a)이 형성된 센서(100)와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삽입홈(210a)이 형성된 센서(200), 두 개의 구조가 모두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센서(100, 2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패러데이 쉴드(240)를 사용할 경우, 전력 전송선(10)에서 형성된 전압이 픽업 코일(130a, 230a)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값의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패러데이 쉴드(240)와 더불어 쉴드 케이스(250)를 사용할 경우, 패 러데이 쉴드(240)의 접지가 가능하여 더욱 정밀한 값의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에서 인쇄회로기판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제거한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서에 쉴드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200...센서 110, 210...인쇄회로기판
120, 220...전압 센서 130, 230...전류 센서
240...패러데이 쉴드 250...쉴드 케이스

Claims (9)

  1. 전력 전송선이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전력 전송선에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어 고정되는 링 형상의 전극(electrode)과, 일단이 상기 전극의 일측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전압 센서; 및
    유도 전류에 의해 상기 전력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처럼 감기면서 상기 관통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평면상 도우넛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픽업 코일(Pick up coil)과, 상기 픽업 코일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2. 일측에서 전력 전송선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전력 전송선에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의 일부를 따라 밀착되어 고정되는 원호 형상의 전극(electrode)과, 일단이 상기 전극의 일측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전압 센서; 및
    유도 전류에 의해 상기 전력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처럼 감기면서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의 외측 일부를 따라 평면상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픽업 코일(Pick up coil)과, 상기 픽업 코일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전력 전송선에 의해 형성된 전압이 상기 픽업 코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픽업코일과 상기 삽입홈의 사이에 배치된 패러데이 쉴드(Faraday shiel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패러데이 쉴드를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패러데이 쉴드와 상기 전력 전송선 사이에 배치되어 접지되는 쉴드 케이스(Shield cas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러데이 쉴드는,
    상기 전력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슬릿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코일은,
    상기 평면상 도우넛 형상의 종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픽업 코일은,
    상기 평면상 원호 형상의 종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픽업 코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으로 노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매립,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으로 노출, 다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매립되도록 반복적으로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픽업 코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으로 노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매립,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으로 노출, 다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매립되도록 반복적으로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KR1020090082930A 2009-09-03 2009-09-03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KR101099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30A KR101099663B1 (ko) 2009-09-03 2009-09-03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CN201080035070.0A CN102472777B (zh) 2009-09-03 2010-08-24 用于测量电特性的传感器
PCT/KR2010/005617 WO2011027984A2 (ko) 2009-09-03 2010-08-24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JP2012527812A JP2013504059A (ja) 2009-09-03 2010-08-24 電気的特性を測定するためのセンサ
US13/409,684 US20120223697A1 (en) 2009-09-03 2012-03-01 Sensor for meas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30A KR101099663B1 (ko) 2009-09-03 2009-09-03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91A KR20110024791A (ko) 2011-03-09
KR101099663B1 true KR101099663B1 (ko) 2011-12-29

Family

ID=4364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930A KR101099663B1 (ko) 2009-09-03 2009-09-03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23697A1 (ko)
JP (1) JP2013504059A (ko)
KR (1) KR101099663B1 (ko)
CN (1) CN102472777B (ko)
WO (1) WO201102798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916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인쇄회로기판의 전송선로 상에서 rf 신호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형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2611B2 (en) * 2011-08-18 2014-10-28 General Electric Company Rogowski coil assemblies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 same
KR101843249B1 (ko) 2016-03-08 2018-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전자 소자 모듈의 차폐 측정 방법
CN106018917B (zh) * 2016-05-18 2019-02-15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无源型电流电压集成传感器
KR102544625B1 (ko) 2017-02-16 2023-06-15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고온 환경에서 무선 주파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전류 프로브 및 이를 교정하는 방법
WO2018189035A1 (en) 2017-04-10 2018-10-18 Abb Schweiz Ag Short-circuit current sensor for power electronics module
KR101881573B1 (ko) * 2017-05-31 2018-08-07 주식회사 뉴파워프라즈마 전력 측정센서
FR3075387B1 (fr) * 2017-12-14 2019-11-08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ispositif de mesure du courant electrique, appareil de mesure du cour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dispositif de mesure du courant
CN108761266B (zh) * 2018-06-06 2020-06-16 浙江巨磁智能技术有限公司 超小型贴片式漏电流传感器及其组装方法
KR102509641B1 (ko) 2018-08-28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챔버의 rf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챔버
FR3095699B1 (fr) * 2019-05-03 2021-09-17 Safran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dispositif de protection de court-circuit, dispositif de protection de court-circuit et module de puissance associés
CN110244106A (zh) * 2019-06-23 2019-09-17 上海千贯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非侵入式计量电流和电压的设备
KR102239126B1 (ko) 2019-11-19 2021-04-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 검출이 가능한 적층형 회로 구조체
KR102145827B1 (ko) * 2020-02-26 2020-08-19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케이스형 zct 조립모듈
DE102020207225A1 (de) * 2020-06-09 2021-12-09 Infineon Technologies Ag Induktiver winkelsensor mit gestreckten spulen
US11817296B2 (en) 2020-06-26 2023-11-14 Tokyo Electron Limited RF voltage and current (V-I) sensors and measurement methods
KR102470633B1 (ko) 2020-12-15 2022-11-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 검출이 가능한 회로 구조체
WO2022222119A1 (zh) * 2021-04-23 2022-10-27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电流检测装置、电能检测装置和电流检测装置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894A (ja) 2001-10-29 2003-05-08 Toshiba Corp 変流器
JP2007155427A (ja) 2005-12-02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交流電流検出用コイル
JP2007225588A (ja) 2006-01-30 2007-09-06 Daihen Corp 電流検出用プリント基板、電圧検出用プリント基板及びそれらを用いた電流・電圧検出器、並びに電流検出器及び電圧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4381A (en) * 1986-02-03 1988-02-09 Niagara Mohawk Power Corporation RF antenna for transmission line sensor
JP2722749B2 (ja) * 1990-02-06 1998-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零相電圧検出装置
US6545420B1 (en) * 1990-07-31 2003-04-08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reactor using inductive RF coupling, and processes
US5473244A (en) * 1992-09-17 1995-12-05 Libove; Joel M. Apparatus for measuring voltages and currents using non-contacting sensors
JP4134528B2 (ja) * 2001-05-16 2008-08-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被覆電力線用電圧測定装置
JP2004119926A (ja) * 2002-09-30 2004-04-15 Toshiba Corp 変流器及び変流器システム
KR20050024515A (ko) * 2003-09-01 2005-03-10 주식회사 에이. 에스. 이 고주파 대전력 신호 측정용 센서
US7164263B2 (en) * 2004-01-16 2007-01-16 Fieldmetrics, Inc. Current sensor
US7545138B2 (en) * 2006-07-06 2009-06-09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Precision, temperature-compensated, shielded current measurement device
ITPD20070121A1 (it) * 2007-04-02 2008-10-03 Mario Berton Dispositivo di misura di grandezze elettriche per linee di trasporto di energia
JP4898592B2 (ja) * 2007-07-31 2012-03-14 株式会社ダイヘン 電流・電圧検出器
JP5069978B2 (ja) * 2007-08-31 2012-11-07 株式会社ダイヘン 電流・電圧検出用プリント基板および電流・電圧検出器
JP4995683B2 (ja) * 2007-09-28 2012-08-08 株式会社ダイヘン 電流・電圧検出用プリント基板および電流・電圧検出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894A (ja) 2001-10-29 2003-05-08 Toshiba Corp 変流器
JP2007155427A (ja) 2005-12-02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交流電流検出用コイル
JP2007225588A (ja) 2006-01-30 2007-09-06 Daihen Corp 電流検出用プリント基板、電圧検出用プリント基板及びそれらを用いた電流・電圧検出器、並びに電流検出器及び電圧検出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916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인쇄회로기판의 전송선로 상에서 rf 신호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형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23697A1 (en) 2012-09-06
WO2011027984A2 (ko) 2011-03-10
KR20110024791A (ko) 2011-03-09
CN102472777B (zh) 2015-09-02
JP2013504059A (ja) 2013-02-04
CN102472777A (zh) 2012-05-23
WO2011027984A3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663B1 (ko)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US7714594B2 (en) Current detection printed board, voltage detection printed board, and current/voltage detector using same, and current detector and voltage detector
KR100815045B1 (ko) 전류 측정 장치
TWI499783B (zh) 射頻感測器系統與射頻感測方法
US9793042B2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layer structure
US8498124B1 (en) Magnetic circuit board stacking component
RU2615597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датчик ток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упомянутого датчика
JP2008506944A (ja) 電流センサー
WO2002089156A1 (en) Surface mountable electronic component
EP3555895B1 (en) Combination of an electricity conducting element, such as bushing, and a connector cable
US7564335B1 (en) Transformer hook mount
KR100785445B1 (ko) 저 프로파일 유도성 부품
CN105044425A (zh) 差动电流测量组件
JP5730072B2 (ja) 電流センサ、電流センサ付きテーブルタップ、電流センサ用カバー
US10901006B2 (en) Apparatus having a Rogowski coil assembly
KR20120015814A (ko) 멀티 트랜스포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008198B1 (ko) 이엠아이용 코일제품
US7378932B1 (en) Reduced size high-frequency surface-mount current sense transformer
KR101177061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US9964564B2 (en) Sensor for measuring current in a conductor
JP2019078563A (ja) 方向性結合器
WO2014072062A1 (en) A smd current sensor device and uses thereof
KR2018007759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230085750A (ko) 커넥터 장치
JP2006353018A (ja) 電力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